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395B1 - 스트로 위치 변경이 가능한 병 - Google Patents

스트로 위치 변경이 가능한 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395B1
KR101852395B1 KR1020170072257A KR20170072257A KR101852395B1 KR 101852395 B1 KR101852395 B1 KR 101852395B1 KR 1020170072257 A KR1020170072257 A KR 1020170072257A KR 20170072257 A KR20170072257 A KR 20170072257A KR 101852395 B1 KR101852395 B1 KR 101852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bottle
rotation part
latching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2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훈
Original Assignee
김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훈 filed Critical 김경훈
Priority to KR1020170072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9/00Feeding-bottles in general
    • A61J9/006Feeding-bottles in general having elongated tubes, e.g. for drinking from bottle in upright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트로 위치 변경이 가능한 병은, 음료가 수용되는 병 본체와, 상기 병 본체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내측 회전부와, 상기 내측 회전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 회전부와 함께 회전하거나 상기 내측 회전부와는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외측 회전부와, 상기 내측 회전부에 형성된 바디 홀을 결합되고, 상기 병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스트로가 결합된 흡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회전부 외주면에는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된 복수의 회전 걸림홈이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외측 회전부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 걸림홈들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회전 걸림 돌기가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트로 위치 변경이 가능한 병{Bottle capable of changing straw position}
본 발명은 물이나 우유와 같은 음료의 보관 및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병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병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병 내부의 스트로 위치가 가변되도록 함으로써, 내부의 음료를 쉽게 섭취할 수 있는 병에 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병은 물이나 우유 등 섭취하고자 하는 음료를 담아 두었다가 스트로나 젖병 꼭지를 이용해서 해당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1) 내부의 스트로(2)는 병(1)이 기울어질 경우에 스트로(2) 역시 기울게 되고, 기울어진 바닥 모서리에 모여든 음료를 섭취하기 어려워진다.
어린이 또는 유아는 병(1) 내부의 음료를 마시는 도중에 병(1)을 기울이는 경우가 많은데, 스트로(2)의 단부가 수용된 음료에 닿지 않아 음료를 모두 섭취한 것으로 오인할 수도 있으며, 병(1)이나 스트로(2)를 어떻게 조작하여야 남아있는 음료를 섭취할 수 있을지를 알기 어렵다.
그리고, 보호자가 스트로(2)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노출되어 있는 스트로 일부를 손으로 직접 돌려서 스트로(2) 단부가 음료에 잠기도록 조정하여야 한다. 보호자가 스트로(2) 위치를 조정하기 위하여 병(1)을 가져가게 되면, 유아의 경우 그러한 상황 인식이 되지 않아 마시던 음료의 섭취가 중단되어 울음을 터트리곤 한다.
본 발명은 병 내부의 음료를 섭취하기 위한 물병 꼭지나 스트로를 입에 물고 있는 상황이러라도 보호자 또는 제 3 자가 물병을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내부의 스트로 위치도 함께 조정되는 병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병의 회전이 구성요소의 홈과 돌기의 맞물림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회전 여부를 쉽게 알 수 있으면서 회전의 정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병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스트로 위치 변경이 가능한 병은, 음료가 수용되는 병 본체와, 상기 병 본체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내측 회전부와, 상기 내측 회전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 회전부와 함께 회전하거나 상기 내측 회전부와는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외측 회전부와, 상기 내측 회전부에 형성된 바디 홀을 결합되고, 상기 병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스트로가 결합된 흡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회전부 외주면에는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된 복수의 회전 걸림홈이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외측 회전부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 걸림홈들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회전 걸림 돌기가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트로 위치 변경이 가능한 병은, 음료가 수용되는 병 본체와, 상기 병 본체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내측 회전부와, 상기 내측 회전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 회전부와 함께 회전하거나 상기 내측 회전부와는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외측 회전부와, 상기 내측 회전부에 형성된 바디 홀을 결합되고, 상기 병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스트로가 결합된 흡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회전부 외주면에는 소정 높이 돌출형성된 회전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회전부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 걸림 돌기에 접촉하면서 상기 회전 걸림 돌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회전 걸림홈들이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본 발명의 병에 의해서, 유아가 음료를 섭취하는 도중에도 보호자가 쉽게 내부 스트로 단부의 위치를 가변시켜줌으로써, 유아로부터 병을 뺏지 않더라도 음료의 섭취를 지속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병을 이용해 음료를 섭취하는 경우 스트로가 음료로부터 이격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트로 위치 변경이 가능한 병의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병을 구성하는 각 부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외측 회전부와 내측 회전부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내측 회전부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의 외측 회전부에 형성되는 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본 실시예의 내측 회전부의 바디 홀에 흡입 수단이 구성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회전 걸림홈과 회전 걸림 돌기를 이용한 회전 구조를 이용하여 스트로 위치를 변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측 회전부와 내측 회전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실시예의 외측 회전부 내주면에 형성되는 돌기 및 텐션홀의 다른 실시예들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설명에 사용되는 접미수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스트로 위치 변경이 가능한 병의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병을 구성하는 각 부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스트로 위치 변경이 가능한 병(100)은, 음료가 수용되는 병 본체(110)와, 상기 병 본체(110)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내측 회전부(130)와, 상기 내측 회전부(130)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선택적으로 상기 내측 회전부와 함께 회전하거나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외측 회전부(120)와, 상기 외측 회전부(120) 상측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140)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상기 외측 회전부(120)를 내측 회전부(130)쪽으로 가압하면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외측 회전부(120)와 내측 회전부(130)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내측 회전부(130)가 결합된 병 본체(11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외측 회전부(120)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내측 회전부(130)가 회전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병 본체(110) 내부에는 음료가 수용되고, 음료를 섭취하기 위한 스트로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병 본체(110)의 상측 외주면에는 나사산(111)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111)에 의하여 상기 내측 회전부(130)가 결합된다. 즉, 상기 내측 회전부(130)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산(111)에 결합될 수 있는 대응되는 형상의 홈 내지는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외측 회전부(120)는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외측 회전부(120)는 상기 내측 회전부(130)가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유아가 쥘 수 있는 손잡이가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내측 회전부(130)의 외주면 일부에는 회전 걸림홈(1321)과, 착탈 걸림홈(1322)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 걸림홈(1321) 아래에 상기 착탈 걸림홈(1322)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예의 변경에 따라서는 그 위치가 서로 바뀌어도 상관없다. 상기 외측 회전부(120)에는 상기 회전 걸림홈(1321)에 접촉하여 홈들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회전 걸림 돌기(125, 도 7 참조)와, 상기 착탈 걸림홈(1322)에 결합되는 착탈 걸림 돌기(126)가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회전 걸림 돌기(125)와 착탈 걸림 돌기(126)의 형상과 위치는 상기 회전 걸림홈과 착탈 걸림홈의 형상과 위치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야 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외측 회전부와 내측 회전부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의 내측 회전부의 상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의 외측 회전부에 형성되는 돌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외측 회전부(120)는 상기 내측 회전부(130)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홀이 구성되도록 형성된 외측 회전 바디(121)로 구성된다. 상기 외측 회전 바디(121)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 회전 바디(121) 외주면에는 유아가 용이하게 쥘 수 있는 형상의 손잡이(122)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내측 회전부(130)의 하측 단부에는 소정 크기로 돌출형성된 후크(139)가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후크(139)는 외측 회전부(120)의 하단부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내측 회전부(130)와 외측 회전부(120) 사이의 밀착이 이루어진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측 회전부(130)는 외측 회전부(120) 내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 회전부(120)를 회전시키거나 반대로 상기 내측 회전부(130)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내측 회전부(130)는 상기 병 본체(110)에 결합되어 있고, 유아가 상기 외측 회전부(120)의 손잡이를 쥐고 있는 때에, 보호자가 상기 병 본체(11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내측 회전부(130)가 상기 외측 회전부(120) 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상기 내측 회전부(130)에 결합된 스트로 역시 회전됨으로써, 병 본체 내부에서의 스트로 단부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본다.
본 실시예의 내측 회전부(130)는 상부를 형성하는 제 1 바디(131)와, 하부를 형성하는 제 2 바디(1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측 회전부(120)는 상기 내측 회전부(130)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홀이 형성된 외측 회전 바디(121)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회전 바디(121) 내주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소정 두께 돌출형성된 회전 걸림 돌기(125)와, 상기 회전 걸림 돌기(125)과는 이격되는 위치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착탈 걸림 돌기(126)가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내측 회전부(130)에는 바디 홀(1311)이 형성되며, 상기 바디 홀(1311)은 젖병 꼭지나 스트로 체결부가 삽입/결합된다.
상기 제 1 바디(131)는 제 2 바디(132) 위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바디(131)와 제 2 바디(132) 사이에는 외측 회전부(120) 결합시 걸림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측면 에지 영역에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바디(132) 외주면에는 외측 회전부(120)에 구성된 회전 걸림 돌기(125)가 접촉할 수 있는 회전 걸림홈(1321)이 복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바디(132) 외주면에는 외측 회전부(120)에 구성된 착탈 걸림 돌기(126)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 복수의 착탈 걸림홈(1322)이 형성된다.
상기 외측 회전부(120)에 구성되는 회전 걸림 돌기와 착탈 걸림 돌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사용자가 가하는 힘(회전시키는 힘)에 의하여 상기 회전 걸림 돌기가 상기 회전 걸림홈(1321)들 사이의 단차를 극복하여 인접한 회전 걸림홈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회전 걸림홈들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 높이의 단차부(1321a)는 상기 회전 걸림 돌기가 제 1 회전 걸림홈에서 인접한 제 2 회전 걸림홈으로 이동하는 때에 저항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실제에 있어서는 단차부(1321a)에 의하여 회전/이동시에 '딱'하는 소리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외측 회전부(120)와 내측 회전부(130)는 회전하는 대상을 어느 구성에 기준을 두느냐에 따라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외측 회전부(120)가 회전하는 표현은, 상기 내측 회전부(130)가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기준으로 상기 외측 회전부(120)가 상기 내측 회전부(130)를 주위를 회전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동일한 동작에 대해서도, 상기 내측 회전부(130)가 상기 외측 회전부(120) 내측에서 회전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즉, 상기 외측 회전부(120)와 내측 회전부(130)의 회전은 서로 상대적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외측 회전부의 회전 또는 내측 회전부의 회전은 반드시 어느 일방은 움직이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착탈 걸림홈(1322)들 역시 상기 제 2 바디(132) 외주면에 복수개 형성되는데, 착탈 걸림홈(1322)들 사이에는 외측 회전부의 착탈 걸림 돌기(126)가 인접한 착탈 걸림홈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1322a)이 소정 두께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착탈 걸림홈(1322)에 삽입되어 이동이 단속되는 착탈 걸림 돌기(126)는 상기 외측 회전부(120) 내주면에 하나만 형성되거나 도면에서와 같이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착탈 걸림 돌기의 형성 개수에 특별한 제한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외측 회전부(120)에 형성되는 회전 걸림 돌기(125)와 착탈 걸림 돌기(126)의 유동 거리를 부여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텐션홀이 형성된다. 상기 텐션홀은 외측 회전부 일부를 절개, 파쇄하거나 홀을 형성함으로써, 돌기들의 유동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회전부(120)에는 내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회전 걸림 돌기(125)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 걸림 돌기(125)로 하여금 소정 길이 유동되어 회전 걸림홈(1321)과의 결합이 용이해지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텐션홀(123)이 상기 회전 걸림 돌기(125)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 걸림 돌기(125)로부터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홀로서, 상기 회전 걸림 돌기(125)가 소정 깊이 내측 또는 외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 1 텐션홀(123)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텐션홀(123)은 원형의 일반적인 홀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 또는 n자 형과 같이 상기 회전 걸림 돌기(125)의 일측을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착탈 걸림 돌기(126) 역시 상기 외측 회전부(120) 내주면에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착탈 걸림 돌기(126)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유동을 부여하기 위한 제 2 텐션홀(124)이 형성된다. 만약, 착탈 걸림 돌기(126)가 복수개 형성되는 경우라면, 상기 제 2 텐션홀(124)은 복수의 착탈 걸림 돌기(126)들로 하여금 유동 거리를 부여할 수 있는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외측 회전부(120) 내주면에 형성되는 회전 걸림 돌기(125), 착탈 걸림 돌기(126), 회전 걸림 돌기(125)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제 1 텐션홀과, 착탈 걸림 돌기(126)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제 2 텐션홀의 다양한 실시예는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도 17 내지 도 19에는 착탈 걸림 돌기(126)가 4개 정도 구성되고, 상기 회전 걸림 돌기(125)가 한개 형성되는 경우들이 예시되어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 돌기들의 개수 및 크기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착탈 걸림 돌기(126)는 사용자가 상기 외측 회전부(120)는 내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때에 상기 착탈 걸림홈(1322)에 삽입 및 고정될 수 수 있는데, 상기 착탈 걸림 돌기(126)와 착탈 걸림홈(1322) 사이의 결합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기 내측 회전부(130)를 병 본체(110)를 결합시키거나 반대로 분리시키고자 하는데 이용된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병 본체(110)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외측 회전부(120)를 회전시키게 되면, 병 본체(110)와 내측 회전부(130) 사이의 결합과는 무관하게 상기 외측 회전부(120)가 내측 회전부(130)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상기 병 본체(110)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외측 회전부(120)를 상기 내측 회전부(130)로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외측 회전부(12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착탈 걸림홈(1322)에 착탈 걸림 돌기(126)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외측 회전부(120) 및 내측 회전부(130)가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내측 회전부(130)의 회전도 함께 이루어져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병 본체(110)에 내측 회전부(130)가 결합되거나 반대로 분리된다. 상기 착탈 걸림 돌기(126)에 인접하게 형성된 제 2 텐션홀(124)에 의하여, 착탈 걸림 돌기(126)는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상기 착탈 걸림홈(1322) 내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8과 도 9는 본 실시예의 내측 회전부의 바디 홀에 흡입 수단이 구성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흡입 수단은 스트로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젖병 꼭지 또는 스트로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도 좋다.
흡입 장치(200)는 내측 회전부(130)의 바디 홀(1311)에 삽입 및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부에 결합되어 있거나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된 스트로(210)가 구비된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회전 걸림홈과 회전 걸림 돌기를 이용한 회전 구조를 이용하여 스트로 위치를 변경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회전부(130) 외주면에는 회전 걸림홈(1321)과 착탈 걸림홈(1322)이 구성된다. 도면에는 착탈 걸림홈(1322) 위에 회전 걸림홈(1321)이 배치되어 있으나, 이들 위치는 외측 회전부 내주면의 돌기들의 위치를 고려하여 반대로 배치되거나 또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용자가 상기 외측 회전부(120)를 손으로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외측 외전부(12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 회전 걸림 돌기(125)가 회전 걸림홈(1321)을 따라 이동하면서 단차부(1321a)에 의한 회전 저항이 극복하면서 인접한 회전 걸림홈으로 이동하게 되면 단차부(1321a)에 의한 소리가 발생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소리를 들으면서 회전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만약,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가 외측 회전부(120)의 손잡이(122)를 잡고서 병 본체(110) 내부의 음료를 섭취하고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병 본체(110)는 기울어진 상태가 되고 음료 양이 많이 줄어들게 되면 스트로(210)가 남아있는 음료에 닿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보호자가 병 본체(11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병 본체(110)에 결합되어 있는 내측 회전부(130)가 병 본체(110)와 함께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 회전부(120)의 손잡이는 유아가 잡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외측 회전부(120)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즉, 외측 회전부(120)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내측 회전부(130)가 회전하게 되므로, 내측 회전부(130)에 결합되어 있는 흡입 장치, 즉, 스트로(210) 역시 회전이 이루어진다. 그 결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로(210) 회전으로 인해 남아있는 음료의 섭취가 가능한 위치로 스트로 단부가 위치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보호자는 유아로부터 병을 뺏지 않은 상태에서 병 본체(110)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그 내부의 스트로(210) 단부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다.
도 15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측 회전부와 내측 회전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에서는, 내측 회전부 외주면에 회전 걸림홈과 착탈 걸림홈이 형성되고, 외측 회전부 내주면에는 대응되는 회전 걸림 돌기와 착탈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도 15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홈과 돌기는 상호간에 대응되는 위치에만 형성되면 되는 것이므로, 내측 회전부 외주면에 반드시 이들 홈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내측 회전부(130)의 외주면에 착탈 걸림홈(1322)이 복수개 형성되고, 그 일부에는 절개된 부위에 해당하는 내측 텐션홀(135)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텐션홀(135)에 인접한 위치에 회전 걸림 돌기(136)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측 회전부(120)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 걸림 돌기(136)가 이동될 수 있는 복수의 회전 걸림홈(127)들이 형성되고, 그 아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탈 걸림 돌기(126)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와 홈은 상호간에 위치 및 크기가 대응되면 충분하므로, 다양한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Claims (5)

  1. 음료가 수용되는 병 본체와,
    상기 병 본체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내측 회전부와,
    상기 내측 회전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측 회전부와,
    상기 내측 회전부에 형성된 바디 홀에 결합되고, 상기 병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스트로가 결합된 흡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회전부 외주면에는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된 복수의 회전 걸림홈이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외측 회전부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 걸림홈들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회전 걸림 돌기가 소정 높이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측 회전부가 상기 내측 회전부쪽으로 가압되면서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외측 회전부 및 내측 회전부가 함께 회전하게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병 본체가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외측 회전부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내측 회전부가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 위치 변경이 가능한 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회전부 외주면에는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된 착탈 걸림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착탈 걸림홈들 사이에는 돌출 형성된 걸림턱이 더 형성되고,
    상기 외측 회전부 내주면에는 상기 착탈 걸림홈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착탈 걸림 돌기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회전 걸림 돌기 및 착탈 걸림 돌기의 유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 걸림 돌기 및 착탈 걸림 돌기 각각의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외측 회전부를 절개하거나 홀을 형성한 텐션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 위치 변경이 가능한 병.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걸림홈들 사이에는 소정 높이 돌출되어 상기 회전 걸림 돌기의 이동시에 저항을 제공하면서 소리가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 위치 변경이 가능한 병.
  4. 음료가 수용되는 병 본체와,
    상기 병 본체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내측 회전부와,
    상기 내측 회전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외측 회전부와,
    상기 내측 회전부에 형성된 바디 홀에 결합되고, 상기 병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스트로가 결합된 흡입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회전부 외주면에는 소정 높이 돌출형성된 회전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회전부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 걸림 돌기에 접촉하면서 상기 회전 걸림 돌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회전 걸림홈들이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외측 회전부가 상기 내측 회전부쪽으로 가압되면서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외측 회전부 및 내측 회전부가 함께 회전하게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병 본체가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외측 회전부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내측 회전부가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 위치 변경이 가능한 병.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회전부 외주면에는 소정 깊이 함몰 형성된 착탈 걸림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착탈 걸림홈들 사이에는 돌출 형성된 걸림턱이 더 형성되고,
    상기 외측 회전부 내주면에는 상기 착탈 걸림홈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탈 걸림 돌기와, 상기 회전 걸림 돌기 및 착탈 걸림 돌기의 유동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 외측 회전부의 일부가 절개 또는 파쇄 또는 홀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진 텐션홀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 위치 변경이 가능한 병.
KR1020170072257A 2017-06-09 2017-06-09 스트로 위치 변경이 가능한 병 KR101852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257A KR101852395B1 (ko) 2017-06-09 2017-06-09 스트로 위치 변경이 가능한 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2257A KR101852395B1 (ko) 2017-06-09 2017-06-09 스트로 위치 변경이 가능한 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395B1 true KR101852395B1 (ko) 2018-06-04

Family

ID=62628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2257A KR101852395B1 (ko) 2017-06-09 2017-06-09 스트로 위치 변경이 가능한 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3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322U (ko) * 2020-04-09 2021-10-19 윤기문 젖병의 양손잡이 조립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877Y1 (ko) * 2003-04-16 2003-07-04 주식회사 비제이엘 병마개
KR200419692Y1 (ko) * 2006-04-07 2006-06-22 주식회사 대성케미칼 용기 뚜껑
KR100823398B1 (ko) * 2007-01-11 2008-04-17 김기성 유출구의 개폐가 용이한 병뚜껑
KR20160004174U (ko) * 2015-05-28 2016-12-07 주식회사 아가프라 수밀성을 갖는 유아용 텀블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877Y1 (ko) * 2003-04-16 2003-07-04 주식회사 비제이엘 병마개
KR200419692Y1 (ko) * 2006-04-07 2006-06-22 주식회사 대성케미칼 용기 뚜껑
KR100823398B1 (ko) * 2007-01-11 2008-04-17 김기성 유출구의 개폐가 용이한 병뚜껑
KR20160004174U (ko) * 2015-05-28 2016-12-07 주식회사 아가프라 수밀성을 갖는 유아용 텀블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2322U (ko) * 2020-04-09 2021-10-19 윤기문 젖병의 양손잡이 조립구조
KR200495525Y1 (ko) * 2020-04-09 2022-06-13 윤기문 젖병의 양손잡이 조립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45311C (en) Spillproof container assemblies
US7156253B2 (en) Single-piece paper cup sip adaptor
US20030192891A1 (en) Paper cup sip adaptor
JP2017036089A (ja) 飲料容器用の蓋及び飲料容器
KR101466553B1 (ko) 유아용 음료용기
US20060213912A1 (en) Child-proof drink bottle
TWI786314B (zh) 飲料容器之蓋
CA2520447A1 (en) Cup assembly
US20060213856A1 (en) Handled drinking container
US11851255B2 (en) Beverage lid with built-in stirrer
JP2019181206A (ja) フードジャー
KR101852395B1 (ko) 스트로 위치 변경이 가능한 병
TWI661823B (zh) 雙組態之瓶總成
JP2006160366A (ja) 飲料用カップの蓋
JP2018000603A (ja) 幼児用マグカップ
JP3585330B2 (ja) 飲料用容器
JP4041682B2 (ja) 市販ボトル用アダプタ
US20200397166A1 (en) Textured lid for a drinking container
KR20100137828A (ko) 빨대 고정용 하우징
JP2019156480A (ja) 飲料用容器の栓体並びに飲料用容器
JP7054280B1 (ja) 飲料缶用の吸引装置
JP2001192038A (ja) ペットボトル用容器
GB2484013A (en) Non-spill cup with a plurality of sipping apertures
JP2006062732A (ja) 飲料容器
JPH0621485Y2 (ja) マグカップ型哺乳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