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8319A - 빨대용 마개 - Google Patents

빨대용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8319A
KR20240038319A KR1020220116978A KR20220116978A KR20240038319A KR 20240038319 A KR20240038319 A KR 20240038319A KR 1020220116978 A KR1020220116978 A KR 1020220116978A KR 20220116978 A KR20220116978 A KR 20220116978A KR 20240038319 A KR20240038319 A KR 20240038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stopper
mouth
present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현정
Original Assignee
남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현정 filed Critical 남현정
Priority to KR1020220116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8319A/ko
Publication of KR20240038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831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를 마시지 않는 상황에서 사용자의 입이 닿이는 빨대의 입구를 덮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공기중의 바이러스나 각종 오염물질이 빨대의 입구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빨대용 마개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빨대의 입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빨대의 입구에 끼워지는 빨대용 마개에 있어서, 상면 중앙으로 상기 빨대의 입구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홈이 함몰 형성된 마개본체 및 상기 마개본체의 하면에 로드로 연결 구성되는 흡착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빨대용 마개{A STRAW STOPPER}
본 발명은 빨대용 마개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를 마시지 않는 상황에서 사용자의 입이 닿이는 빨대의 입구를 덮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공기중의 바이러스나 각종 오염물질이 빨대의 입구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빨대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 용기는 다양한 형태가 고안될 수 있으나 음료를 수용할 수 있는 용기와 수용된 음료가 외부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뚜껑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유아 내지 아동이 사용하는 음료용 용기에 있어서는 이들의 음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빨대가 뚜껑에 구비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중 보관의 편의성을 위해 빨대가 구비된 뚜껑을 덮는 커버를 구비하기도 한다
특히 테이크아웃용 커피와 같은 음료가 담겨지는 컵에는 그 상면부측의 넓은 개구부를 밀폐하도록 뚜껑이 결합되며, 상기 뚜껑에는 커피를 유출시키거나 빨대의 투입을 안내하는 토출구가 형성된다. 즉, 테이크 아웃용 음료 컵에는 음료를 마시기 위한 빨대가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즉, 테이크 아웃용 음료 컵에 사용되는 빨대는 흔들림이 많이 발생되는 이동중이나 차내에서도 음료를 전혀 흘리지 않으면서 즐길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동중이나 혹은 상대방과 대화를 하는 등 음료를 마시지 않는 상황에서는 빨대의 입구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방치됨에 따라 공기중에 떠다니는 각종 유해 바이러스 등의 오염물질이 들러붙어 개인 위생을 해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20-0072159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료를 마시지 않는 상황에서 사용자의 입이 닿이는 빨대의 입구를 덮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공기중의 바이러스나 각종 오염물질이 빨대의 입구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빨대용 마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료를 마시기 위해 빨대에서 빨대용 마개를 분리하고 나면, 상기 분리된 빨대용 마개는 음료컵에 흡착 고정시키도록 하여 분실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빨대용 마개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빨대의 입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빨대의 입구에 끼워지는 빨대용 마개에 있어서, 상면 중앙으로 상기 빨대의 입구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홈이 함몰 형성된 마개본체 및 상기 마개본체의 하면에 로드로 연결 구성되는 흡착기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빨대용 마개는 음료컵을 들고 이동중이거나 혹은 대화를 위해 음료를 마시지 않는 상황에서는 빨대의 입구에 끼워넣어 빨대의 입구를 빨대용 마개로 덮어주도록 하여 음료를 마시지 않는 상황에서 사용자의 입이 닿이는 빨대의 입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공기중의 바이러스나 각종 오염물질이 빨대의 입구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개인 위생을 철저히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음료를 마시기 위해 빨대에서 빨대용 마개를 분리하고 나면, 상기 분리된 빨대용 마개는 음료컵에 흡착 고정시키도록 하여 분실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빨대용 마개의 전체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빨대용 마개가 빨대의 입구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3은 도 1에서 빨대용 마개를 음료컵에 흡착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도 1의 빨대용 마개 확대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빨대용 마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빨대용 마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빨대용 마개의 전체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빨대용 마개가 빨대의 입구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빨대용 마개를 음료컵에 흡착 고정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빨대용 마개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빨대용 마개(100)는 테이크 아웃용 음료컵이나 기타 다양한 음료컵(이하, 음료컵이라 칭함)(300)에 담겨진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하는 빨대(200)의 입구(210)를 포위하도록 하여 음료를 마시지 않는 상황에서 사용자의 입이 닿이는 빨대(200)의 입구(210)를 덮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공기중의 바이러스나 각종 오염물질이 빨대(200)의 입구(21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개인 위생을 철저히 관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빨대용 마개(100)는 크게 마개본체(10)로 외형을 구성한다.
상기 마개본체(10)는 빨대(200)의 입구(210)를 덮어 음료를 마시지 않는 상황에서 사용자의 입이 직접 닿이는 곳인 빨대(200)의 입구(2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포위한다. 상기 마개본체(10)의 상면에는 홈(12)이 형성되며, 상기 홈(12)으로 빨대(200)의 입구(210)가 삽입되며 빨대(200)의 입구(210)를 마개본체(10)로 덮어주게 된다.
상기 마개본체(10)는 다양한 재질로 성형할 수 있는 데,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마개본체(10)의 홈(12)에 빨대(200)의 입구(210)가 삽입되고 나면 상기 마개본체(10)가 가진 탄성력으로 빨대(200)의 입구(210)를 탄력적으로 가압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세척시 마개본체가 가지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마개본체(10)의 상면을 탄력적으로 벌여줄 수 있어 홈을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본체(10)는 시각적인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캐릭터나 다양한 홍보효과를 가진 디자인으로 제작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마개본체(10)에 함몰 형성되어 있는 홈(12)의 내면에는 요철 형태를 가지도록 돌기(14)를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돌기(14)는 마개본체(10)의 홈(12)에 빨대(200)의 입구(210)가 삽입되고 나면 빨대(200)의 입구(210) 외경을 가압하도록 하여 마개(100)를 빨대(200에 보다 견고히 고정시키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마개본체(10)에 함몰 형성되어 있는 홈(12)의 내면에는 단턱(16)을 마련하여 상기 홈(12)이 서로 다른 2가지의 직경을 가지도록, 바람직하게는 제 1, 2홈(12a, 12b)으로 나뉘어 구성하고, 상기 제 1, 2홈(12a, 12b)에 돌기(14)를 각각 돌출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홈(12a)은 상기 제 2홈(12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를 통해 빨대의 직경에 맞추어 상기 제 1, 2홈(12a, 12b)중 어느 하나의 홈에 빨대가 삽입되도록 하여 여러종류의 빨대에 맞추어 본 발명인 빨대용 마개(100)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마개본체(10)의 하단에는 흡착기(30)가 로드(20)로 연결 구성된다. 상기 흡착기(30)는 빨대용 마개(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예를 들어, 음료를 마셔야 하는 등)에 도 3에서와 같이 음료 컵(300)에 빨대용 마개(100)를 흡착 고정시켜 분실 위험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마개본체(10) 그리고 로드(20)로 연결되는 흡착기(30)는 사출과정에서 일체로 사출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빨대용 마개(100)는 흡착기(30)를 이용하여 음료컵(300)의 외면에 흡착시킨 상태로 고정토록 하며, 사용시 즉, 이동중이거나 혹은 대화를 위해 음료를 마시지 않는 상황에서는 흡착기(30)를 음료컵(300)에서 떼낸 다음, 상기 마개본체(10)의 홈(12)으로 빨대(200)의 입구(210)를 끼워넣어 빨대(200)의 입구(210)를 마개본체(10)로 덮어주도록 하여 음료를 마시지 않는 상황에서 사용자의 입이 닿이는 빨대(200)의 입구(2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공기중의 바이러스나 각종 오염물질이 빨대의 입구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개인 위생을 철저히 관리할 수 있게 된다.
10: 빨대본체 12: 홈
20: 로드 30: 흡착기
100: 빨대용마개 200: 빨대
300: 음료컵

Claims (1)

  1. 빨대(200)의 입구(2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빨대(200)의 입구(210)에 끼워지는 빨대용 마개에 있어서,
    상면 중앙으로 상기 빨대(200)의 입구(21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홈(12)이 함몰 형성된 마개본체(10) 및 ;
    상기 마개본체(10)의 하면에 로드(20)로 연결 구성되는 흡착기(3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용 마개.
KR1020220116978A 2022-09-16 2022-09-16 빨대용 마개 KR202400383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978A KR20240038319A (ko) 2022-09-16 2022-09-16 빨대용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978A KR20240038319A (ko) 2022-09-16 2022-09-16 빨대용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8319A true KR20240038319A (ko) 2024-03-25

Family

ID=90473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978A KR20240038319A (ko) 2022-09-16 2022-09-16 빨대용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831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159A (ko) 2018-12-12 2020-06-22 안효성 뚜껑을 끼울 수 있는 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159A (ko) 2018-12-12 2020-06-22 안효성 뚜껑을 끼울 수 있는 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1924A (en) Non-spill drinking vessel
US6752287B1 (en) Splash-proof beverage lid slide closure
US10898017B2 (en) No-spill drinking container
JP6114465B2 (ja) 幼児用飲料容器
KR20100008131A (ko) 캡수용부가 구비된 음료수 용기
US5893472A (en) Spout for valve assembly
JP2009056069A (ja) 飲料用容器及び飲料用容器の使用方法
US8118182B1 (en) Ergonomic beverage container
CA2532401C (en) Travel mug
KR200474817Y1 (ko) 테이크아웃 컵
KR102093774B1 (ko) 보조 수용 기구 및 이를 장착한 용기
KR20240038319A (ko) 빨대용 마개
KR100940527B1 (ko) 외압에 의해 파단되는 탄성개폐구를 갖는 마개
KR200271323Y1 (ko) 음용수단을 구비한 음료수 캔
KR200447604Y1 (ko) 방습제가 내재된 밀폐부재를 갖는 마개
KR101287850B1 (ko) 빨대 삽입용 커버
KR101169635B1 (ko) 빨대 고정용 하우징
JP2002347796A (ja) 市販ボトル装着用容器
KR100312993B1 (ko) 위생 캔 음료용기
KR200452146Y1 (ko) 외압에 의해 파단되는 탄성 개폐부를 갖는 마개
KR200339910Y1 (ko) 밀봉덮개를 구비한 약품용기
KR200367252Y1 (ko) 스트로우가 결합된 음료용 캔
KR200362564Y1 (ko) 스트로우가 구비된 음료용기
KR200242067Y1 (ko) 술잔
KR200386629Y1 (ko) 뚜껑 페트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