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7274A -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 및 그 마개 - Google Patents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 및 그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7274A
KR20210077274A KR1020190168730A KR20190168730A KR20210077274A KR 20210077274 A KR20210077274 A KR 20210077274A KR 1020190168730 A KR1020190168730 A KR 1020190168730A KR 20190168730 A KR20190168730 A KR 20190168730A KR 20210077274 A KR20210077274 A KR 20210077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ccant
stopper
accommodating part
opene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2354B1 (ko
Inventor
김칠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와이솔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와이솔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와이솔브
Priority to KR1020190168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354B1/ko
Publication of KR20210077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rying Of Gas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며 일 측이 개구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된 일 측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본체 마개; 상기 본체 마개의 내부 면 상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저장 공간 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제습제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일 측이 개구되는 제습제 수용부; 및 상기 제습제 수용부의 상기 개구된 일 측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되,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용부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습제 수용부를 밀폐시키는 수용부 마개를 제습제 수용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시킴으로써, 제습 용기 폐기 시 용기와 제습제를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 및 그 마개{DEHUMIDIFICATION CONTAINER FOR SEPARATE DISCHARGE AND CAP THEREOF}
본 발명은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 및 그 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습제 수용부를 밀폐시키는 수용부 마개를 제습제 수용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시킴으로써, 제습 용기 폐기 시 용기와 제습제를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 및 그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념, 조미된 양념, 조미료, 건조 음식물, 스낵 등과 같은 각종 식료품 또는 습기에 민감함 의약품들은 사용, 보관, 취급상에 편의성을 위해 보관 용기 내에 투입하여 보관하게 된다.
보관 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와 이 용기의 입구 부분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마개로 구성되며, 용기의 내부에는 내용물의 변질 등을 방지하기 위해 제습제가 수용되어 있다.
제습제는 실리카 겔(Silica gel)과 같은 작은 알갱이 형태의 제습 물질이 별도의 제습제 포 내에 투입된 형태로서, 내용물의 종류나 포장형태에 따라 섬유재질의 다공성 패키지나 종이봉지 또는 플라스틱 용기 내에 담겨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제습제가 용기 내부에 투입되면 배출구 부분을 차단하게 되어 내용물의 배출이 어려우므로 사용자가 이를 제거한 후 내용물을 배출하고 다시 제습제를 투입하여야 하는 사용상에 불편함이 발생한다.
근래에는 보관 용기의 마개에 제습제 수용부를 형성시키고 상기 제습제 수용부에 제습제를 수용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보관 용기는 마개와 제습제 수용부가 일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보관 용기 폐기 시 마개와 제습제를 별도로 분리하여 배출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습제 수용부를 밀폐시키는 수용부 마개를 제습제 수용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시킴으로써, 제습 용기 폐기 시 용기와 제습제를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 및 그 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는,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며 일 측이 개구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된 일 측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본체 마개; 상기 본체 마개의 내부 면 상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저장 공간 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제습제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일 측이 개구되는 제습제 수용부; 및 상기 제습제 수용부의 상기 개구된 일 측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되,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용부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 마개는 상기 제습제 수용부의 상기 개구된 일 측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된 일 측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며, 복 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폐쇄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며 일 측이 개구되는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된 일 측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본체 마개인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 마개는, 상기 본체 마개의 내부 면 상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저장 공간 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제습제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일 측이 개구되는 제습제 수용부; 및 상기 제습제 수용부의 상기 개구된 일 측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되,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용부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 마개는 상기 제습제 수용부의 상기 개구된 일 측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된 일 측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며, 복 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폐쇄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 마개는 상기 폐쇄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습제 수용부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결합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와 상기 제습제 수용부의 측면을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탈착 결합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착 결합 수단은, 상기 제습제 수용부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 홈; 및 상기 수용부 마개의 결합부 내측 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결합 홈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 홈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 마개는 상기 폐쇄 플레이트의 일부가 상기 결합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습제 수용부의 상기 개구된 일 측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통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 부재는 상기 제습제 수용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공기 투과성이 있어 외부의 습기를 통과시키는 흡습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 부재는 상기 제습제 수용부의 상기 개구된 일 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며, 중심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결합 프레임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 마개의 내측 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흡습지가 상기 제습제 수용부의 상기 개구된 일 측에 밀착되도록 상기 흡습지와 접촉되는 흡습지 밀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습지 밀착 부재는 상기 수용부 마개의 내측 면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습제 수용부의 내부 면에서 상기 개구된 일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흡습지를 지지하도록 상기 흡습지와 접촉되는 흡습지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습지 지지 부재는 상기 제습제 수용부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제습제 수용부를 밀폐시키는 수용부 마개를 제습제 수용부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시킴으로써, 제습 용기 폐기 시 용기와 제습제를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의 본체 마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의 본체 마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의 수용부 마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의 통기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 및 그 마개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는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며 일 측이 개구되는 용기 본체(100),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된 일 측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본체 마개(200), 본체 마개(200)의 내부 면 상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용기 본체(100)의 저장 공간 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제습제(310)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일 측이 개구되는 제습제 수용부(300), 및 제습제 수용부(300)의 상기 개구된 일 측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되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용부 마개(40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본체(100)는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저장 공간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상부가 개구된 원통 형태의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용기 본체(100)의 개구된 상부 측 외측 면에는 본체 마개(200)와 결합되기 위한 제1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용기 본체(100)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에 저장되는 저장물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체 마개(200)는 용기 본체(100)의 상기 개구된 일 측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부재로서, 내부에 본체 마개(200)의 상기 개구된 일 측이 인입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 마개(200)의 상기 공간 내측 면에는 용기 본체(100)의 상기 제1 나사산에 대응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제1 및 제2 나사산의 상호 결합에 의해 용기 본체(100)와 본체 마개(200)가 결합되고, 이에 의해 용기 본체(100)의 상기 개구된 일 측이 밀폐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체 마개는 제습 용기 마개로 지칭되기도 한다.
제습제 수용부(300)는 본체 마개(200)의 상기 공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본체 마개(200)의 내부 면 상에서 용기 본체(100)의 상기 개구된 일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습제 수용부(30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용기 본체(100)와 본체 마개(200) 결합 시 용기 본체(100)의 저장 공간 내부로 들어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습제 수용부(300)는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일 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습제 수용부(300)의 상기 수용 공간에 제습제(310)가 수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습제 수용부(300)가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다양한 형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습제(310)는 공기 중의 습기를 빨아들여 습도를 낮출 수 있다. 제습제(310)는 실리카겔을 비롯한 고분자 화합물 등이 있을 수 있다.
수용부 마개(400)는 제습제 수용부(300)의 상기 개구된 일 측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부재로서, 폐쇄 플레이트(410)를 포함할 수 있다.
폐쇄 플레이트(410)는 소정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제습제 수용부(300)의 상기 개구된 일 측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습제 수용부(300)의 상기 개구된 일 측을 폐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폐쇄 플레이트(410)에는 폐쇄 플레이트(4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통공(411)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 마개(400)는 제습제 수용부(300)와 나사 결합하거나 그 외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용부 마개(400)는 결합부(4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나사 결합하는 경우, 결합부(420)는 그 내주에 형성된 암 나사산를 구비하고, 제습제 수용부(300)는 그 상부에 상기 암 나사산에 대응하는 수 나사산을 구비할 수 있다.
결합부(420)는 폐쇄 플레이트(410)의 외주 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폐쇄 플레이트(410)와의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부재로서, 상기한 빈 공간에 제습제 수용부(300)가 인입되어 결합부(420)가 제습제 수용부(300)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폐쇄 플레이트(410)와 결합부(420)로 이루어진 수용부 마개(400)가 제습제 수용부(300)의 상기 개구된 일 측에 결합됨에 의해 제습제 수용부(300)의 상기 개구된 일 측이 밀폐될 수 있다.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는 상기한 수용부 마개(400)를 제습제 수용부(3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탈착 결합 수단(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탈착 결합 수단(500)은 제습제 수용부(300)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 홈(510) 및 수용부 마개(400)의 결합부(420) 내측 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결합 돌기(52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홈(510)은 제습제 수용부(300)의 측면에서 내부 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홈으로서, 제습제 수용부(300) 측면 둘레를 따라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기(520)는 수용부 마개(400)의 결합부(420) 내측 면 둘레를 따라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부재로서, 결합 홈(5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결합 홈(510)에 끼워질 수 있다.
이때, 결합 홈(510) 및 결합 돌기(520)는 수용부 마개(400)의 탈거가 용이하도록 그 단면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결합 홈(510)과 결합 돌기(520)가 상호 결합됨에 의해 제습제 수용부(300)의 상기 개구된 일 측에 수용부 마개(400)가 결합되어 상기 개구된 일 측을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수용부 마개(400)는 걸림부(4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412)는 폐쇄 플레이트(410)의 일부가 결합부(420)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이 걸림부(412)에 힘을 가함에 의해 제습제 수용부(300)에서 수용부 마개(400)를 탈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탈착 결합 수단(500)의 결합 홈(510)은 제습제 수용부(300)에 형성되고, 결합 돌기(520)는 수용부 마개(400)에 형성된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결합 홈(510)과 결합 돌기(520) 각각은 수용부 마개(400)와 제습제 수용부(300)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습제 수용부(300)의 상기 개구된 일 측을 일차적으로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통기 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기 부재(600)는 제습제 수용부(300)의 상기 개구된 일 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흡습지(620)를 구비할 수 있다. 흡습지(620)는 제습제 수용부(3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수용부 마개(4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수용부 마개(400) 탈거시, 흡습지(620)는 손쉽게 배출될 수 있다.
흡습지(620)는 공기 투과성이 높은 재질인 것 바람직한데, 공기 투과성이 있어야 습기의 투과성이 있기 때문이다.
흡습지(620)는 종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자체로 수분을 일부 흡수할 수 있다. 다른 부재들은 대부분 플라스틱 재질이나 본 흡습지(620)는 종이 재질이라, 플라스틱과 종이를 쉽게 분리할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는 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통기 부재(600)는 제습제 수용부(300)의 상기 개구된 일 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며 중심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결합 프레임(61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흡습지(620)는 결합 프레임(610)의 상기 빈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흡습지(620)는 결합 프레임(610)에 의해 더 잘 고정될 수 있다.
결합 프레임(610)에는 제습제 수용부(300)의 상기 개구된 일 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홈이 제습제 수용부(300)의 상기 개구된 일 측에 끼워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통기 부재(600)는 제습제 수용부(300)의 내부 수용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시킨다.
본 발명은 통기 부재(600)가 제습제 수용부(3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제습제(310)를 손쉽게 분리 배출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흡습지 지지 부재(320) 및 흡습지 밀착 부재(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흡습지 지지 부재(320)는 소정 직경을 갖는 원형 봉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습제 수용부(300)의 내부 면에서 제습제 수용부(300)의 상기 개구된 일 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흡습지 지지 부재(320)의 단부 즉, 제습제 수용부(300)의 상기 개구된 일 측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은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흡습지 지지 부재(320)의 단부는 흡습지(620)와 접촉되어 흡습지(620)를 지지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흡습지 지지 부재(320)가 흡습지(620)를 지지하기 때문에, 흡습지(620)가 제습제 수용부(300)의 내부(하부)로 처지지 않고 제습제 수용부(300)의 상기 개구된 일 측에 밀착될 수 있다. 흡습지 지지 부재(320)에 의해, 흡습지(620)는 빳빳한 특성 즉, Z-방향(수직) 강도가 높지 않아도 되므로,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흡습지 지지 부재(620)는 제습제 수용부(300)의 수용 공간 중앙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습지 밀착 부재(430)는 소정 직경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부재로서, 수용부 마개(400)의 폐쇄 플레이트(4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흡습지 밀착 부재(430)는 그 단부가 흡습지(620)와 접촉되어 흡습지(620)를 눌러줌으로 인해 흡습지(620)가 제습제 수용부(300)의 상기 개구된 일 측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흡습지 지지 부재(320) 및 흡습지 밀착 부재(430)에 의해 흡습지(620)가 제습제 수용부(300)의 상기 개구된 일 측에 밀착되기 때문에, 제습제(310)가 고정되어 제습제(310) 가루가 생성되지 않으므로 제습제(310)가 제습제 수용부(300)의 외부로 비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는 제습제 수용부(300)를 밀폐시키는 수용부 마개(400)를 제습제 수용부(300)와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시킴으로써, 제습 용기 폐기 시 용기와 제습제를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용기 본체 200: 본체 마개
300: 제습제 수용부 310: 제습제
320: 흡습지 지지 부 재400: 수용부 마개
410: 폐쇄 플레이트 411: 통공
412: 걸림부 420: 결합부
430: 흡습지 밀착 부재 500: 탈착 결합 수단
510: 결합 홈520: 결합 돌기
600: 통기 부재 610: 결합 프레임
620: 흡습지

Claims (8)

  1.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며 일 측이 개구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된 일 측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본체 마개;
    상기 본체 마개의 내부 면 상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저장 공간 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제습제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일 측이 개구되는 제습제 수용부; 및
    상기 제습제 수용부의 상기 개구된 일 측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되,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용부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 마개는 상기 제습제 수용부의 상기 개구된 일 측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된 일 측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며, 복 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폐쇄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마개는 상기 폐쇄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습제 수용부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결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결합부와 상기 제습제 수용부의 측면을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탈착 결합 수단을 더 포함하는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 결합 수단은,
    상기 제습제 수용부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 홈; 및
    상기 수용부 마개의 결합부 내측 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결합 홈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 홈에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하는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 마개는 상기 폐쇄 플레이트의 일부가 상기 결합부의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를 더 구비하는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제 수용부의 상기 개구된 일 측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통기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기 부재는 상기 제습제 수용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공기 투과성이 있어 외부의 습기를 통과시키는 흡습지;를 구비하는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 부재는 상기 제습제 수용부의 상기 개구된 일 측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며, 중심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는 결합 프레임을 더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 마개의 내측 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흡습지가 상기 제습제 수용부의 상기 개구된 일 측에 밀착되도록 상기 흡습지와 접촉되는 흡습지 밀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습지 밀착 부재는 상기 수용부 마개의 내측 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제 수용부의 내부 면에서 상기 개구된 일 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흡습지를 지지하도록 상기 흡습지와 접촉되는 흡습지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습지 지지 부재는 상기 제습제 수용부의 중앙에 배치되는,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
  8.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며 일 측이 개구되는 용기 본체의 상기 개구된 일 측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는 본체 마개인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 마개로서,
    상기 본체 마개의 내부 면 상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저장 공간 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제습제가 수용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일 측이 개구되는 제습제 수용부; 및
    상기 제습제 수용부의 상기 개구된 일 측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되,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수용부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 마개는 상기 제습제 수용부의 상기 개구된 일 측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개구된 일 측을 폐쇄하도록 설치되며, 복 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폐쇄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 마개.
KR1020190168730A 2019-12-17 2019-12-17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 및 그 마개 KR102372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730A KR102372354B1 (ko) 2019-12-17 2019-12-17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 및 그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8730A KR102372354B1 (ko) 2019-12-17 2019-12-17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 및 그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274A true KR20210077274A (ko) 2021-06-25
KR102372354B1 KR102372354B1 (ko) 2022-03-08

Family

ID=76629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730A KR102372354B1 (ko) 2019-12-17 2019-12-17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 및 그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3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3551A (ja) * 2001-08-21 2003-03-05 Sato Kasei Kogyosho:Kk 容 器
JP2006206154A (ja) * 2005-01-31 2006-08-10 Yoshino Kogyosho Co Ltd 収納容器
KR20110010052U (ko) * 2010-04-19 2011-10-26 허무춘 건조제용 용기 마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3551A (ja) * 2001-08-21 2003-03-05 Sato Kasei Kogyosho:Kk 容 器
JP2006206154A (ja) * 2005-01-31 2006-08-10 Yoshino Kogyosho Co Ltd 収納容器
KR20110010052U (ko) * 2010-04-19 2011-10-26 허무춘 건조제용 용기 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2354B1 (ko) 202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6807B2 (en) Desiccant bottle cap
EP3525768B1 (en) Container and closure assembly with predetermined humidity
CN110506008B (zh) 用于医疗和/或药用制品的容器
MX2013010121A (es) Recipiente a prueba de humedad.
AU2011315230B2 (en) Desiccant container
WO2004096658A1 (en) Flip top container with built in desiccant
KR102372354B1 (ko)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 및 그 마개
KR200438782Y1 (ko) 용기캡의 제습구조
CA3025161A1 (en) Cap insert with internal compartment
KR200434398Y1 (ko) 건조제 용기
CN213595029U (zh) 一种压盖式防潮瓶
KR102411641B1 (ko) 보관용기의 캡
CN218086978U (zh) 一种助听器用螺接干燥盒
CN218023128U (zh) 一种防潮粉末药瓶
US20200102136A1 (en) Kits and bottle inserts
CN220375257U (zh) 一种具有湿度指示功能的防潮盖及包装瓶
CN109606935B (zh) 一种适用于对水分敏感的液体保存的防潮瓶
RU2726817C1 (ru) Емкость для табачного продукта
CN115447915A (zh) 一种助听器用内丝螺接干燥盒
KR200413424Y1 (ko) 제습 장치
KR20090002904U (ko) 방습제가 내재된 밀폐부재를 갖는 마개
JP2004345709A (ja) 多層容器
KR20120002658U (ko)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
KR20090102635A (ko) 제습 기능을 갖는 마개 및 용기의 결합 구조
NZ753209B2 (en) Container for a tobacco related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