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782Y1 - 용기캡의 제습구조 - Google Patents

용기캡의 제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782Y1
KR200438782Y1 KR2020070004656U KR20070004656U KR200438782Y1 KR 200438782 Y1 KR200438782 Y1 KR 200438782Y1 KR 2020070004656 U KR2020070004656 U KR 2020070004656U KR 20070004656 U KR20070004656 U KR 20070004656U KR 200438782 Y1 KR200438782 Y1 KR 2004387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umidifying
storage member
container cap
contain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6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찬수
Original Assignee
정은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은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은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046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782Y1/ko
Priority to PCT/KR2007/002753 priority patent/WO200811490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7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7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3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for desic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gases, e.g. oxygen absorbers or desicc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습제의 누설을 방지하는 통기성부재가 저장부재의 상부에 형성되어 제습제가 내용물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제습부가 용기캡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므로 원활한 제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습부의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용기캡의 제습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하여, 용기의 내부에 결합되어 긴밀을 유지하도록 결합리브가 돌설된 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리브의 내측면 상부에 제습부를 지지하도록 환형으로 돌출된 지지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내측 상면에 제습제를 일정간격 이격시켜 공기의 소통이 원활하도록 방사상으로 안내돌기가 구비되는 용기캡과; 상기 용기캡 내부에 결합되어 다량의 제습제가 저장되도록 저장공간이 형성된 저장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저장부재의 외측면 단부에 공기유입이 원활하도록 공기유입면이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재의 상면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통기성부재가 접착된 제습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용기캡의 제습구조{remove moisture structure of vessel cap}
도 1은 종래 고안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나사식 용기캡에 제습부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장부재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장부재의 평면도
본 고안은 제습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캡의 내측 상부에 공기소통이 원활하도록 제습부가 결합되어 제습제가 누출되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제습작용을 하는 용기캡의 제습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습제는 작은 알갱이 형태의 실리카 겔(Silica gel)이 사용된다. 이러한 제습제는 내용물이 습기에 의해 변질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용물의 종류나 포장형태에 따라 섬유재질의 다공성 패키지나 종이봉지 또는 플라스틱 용기 내에 담겨져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상기 제습제를 제습제용기에 별도로 저장한 후 용기캡의 내측 상부에 결합하여 사용된다.
상기 제습제용기(1)는, 일방으로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며 방개 단부(11)를 통해 그 내부로 알갱이 형태의 제습제(S)가 수용되는 용기 몸체(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0)의 개방 단부에 결합되어 제습제(S)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유입공(21)이 형성된 제1안전판(20)이 구비되며, 상기 제1안전판(20)에 밀착되어 공기가 순환되도록 종이재질의 제2안전판(30)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제습제용기(1)는, 용기캡(2)의 내부에 제2안전판(30)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결합부(3)에 결합하여 용기(4) 내부에 잔존하는 습기를 인습하여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습제용기는, 장기간 사용시 수분 및 공기의 접촉에 의해 분말화된 제습제가 용기에 저장된 식품이나 약품에 혼입되어 내용물의 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제습제용기의 부피가 커서 원터치방식의 용기캡에서는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가 상승하여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제습제의 누설을 방지하는 통기성부재가 저장부재의 상부에 형성되어 제습제가 내용물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제습부가 용기캡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므로 원활한 제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습부의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어 경제적인 용기캡의 제습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용기의 내부에 결합되어 긴밀을 유지하도록 결합리브가 돌설된 본체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리브의 내측면 상부에 제습부를 지지하도록 환형으로 돌출된 지지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의 내측 상면에 제습제를 일정간격 이격시켜 공기의 소통이 원활하도록 방사상으로 안내돌기가 구비되는 용기캡과;
상기 용기캡 내부에 결합되어 다량의 제습제가 저장되도록 저장공간이 형성된 저장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저장부재의 외측면 단부에 공기유입이 원활하도록 공기유입면이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재의 상면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통기성부재가 접착된 제습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용기(10)의 내부에 결합되어 긴밀을 유지하도록 결합리브(111)가 돌설된 본체(110)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리브(111)의 내측면 상부에 제습부(200)를 지지하도록 환형으로 돌출된 지지돌기(112)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110)의 내측 상면에 제습제(200)를 일정간격 이격시켜 공기의 소통이 원활하도록 방사상으로 안내돌기(113)가 구비되는 용기캡(100)가 구성되고, 상기 용기캡(100) 내부에 결합되어 다량의 제습제(S)가 저장되도록 저장공간(211)이 형성된 저장부재(210)가 구비되고, 상기 저장부재(210)의 외측면 단부에 공기유입이 원활하도록 공기유입면(212)이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재(210)의 상면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통기성부재(213)가 접착된 제습부(200)가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저장부재(210)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공기안내돌기(2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장부재(210)는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다음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재(210)의 저장공간(211)에 다량의 제습제(S)를 저장한 후, 저장부재(210)의 상면을 미세한 공기구멍이 형성된 통기성 부재(213)로 접착하여 제습부(200)를 구성한다.
상기 제습부(200)를 원터치방식으로 개폐하는 용기캡(100)의 하단부에 위치시킨 후, 저장부재(210)의 외주면이 용기캡(100)의 결합리브(111)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저장부재(210)의 단부는 환형으로 돌출된 지지돌기(112)의 상부에 끼워지게 되고, 상기 저장부재(210)의 상면에 형성된 통기성부재(213)는 용기캡(100)의 내측 상부에 돌출된 안내돌기(113)에 밀착되면서 용기캡(100)의 상면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습부(200)가 결합된 용기캡(100)을 용기(4)의 취수부에 끼우게 되면 용기캡(100)의 결합리브(111)가 용기(4)의 내주면으로 밀착되어 긴밀을 유지하면서 결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용기(4)의 내부에 잔존하는 습기는 저장부재(210)의 공기유입면(212)과 결합리브(111)의 내주면의 공간을 통해 상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습기는 통기성부재(213)와 안내돌기(113)의 이격된 공간으로 유입되면서 제습제(S)가 습기를 인습하여 내용물의 변질이나 부패를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장부재(210)는 제습제(S)를 저장하는 저장공간(211)이 상부로 개구되어 있어 장기간 사용시 분말화 되는 특성을 가지는 제습제(S)가 내용물에 혼입되지 않으면서 안전하게 습기를 제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 제습부(200)는, 원터치방식의 용기캡(100) 뿐만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에 의한 회전식으로 개폐하는 용기캡(100)에도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재(210)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공기안내부재(214)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용기캡(100)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원활한 제습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습부(200)의 저장부재(210)를 다각형으로 형성하여 용기캡(100)의 내측에 결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통기성부재가 용기캡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어 제습제가 용기 내부에 저장된 식품이나 약품에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제습부가 용기캡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므로 공기소통이 원활하여 안정적인 제습효과를 발휘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제습제가 저장된 제습부의 부피가 작아 용기캡의 원활한 개폐가 가능 할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가 절감되어 경제적인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용기(10)의 내부에 결합되어 긴밀을 유지하도록 결합리브(111)가 돌설된 본체(110)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리브(111)의 내측면 상부에 제습부(200)를 지지하도록 환형으로 돌출된 지지돌기(112)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110)의 내측 상면에 제습제(200)를 일정간격 이격시켜 공기의 소통이 원활하도록 방사상으로 안내돌기(113)가 구비되는 용기캡(100)과;
    상기 용기캡(100) 내부에 결합되어 다량의 제습제(S)가 저장되도록 저장공간(211)이 형성된 저장부재(210)가 구비되고, 상기 저장부재(210)의 외측면 단부에 공기유입이 원활하도록 공기유입면(212)이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재(210)의 상면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통기성부재(213)가 접착된 제습부(2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캡의 제습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재(210)의 상면에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공기안내돌기(2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캡의 제습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재(210)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캡의 제습구조.
KR2020070004656U 2007-03-21 2007-03-21 용기캡의 제습구조 KR2004387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656U KR200438782Y1 (ko) 2007-03-21 2007-03-21 용기캡의 제습구조
PCT/KR2007/002753 WO2008114905A1 (en) 2007-03-21 2007-06-07 Dehumidifying structure for container ca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656U KR200438782Y1 (ko) 2007-03-21 2007-03-21 용기캡의 제습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782Y1 true KR200438782Y1 (ko) 2008-03-06

Family

ID=39766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656U KR200438782Y1 (ko) 2007-03-21 2007-03-21 용기캡의 제습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38782Y1 (ko)
WO (1) WO20081149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98150B2 (ja) * 2013-05-08 2018-10-03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容器および蓋体
FR3049590A1 (fr) * 2016-03-29 2017-10-06 Soc Defi Int Distributeur a tirette pour gelules ou comprimes
CN107554955A (zh) * 2017-09-28 2018-01-09 曼盛包装(上海)有限公司 一种用在乳制品容器的内置辅料胶囊的塑料罩盖
US11447313B2 (en) 2020-12-01 2022-09-20 Desiccare, Inc. Humidity control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8162Y1 (ko) * 2003-08-27 2004-05-03 코아텍주식회사 건식제습제, 이산화탄소 제거제 및 유해가스 제거제를 내장한 기능성 병마개
KR200413424Y1 (ko) * 2006-01-25 2006-04-07 윤성중 제습 장치
KR200434398Y1 (ko) * 2006-09-22 2006-12-20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건조제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14905A1 (en) 200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05348B2 (en) Segmented portable humidity control device for an enclosed volume storage device
JP5307916B2 (ja) 空気吸入により可逆的に変形可能な滴下式に分配される液体の包装容器
TWI441625B (zh) 具有濾器之吐出容器
KR200438782Y1 (ko) 용기캡의 제습구조
KR101399411B1 (ko) 포장용기의 가스 배출 장치
JP2011240991A (ja) 瓶の栓
JP2007050242A (ja) パウダー吐出用化粧品ケース
EA029811B1 (ru) Освежитель воздуха
JP2014218272A (ja) 包装容器
CN210213450U (zh) 一种新型防潮密封罐
JP5153287B2 (ja) 倒立容器用キャップ
KR101777235B1 (ko) 누수 방지 가습장치
US7748562B2 (en) Container device for an environmental humidity absorber with an anti-spill system
CN208731676U (zh) 一种防潮茶叶包装盒
KR101912019B1 (ko) 산소 또는 습기 제거 모듈을 구비한 용기
KR200490711Y1 (ko) 제습제 보관 용기
KR200434398Y1 (ko) 건조제 용기
KR200491602Y1 (ko) 발효식품 보관 용기
KR102012345B1 (ko) 제습 용기
KR101465449B1 (ko) 습도 표시 기능을 갖는 용기 뚜껑
KR200447604Y1 (ko) 방습제가 내재된 밀폐부재를 갖는 마개
KR20090009847U (ko) 용기 마개의 제습 구조
KR102372354B1 (ko)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 및 그 마개
JP2800680B2 (ja) 除湿容器
CN218086978U (zh) 一种助听器用螺接干燥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