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4398Y1 - 건조제 용기 - Google Patents

건조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4398Y1
KR200434398Y1 KR2020060025521U KR20060025521U KR200434398Y1 KR 200434398 Y1 KR200434398 Y1 KR 200434398Y1 KR 2020060025521 U KR2020060025521 U KR 2020060025521U KR 20060025521 U KR20060025521 U KR 20060025521U KR 200434398 Y1 KR200434398 Y1 KR 2004343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esiccant
safety plate
package
open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55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권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600255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43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43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43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3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for desic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gases, e.g. oxygen absorbers or desicc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장물의 제습(除濕)을 위해 용기 뚜껑의 내부에 장착 사용되는 건조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많은 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액상 포장물에 대한 제습도 가능하도록 한 건조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하여, 뚜껑 용기(2)의 결합부(3)에 결합 사용 되어지는 건조제 용기(1)에 있어서, 일방으로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며, 개방 단부(11)를 통해 그 내부로 알갱이 형태의 건조제(12)가 수용되는 용기 몸체(10)와; 상기 용기 몸체(10)의 개방 단부(11)를 폐쇄하여 상기 건조제(12)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종이 재질의 제1안전판(20)과; 상기 제1안전판(20)을 보호하기 위해 이의 외 측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용기 몸체(10)의 개방 단부(11)와 일체로 열 융착되어 지고, 또 인습(引濕)을 위한 미세한 구멍들(32)이 무수히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의 제2안전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실리카 겔, 건조, 액상 포장물, 제습, 인습

Description

건조제 용기{Drying agent contain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부 절단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구멍의 다른 구성 형태를 보인 발췌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건조제 용기 2: 용기 뚜껑
3: 결합부 4: 포장 용기
10: 용기 몸체 11: 개방 단부
12: 건조제 20: 제1 안전판
30: 제2안전판 32: 미세한 구멍들
33: 습기 유입구 쪽
본 고안은 포장물의 제습(除濕)을 위해 용기 뚜껑의 내부에 장착 사용되는 건조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분(물기) 함량이 많은 액상 포장물의 제습도 가능하도록 한 건조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제로서 작은 알갱이 형태의 실리카 겔(silica gel)이 사용된다, 이러한 건조제는 각종 포장물이 습기에 의해 변질되거나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포장물의 종류나 포장 형태에 따라 섬유재질의 다공성 패키지나 종이봉지, 또는 플라스틱 용기 내에 담겨져 주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주지하다시피 다공성 패키지나 종이봉지는 재질 자체가 습기나 물기 등에 약하기 때문에 사용도중 파손으로 인한 건조제의 누설 우려와 더불어 훼손으로 인한 포장물의 확실한 제습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또한, 포장물과 함께 포장되기 때문에 포장물의 사용시 일일이 건조제 용기를 함께 꺼내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초래되었던 것이다. 특히 상기한 불편함은 일회용에 비하여 포장물을 재차 보관한 후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에 더 번거롭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근자에는 의약품 등과 같이 포장물을 여러 번에 걸쳐 사용하는 경우에 적합하도록 용기 뚜껑의 내부에 장착 사용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건조제 용기가 여러 가지 사용상의 이점에 의해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종래 알려진 플라스틱 재질의 건조제 용기로서는, 대표적으로, 본원 출원의 고안자에 의해 개발되어 실용신안등록 제219248호로 등록된 “건조제 용기”가 있고, 또 국내 실용신안공개 제98-26833호의 “건조제용 포장 갑”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플라스틱 재질의 건조제 용기는 용기 내에 담겨진 건조제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종이재질의 다공 판이 그릴 형태의 보호판에 의해 보호되고 있거나, 또는 단순히 종이재질의 다공 판으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건조 상태의 포장물과 같이 비교적 수분(물기)이 거의 없거나 매우 적은 포장물의 경우에는 제습에 큰 문제가 없지만, 액상의 포장물과 같이 수분의 함량이 많은 포장물의 경우에는 다공 판의 재질 특성상 제습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예컨대, 물기가 많은 액상의 포장물인 경우, 종래 제시된 건조제 용기를 이용하는 경우에, 건조제의 외부 누설을 막고 있는 종이재질의 다공 판이 설령 그릴 형태의 보호판에 의해 보호되고 있다고 하더라도 종이재질의 다공 판에 대한 수분의 직 간접 접촉 및 침투가 용이하여 수분에 의해 다공 판의 파손 또는 훼손 우려가 매우 높고, 또 이러한 문제로 인해 건조제의 누설을 피할 수 없다는 제습 불안전성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 알려진 구조의 건조제 용기로는 그 포장물의 종류에 따른 제습에 일정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예컨대, 수분 함량이 미미한 건조 한 포장물의 제습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어 질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 건조제 용기의 제습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수분 함량이 미미한 건조 상태의 포장물은 물론 수분 함량이 많은 액상 포장물의 제습에 사용하더라도 제습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건조제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건조제 용기에 따르면, 뚜껑 용기의 결합부에 결합 사용되어지는 건조제 용기에 있어서, 일방으로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며, 개방 단부를 통해 그 내부로 알갱이 형태의 건조제가 수용되는 용기 몸체와, 상기 용기 몸체의 개방 단부를 폐쇄하여 상기 건조제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종이 재질의 제1안전판과, 상기 제1안전판을 보호하기 위해 이의 외 측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용기 몸체의 개방 단부에 일체로 열 융착되어 지고, 또 인습을 위한 미세한 구멍들이 무수히 형성된 프라스틱 재질의 제2안전판을 포함한 구성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2안전판에 형성되는 미세한 구멍들은 약 0.5~1㎜ 범위 내의 크기를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제2안전판에 형성되는 미세한 구멍들은 습기 유입구 쪽(33)이 좁아지도록 콘 형태로 형성되어 짐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건조제 용기(1)의 구성을 보인 일부 절단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이의 조립 측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건조제 용기(1)에 대하여 설명하면, 건조제 용기(1)는, 일방으로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며, 개방 단부(11)를 통해 그 내부로 알갱이 형태의 건조제(12)가 수용되는 용기 몸체(10)와; 상기 용기 몸체(10)의 개방 단부(11)를 폐쇄하여 상기 건조제(12)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종이 재질의 제1안전판(20)과; 상기 제1안전판(20)을 보호하기 위해 이의 외 측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용기 몸체(10)의 개방 단부(11)와 일체로 열 융착되어 지고, 또 인습(引濕)을 위한 미세한 구멍들(32)이 무수히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의 제2안전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건조제(12)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종지 재질의 제1안전판(20)은, 재질 특성상 습기의 맺힘이 방지되면서도 습기의 통과는 용이하여 양호한 제습 효과의 발휘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제1안전판(20)은 박막(薄膜)의 종이 보다는 어느 정도의 강도 유지가 가능하도록 후지(厚紙)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안전판(30)에 형성된 미세한 구멍들(32)은 습기 유입구 (33)쪽의 직경이 약 0.5~1㎜ 범위 내의 크기를 갖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미세한 구멍들(32)의 크기를 특별히 제한하는 이유는, 건조제(12)에 의한 제습시 습기의 인습은 허용하면서도 물기의 침투는 최대한 억제하여 수분의 유입으로 인한 제1안전판(20)의 파손이나 훼손을 방지하여 건조제(12)의 누설을 막음과 동시에 제습 효과의 발휘에는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안전판(30)에 형성되는 미세한 구멍들(32)은 습기 유입구(33) 쪽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질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인습은 도모하면서도 수분의 침투는 방지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제2안전판(30)은 플라스틱 재질 이외의 다른 경질 소재의 사용도 가능할 것이나, 용기 몸체(10)와 동일한 재질의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제2안전판(30)이 용기 몸체(10)의 개방 단부(11)에 대해 열 융착 방식으로 결합되어 지기 때문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 몸체(10)의 개방 단부(11)로는 받침 턱(13)을 형성하고, 이 받침 턱(13)에 대해 제1안전판(20)이 안정되게 받침되도록 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용기 몸체(10)의 개방 단부(11) 타 측 외주 면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기 뚜껑(40)의 결합부(42)에 탈착되는 돌출 환턱(14)이 더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 환턱(14)으로는 탈착시 내부 진공을 해소하기 위한 공기 소통용 요홈들(15)이 적정 요소에 형성되어져 있다.
따라서, 건조제 용기(1)는 돌출 환턱(14)으로 형성된 공기 소통용 요홈들(15)에 의해 용기 뚜껑(2)의 결합부(3)에 대한 분리 및 결합시, 결합부(30 내에 존재하는 공기는 화살표 방향(A)으로 소통됨에 따라 내부 진공이 해제되어 용이한 탈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용기 몸체(10)의 내부로는 종이재질의 제1안전판(20)이 내측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안전판(20)의 중앙부가 내부로 밀리거나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받침 봉(16)이 더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받침 봉(16)은 도면상 하나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하나 이상이 적정한 위치에 형성되어 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용기 몸체(10) 내부에 수용된 건조제(12)는 개방 단부(11)로 적층 결합된 제1 및 제2안전판(20)(30)에 의해 안전하게 보호되고 있어, 이들을 강제로 훼손시키지 않는 이상 건조제(13)의 외부 누설은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건조제 용기(1)를 용기 뚜껑(2)에 형성된 결합부(3)에 대해 돌출 환턱(14) 부분을 상기 결합부(3) 쪽으로 밀어 끼워 조립한다. 결합부(3)에 끼워지는 건조제 용기(1)는 돌출 환턱(14)으로 형성된 공기 소통용 요홈들(15)을 통해 공기의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합이 용이하고, 또 그 결합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용기 뚜껑(2)에 대해 건조제 용기(1)가 상호 결합되어지면, 건조제 용기(1)의 개방 단부(11) 쪽이, 예컨대 제습이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안전판(20)(30)의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게 위치되어 진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건조제 용기(1)가 일체로 결합된 용기 뚜껑(2)을 공지의 포장용기(4)에 결합함으로써 포장물에 대한 제습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포장용기(4)에 포장되는 포장물의 취급이나 보관 과정에서 발생되는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여 포장물의 변질이나 부패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포장용기(4) 내부에 발생되는 습기는 건조제 용기(1)의 제2안전판(30)의 각 미세한 구멍들(32)을 통해 용기 몸체(10)의 내부로 유입되어지고, 또 이렇게 유입된 습기는 그 내측으로 위치된 종이 재질의 제1안전판(20)을 통과하게 되고, 그 내부에 안전하게 보호되고 있는 건조제(12)에 의해 습기가 제거되어져 항상 포장물은 신선한 상태로 유지 보관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르면, 제2안전판(30)이 플라스틱 재질이고, 또 판으로는 미세한 구멍들(32)이 다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건조 상태의 포장물은 물론 액상의 포장물을 제습하는 경우에도 안정된 제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액상의 포장물인 경우 유통 과정이나, 또는 가루 약제에 물을 타서 흔들 어 복용하는 경우에도 수분이 상기 제2안전판(30)의 미세한 구멍들(32)을 통해 그 내 측으로 위치된 종이 재질의 제1안전판(20)으로 유입되거나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포장용기(4)의 취급 과정에서 제1안전판(20)이 수분에 의해 파손되거나 변질되는 것이 방지되어 용기 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건조재(12)의 누설을 방지하면서도 안정된 제습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건조제 용기(1)는, 가루약에 물을 타서 장시간 반복적으로 복용해야 하는 포장 용기의 제습에 유용하다 할 것이다.
참고적으로, 본 고안에 있어서, 건조제 용기(1)가 결합 사용되는 용기 뚜껑(2)이나 포장 용기(4)는 형태나 소재의 제한 없이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 몸체에 수용되는 건조제를 종이재질의 제1안전판과 플라스틱 재질의 제2안전판으로 적층 폐쇄하고, 또 제2안전판으로는 습기의 유입은 가능하지만 물기의 침투는 방지되는 정도의 미세한 크기의 구멍들을 고루형성 함으로서, 건조 상태의 포장물 제습은 물론 수분의 함량이 많은 액상의 포장물의 제습에 사용하더라도 수분에 의한 종이재질의 제1안전판의 파손이나 훼손이 방지되어 건조재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면서도 안정된 제습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설계 변경이 있을 수 있고, 이러한 수정 이나 변경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3)

  1. 뚜껑 용기(2)의 결합부(3)에 결합 사용 되어지는 건조제 용기(1)에 있어서, 일방으로 개방된 통 형상을 가지며, 개방 단부(11)를 통해 그 내부로 알갱이 형태의 건조제(12)가 수용되는 용기 몸체(10)와;
    상기 용기 몸체(10)의 개방 단부(11)를 폐쇄하여 상기 건조제(12)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종이 재질의 제1안전판(20)과;
    상기 제1안전판(20)을 보호하기 위해 이의 외 측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용기 몸체(10)의 개방 단부(11)와 일체로 열 융착되어 지고, 또 인습(引濕)을 위한 미세한 구멍들(32)이 무수히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의 제2안전판(3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제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전판에 형성되는 미세한 구멍들(32)은 습기 유입구(33) 쪽의 직경이 약 0.5~1㎜ 정도의 크기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제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전판(30)에 형성되는 미세한 구멍들(32)은 습기 유입구(33) 쪽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제 용기.
KR2020060025521U 2006-09-22 2006-09-22 건조제 용기 KR2004343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521U KR200434398Y1 (ko) 2006-09-22 2006-09-22 건조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5521U KR200434398Y1 (ko) 2006-09-22 2006-09-22 건조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4398Y1 true KR200434398Y1 (ko) 2006-12-20

Family

ID=41782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5521U KR200434398Y1 (ko) 2006-09-22 2006-09-22 건조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439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4905A1 (en) * 2007-03-21 2008-09-25 Jungeun Tech Co., Ltd Dehumidifying structure for container cap
KR20190143207A (ko) 2018-06-20 2019-12-30 김삼현 건조제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14905A1 (en) * 2007-03-21 2008-09-25 Jungeun Tech Co., Ltd Dehumidifying structure for container cap
KR20190143207A (ko) 2018-06-20 2019-12-30 김삼현 건조제 용기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6807B2 (en) Desiccant bottle cap
US2994404A (en) Moisture absorbing device
TW201119918A (en) Desiccating container
US9428317B2 (en) Package for a product with at least one hygroscopic pourable solid
KR200434398Y1 (ko) 건조제 용기
EP2307282A1 (en) Closure cap for a container
EP1638856A1 (en) Flip top container with built in desiccant
KR200438782Y1 (ko) 용기캡의 제습구조
JP2010173674A (ja) 板状製品収容容器
JP2005029168A (ja) 靴収納ケース
TW201420458A (zh) 用於包含至少一種吸溼性可流動固體之產物的包裝
CA3025161A1 (en) Cap insert with internal compartment
KR200383738Y1 (ko) 가루녹차용기
KR19980049963U (ko) 제습용 밀폐용기
US20060000831A1 (en) Self-closing packaging for moisture-sensitive material
JP2000255643A (ja) 梱包装置
CN218086978U (zh) 一种助听器用螺接干燥盒
KR20210077274A (ko)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 및 그 마개
CN218023128U (zh) 一种防潮粉末药瓶
CN220501547U (zh) 一种具有内腔的除湿袋
JP2583297Y2 (ja) 加熱蒸散体
CN218704586U (zh) 一种具有保鲜结构的食品包装盒
KR101967265B1 (ko) 제습제 용기
KR102012345B1 (ko) 제습 용기
CN210175532U (zh) 一种防尘透气的吸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