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530B1 - 진공쌀통 - Google Patents

진공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530B1
KR102147530B1 KR1020190100063A KR20190100063A KR102147530B1 KR 102147530 B1 KR102147530 B1 KR 102147530B1 KR 1020190100063 A KR1020190100063 A KR 1020190100063A KR 20190100063 A KR20190100063 A KR 20190100063A KR 102147530 B1 KR102147530 B1 KR 102147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storage container
lid
clamp
out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식
Original Assignee
(주)서흥메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223512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14753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서흥메가텍 filed Critical (주)서흥메가텍
Priority to KR1020190100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5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47J47/06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A47J47/10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장공간을 일정 압력의 진공상태로 유지하여 쌀을 포함한 곡물의 과도한 수분증발을 억제하고, 보관중 곰팡이나 쌀벌레가 생기지 않으며, 곡물이 공기에 노출되어 산화되는 것을 억제하여 장기간 원상태로 신선하게 저장할 수 있으면서 구조도 간단한, 진공쌀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쌀통{Vacuum rice container}
본 발명은 진공쌀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공간을 일정 압력 이하의 진공상태로 유지하여 쌀을 포함한 곡물을 장기간 원상태로 신선하게 저장할 수 있는 진공쌀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과 같은 곡물을 장기간 보관하기 위해서는 그늘지고 바람이 잘 통하는 선선한 곳에서 보관해야 한다. 구내식당이나 음식점과 같이 대량으로 쌀을 소비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저장창고가 구비되어 있거나 짧은 시간 내에 쌀을 소비하기 때문에 쌀통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나, 규모가 작은 식당이나 대부분의 일반 가정에서는 쌀을 쌀통에 넣어 보관하고 있는데,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쌀통은 합성수지 재질이나 도자기로 만든 쌀통에 쌀을 보관하고 있다.
정미한 쌀의 보존기간은 계절에 따라 다른데, 쌀이 수확되는 가을부터 이듬해 3월경까지는 쌀 자체가 햅쌀이기 때문에 신선하고 기온도 낮기 때문에 2개월 정도 보존할 수 있지만, 봄이 되면 수확기로부터 반년 정도 지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쌀은 점차 묵은쌀이 되고 기온도 올라가 보존환경이 나빠져서 4-5월경의 보존 기간은 1개월 정도이고, 시간이 더 지나 고온 다습한 여름철이 되면 보존기간은 더 줄어든다.
기온이 30℃를 넘으면 쌀이 산화되면서 쌀의 질은 뚝 떨어지고 흰 가루가 생기고 맛도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쌀의 산화를 방지하고 신선한 품질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밀폐용기에 보존하는 것이 제일 좋다. 하지만,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경우 실내가 항상 따뜻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쌀통은 쌀을 저장하더라도 장기간 보관이 어렵고 조금만 지나면 쌀통에 보관된 쌀이 변색이 된다든가 쌀통에 습기가 차게 되면서 쌀벌레 또는 곰팡이가 발생하게 되므로, 일반 가정에서는 쌀벌레 발생 방지를 위해 쌀통에 마늘을 넣어 둔다든가 다른 여러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등록 제883776호 "진공쌀통", 실용신안등록 제460867호 "진공쌀통", 실용신안공개 제1994-7088호 "진공펌프를 이용한 흡입식 쌀통" 등과 같은 기술들이 출현하였으나, 이들 기술은 모두 구성 자체가 복잡하여 고장 발생이 많고, 저장공간에 비하여 진공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들이 차지하는 부피가 너무 크며, 저장공간을 진공상태로 계속 유지하기가 어렵다는 등 많은 문제가 있어서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공간을 일정 압력의 진공상태로 유지하여 쌀을 포함한 곡물의 과도한 수분증발을 억제하고, 보관중 곰팡이나 쌀벌레가 생기지 않으며, 곡물이 공기에 노출되어 산화되는 것을 억제하여 장기간 원상태로 신선하게 저장할 수 있으면서 구조도 간단한 진공쌀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쌀통은, 저장공간의 상부가 개방된 형상이고, 상단은 원주를 따라 일정 폭을 갖으면서 제1패킹이 장착되어 있으며, 측벽의 상단부분에는 저장공간 내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석션부가 설치된 저장용기 내부체; 상기 저장용기 내부체의 외부에 결합 고정되어 저장용기 내부체를 수용하게 되고, 상단부분 외측에는 저장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이 힌지연결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 저장용기 외부체; 상기 저장용기 외부체와 뚜껑을 결합시키고 있는 힌지결합부의 대향(對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뚜껑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뚜껑과 저장용기 외부체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게 되는 클램프; 상기 저장용기 내부체의 바닥면 하부에 장착되며, 진공을 발생시켜 저장공간 내의 공기를 저장용기 내부체에 형성된 석션부를 통해 흡입하여 공기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진공모터; 상기 저장용기 내부체의 바닥면 하부에 장착되고, 저장공간 내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 회로가 실장된 기판; 상기 뚜껑에 설치되어, 뚜껑을 열고자 할 때 작동시켜 저장용기 내의 진공을 해제시키는 진공해제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뚜껑을 닫고 클램프를 밀어주면 저장용기 외부체와 뚜껑이 결합하여 밀폐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저장용기 내부체에 설치된 석션부에는 금속 재질의 필터가 내장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뚜껑을 닫았을 때, 저장용기 내부체의 상단에 장착된 제1패킹과 접하게 되는 뚜껑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제2패킹이 장착되어 있으며, 제2패킹은, 일정 폭을 갖는 제1패킹과 접촉하여 밀착되는 부분을 갖는 블레이드(blade)부가 구비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장용기 내부체의 재질은 투명한 재질이고, 저장용기 외부체의 재질은 불투명한 재질이면서, 저장용기 외부체의 측면 일정 부분에는 투명한 재질로 된 투시창을 구비하고 있어서, 저장공간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뚜껑과 저장용기 외부체를 결합시킬 때, 클램프가 닿게 되는 부분의 저장용기 외부체에는 오목한 형상으로 클램프안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클램프안착부에는, 저장용기 내부의 진공상태 및 진공모터동 여부를 현시해 주는 LED; 상기 진공모터를 작동시키는 진공스위치; 상기 클램프와 체결되는 체결턱부;가 배치되어 있고, 클램프의 내측면에는, 저장용기 외부체의 클램프안착부에 형성된 체결턱부와 결합하게 되는 체결돌기와, 상기 진공스위치를 눌러주는 스위치누름돌기가 구비되어 있어서, 클램프를 밀어주면 클램프에 형성된 스위치누름돌기가 저장용기 외부체의 클램프안착부에 설치된 진공스위치를 눌러서 진공모터가 작동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기판에는 진공센서가 장착되어 있고, 진공센서는 저장용기 내의 진공도를 감지한 정보를 제어부에 제공하여 진공모터의 작동 여부를 지시하여 저장용기 내부가 일정 수준의 진공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쌀통은, 진공을 발생하기 위한 진공모터와 회로기판 등이 저장공간의 밑바닥에 배치되어 있어서 구조가 간단하고, 뚜껑을 열기 위해 저장공간의 진공을 해제하기 위한 진공해제밸브가 뚜껑에 배치되어 있으며, 저장용기 내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석션(suction)부에는 금속 재질의 필터가 내장되어 있어서 진공 흡입시 곡물가루와 같은 미세입자가 걸러지게 되므로 진공펌프의 고장이 거의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저장공간이 크고 외관이 심플하고 미려하다.
또한, 진공센서가 저장공간 내의 진공도를 항시 체크하면서 진공도가 일정 이하로 떨어지면 즉시 진공모터가 작동하고, 진공펌프의 작동 여부 및 진공상태에 따라 LED가 점등되어 현상태를 현시해 주므로 외부에서 쌀통 내부의 진공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쌀통 내부가 항시 일정 수준의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곡물에 함유된 수분의 과도한 증발을 억제하여 신선도를 유지하게 하면서 곰팡이나 쌀벌레 발생 또는 장기간 보관으로 인하여 쌀이 산화되는 것을 근원적으로 방지하여 저장공간에 보관된 곡물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진공쌀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저장용기 내부체 및 그 바닥면에 배치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클램프 및 클램프안착부에 배치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저장용기 내부체에 설치된 석션부와 뚜껑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쌀통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저장공간을 항상 일정 수준의 진공도를 유지하게 하면서 외부에서 진공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저장된 곡물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면서 곰팡이나 쌀벌레 발생을 근원적으로 방지하게 했다는 점과, 석션필터가 장착되어 저장용기 내의 공기를 배출할 때 곡물가루가 진공펌프로 흡입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고장 발생이 거의 없게 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쌀통은 쌀 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곡물을 진공상태로 보관하여 장기간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는 용기로, 저장공간이 형성된 저장용기 내부체(20)와, 저장용기 내부체(20)가 수용되며 뚜껑(11)과 힌지 연결된 저장용기 외부체(10)와, 뚜껑(11)과 저장용기 외부체(10)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는 클램프(12)와, 진공모터(21)와, 각종 회로가 실장된 기판(22)과, 저장용기 내의 진공을 해제시키는 진공해제밸브(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저장용기 내부체(20)는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진 것으로, 저장공간의 상부가 개방된 형상이고, 일정 폭으로 형성된 상단은 원주를 따라 일정 폭을 갖는 제1패킹(25)이 저장용기 내부체(20)의 상단을 덮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저장공간 내부체(20)의 측벽 상단부분에는 저장공간 내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석션부(26)가 설치되어 있다.
저장용기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기 위해 진공용기 내의 공기를 흡입할 때, 저장용기에 저장된 곡물에 묻어 있는 곡물가루와 같은 미세입자가 함께 흡입되면서 진공모터(21)의 고장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진공모터(21)의 고장방지를 위해 석션(suction)부(26)에 많은 공극이나 통공이 형성된 다공성의 필터를 장착하여 여과시켜 준다는 점이 기술적 특징 중 하나이다. 필터에는 곡물가루와 같은 미세입자가 눌러붙어서 막히기 때문에 물청소 또는 에어로 청소를 자주 해주어야 하므로 금속 재질의 필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공모터(21)는 저장용기 내부체(20)의 바닥면 하부에 장착되며, 진공을 발생시켜 저장공간 내의 공기를 석션부(26)를 통해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공기배출구(21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기판(22)은 저장용기 내부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 회로가 실장되어 있으며, 저장용기 내부체(20)의 바닥면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진공센서(23)는 기판(22)에 장착되어 있는데, 진공센서(23)는 저장용기 내의 진공도를 감지한 정보를 제어부에 제공하여 진공모터(21)의 작동 여부를 지시하여 저장용기 내부가 항상 일정 수준의 진공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진공호스(24)는 호스의 선단(先端)이 저장용기 내부체(20)에 형성된 석션부(26)와 연결되어 진공모터(21) 및 진공센서(23)에 연결되도록 설치되는데, 진공호스(24)를 통해 저장용기 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모터(21)에 구비된 공기배출구(211)를 통해 배출시킨다. 한편, 저장용기 내부체(20)의 외측면에는 돌기(201)를 형성하여 저장용기 내부체(20)의 외측면과 저장용기의 외부체(10)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진공호스(24)를 설치할 때 호스가 이동하지 않고 배치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용기 외부체(10)는 저장용기 내부체(20)의 외부에 결합 고정되어 저장용기 외부체(10)의 내부에 저장용기 내부체(20)를 수용하게 되고, 상단부분 외측에는 저장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11)이 힌지연결부(1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다. 저장용기 외부체(10)의 재질은 불투명한 재질로 만들어지는데, 저장용기 외부체(10)의 측면 일정 부분에는 투명한 재질로 된 투시창(101)을 설치하여, 저장공간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램프(12)는 뚜껑(11)을 열고 닫을 때 손잡이 역할을 하는 구성으로, 저장용기 외부체(10)와 뚜껑(11)을 결합시키고 있는 힌지결합부(13)의 대향(對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데, 일단(一端)이 힌지 결합되어 있어서 뚜껑(11)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뚜껑(11)과 저장용기 외부체(10)를 결합 또는 분리시켜 주게 되며, 뚜껑(11)을 닫고 클램프(12)를 밀어주면 저장용기 외부체(10)와 뚜껑(11)이 결합하면서 저장용기를 밀폐시키게 된다.
뚜껑(11)과 저장용기 외부체(10)를 결합시킬 때, 클램프(12)가 닿게 되는 부분의 저장용기 외부체에는 오목한 형상으로 클램프안착부(102)가 형성되어 있는데, 클램프안착부(102)에는 저장용기 내부의 진공상태 및 진공모터(21)의 작동 여부를 현시해 주는 LED(103)와, 진공모터(21)를 작동시키는 진공스위치(104)와, 클램프(12)와 체결되는 체결턱부(10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클램프(12)의 내측면(결합시 저장용기 외부체의 외측면과 닿게 되는 면을 말한다)에는, 저장용기 외부체의 클램프안착부(102)에 형성된 체결턱부(105)와 결합하게 되는 체결돌기(121)와, 진공스위치(104)를 눌러주는 스위치누름돌기(122)가 구비되어 있다. 체결턱부(105)와 체결돌기(121)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원터치 방식으로 한번 밀어주면 결합되고, 저장용기 내부가 진공이 해제된 상태에서 클램프(12)의 끝부분을 잡아당기면 체결턱부(105)와 체결돌기(121)가 서로 분리되면서 뚜껑(11)을 열 수 있게 된다.
뚜껑(11)을 닫고 클램프(12)를 밀어주면, 체결턱부(105)와 체결돌기(121)가 서로 결합되면서 클램프에 형성된 스위치누름돌기(122)가 저장용기 외부체의 클램프안착부(102)에 설치된 진공스위치(104)를 눌러서 진공모터(21)가 작동되게 된다. 진공모터(21)가 작동하고 있는 동안에는 LED(103)가 발하는 빛이 깜빡거리면서 점멸하게 되고, 저장용기 내부가 일정 수준의 진공생태에 도달하여 진공모터(21)가 작동을 멈추고 있는 동안에는 LED(103)가 점등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저장용기 내부의 진공이 설정된 수준 이하인 것을 진공센서(23)가 감지하면 진공모터(21)가 작동하도록 제어되면서 LED(103)가 점멸하게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LED(103)는 클램프안착부(102)에 배치하지 않고, 저장용기 외부체(10)의 외주면에 배치하여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저장용기 내부는 진공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진공상태를 해제시키지 않으면 뚜껑(11)이 열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뚜껑(11)에는 저장용기 내부의 진공상태를 해제시키는 진공해제밸브(14)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진공해제밸브(14)는 고무 재질로 제작되어 뚜껑(11)의 중앙부분에 설치되어 있는데, 저장용기 내부에 일방향으로만 공기를 주입해 주는 일종의 체크밸브이다. 뚜껑(11)을 개방시키고자 할 때는 사용자가 손으로 진공해제밸브(14)를 일측으로 밀어서 저장용기 내의 진공을 해제시켜 뚜껑(11)을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뚜껑(11)을 닫았을 때 저장용기의 밀폐를 위해 저장용기 내부체(20)의 상단에 장착된 제1패킹(25)과 접하게 되는 뚜껑(11)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제2패킹(111)이 장착되어 있다. 제2패킹(111)은 일정 폭을 갖는 제1패킹(25)과 접촉하여 밀착되는 블레이드(blade)부가 구비되어 있는데, 제2패킹(111)의 블레이드부에서 수직으로 돌출된 부분이 뚜껑(11)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블레이드부는 제1패킹(25)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고 뚜껑(11)의 가장자리에 접하여 설치되게 되고, 일정 폭을 갖는 블레이드부의 표면이 제1패킹(25)과 접촉하여 밀착되므로 접촉면적이 넓어서 저장용기의 밀폐효과가 크다. 이와 같이 패킹이 블레이드부를 구비하여 일정 폭으로 형성되어 패킹끼리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여 저장용기의 밀폐효과를 크게 한다는 것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중 하나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저장용기 외부체 101 : 투시창
102 : 클램프안착부 103 : LED
104 : 진공스위치 105 : 체결턱부
11 : 뚜껑 111 : 제2패킹
12 : 클램프 121 : 체결돌기
122 : 스위치누름돌기 13 : 힌지연결부
14 : 진공해제밸브
20 : 저장용기 내부체 21 : 진공모터
211 : 공기배출구 22 : 기판
23 : 진공센서 24 : 진공호스
25 : 제1패킹 26 : 석션부

Claims (7)

  1. 저장공간의 상부가 개방된 형상이고, 상단은 원주를 따라 일정 폭을 갖으면서 제1패킹이 장착되어 있으며, 측벽의 상단부분에는 저장공간 내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석션부가 설치된 저장용기 내부체;
    상기 저장용기 내부체의 외부에 결합 고정되어 저장용기 내부체를 수용하게 되고, 상단부분 외측에는 저장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이 힌지연결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 저장용기 외부체;
    상기 저장용기 외부체와 뚜껑을 결합시키고 있는 힌지결합부의 대향(對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뚜껑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뚜껑과 저장용기 외부체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게 되는 클램프;
    상기 저장용기 내부체의 바닥면 하부에 장착되며, 진공을 발생시켜 저장공간 내의 공기를 저장용기 내부체에 형성된 석션부를 통해 흡입하여 공기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진공모터;
    상기 저장용기 내부체의 바닥면 하부에 장착되고, 저장공간 내의 진공도 유지를 위한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 회로가 실장된 기판;
    상기 뚜껑에 설치되어, 뚜껑을 열고자 할 때 작동시켜 저장용기 내의 진공을 해제시키는 진공해제밸브;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뚜껑을 닫고 클램프를 밀어주면 저장용기 외부체와 뚜껑이 결합하여 밀폐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뚜껑을 닫았을 때, 저장용기 내부체의 상단에 장착된 제1패킹과 접하게 되는 뚜껑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제2패킹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패킹은 제1패킹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된 블레이드(blade)부를 구비하여 제1패킹과 접촉하면서 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쌀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 내부체에 설치된 석션부에는 금속 재질의 필터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쌀통.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 내부체의 재질은 투명한 재질이고,
    상기 저장용기 외부체의 재질은 불투명한 재질이면서, 저장용기 외부체의 측면 일정 부분에는 투명한 재질로 된 투시창을 구비하고 있어서, 저장공간에 저장된 내용물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쌀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과 저장용기 외부체를 결합시킬 때, 클램프가 닿게 되는 부분의 저장용기 외부체에는 오목한 형상으로 클램프안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클램프안착부에는,
    저장용기 내부의 진공상태 및 진공모터의 작동 여부를 현시해 주는 LED;
    상기 진공모터를 작동시키는 진공스위치;
    상기 클램프와 체결되는 체결턱부;
    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클램프의 내측면에는, 저장용기 외부체의 클램프안착부에 형성된 체결턱부와 결합하게 되는 체결돌기와, 상기 진공스위치를 눌러주는 스위치누름돌기가 구비되어 있어서, 클램프를 밀어주면 클램프에 형성된 스위치누름돌기가 저장용기 외부체의 클램프안착부에 설치된 진공스위치를 눌러서 진공모터가 작동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쌀통.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LED는 클램프안착부에 배치되는 대신 저장용기 외부체의 외주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쌀통.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진공센서가 더 장착되어 있고, 진공센서는 저장용기 내의 진공도를 감지한 정보를 제어부에 제공하여 진공모터의 작동 여부를 지시하여 저장용기 내부가 일정 수준의 진공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쌀통.
KR1020190100063A 2019-08-16 2019-08-16 진공쌀통 KR102147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063A KR102147530B1 (ko) 2019-08-16 2019-08-16 진공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063A KR102147530B1 (ko) 2019-08-16 2019-08-16 진공쌀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530B1 true KR102147530B1 (ko) 2020-08-24

Family

ID=72235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063A KR102147530B1 (ko) 2019-08-16 2019-08-16 진공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530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555B1 (ko) 2021-01-21 2021-03-30 ㈜동양이지텍 고성능 전자식 진공쌀통용 스마트 원터치 스위치
KR102235324B1 (ko) 2020-12-11 2021-04-02 ㈜동양이지텍 살균 기능과 전원 사용성 및 청소성이 향상된 진공쌀통
KR102238083B1 (ko) * 2020-11-05 2021-04-08 엠지엠씨(주) 사용편의가 증진된 진공쌀통
KR102242655B1 (ko) 2021-01-21 2021-04-21 ㈜동양이지텍 진공성능이 우수한 진공쌀통용 실리콘 가스켓 실링구조
KR102266599B1 (ko) * 2020-12-21 2021-06-18 에스지하이텍 주식회사 진공 쌀통
KR102288691B1 (ko) * 2020-10-29 2021-08-11 주식회사 더블윈테크놀로지 진공 쌀통
KR102308769B1 (ko) 2020-09-21 2021-10-07 (주)서흥메가텍 진공 저장 장치
KR20220060464A (ko) 2020-02-25 2022-05-11 주식회사 인트로팩 진공용기
KR20220060465A (ko) 2020-11-04 2022-05-11 주식회사 인트로팩 진공용기
KR20220134503A (ko) 2020-11-04 2022-10-05 주식회사 인트로팩 진공용기
KR20220145545A (ko) *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락앤락 진공 보관 장치
KR102465937B1 (ko) 2022-06-15 2022-11-09 안병철 자동배출 진공 쌀통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580Y1 (ko) * 2006-03-02 2006-07-13 미니-돌핀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진공 용기
KR100883776B1 (ko) * 2008-02-22 2009-02-18 배창석 진공쌀통
JP3184783U (ja) * 2012-04-17 2013-07-18 ニンボ ティーエルシー エレクトロニック インダストリ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真空貯米ボックス
CN104555113A (zh) * 2015-01-15 2015-04-29 曾爱华 真空式杀虫米桶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580Y1 (ko) * 2006-03-02 2006-07-13 미니-돌핀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진공 용기
KR100883776B1 (ko) * 2008-02-22 2009-02-18 배창석 진공쌀통
JP3184783U (ja) * 2012-04-17 2013-07-18 ニンボ ティーエルシー エレクトロニック インダストリ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真空貯米ボックス
CN104555113A (zh) * 2015-01-15 2015-04-29 曾爱华 真空式杀虫米桶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0464A (ko) 2020-02-25 2022-05-11 주식회사 인트로팩 진공용기
KR102308769B1 (ko) 2020-09-21 2021-10-07 (주)서흥메가텍 진공 저장 장치
KR102288691B1 (ko) * 2020-10-29 2021-08-11 주식회사 더블윈테크놀로지 진공 쌀통
KR20220134503A (ko) 2020-11-04 2022-10-05 주식회사 인트로팩 진공용기
KR20220060465A (ko) 2020-11-04 2022-05-11 주식회사 인트로팩 진공용기
KR102238083B1 (ko) * 2020-11-05 2021-04-08 엠지엠씨(주) 사용편의가 증진된 진공쌀통
KR102235324B1 (ko) 2020-12-11 2021-04-02 ㈜동양이지텍 살균 기능과 전원 사용성 및 청소성이 향상된 진공쌀통
KR102266599B1 (ko) * 2020-12-21 2021-06-18 에스지하이텍 주식회사 진공 쌀통
KR102242655B1 (ko) 2021-01-21 2021-04-21 ㈜동양이지텍 진공성능이 우수한 진공쌀통용 실리콘 가스켓 실링구조
KR102233555B1 (ko) 2021-01-21 2021-03-30 ㈜동양이지텍 고성능 전자식 진공쌀통용 스마트 원터치 스위치
KR20220145545A (ko) * 2021-04-22 2022-10-31 주식회사 락앤락 진공 보관 장치
KR102490425B1 (ko) * 2021-04-22 2023-01-19 주식회사 락앤락 진공 보관 장치
KR102465937B1 (ko) 2022-06-15 2022-11-09 안병철 자동배출 진공 쌀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530B1 (ko) 진공쌀통
US7931052B2 (en) Vacuum storage container
KR101943098B1 (ko) 진공 믹서기
AU2015210418A1 (en) Bread storage container
CN109068895A (zh) 真空容器、系统和方法
US20070056971A1 (en) Vacuum type food container
KR20220029220A (ko) 장기간 신선하게 저장 가능한 진공쌀통
KR102266599B1 (ko) 진공 쌀통
KR20060116628A (ko) 개폐가 용이한 식품용 밀폐용기
KR101001750B1 (ko) 진공패드가 부착된 진공팩과 진공흡입기를 갖는진공보관장치
KR200438782Y1 (ko) 용기캡의 제습구조
KR101957387B1 (ko) 자동 배기기능을 갖는 진공 저장용기
KR102015281B1 (ko) 휴대용 진공보관용기
US7677165B2 (en) Food storage device
WO2020151526A1 (zh) 一种负压可调的恒压自动真空保鲜罐
US7607642B2 (en) Air discharge valve for a bedclothes compressing-and-storing bag
KR100522934B1 (ko) 이불 압축 보관대의 공기 배출 밸브
CN209038179U (zh) 一种智能真空储存罐
JPH082109Y2 (ja) バルブ付キャップ
TWM572881U (zh) Moisture-proof storage tank
JPH0518012U (ja) 吸湿呼吸器
KR200407648Y1 (ko) 캡의 분리 없이 보관대 내부의 공기흡입이 가능한 이불압축 보관대
CN208007705U (zh) 一种铁皮石斛的防变质保鲜装置
CN217089985U (zh) 一种便于文件保存的多功能档案柜
KR100538520B1 (ko) 진공해제수단을 구비한 진공포장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3127;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01016

Effective date: 2021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