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658U -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 - Google Patents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658U
KR20120002658U KR2020100010380U KR20100010380U KR20120002658U KR 20120002658 U KR20120002658 U KR 20120002658U KR 2020100010380 U KR2020100010380 U KR 2020100010380U KR 20100010380 U KR20100010380 U KR 20100010380U KR 20120002658 U KR20120002658 U KR 201200026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ontainer
dehumidifying
storage container
fasten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3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선주
김영호
Original Assignee
노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선주 filed Critical 노선주
Priority to KR20201000103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2658U/ko
Publication of KR201200026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65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3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for desic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용물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제습작용을 수행하는 동시에 마개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는, 보관용기의 개방구측과 대응하는 형상의 캡 형태로 형성된 마개몸체; 사용자가 잡아 외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마개몸체에 형성되는 손잡이부; 상기 개방구의 용기측 체결부에 체결되도록 형성된 마개측 체결부; 및 상기 마개몸체의 내부 저면에 결합되고 제습작용을 수행하는 제습제가 수용된 제습부를 구비하되, 상기 보관용기용 마개가 상기 용기측 체결부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상태에서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손잡이부의 하측에 해당되는 상기 마개몸체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마개측 체결부는, 상기 용기측 체결부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가 외부로 노출되어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마개몸체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사용단계 체결부와, 상기 용기측 체결부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구측이 밀폐, 잠금되도록 상기 배출구의 상측에 해당되는 상기 마개몸체상에 형성되는 밀폐단계 체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마개 전체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고 마개의 개방 및 잠금동작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에 편의성이 향상되고, 제습제의 노출이나 오염에 따른 내용물의 변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내용물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는 보관용기의 마개로 사용할 경우 개폐동작을 반복적으로 실시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배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마개가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 아니므로 보관용기 내부로 이물질이 혼입되지 않고, 사용 중에 보관용기가 전도되더라도 내용물이 쏟아지는 등의 문제점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 {VESSEL CAP WITH DEHUMIDIFYING FUNCTION}
본 고안은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용물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제습작용을 수행하는 동시에 마개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념, 조미된 양념, 조미료, 건조 음식물, 스넥 등과 같은 각종 식료품들은 사용, 보관, 취급상에 편의성을 위해 보관용기 내에 투입하여 보관하게 된다.
보관용기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와 이 용기의 입구 부분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마개로 구성되며, 용기의 내부에는 내용물의 변질 등을 방지하기 위해 제습제가 수용되어 있다.
제습제는 실리카 겔(Silica gel)과 같은 작은 알갱이 형태의 제습물질이 별도의 보관팩내에 투입된 형태로서, 내용물의 종류나 포장형태에 따라 섬유재질의 다공성 패키지나 종이봉지 또는 플라스틱 용기 내에 담겨져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제습제가 용기 내부에 투입되면 배출구 부분을 차단하게 되어 내용물의 배출이 어려우므로 사용자가 이를 제거한 후 내용물을 배출하고 다시 제습제를 투입하여야 하는 사용상에 불편함이 있다. 또한 제습제가 장기간 내용물에 투입되어 있는 경우 제습제의 미세한 분말이 내용물에 혼입되어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38782호에 나타난 바와 같은 "용기캡의 제습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용기캡의 제습구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캡인 마개(1)의 내측 저장부재(33)에 제습제(S)를 담아 제습부(30)를 형성한 것으로, 마개의 내측상면과 제습부(30)를 일정간격 이격시켜 공기의 소통이 원활하도록 구성하였다.
전술한 용기캡의 제습구조에 따르면, 제습부(30)의 내부에 저장된 제습제(S)에 의해 수분이 흡수되므로 내용물을 변질 없이 안전하게 보관하면서도 내용물에 제습제가 혼입되는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용기캡은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해서 마개(1) 전체를 해제한 후 용기를 기울려 사용하여야 하고, 마개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내용물이 배출되므로 한 번에 다량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등 사용상에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마개(1)를 용기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제습부(30)가 바닥 등에 접촉되면서 이물질이 부착되므로 마개(1)를 다시 닫을 경우 부착된 이물질로 인해 내용물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전술한 종래의 용기캡은 자주 내용물을 배출하여야 하는 보관용기의 마개로 사용할 경우 마개(1)의 개폐동작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야 하므로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불편함으로 인해 마개(1)를 개방한 상태로 방치 하면서 사용하게 되면 보관용기 내부로 이물질이 혼입되고, 사용 중에 보관용기가 전도되면서 내용물이 쏟아지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한 것으로, 내용물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제습작용을 수행하는 동시에 마개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마개를 신속하게 잠금 및 해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는,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에 있어서, 보관용기의 개방구측과 대응하는 형상의 캡 형태로 형성된 마개몸체; 사용자가 잡아 외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마개몸체에 형성되는 손잡이부; 상기 개방구의 용기측 체결부에 체결되도록 형성된 마개측 체결부; 및 상기 마개몸체의 내부 저면에 결합되고 제습작용을 수행하는 제습제가 수용된 제습부를 구비하되, 상기 보관용기용 마개가 상기 용기측 체결부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상태에서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손잡이부의 하측에 해당되는 상기 마개몸체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마개측 체결부는, 상기 용기측 체결부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가 외부로 노출되어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마개몸체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사용단계 체결부와, 상기 용기측 체결부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구측이 밀폐, 잠금되도록 상기 배출구의 상측에 해당되는 상기 마개몸체상에 형성되는 밀폐단계 체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보관용기용 마개의 잠금 및 해제동작이 신속하게 수행되도록 상기 밀폐단계 체결부와 상기 사용단계 체결부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마개몸체상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슬라이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상에 상기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몸체의 내부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습부의 상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대응하는 형상의 제습부 체결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습부 체결부재는 원통 형상의 몸체 내주면에 걸림돌부가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습부는 외주면 상부에 제습작용의 수행을 위한 다수의 미세한 홀이 형성되고 그 상단에 상기 걸림돌부에 결합되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측 체결부가 상기 개방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마개측 체결부는 상기 마개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측 체결부가 상기 개방구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마개측 체결부는 상기 마개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에 의하면, 마개 전체를 분리하지 않더라도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고 마개의 개방 및 잠금동작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에 편의성이 향상되고, 제습제의 노출이나 오염에 따른 내용물의 변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내용물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는 보관용기의 마개로 사용할 경우 개폐동작을 반복적으로 실시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배출구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마개가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 아니므로 보관용기 내부로 이물질이 혼입되지 않고, 사용 중에 보관용기가 전도되더라도 내용물이 쏟아지는 등의 문제점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종래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4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의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4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의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2 내지 도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도2 내지 도5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고안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하였다.
첨부도면,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100)는 마개몸체(110), 손잡이부(120), 마개측 체결부(130), 제습부(140), 및 배출구(150)를 구비하여, 내용물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제습작용을 수행하는 동시에 편리하게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마개몸체(110)는 보관용기(10)의 개방구(11)측에 잠금 또는 해제되는 몸체부분으로, 개방구(11)측의 형상과 대응하는 캡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120)는 사용자가 잡아 외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부분으로, 마개몸체(11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쉽게 잡아 외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마개몸체(110) 보다 돌출되는 형태가 바람직하며, 그 외주면에는 손가락의 접촉시에 미끄럼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다수의 미끄럼 방지홈(1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개측 체결부(130)는 개방구(11)의 용기측 체결부(11a)에 체결되는 부분으로, 개방구(11)측이 완전히 밀폐, 잠금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용기측 체결부(11a)와 체결된 상태에서도 배출구(150)가 외부로 노출되어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한 점에 특징을 갖는다.
즉,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측 체결부(130)가 배출구(150)의 하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그 하부측이 개방구(11)의 용기측 체결부(11a)에 체결된 상태에서도 배출구(15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보관용기용 마개를 보관용기로부터 완전히 부리하지 않은 상태로도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제습부(140)는 마개몸체(110)의 내부 저면에 결합되고 제습작용을 수행하는 제습제(미도시)가 수용되는 구성으로, 보관용기(10)의 형상이나 수용되는 내용물의 종류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한 없이 구성할 수 있다.
배출구(150)는 보관용기용 마개(100)가 용기측 체결부(11a)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손잡이부(120)의 하측에 해당되는 마개몸체(110)에 형성되어 있다.
첨부도면 도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4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의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4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의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100')는 마개몸체(110), 손잡이부(120), 마개측 체결부(130), 제습부(140), 및 배출구(150)를 구비하되, 마개측 체결부(130)는 사용단계 체결부(131)와, 밀폐단계 체결부(132)로 구성되고, 보관용기용 마개(100)의 잠금 및 해제동작이 신속하게 수행되도록 밀폐단계 체결부(132)와 사용단계 체결부(131) 사이에 해당되는 마개몸체(110)상에 슬라이딩부(16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사용단계 체결부(131)는 용기측 체결부(11a)와 체결된 상태에서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배출구(150)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배출구(150)의 하측에 해당되는 마개몸체(110)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마개몸체(110)의 외주면에 나선상으로 형성되는 나사부로 구성되어 있다.
밀폐단계 체결부(132)는 용기측 체결부(11a)와 체결된 상태에서 개방구(11)측이 밀폐, 잠금되도록 배출구(150)의 상측에 해당되는 마개몸체(110)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마개몸체(110)의 외주면에 나선상으로 형성되는 나사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단계 체결부(131)와 밀폐단계 체결부(132)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측 체결부(11a)가 개방구(11)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서로 잠금 또는 해제동작이 가능하도록 마개몸체(1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부(160)는 사용단계 체결부(131)와 밀폐단계 체결부(132) 사이에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는 방식으로 구성하여 별도의 해제동작이나 잠금동작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보관용기용 마개(100')의 해제방향이나 잠금방향으로의 이동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딩부(160)상에 전술한 배출구(150)를 형성하여 밀폐단계 체결부(132)가 용기측 체결부(11a)에 체결되면 배출구(150)가 밀폐되고, 사용단계 체결부(131)가 용기측 체결부(11a)에 체결되면 배출구(150)가 외부로 노출 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마개몸체(110)에는 제습부(140)의 상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대응하는 형상의 제습부 체결부재(17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습부 체결부재(170)는 제습부(140)를 편리하게 체결하고 분리할 수 있는 구조라면 나사 체결방식 등 제한 없이 구성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착탈동작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몸체 내주면에 걸림돌부(172)가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습부(140)는 그 상단에 제습부 체결부재(170)에 끼워지도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단에는 걸림돌부(172)에 결합되는 걸림홈(14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습부(140)는 외주면 상부에 제습작용의 수행을 위한 다수의 미세한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보관용기(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내용물에 포함된 수분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배출구(150)는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보관용기(10)의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종류나 보관용기의 용도 등에 따라 그 수량, 홀의 형태나 크기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배출구(150)는 보관용기에 수용되는 내용물이 분말 형태일 경우 소량으로 배출할 수 있는 다수의 미세한 홀과, 대량으로 배출할 수 있는 대경의 홀을 함께 형성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도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100')는 마개 몸체(110), 손잡이부(120), 마개측 체결부(130), 제습부(140), 배출구(150), 및 슬라이딩부(160)를 포함하고, 마개측 체결부(130)는 사용단계 체결부(131)와, 밀폐단계 체결부(132)로 구성되되,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측 체결부(11a)가 개방구(1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서로 잠금 또는 해제동작이 가능하도록 사용단계 체결부(131)와, 밀폐단계 체결부(132)가 마개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즉, 본 변형예에 따른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100')의 마개측 체결부(130)는 전술한 도3 내지 도4b에 도시된 보관용기용 마개(100')의 마개측 체결부(130)와는 그 형성방향이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점에 차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단계 체결부(132)가 용기측 체결부(11a)와 체결되면 개방구(11)측이 폐쇄된 상태에 있으므로 보관용기(10)의 내부공간이 밀봉됨과 동시에 제습부(140)의 제습작용으로 내용물을 변질 없이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내용물을 배출하여 취식 또는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잡이부(120)를 잡고 개방방향으로 회전동작을 시행하게 되면 밀폐단계 체결부(132)의 체결상태가 해제되면서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슬라이딩부(160)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므로 별도의 해제동작 없이 가벼운 상승력에 의해서도 신속하게 상방 이동되면서 배출구(150)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후, 손잡이부(120)의 회전동작을 개방방향으로 조금 더 시행하게 되면 사용단계 체결부(131)가 용기측 체결부(11a)에 체결되게 된다. 이와 같은 체결상태는 보관용기용 마개(100')가 보관용기(10)상에 고정된 상태에 있으면서도 배출구(150)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 있는 것 이므로 사용자는 보관용기(10)를 기울려 배출구(150)로 내용물을 배출하여 취식 또는 희망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같이 마개 전체를 보관용기로부터 분리하지 않더라도 편리하게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할 수 있고, 마개 전체를 분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습부(140)의 오염에 따른 내용물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내용물을 반복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는 보관용기의 마개로 사용할 경우 개폐동작을 반복적으로 실시할 필요 없이 도4b에 도시된 형태를 유지하면서 편리하게 반복 사용할 수 있고, 배출구(150)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보관용기용 마개(100')가 완전히 분리되는 것이 아니므로 보관용기(10) 내부로 이물질이 혼입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중에 보관용기가 전도 되더라도 내용물이 쏟아지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반대로 보관용기용 마개(100')를 보관용기(10)에 닫을 경우에도 손잡이부(120)를 잡고 닫힘방향으로 회전동작을 시행하게 되면 사용단계 체결부(131)의 체결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슬라이딩부(160)를 타고 신속하게 하강 이동되고, 이후 짧고 간단한 체결동작을 시행하게 되면 밀폐단계 체결부(132)가 용기측 체결부(11a)에 체결, 고정되므로 신속한 잠금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보관용기 11a:용기측 체결부
100,100':보관용기용 마개 110:마개몸체
120:손잡이부 130:마개측 체결부
131:사용단계 체결부 132:밀폐단계 체결부
140:제습부 142:걸림홈
150:배출구 160:슬라이딩부
170:제습부 체결부재 172:걸림돌부

Claims (5)

  1.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에 있어서,
    보관용기의 개방구측과 대응하는 형상의 캡 형태로 형성된 마개몸체;
    사용자가 잡아 외력을 인가할 수 있도록 상기 마개몸체에 형성되는 손잡이부;
    상기 개방구의 용기측 체결부에 체결되도록 형성된 마개측 체결부; 및
    상기 마개몸체의 내부 저면에 결합되고 제습작용을 수행하는 제습제가 수용된 제습부를 구비하되,
    상기 보관용기용 마개가 상기 용기측 체결부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상태에서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손잡이부의 하측에 해당되는 상기 마개몸체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마개측 체결부는, 상기 용기측 체결부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구가 외부로 노출되어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마개몸체의 하부측에 형성되는 사용단계 체결부와,
    상기 용기측 체결부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구측이 밀폐, 잠금되도록 상기 배출구의 상측에 해당되는 상기 마개몸체상에 형성되는 밀폐단계 체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용기용 마개의 잠금 및 해제동작이 신속하게 수행되도록 상기 밀폐단계 체결부와 상기 사용단계 체결부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마개몸체상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슬라이딩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상에 상기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몸체의 내부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습부의 상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대응하는 형상의 제습부 체결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체습부 체결부재는 원통 형상의 몸체 내주면에 걸림돌부가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습부는 외주면 상부에 제습작용의 수행을 위한 다수의 미세한 홀이 형성되고 그 상단에 상기 걸림돌부에 결합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측 체결부가 상기 개방구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마개측 체결부는 상기 마개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측 체결부가 상기 개방구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마개측 체결부는 상기 마개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
KR2020100010380U 2010-10-11 2010-10-11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 KR2012000265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380U KR20120002658U (ko) 2010-10-11 2010-10-11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380U KR20120002658U (ko) 2010-10-11 2010-10-11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658U true KR20120002658U (ko) 2012-04-19

Family

ID=46606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380U KR20120002658U (ko) 2010-10-11 2010-10-11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265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40407A (zh) * 2017-10-14 2018-01-30 胡振锋 一种茶叶包装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640407A (zh) * 2017-10-14 2018-01-30 胡振锋 一种茶叶包装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79287A1 (en) Hand-holdable mixing container
US20060213926A1 (en) Multi-compartment dispensing container
JP6642899B2 (ja) 二重容器
JP2014094044A (ja) 飲料抽出用容器
KR20120002658U (ko) 제습기능을 갖는 보관용기용 마개
JPH08318953A (ja) 調味液容器
KR100736433B1 (ko) 밀봉 포장용기
JP4984541B2 (ja) 注出容器及びその詰替用の袋状容器
KR20050088057A (ko) 실링지 파지안내 구조를 갖는 식품포장용기용 뚜껑체
KR102036594B1 (ko) 용기
KR101661740B1 (ko) 도포부재를 구비한 튜브용기
TWI660893B (zh) 有蓋容器組合及其蓋子
KR101560310B1 (ko) 내용물 통과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포장용기
KR200434398Y1 (ko) 건조제 용기
KR102411641B1 (ko) 보관용기의 캡
JP3140080U (ja) 流動物等の多用途収納容器
KR101311199B1 (ko) 이종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KR101635471B1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200469583Y1 (ko) 저장용기
KR200464642Y1 (ko) 화장품 용기
JP2007045520A (ja) 底部吐出口式自立型マヨネーズ容器
KR102372354B1 (ko) 분리 배출이 가능한 제습 용기 및 그 마개
CN218086978U (zh) 一种助听器用螺接干燥盒
RU2726817C1 (ru) Емкость для табачного продукта
US20220063894A1 (en) Holding receptacle for effectively storing items in a reduced air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