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692Y1 - 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692Y1
KR200419692Y1 KR2020060009303U KR20060009303U KR200419692Y1 KR 200419692 Y1 KR200419692 Y1 KR 200419692Y1 KR 2020060009303 U KR2020060009303 U KR 2020060009303U KR 20060009303 U KR20060009303 U KR 20060009303U KR 200419692 Y1 KR200419692 Y1 KR 2004196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tainer
outer cap
lid
inn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93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케미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케미칼
Priority to KR20200600093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6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6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6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62Secondary protective cap-like outer covers for closur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0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 B65D50/02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 B65D50/04Closures with means for discourag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thereof, with or without indicating means, e.g. child-proof closures openable or removable by the combination of plural actions requiring the combination of simultaneous actions, e.g. depressing and turning, lifting and turning, maintaining a part and turning another 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캡과 외부캡에 각각 요철클러치를 형성함과 동시에 내부캡과 외부캡에 탄성편과 삼각걸림편을 형성함으로써 뚜껑을 열 때 어린이는 쉽게 열지 못하지만 어른들은 외부캡을 누른 상태로 뚜껑을 열 수 있는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이는 손으로 돌릴 수 있도록 하는 외부캡과 용기의 주입구 외주면에 체결되는 내부캡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외부캡을 누른 상태로 회전시켜 용기에서 열 수 있도록 한 뚜껑에 있어서, 내부윗면과 테두리 사이의 모서리에 다수의 요철클러치를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그 내부 윗면에는 일측단만이 윗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편을 다수 형성한 외부캡과; 상기 외부캡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외주면 상하단의 돌출테 사이에 외부캡의 멈춤테가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상측의 돌출테 윗면에는 외부캡의 요철클러치에 치합되는 요철클러치를 등간격으로 형성하면서 그 내측에 다수의 삼각걸림편을 형성하며, 상기 요철클러치와 삼각걸림편이 형성된 윗면의 저면에는 밀폐돌기와 암나사를 형성하여 용기의 주입구에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한 내부캡;과를 결합하여 상기 외부캡을 누른 상태로 회전시켜 내부캡을 용기에서 분리하여 주입구를 열 수 있도록 용기 뚜껑을 구성함으로써 이룰 수 있는 고안이다.
뚜껑, 내부캡, 외부캡, 이중구조

Description

용기 뚜껑{A Lid for Vessel}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뚜껑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뚜껑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 절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뚜껑을 용기 주입구에 잠그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뚜껑을 용기 주입구에서 외부캡이 겉도는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뚜껑을 용기 주입구에서 열는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뚜껑 200 : 외부캡
201 : 윗면 202 : 테두리
210 : 멈춤테 220 : 요철클러치
230 : 탄성편 231 : 끝단면
300 : 내부캡 310, 311 : 돌출테
320 : 요철클러치 330 : 삼각걸림편
331 : 수직면 332 : 경사면
340 : 밀폐용기 350 : 암나사
400 : 용기 410 : 주입구
420 : 나사부
본 고안은 병을 포함하는 각종 용기의 입구를 개폐하는 뚜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구에 나사식으로 개폐되는 뚜껑을 내부캡과 외부캡으로 구성하고, 그 뚜껑을 열 때는 외부캡을 누른 상태에서 돌려야만 뚜껑이 열리도록 하는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거나 큰 병을 포함하는 용기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할 때는 그 용기의 입구에 나사식으로 뚜껑을 결합하여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나사식 뚜껑 개폐방식은 사람이 인위적으로 뚜껑을 돌려야만 뚜껑이 회전되면서 용기에서 개폐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용기 뚜껑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재질로 구성된 용기의 입구 외측면에 나사를 형성하고, 컵형태로 구성된 뚜껑의 내측면에는 암나사를 형성함으로써 뚜껑을 손으로 잡고 돌리면 뚜껑의 암나사가 용기의 나사에 체결되면서 용기와 뚜껑이 결합되고, 뚜껑을 반대로 돌리면 뚜껑의 암나사가 용기의 나사에서 풀어지면서 용기와 뚜껑이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졌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기 뚜껑은 용기와 뚜껑에 형성할 수 있는 나사 산의 수가 2~3줄 정도로 제한적일 수밖에 없으므로 외부의 작은 힘에 의해서도 뚜껑이 쉽게 열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용기의 뚜껑이 쉽게 열리면 의약품이나 위험물질이 담긴 용기의 뚜껑을 어린이들이 호기심으로 쉽게 열 수 있으므로 용기에 담긴 약이나 위험물질로 인해 위험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용기에 뚜껑을 닫을 때는 쉽게 돌려서 잠글 수 있도록 하면서도 뚜껑을 열 때는 뚜껑을 아래로 세게 누른상태로 뚜껑을 돌려야만 열리도록 하는 이중구조의 용기 뚜껑(공개특허공보 10-2006-0011796호; 발명의 명칭 패킹기능이 일원화된 용기 뚜껑)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뚜껑의 내부캡 윗면에 부채꼴 형상으로 다수의 걸림이를 형성하고 그 외측으로 결합되는 외부캡의 내측면에는 상기 부채꼴의 걸림이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걸림이를 형성하며, 상기 내부캡과 외부캡에 형성된 걸림이들 중에서 내부캡의 걸림이 윗면을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여 외부캡이 걸림이의 경사면의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내부캡이 함께 회전하면서 뚜껑이 잠기고, 외부캡이 경사면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경사면을 타고 넘으면서 헛돌게되 어 단순한 회전만으로는 뚜껑을 열지 못하게 하였으나, 외부캡을 아래로 눌러서 내부캡과 외부캡의 걸림이 윗면이 서로 강하게 밀접되도록 한 상태에서 외부캡을 돌리면 뚜껑을 열 수 있도록 한 구조이므로 어린이들이 약품이나 위험물이 담긴 용기의 뚜껑을 열지 못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기 뚜껑은 어린이들이 뚜껑을 열지 못하게 하는 효과는 얻을 수 있었지만 외부캡을 돌렸을 때 내부캡과 외부캡에 형성시킨 걸림이의 경사면 마찰로 내부캡이 함께 회전되도록 한 것이므로 어른들도 쉽게 열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캡과 외부캡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는 용기의 뚜껑을 잠글 때는 쉽게 잠그고 열 때는 외부캡을 눌러서 열 수 있도록 하되 내부캡과 외부캡에 각각 요철클러치를 형성함과 동시에 내부캡과 외부캡에 탄성편과 삼각걸림편을 형성함으로써 뚜껑을 열 때 어린이는 쉽게 열지 못하지만 어른들은 외부캡을 누르면 어렵지 않게 뚜껑을 열 수 있도록 한 용기 뚜껑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손으로 돌릴 수 있도록 하는 외부캡과 용기의 주입구 외주면에 체결되는 내부캡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외부캡을 누른 상태로 회전시켜 용기에서 열 수 있도록 한 뚜껑에 있어서, 내부 윗면과 테두리 사이의 모서리에 다수의 요철클러치를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그 내부 윗면에는 일측단만이 윗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편을 다수 형성한 외부캡과; 상기 외부캡의 내부로 삽입 되면서 외주면 상하단의 돌출테 사이에 외부캡의 멈춤테가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상측의 돌출테 윗면에는 외부캡의 요철클러치에 치합되는 요철클러치를 등간격으로 형성하면서 그 내측에 다수의 삼각걸림편을 형성하며, 상기 요철클러치와 삼각걸림편이 형성된 윗면의 저면에는 밀폐돌기와 암나사를 형성하여 용기의 주입구에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한 내부캡;과를 결합하여 상기 외부캡을 누른 상태로 회전시켜 내부캡을 용기에서 분리하여 주입구를 열 수 있도록 용기 뚜껑을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테두리(202)의 외주면을 손으로 돌릴 수 있도록 하는 외부캡(200)에 용기(400)의 주입구(410) 외주면 나사부(420)에 체결되는 내부캡(300)을 삽입하여 내부캡(300)의 상하단 돌출테(310)(311) 사이에 외부캡(200)의 멈춤테(210)가 위치하고, 그로 인하여 내부캡(300)이 외부캡(200)에서 이탈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뚜껑(100)을 구성한다.
이때 상기 외부캡(200)은 내부 윗면(201)과 테두리(202) 사이의 모서리에 다수의 요철클러치(220)를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그 내부 윗면(201)에는 일측단만이 윗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다수의 탄성편(230)을 등간격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외부캡(200)의 내부로 삽입되는 내부캡(300)은 외주면에 형성된 상측의 돌출테(310) 윗면에는 외부캡(200)의 요철클러치(220)에 치합되는 요철클러치(320)를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그 내측에는 다수의 삼각걸림편(330)을 형성하며, 상기 요철클러치(320)와 삼각걸림편(330)이 형성된 내부캡(300)의 내부 저면에는 밀폐돌기(340)와 암나사(350)를 형성하여 용기(400)의 주입구(410)에 착탈할 수 있도록 내부캡(300)을 구성한다.
이때 상기 내부캡(300)에 형성된 다수의 삼각걸림편(330)은 바람개비타입으로 배열 구성하면서 수직면(331)과 경사면(332)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끝단면(231)이 구비된 외부캡의 탄성편(230)이 걸리거나 타고 넘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한편, 외부캡(200)에 형성된 요철클러치(220)와 내부캡(300)에 형성된 요철클러치(320)는 외부캡(200)을 하측으로 누를 때 서로 치합되어 외부캡(200)과 내부캡(300)이 동시에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각각 생산된 외부캡(200)과 내부캡(300)을 결합하되 외부캡(200) 내측으로 내부캡(300)을 삽입하면 내부캡(300)의 돌출테(310)(311) 사이에 외부캡(200)의 멈춤테(210)가 위치하게 되므로 내부캡(300)은 외부캡(200)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 내부캡(300)의 외부에서 외부캡(200)이 회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용기(400)의 주입구(410) 상단에 뚜껑(100)의 내부캡(300)을 씌우고 외부캡(200)을 잠그는 방향으로 돌리면 내부캡(300)은 정지된 상태에서 외부캡(200)만 회전하게된다.
이어서 회전하는 외부캡(200)의 탄성편(230)은 외부캡(200)에 일측단이 일체로 형성된 것이므로 외부캡(200)과 함께 회전하다가 탄성편(230)의 끝단면(231)이 내부캡(300)에 형성된 삼각걸림편(330)의 수직면(331)에 접촉되어 수직면(331)을 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외부캡(200)의 탄성편(230)이 내부캡(300)의 삼각걸림편(330)을 밀게 되면 내부캡(300)이 외부캡(200)과 함께 회전되므로 내부캡(300)의 암나사(350)가 용기(400)의 나사부(420)에 체결되어 용기(400)의 주입구(410)를 잠그게 될 뿐만 아니라, 내부캡(300)이 용기(400)에 체결될 때 내부캡(300)의 밀폐돌기(340)가 주입구(4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주입구(410)를 밀봉 폐쇄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뚜껑(100)이 닫힌 용기(400)에서 뚜껑(400)을 열기 위해 외부캡(200)을 잠그는 방향의 반대방향인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외부캡(200)에 형성된 탄성편(230)이 내부캡(300)의 삼각걸림편(330)에 형성된 경사면(332)을 타고 넘게 되므로 외부캡(200)만 겉돌게 되어 뚜껑(100)의 열림이 방지되고, 이로 인하여 어린이들이 용기(400) 내부의 위험물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상기와 같이 외부캡(200)이 겉도는 뚜껑(100)을 용기(100)에서 진짜로 열 때는 외부캡(200)을 하측으로 누르면 탄성편(230)이 내부캡(300)의 윗면에 지지된 채로 눌리면서 외부캡(200)이 내부캡(300)으로 하향 이동됨과 동시에 외부캡(200)에 형성된 요철클러치(220)가 내부캡(300)에 형성된 요철클러치(320)에 결합되므로 그 상태로 외부캡(200)을 회전시키면 외부캡(200)과 내부캡(300)이 함께 회전되어 내 부캡(300)의 암나사(350)를 용기(400)의 나사부(420)에서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용기(400)에서 뚜껑(100)을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내부캡과 외부캡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는 용기의 뚜껑을 잠글 때는 쉽게 잠그고 열 때는 외부캡을 눌러서 열 수 있도록 하되 내부캡과 외부캡에 각각 요철클러치를 형성함과 동시에 내부캡과 외부캡에 탄성편과 삼각걸림편을 형성함으로써 뚜껑을 열 때 어린이는 쉽게 열지 못하지만 어른들은 외부캡을 누른 상태로 어렵지 않게 뚜껑을 열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5)

  1. 손으로 돌릴 수 있도록 하는 외부캡과 용기의 주입구 외주면에 체결되는 내부캡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외부캡을 누른 상태로 회전시켜 용기에서 열 수 있도록 한 뚜껑에 있어서,
    내부 윗면과 테두리 사이의 모서리에 다수의 요철클러치를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그 내부 윗면에는 일측단만이 윗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편을 다수 형성한 외부캡과;
    상기 외부캡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외주면 상하단의 돌출테 사이에 외부캡의 멈춤테가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상측의 돌출테 윗면에는 외부캡의 요철클러치에 치합되는 요철클러치를 등간격으로 형성하면서 그 내측에 다수의 삼각걸림편을 형성하며, 상기 요철클러치와 삼각걸림편이 형성된 윗면의 저면에는 밀폐돌기와 암나사를 형성하여 용기의 주입구에 착탈할 수 있도록 형성한 내부캡과;를 결합하여 상기 외부캡을 누른 상태로 회전시켜 내부캡을 용기에서 분리하여 주입구를 열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용기 뚜껑.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캡에 형성된 다수의 삼각걸림편은 수직면과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외부캡을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상기 수직면에 외부캡의 탄성편 끝 단면이 접촉되면 내부캡이 회전하면서 잠기고, 외부캡이 상기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탄성편이 경사면을 타고 넘으면서 겉돌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용기 뚜껑.
  3.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캡에 형성된 다수의 삼각걸림편은 바람개비타입으로 배열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용기 뚜껑.
  4. 청구항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캡의 탄성편 끝단면에 내부캡의 삼각걸림편의 수직면이 접촉 회전되어 내부캡이 용기에 잠기면 내부캡의 밀폐돌기가 용기의 주입구 내로 삽입되어 주입구를 밀폐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용기 뚜껑.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캡에 형성된 요철클러치와 내부캡에 형성된 요철클러치는 뚜껑을 열기 위해 외부캡을 하측으로 누름에 따라 서로 치합되어 외부캡과 내부캡이 동시에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용기 뚜껑.
KR2020060009303U 2006-04-07 2006-04-07 용기 뚜껑 KR2004196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303U KR200419692Y1 (ko) 2006-04-07 2006-04-07 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9303U KR200419692Y1 (ko) 2006-04-07 2006-04-07 용기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692Y1 true KR200419692Y1 (ko) 2006-06-22

Family

ID=44482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9303U KR200419692Y1 (ko) 2006-04-07 2006-04-07 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69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395B1 (ko) * 2017-06-09 2018-06-04 김경훈 스트로 위치 변경이 가능한 병
USD1014251S1 (en) 2019-06-03 2024-02-13 Berlin Packaging, Llc Tamper evident closure assembly
USD1023755S1 (en) 2019-06-03 2024-04-23 Berlin Packaging, Llc Tamper evident closure assembl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395B1 (ko) * 2017-06-09 2018-06-04 김경훈 스트로 위치 변경이 가능한 병
USD1014251S1 (en) 2019-06-03 2024-02-13 Berlin Packaging, Llc Tamper evident closure assembly
USD1023755S1 (en) 2019-06-03 2024-04-23 Berlin Packaging, Llc Tamper evident closure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069B1 (ko) 측면 가압식 안전캡
WO2016015372A1 (zh) 喷液瓶及喷液瓶盖
JP3230241U (ja) 包装箱の安全錠構造
JP6670340B2 (ja) 密閉容器
KR200419692Y1 (ko) 용기 뚜껑
US10758455B2 (en) Pills dispensing device
JP2018058650A (ja) カプセル型内容物の排出速度が向上した包装容器
KR20030063325A (ko) 열림방지용 마개구조
KR100799504B1 (ko) 포장용 안전용기
KR101518258B1 (ko) 열림 방지용 용기 마개
US3739934A (en) Tamper-proof bottle closure
NO173382B (no) Beholder med skrukapsel
JP4881670B2 (ja) キャップ付き容器
KR100940527B1 (ko) 외압에 의해 파단되는 탄성개폐구를 갖는 마개
CN205738686U (zh) 一种集成式防潮组合药用容器及干燥容器
KR100563989B1 (ko) 어린이 보호용 캡
KR101169635B1 (ko) 빨대 고정용 하우징
KR200413210Y1 (ko) 접착제 용기 안전마개
KR200447604Y1 (ko) 방습제가 내재된 밀폐부재를 갖는 마개
TWM452926U (zh) 飲料容器密封蓋
KR200385312Y1 (ko) 열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용기 마개
KR200383084Y1 (ko) 안전용기
KR200405461Y1 (ko) 액체 세제용 용기의 캡구조
KR200408547Y1 (ko) 어린이 보호용 안전캡
CN209160417U (zh) 一种防止儿童开启的新型药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