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604Y1 - 방습제가 내재된 밀폐부재를 갖는 마개 - Google Patents

방습제가 내재된 밀폐부재를 갖는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604Y1
KR200447604Y1 KR2020070015620U KR20070015620U KR200447604Y1 KR 200447604 Y1 KR200447604 Y1 KR 200447604Y1 KR 2020070015620 U KR2020070015620 U KR 2020070015620U KR 20070015620 U KR20070015620 U KR 20070015620U KR 200447604 Y1 KR200447604 Y1 KR 2004476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sealing member
desiccant
contain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56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2904U (ko
Inventor
문오형
Original Assignee
문오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오형 filed Critical 문오형
Priority to KR20200700156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604Y1/ko
Publication of KR200900029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9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6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6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3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for desic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리 혹은 합성수지로 된 병 용기의 마개에 대한 것으로, 특히 마개의 내측에 결합되는 밀폐부재 상에 방습제를 수용할 수 있는 안치부를 형성하여 그 안치부 내에 고형의 방습제를 투입한 상태에서 그 마개와 밀폐부재가 서로 결합되게 함으로써,
마개 내의 밀폐부재 내에 방습제가 위치되게 하므로 그 용기로부터 방습제를 꺼내거나 다시 집어넣는 등의 불편함이 없어 용기로부터 그 내용물을 보다 손쉽게 꺼내어 섭취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한 밀폐부재는 방습제 수용의 역할과 동시에 마개와 용기의 밀폐 역할을 하므로 매우 합리적인 것이며, 마개와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밀폐부재에 의해 그 내측의 방습제는 영아 및 유아의 접근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하므로 그에 따른 부작용이나 폐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방습제가 내재된 밀폐부재를 갖는 마개에 관한 것이다.
용기, 마개, 밀폐부재, 안치부, 방습제, 걸림턱부, 걸림돌출부

Description

방습제가 내재된 밀폐부재를 갖는 마개 {Stopper with sealing member having desiccant inside}
본 고안은 유리 혹은 합성수지로 된 병 용기의 마개에 대한 것으로, 특히 마개의 내측 선단에 밀폐부재를 결합 형성하되, 그 밀폐부재 상에 방습제를 수용할 수 있게 한 안치부를 형성하고, 그 안치부의 저면에는 통기공을 형성함으로써, 마개의 조립만으로도 밀폐 및 방습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도 용기 내의 내장물을 꺼내거나 집어넣음에 있어서도 방습제에 의한 불편함을 제거한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리병이나 합성수지 등의 재질로 된 다양한 형태의 용기가 제작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병 용기는 더욱 다양한 내용물을 보관하거나 운반 및 유통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특히, 의약품이나 건강보조식품 혹은 비타민 제재와 같이 습기에 취약한 내용물을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들 내용물과 함께 별도의 방습제를 함께 투입 하여 유통시키게 된다.
이때의 방습제는 그 내용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알갱이 형태의 고형물을 통기성이 우수한 부직포 등의 포대 내에 밀봉하여 용기 내에 함께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방습제의 취급 및 사용 형태는 용기 내에 그 내용물과 함께 내재되어 있으므로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꺼내거나 다시 투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방습제와의 간섭이나 방해를 받아 불편함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가장 널리 사용되는 포대 형태로 된 방습제의 경우에는 비교적 넓은 부피로 인해 내용물의 저장용량에 방해가 됨은 물론 용기의 투입구 혹은 배출구를 차단하는 원인이 되므로 부득이 사용자는 매번 상기한 방습제를 꺼낸 후 내용물을 섭취 또는 사용한 후 상기한 방습제를 다시 용기 내에 집어넣는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습제는 용기의 마개를 열면 그대로 노출되면서도 어린아이들이 쉽게 꺼낼 수도 있어 자칫 인지력이 발달하지 못한 영,유아 등이 그 방습제를 섭취하여 안전사고 또는 곤란한 경우를 겪게 되는 원인이 되곤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마개의 내측에 결합되는 밀폐부재 상에 방습제를 수용할 수 있는 안치부를 형성하여 그 안치부 내에 고형의 방습제를 투입한 상태에서 그 마개와 밀폐부재가 서로 결합되게 함으로써, 종래의 포대형 방습제가 갖는 제반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방습제가 내장된 밀폐부재를 갖는 마개는, 마개 내의 밀폐부재 내에 방습제가 위치되게 하므로 그 용기로부터 방습제를 꺼내거나 다시 집어넣는 등의 불편함이 없어 용기로부터 그 내용물을 보다 손쉽게 꺼내어 섭취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한 밀폐부재는 방습제 수용의 역할과 동시에 마개와 용기의 밀폐 역할을 하므로 매우 합리적인 것이며, 마개와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밀폐부재에 의해 그 내측의 방습제는 영아 및 유아의 접근으로부터 비교적 안전하므로 그에 따른 부작용이나 폐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분리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고안 방습재를 갖는 마개는 유리 혹은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된 용기의 선단 입구에 체결되는 것으로서, 이들 상호 간의 체결수단은 나사부에 의한 결합 또는 강제 록킹 결합이나 억지 끼움 등의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마개(10)의 내측 선단에는 통상적으로 상기한 용기(100)의 수밀 및 밀폐성을 유지하기 위한 연질의 밀폐부재(20)가 내장되는 것인데, 종래의 밀폐부재를 살펴보면 연질의 합성수지 시트 또는 발포성 수지나 코르크 등을 사용하여 그 마개(10)의 내면에 밀착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밀폐부재(20)를 이용하여 그 내측에 고형의 방습제(30)를 내장할 수 있게 한 것으로서, 상기한 밀폐부재(20)의 중앙에는 하향의 안치부(2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안치부(21)의 내측에 방습제(30)를 집어넣으면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상태의 밀폐부재(20)를 도 3의 도시와 같이 마개(10)의 내측 선단에 체결하면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밀폐부재(20)의 안치부(21) 바닥면에는 상기한 방습제(30)가 내장된 안치부(21)와 용기(100)의 내부가 서로 소통될 수 있게 한 통기공(22)(22')을 형성함으로써 그 통기공(22)(22')을 통해 용기(100) 내부에 잔류하는 습기 등을 방습제(30)에 의해 효과적으로 흡수 및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4의 도시와 같이 마개(10)의 내측에 밀폐부재(20)가 결합된 상태의 마개(10)를 용기(100)의 선단에 결합하면 마개(10)의 내측에 위치하는 밀폐부재(20)의 저면과 용기(100)의 상측단이 서로 접촉하면서 마개(10)의 회전력을 통해 이들 상호 간의 밀착력이 극대화되는 것이며, 연질의 밀폐부재(20)에 의한 상호 간의 수밀 밀폐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한 밀폐부재(20)는 종래의 수밀과 밀폐 작용을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그 내부의 방습제(30)를 통해 용기(100) 내의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므로 매우 합리적이면서도 효율적인 것이다.
특히, 상기한 밀폐부재(20)의 외주면에는 그 마개(10)와의 결합을 용이하도록 한 걸림돌출부(23)를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한 걸림돌출부(23)는 밀폐부재(20)의 전체 두께에 비하여 얇은 박막의 형태를 갖고 있으므로, 내주면에 나사산 등이 형성된 마개(10)에 그 밀폐부재(20)를 결합함에 있어 작업자의 인위적인 힘을 가하여 그 걸림돌출부(23)가 탄력적으로 절곡됨과 동시에 그 밀폐부재(20)가 마개(10)의 내측으로 삽입 및 결합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마개(10)의 내측 선단부에는 상기한 걸림돌출부(23)가 하측으로 되빠지지 않게 하는 걸림턱부(11)를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인데, 나사산을 갖는 마개(10)의 경우 그 내주면이 나사산이 걸림턱부(11)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되는 마개(10)의 경우에는 인위적으로 링 형태의 걸림턱부(11)를 성형하여 제작할 수도 있는 것이다.
특히, 금속재로 된 마개(10)의 경우 동일 두께를 갖는 금속판재를 절곡하여 제작하는 것이므로 이때에는 그 마개(10)의 상부 외측을 내측으로 밴딩 가공하여 그 내면으로 걸림턱부(11)가 돌출되게 함으로써 재질에 구애받지 않고 모든 종류의 마개(10)에 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밀폐부재(2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걸림돌출부(23) 역시 밀폐부재(20) 의 두께보다는 얇은 두께를 갖는 방사상 돌기 형태의 걸림돌출부(23)로 분할하여 형성할 수 있는 반면, 도 5의 도시와 같이 그 걸림돌출부(23)가 연속된 링 형태로 밀폐부재(20)의 외주면에 형성되게 제작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분리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마개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개를 용기에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마개에 결합되는 밀폐부재의 다른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마개 11 : 걸림턱부
20 : 밀폐부재 21 : 안치부
22,22' : 통기공 23 : 걸림돌출부
30 : 방습제
100 : 용기

Claims (5)

  1. 용기(100)의 선단에 결합되는 마개(10)와 연질 탄력재로 된 밀폐부재(20)를 구비하되,
    상기 밀폐부재(20)의 중앙부에는 하향 융출 형태의 안치부(21)를 형성하여 그 안치부(21) 내에 방습제(30)를 삽입하고, 안치부(21)의 바닥에는 용기(100)의 내부와 연통되는 통기공(22)(22')들을 형성하여 방습제(20)가 내재된 밀폐부재(20)를 마개(10)의 내측 선단에 결합 형성한 방습제가 내장된 밀폐부재를 갖는 마개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20)의 외주면에는 방사상으로 분할된 돌기 형태의 탄력상 걸림돌출부(23)를 형성하고, 상기 마개(10)의 내측 선단에는 상기 걸림돌출부(23)가 수용되기 위한 걸림턱부(11)를 형성하여 걸림돌출부(23)와 걸림턱부(11)의 체결력에 의해 밀폐부재(20)가 마개(1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습제가 내장된 밀폐부재를 갖는 마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070015620U 2007-09-19 2007-09-19 방습제가 내재된 밀폐부재를 갖는 마개 KR2004476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620U KR200447604Y1 (ko) 2007-09-19 2007-09-19 방습제가 내재된 밀폐부재를 갖는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620U KR200447604Y1 (ko) 2007-09-19 2007-09-19 방습제가 내재된 밀폐부재를 갖는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904U KR20090002904U (ko) 2009-03-24
KR200447604Y1 true KR200447604Y1 (ko) 2010-02-10

Family

ID=43658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5620U KR200447604Y1 (ko) 2007-09-19 2007-09-19 방습제가 내재된 밀폐부재를 갖는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60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215B1 (ko) * 2011-10-24 2013-11-14 최정구 방습제가 내재되는 위조방지 마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746B1 (ko) * 2018-02-22 2019-09-09 김정우 분리방지 구조를 갖는 병뚜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3750U (ja) 1981-12-29 1983-07-14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包装容器
JPH07137759A (ja) * 1993-11-19 1995-05-30 Mitsubishi Gas Chem Co Inc 蓋用パッキング
KR200290490Y1 (ko) 2002-07-08 2002-09-28 김원년 유골함
KR200311867Y1 (ko) 2003-01-13 2003-05-09 주식회사 백산상사 식품보관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03750U (ja) 1981-12-29 1983-07-14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包装容器
JPH07137759A (ja) * 1993-11-19 1995-05-30 Mitsubishi Gas Chem Co Inc 蓋用パッキング
KR200290490Y1 (ko) 2002-07-08 2002-09-28 김원년 유골함
KR200311867Y1 (ko) 2003-01-13 2003-05-09 주식회사 백산상사 식품보관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215B1 (ko) * 2011-10-24 2013-11-14 최정구 방습제가 내재되는 위조방지 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904U (ko) 2009-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06008B (zh) 用于医疗和/或药用制品的容器
US11344056B2 (en) Methods for storing and preserving cannabis or cannabis-containing substances
KR101390289B1 (ko)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JP2015525715A (ja) 密閉容器用蓋組立体
WO2004096658A1 (en) Flip top container with built in desiccant
CN112236118A (zh) 带有间隙的用于医疗产品和/或药物产品的容器
KR200447604Y1 (ko) 방습제가 내재된 밀폐부재를 갖는 마개
KR102093774B1 (ko) 보조 수용 기구 및 이를 장착한 용기
KR100940527B1 (ko) 외압에 의해 파단되는 탄성개폐구를 갖는 마개
CA3025161A1 (en) Cap insert with internal compartment
KR200451988Y1 (ko) 플라스틱재 음식용기
KR200419692Y1 (ko) 용기 뚜껑
WO2008114905A1 (en) Dehumidifying structure for container cap
EP1494939B1 (en) Dispensing device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EP3902755B1 (en) A tablet dispensing device
JP5387159B2 (ja) 収納スペース付きヒンジキャップ
JP6880743B2 (ja) 容器
KR20240038319A (ko) 빨대용 마개
KR20090005611U (ko) 용기 세트
KR200340196Y1 (ko) 실리카팩킹을 구비한 용기마개
JPH0716625Y2 (ja) 密閉容器
KR940003151Y1 (ko) 콘택트렌즈 보관용 케이스
KR100475629B1 (ko) 밀폐용기
KR200295499Y1 (ko) 수용부를 구비한 병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