KR102465937B1 - 자동배출 진공 쌀통 - Google Patents

자동배출 진공 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937B1
KR102465937B1 KR1020220073090A KR20220073090A KR102465937B1 KR 102465937 B1 KR102465937 B1 KR 102465937B1 KR 1020220073090 A KR1020220073090 A KR 1020220073090A KR 20220073090 A KR20220073090 A KR 20220073090A KR 102465937 B1 KR102465937 B1 KR 102465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guide
rice
discharge
opening
withdraw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3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병철
Original Assignee
안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철 filed Critical 안병철
Priority to KR1020220073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5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937B1/ko
Priority to PCT/KR2023/004494 priority patent/WO2023243836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47J47/06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52Devices for discharging successive articles or portions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자동배출 진공 쌀통가 제공된다. 자동배출 진공 쌀통은, 쌀을 저장하여 보관하는 보관부와, 보관부에 저장된 쌀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안내부 및 배출안내부로 배출되는 쌀을 저장하여 인출하는 인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배출 진공 쌀통{Automatic emission vacuum rice cask}
본 발명은 자동배출 진공 쌀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쌀을 진공상태에서 보관함은 물론 쌀을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자동배출 진공 쌀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과 같은 곡물은 습기가 적고 저온의 공간에서 저장될 때, 그 품질을 떨어뜨리지 않고 오랫동안 보존할 수 있다. 즉, 쌀의 보관 온도나 습도에 따라 신선도 및 품질 유지에 있어 큰 차이가 발생한다. 특히, 정백미는 온도나 습도의 영향을 쉽게 받기 때문에 각 가정에서도 쌀을 맛있게 먹기 위해서는 보관에 충분히 유의해야 한다.
정미한 쌀의 유통기한은 계절에 따라 변하는데, 쌀이 수확되는 가을부터 이듬해 3월경까지는 쌀 자체가 햅쌀로 신선하고 기온이 낮기 때문에 2개월 정도는 보존할 수 있지만, 봄이 되면 수확기로부터 반년 정도 지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쌀은 점차 묵은 쌀이 되고, 기온도 올라 보존 환경이 나빠져서 4~5월경의 보존 기간은 1개월 정도이고, 시간이 더 지나 고온 다습한 여름철이 되면 보존기간은 더욱더 줄어든다. 또한, 기온이 30℃를 넘으면 쌀이 산화되면서 쌀의 질은 뚝 떨어지고 흰 가루가 생기고 맛도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쌀의 산화를 방지하고 신선한 품질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합성수지 재질이나 도자기로 만든 쌀통에 보존하는 것이 제일 좋다.
상기 쌀통의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47530호에 진공쌀통이 등록된 바 있다. 이 종래기술은 쌀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일정 압력 이하의 진공상태로 유지하여 쌀을 포함한 곡물을 장기간 원상태로 신선하게 저장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뚜껑을 회전시켜 저장공간 내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저장공간에 저장된 쌀을 꺼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저장공간의 위부분에 위치한 쌀을 먼저 꺼내고, 쌀이 많이 없을 경우, 새로운 쌀을 저장공간에 투입하여 저장하기 때문에 저장공간 하부부분에 위치한 쌀은 계속하여 꺼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해 저장공간 하부부분에 위치한 쌀은 묵은 쌀로 변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47530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쌀을 진공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는 자동배출 진공 쌀통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보관부의 하부부분에 위치한 쌀부터 순차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자동배출 진공 쌀통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배출 진공 쌀통은, 쌀을 저장하여 보관하는 보관부와, 상기 보관부에 저장된 쌀의 배출을 안내하는 배출안내부 및 상기 배출안내부로 배출되는 쌀을 저장하여 인출하는 인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보관부는, 하부 몸체와, 상기 하부 몸체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상부 몸체 및 상기 상부 몸체의 상단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안내부는, 상기 보관부의 상기 하부 몸체 하단부에 연결되는 배출안내리브와, 상기 배출안내리브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배출안내부재 및 상기 배출안내부재를 회전시키는 배출안내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안내부재는, 상기 배출안내리브 내부에 배치되는 배출안내축 및 상기 배출안내축 외면에 배치되는 배출안내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출부는, 상기 배출안내부로부터 배출되는 쌀을 수용하는 인출안내부재 및 상기 인출안내부재의 일면에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안내부의 배출안내리브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가 회전하여 배출안내리브의 하단부가 개방될 때, 인출안내부재가 인출되지 않도록 잠금을 설정하는 잠금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배출 진공 쌀통에 의하면, 쌀을 진공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쌀의 변질없이 장시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보관부의 하부부분에 위치한 쌀부터 순차적으로 배출하므로 쌀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배출 진공 쌀통의 정면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배출 진공 쌀통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배출 진공 쌀통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배출 진공 쌀통의 정면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배출 진공 쌀통의 측면을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배출 진공 쌀통(100)은, 쌀을 진공으로 보관함은 물론 보관된 쌀을 하부부분부터 순차적으로 배출하는 장치로, 보관부(110), 배출안내부(120), 인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보관부(110)는 쌀을 저장하여 진공펌프(113')에 의해 진공으로 보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보관부(110)는 하부 몸체(111), 상부 몸체(112), 덮개(113)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몸체(111)는 쌀을 저장하고, 저장된 쌀의 배출을 안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몸체(111)는 하부가 개구된 뿔 형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몸체(111)는 원뿔 형상, 사각뿔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몸체(111)가 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 몸체(111)에 저장된 쌀의 배출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몸체(112)는 하부 몸체(111)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몸체(112)는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부 몸체(112)는 하부 몸체(111)의 형상에 따라 원 형상의 파이프, 사각 형상의 파이프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부 몸체(111)와 상부 몸체(112)는 분리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덮개(113)는 상부 몸체(112)의 상단부를 개폐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덮개(113)는 상부 몸체(112)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경첩과 같은 회전안내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부 몸체(112)의 상단부를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덮개(113)의 상향 회전에 따라 상부 몸체(112)의 내부를 개방하여 쌀을 하부 몸체(111) 및 상부 몸체(112) 내부로 투입할 수 있다. 또한, 덮개(113)의 하향 회전에 따라 상부 몸체(112)의 상단부를 폐쇄함으로써 하부 몸체(111) 및 상부 몸체(112)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유지함은 물론 상부 몸체(112) 내부로 유입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덮개(113)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실링부재는 덮개(113)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부 몸체(112)의 상단부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실링부재에 의해 하부 몸체(111) 및 상부 몸체(112)의 내부를 좀더 견고하게 밀폐시켜 진공펌프(113')에 의해 하부 몸체(111)와 상부 몸체(112) 내부의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보관부(110)는 받침부재(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재(114)는 상향으로 개구되어 하부 몸체(111)를 수용하면서 상부 몸체(112)의 하단부에 밀착되어 상부 몸체(112)를 받쳐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재(114)의 하단부에 공간이 개구되고, 공간으로 하기에서 설명하는 인출부(130)의 인출안내부재(131)가 출입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재(114)는 미끄럼방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미끄럼방지부재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받침부재(114)의 하면에 부착되어 지면에 안착됨으로써 받침부재(114)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재(114)는 제어가능한 이동바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이동바퀴는 받침부재(114) 하면의 네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받침부재(114) 및 하부 몸체(111)와 상부 몸체(112)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동된 상태에서 이동바퀴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이동된 위치에 보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출안내부(120)는, 보관부(110)에 저장된 쌀의 배출을 안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출안내부(120)는 보관부(110)의 하부부분에 위치한 쌀부터 순차적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출안내부(120)는 배출안내리브(121), 배출안내부재(122), 배출안내모터(123)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출안내리브(121)는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 형상으로 보관부(110)의 하부 몸체(111) 하단부에 배출안내리브(121)의 상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출안내리브(121)는 하부 몸체(111)의 하단부에 체결 및 분리되는 구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출안내리브(121)와 하부 몸체(111)의 하단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출안내리브(121)는 설치홈, 설치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설치홈은 배출안내리브(121) 내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홈으로, 하기에서 설명하는 배출안내축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설치공은 설치홈 타측의 배출안내리브(121)에 관통된 공으로, 하기에 설명하는 배출안내축의 타단이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설치홈과 설치공에는 배출안내축의 회전을 안내하는 베어링이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출안내부재(122)는 배출안내리브(121)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출안내부재(122)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배출안내모터(123)에 의해 회전하면서 배출안내리브(121) 내부를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배출안내부재(122)의 회전으로 배출안내리브(121)의 내부가 개방되면, 하부 몸체(111)에 위치한 쌀의 배출을 안내할 수 있고, 배출안내부재(122)의 회전으로 배출안내리브(121) 내부가 폐쇄되면, 하부 몸체(111)에 위치한 쌀의 배출을 중단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출안내부재(122)는 배출안내축, 배출안내편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출안내축은 배출안내리브(121) 내부에 배치되는 축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출안내축은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출안내축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배출안내축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배출안내축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배출안내축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하부 몸체(111) 및 상부 몸체(112)에 저장되는 쌀의 무게에 의한 충격으로 배출안내축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출안내편은 배출안내축의 외면에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배출안내편은 배출안내축의 외면에 90도 간격으로 배치되거나 몇몇 실시예에서 배출안내편은 배출안내축의 외면에 6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출안내편은 배출안내축에 다양한 각도로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출안내편이 배출안내축에 의해 회전하면서 배출안내리브(121) 내부를 개방함에 따라 하부 몸체(111) 및 상부 몸체(112)에 저장된 쌀을 인출부(13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배출안내편이 배출안내축에 의해 회전하면서 배출안내리브(121) 내부를 폐쇄함에 따라 하부 몸체(111) 및 상부 몸체(112)에 젖아된 쌀의 인출부(130)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여기서, 배출안내편은 배출안내리브(121)의 관통된 형상에 따라 직사각 형상, 반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출안내편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배출안내편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배출안내편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배출안내편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하부 몸체(111) 및 상부 몸체(112)에 저장된 쌀의 무게에 의한 충격으로 배출안내편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출안내부재(122)는 로터리 밸브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출안내모터(123)는 배출안내부재(1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출안내모터(123)는 배출안내부재(122)의 배출안내축 타단에 연결되고 배출안내리브(121)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출안내모터(123)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면서 배출안내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배출안내모터(123)의 회전에 따라 배출안내축과 배출안내편이 회전하면서 배출안내리브(121)의 내부를 개폐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출부(130)는 배출안내부(120)로 배출되는 쌀을 저장하여 인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출부(130)는 인출안내부재(131), 손잡이(132)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출안내부재(131)는 배출안내부(120)로부터 배출되는 일정량의 쌀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면서 함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인출안내부재(131)는 받침부재(114)의 공간을 따라 받침부재(114)의 내면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손잡이(132)는 인출안내부재(131)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손잡이(132)는 인출안내부재(131)의 일면에 돌출되거나 요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132)는 인출안내부재(131)를 당겨 받침부재(114) 외부로 인출하거나 인출안내부재(131)를 밀어 받침부재(114)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자동배출 진공 쌀통(100)은 개폐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개폐부(140)는 배출안내부(120)의 배출안내리브(121)를 개폐함으로써, 하부 몸체(111)와 상부 몸체(112) 내부의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개폐부(140)는 개폐모터(141), 개폐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개폐모터(141)는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폐모터(141)는 시계 방향으로 90도 또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90로 회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폐모터(141)는 예각의 범위에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개폐부재(142)는 개폐모터(141)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배출안내리브(121)의 하단부를 개폐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개폐부재(142)는 개폐판, 실링재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개폐판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개폐모터(141)에 연결되어 개폐모터(141)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개폐판은 경질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실링재는 개폐판의 상면에 배치되어 배출안내리브(121)의 하단부를 실링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실링재는 연질의 고무재 또는 실리콘 등으로 형성되어 배출안내리브(121)의 하단부를 견고하게 폐쇄시킬 수 있으므로 하부 몸체(111) 및 상부 몸체(112)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자동배출 진공 쌀통(100)은 잠금설정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잠금설정부(150)는 개폐부재(142)가 회전하여 배출안내리브(122)의 하단부가 개방될 때, 인출안내부재(131)가 인출되지 않도록 잠금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잠금설정부(150)는 개폐부재(142)가 회전하여 배출안내리브(122)의 하단부가 폐쇄될 때, 인출안내부재(131)가 인출되도록 설정된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잠금설정부(150)는 동력전달부재(151), 잠금설정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동력전달부재(151)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개폐모터(141)와 연결되고 타단은 받침부재(114)의 내면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동력전달부재(151)는 개폐모터(141)의 회전에 따라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잠금설정부재(152)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판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잠금설정부재(152)의 일단은 동력전달부재(151)에 고정되고, 타단은 인출안내부재(131)의 내면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잠금설정부재(152)는 개폐모터(141)의 회전에 따라 인출안내부재(131)의 외부로 이동하면서 인출안내부재(131)에 설정된 잠금을 해제하거나 인출안내부재(131)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인출안내부재(131)의 내면에 밀착되어 인출안내부재(131)의 잠금을 설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잠금설정부재(152)의 외면은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잠금설정부재(152)의 외면은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잠금설정부재(152)의 외면이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잠금설정부재(152)의 외면에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경우, 인출안내부재(131)를 당기는 사용자에 의한 충격으로 잠금설정부재(152)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배출 진공 쌀통(100)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개폐부(140)의 개폐부재(142)가 회전하여 배출안내부(120)의 배출안내리브(121)의 하단부에 밀착되면서 배출안내리브(121)를 폐쇄시키고, 배출안내부재(122)의 배출안내편이 배출안내리브(121) 내면을 폐쇄시킬 수 있다. 또한, 보관부(110)의 덮개(113)를 회전시켜 상부 몸체(112)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하부 몸체(111)와 상부 몸체(112) 내부에 쌀을 투입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쌀이 하부 몸체(111)와 상부 몸체(112) 내부에 저장되면, 덮개(113)를 회전시켜 상부 몸체(112)의 상단부를 폐쇄함은 물론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진공펌프(113')의 작동으로 하부 몸체(111)와 상부 몸체(112) 내부는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하부 몸체(111) 및 상부 몸체(112)에 저장된 쌀을 배출시키려고, 덮개(113)에 구비된 컨트롤 버튼을 가압할 수 있다. 여기서, 컨트롤 버튼은 한 번 누를때마다 1인분에 해당되는 쌀이 공급되도록 세팅될 수도 있고, 컨트롤 버튼을 한 번 누르면, 2인분에 해당되는 쌀이 공급되도록 세팅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컨트롤 버튼은 다수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버튼은 1인분, 2인분, 3인분에 해당되는 쌀이 배출되도록 세팅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인분에 해당되는 컨트롤 버튼을 가압하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개폐부(140)의 개폐모터(14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개폐모터(141)의 시계 방향 회전으로 개폐부재(14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배출안내부(120)의 배출안내리브(121) 하단부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모터(141)의 시계 방향 회전으로 잠금설정부(150)의 동력전달부재(15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동력전달부재(151)에 연결된 잠금설정부재(15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인출부(130)의 인출안내부재(131)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잠금설정부재(152)가 인출안내부재(131)의 내면에 밀착되어 걸림으로서 인출안내부재(131)가 인출되지 않도록 잠금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140)의 시계 방향 회전이 완료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배출안내부(120)의 배출안내모터(12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배출안내모터(123)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배출안내부재(12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배출안내부재(122)의 배출안내편이 배출안내리브(121)의 내부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배출안내편의 회전으로 개방된 배출안내리브(121) 내부를 통해 하부 몸체(111)에 위치한 쌀이 배출안내리브(121)로 배출됨과 동시에 하부 몸체(111)로부터 배출되는 쌀만큼 상부 몸체(112)에 위치한 쌀이 하부 몸체(111)로 이동하고, 상기 배출안내리브(121)로 배출되는 쌀은 인출안내부재(131) 내부에 위치하면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배출안내리브(121)로 1인분에 해당되는 쌀이 배출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배출안내모터(123)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배출안내부재(122)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배출안내부재(122)의 배출안내편이 배출안내리브(121)의 내부를 폐쇄하여 쌀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배출안내리브(121)의 내부가 폐쇄되면, 개폐모터(14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개폐부재(142)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배출안내리브(121)의 하단부를 폐쇄할 수 있다. 이때, 개폐부재(142)의 실링재가 배출안내리브(121)의 하단부를 견고하게 폐쇄하고,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진공펌프(113')의 작동으로 하부 몸체(111)와 상부 몸체(112)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몸체(111) 및 상부 몸체(112)에 저장된 쌀은 진공상태에서 장시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모터(141)에 연결된 동력전달부재(151)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동력전달부재(151)에 연결된 잠금설정부재(152)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인출안내부재(131)로부터 분리되어 인출안내부재(131)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정으로 잠금설정부재(152)의 잠금이 해제된 인출안내부재(131)는 손잡이(132)를 이용하여 잡아당김으로써 받침부재(114)의 공간으로부터 분리하고, 인출안내부재(131) 내부에 위치한 쌀을 별도의 그릇에 덜어 씻을 수 있도록 하고, 인출안내부재(131)는 받침부재(114)의 공간으로 삽입하여 받침부재(114) 내부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다음의 동작을 대기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자동배출 진공 쌀통
110: 보관부
111: 하부 몸체
112: 상부 몸체
113: 덮개
114: 받침부재
120: 배출안내부
121: 배출안내리브
122: 배출안내부재
123: 배출안내모터
130: 인출부
131: 인출안내부재
132: 손잡이
140: 개폐부
141: 개폐모터
142: 개폐부재
150: 잠금설정부
151: 동력전달부재
152: 잠금설정부재

Claims (7)

  1.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진공펌프의 작동으로 저장된 쌀을 진공으로 보관하는 보관부;
    상기 보관부의 하부부분에 위치한 쌀부터 순차적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배출안내부; 및
    상기 배출안내부로 배출되는 쌀을 저장하여 인출하는 인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안내부는,
    상기 보관부의 하부 몸체 하단부에 연결되는 배출안내리브;
    상기 배출안내리브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배출안내부재; 및
    상기 배출안내부재를 회전시키는 배출안내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안내부의 배출안내리브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개폐모터; 및
    상기 개폐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배출안내리브의 하단부를 개폐하고, 상면에 실링재가 배치된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부재가 회전하여 배출안내리브의 하단부가 개방될 때, 인출안내부재가 인출되지 않도록 잠금을 설정하는 잠금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설정부는,
    일단은 상기 개폐모터와 연결되고, 타단은 받침부재의 내면에 연결되는 동력전달부재; 및
    일단은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고정되고, 타단은 인출안내부재의 내면에 위치하여 상기 개폐모터의 회전에 따른 동력전달부재의 회전으로 인출안내부재의 외부 및 내부에 위치하면서 인출안내부재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설정하는 잠금설정부재를 포함하는 자동배출 진공 쌀통.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는,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상부 몸체; 및
    상기 상부 몸체의 상단부를 개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자동배출 진공 쌀통.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안내부재는,
    상기 배출안내리브 내부에 배치되는 배출안내축; 및
    상기 배출안내축 외면에 배치되는 배출안내편을 포함하는 자동배출 진공 쌀통.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는,
    상기 배출안내부로부터 배출되는 쌀을 수용하는 인출안내부재; 및
    상기 인출안내부재의 일면에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자동배출 진공 쌀통.
  6. 삭제
  7. 삭제
KR1020220073090A 2022-06-15 2022-06-15 자동배출 진공 쌀통 KR102465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090A KR102465937B1 (ko) 2022-06-15 2022-06-15 자동배출 진공 쌀통
PCT/KR2023/004494 WO2023243836A2 (ko) 2022-06-15 2023-04-04 자동배출 진공 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3090A KR102465937B1 (ko) 2022-06-15 2022-06-15 자동배출 진공 쌀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5937B1 true KR102465937B1 (ko) 2022-11-09

Family

ID=84040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3090A KR102465937B1 (ko) 2022-06-15 2022-06-15 자동배출 진공 쌀통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5937B1 (ko)
WO (1) WO2023243836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016B1 (ko) 2023-07-07 2023-10-19 연제윤 쌀 냉장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114U (ko) * 1995-07-25 1997-02-21 대우전자주식회사 잭인출장치
KR20000036710A (ko) * 2000-03-27 2000-07-05 선용재 수납체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한 쌀통
KR20030065646A (ko) * 2002-01-30 2003-08-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정량의 쌀 배출장치가 구비된 김치냉장고
KR102147530B1 (ko) 2019-08-16 2020-08-24 (주)서흥메가텍 진공쌀통
KR102185722B1 (ko) * 2020-08-21 2020-12-02 주식회사 로그네트웍스 진공쌀통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114U (ko) * 1995-07-25 1997-02-21 대우전자주식회사 잭인출장치
KR20000036710A (ko) * 2000-03-27 2000-07-05 선용재 수납체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한 쌀통
KR20030065646A (ko) * 2002-01-30 2003-08-09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정량의 쌀 배출장치가 구비된 김치냉장고
KR102147530B1 (ko) 2019-08-16 2020-08-24 (주)서흥메가텍 진공쌀통
KR102185722B1 (ko) * 2020-08-21 2020-12-02 주식회사 로그네트웍스 진공쌀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016B1 (ko) 2023-07-07 2023-10-19 연제윤 쌀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43836A2 (ko)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5937B1 (ko) 자동배출 진공 쌀통
US20220175192A1 (en) Vacuum blender
KR100883776B1 (ko) 진공쌀통
KR100733299B1 (ko) 김치 냉장고용 김치 용기
US20060248912A1 (en) Refrigerator
BR112019011838B1 (pt) Gaveta de geladeira para preservação de alimento, e, membrana substituível
US9408413B2 (en) Dryer barrel basket
JP2005226964A (ja) 冷蔵庫
KR20160079311A (ko) 냉장고
US6836998B1 (en) Pneumatic bait bucket
KR20220159304A (ko) 진공블렌더
KR102116905B1 (ko) 진공밸브를 갖는 식품 진공보관 용기용 멀티 푸시버튼
MX2009001676A (es) Ensamble de bandeja para hielos y refrigerador que tiene el mismo.
KR101129788B1 (ko) 냉장고용 계란 디스펜서
US12065290B2 (en) Container with terracotta lid
MXPA03007612A (es) Tapa de vacio reutilizable.
US20030127350A1 (en) Produce container
JPH0413072A (ja) 冷蔵庫
KR102448020B1 (ko) 진공용기
US5007547A (en) Multi-port container
KR20000042553A (ko) 원형냉장고의 슬라이드 도어
KR200492230Y1 (ko) 향기 발산 보관함
CN220054620U (zh) 一种外泌体培养基保存箱
KR100768167B1 (ko) 김치저장고의 탈취제실 개폐구조
KR19990041816A (ko) 냉기차단도어가 구비된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