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215B1 - 방습제가 내재되는 위조방지 마개 - Google Patents

방습제가 내재되는 위조방지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215B1
KR101328215B1 KR1020110108827A KR20110108827A KR101328215B1 KR 101328215 B1 KR101328215 B1 KR 101328215B1 KR 1020110108827 A KR1020110108827 A KR 1020110108827A KR 20110108827 A KR20110108827 A KR 20110108827A KR 101328215 B1 KR101328215 B1 KR 101328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ontainer
circular protrusion
desiccan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4658A (ko
Inventor
이현하
최정구
Original Assignee
최정구
이현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구, 이현하 filed Critical 최정구
Priority to KR1020110108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215B1/ko
Publication of KR20130044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65D51/3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for desic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26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initial opening or unauthorised access being indicated by a visual change using indicators other than tearable means, e.g. change of colour, pattern or o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65D81/2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 B65D81/266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with provision for draining away, or absorbing, or removing by ventilation, fluids, e.g. exuded by contents; Applications of corrosion inhibitors or desiccators for absorbing gases, e.g. oxygen absorbers or desicc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5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edicinal tablets or 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약품류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합성수지재의 용기(100)에 결합 되는 마개(200) 하단측으로 결합구(250)가 구비되어 상기 용기(100) 상단 외주면에 강제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마개(200)와 결합구(250) 사이에 구비되는 위조방지태그(240)를 절취하여 힌지(260)를 중심으로 회동 개폐되도록 하되, 상기 마개(200) 상측 내면에 하방이 개구되는 제1원형돌출구(210)에 의해 이루어지는 공간부(211)를 형성하고, 상기 제1원형돌출구(210)로부터 이격되는 제2원형돌출구(220)를 형성하고, 제2원형돌출구(220)의 내측에 일측 단부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상기 제1원형돌출구(210)를 감싸는 것으로 다수의 통공(231)을 갖는 마감부재(230)로 이루어져, 상기 제1원형돌출구(210)의 공간부(211)에 수용되는 방습제(10)를 밀봉하는 마개(200)에 있어서, 상기 힌지(260)와 연결되는 부위의 결합구(250) 내면측으로는 절개홈(252)을 형성하는 것을 구성상 특징으로 하여,
영유아나 어린이가 부주의에 의해 방습제를 섭취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마개와 용기간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일정 힘이 가하여질 경우 쉽게 파단 될 수 있도록 하여, 마개의 위조방지태그를 손상시키지 않고서도 용기와 마개간의 분리 시도에 의한 위조 여부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는 방습제가 내재 되는 위조방지 마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습제가 내재되는 위조방지 마개{FORGERY CHECK CAP HAVE ALL SORTS A DESICCATING AGENT}
본 발명은 마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약품 관련된 용기에 적용되는 용기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에 방습제가 내입되는 용기에 있어서, 상기 방습제가 용기의 마개 부분에 내입 마감되도록 함은 물론, 마개의 언더컷에 의해 용기와 마개간 결합이 이루어진 후 유통과정에서의 마개 위조방지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는 방습제가 내재되는 위조방지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의약품이나 건강식품, 비타민 제재와 같이 습기에 취약한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한 유리병류나 또는 합성수지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용기에는, 상술한 다양한 내용물과 함께 별도의 방습제를 함께 투입하여 유통시키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이때의 방습제는 그 내용물과 접촉되지 않도록 알갱이 형태의 고형물을 통기성이 우수한 부직포 등으로 처리한 작은 포대 형태 내부에 밀봉처리하여 용기 내에 함께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방습제의 취급 및 사용 형태는 용기 내에 그 내용물과 함께 내재 되어 있으므로, 용기로부터 내용물을 꺼내거나 다시 투입하고자 하는 경우 방습제와의 간섭 및 방해 등을 받아 불편함을 격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방습제는 용기의 마개를 개봉하면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인지력이 발달하지 못한 영,유아나 어린이의 경우 방습제를 잘못 취급하여 섭취하게 되는 경우에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방습제를 밀봉하고 있는 포의 밀봉처리 상태가 불량하거나, 또는 잘 찢어지는 현상으로 인하여 내용물과 섞이거나 전술한 바와 같이 영유아나 어린이가 섭취할 수 있는 상태에 놓일 수 있어, 항상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한편, 종래의 용기의 경우 위조방지 등을 위해 마개가 열려지는 부위에 유통과정에서의 위조 여부를 파악, 확인하기 위한 위조방지태그를 형성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러한 위조방지태그의 경우 마개를 개봉하기 전에 먼저 사용자가 뜯어낸 후 마개를 개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유통과정에서 고가의 의약품이 담겨진 용기의 마개를 상기한 위조방지태그를 뜯어내지 않은 상태에서 강제로 개봉 한 후 재결합이 가능한 현상이 발견되어, 이에 대한 위조방지 여부를 확인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허공개번호 10-2010-0050065 특허공개번호 10-2010-0050702 특허공개번호 10-2009-0085390 실용신안등록 20-0447604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의약품과 같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내부에 종전과 같이 방습제가 함께 수용되는 것을 지양하고 마개의 내부 상측 부분에 방습제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여, 영유아나 어린이가 부주의에 의해 방습제를 섭취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토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개의 상면측으로 방습제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고 마개 상면을 밀폐 처리하는 부재를 채택하되 그 부재 상면으로 광고성 문자나 도형 등의 기재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여 마개 본연의 기능과 함께 광고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용기의 유통과정에서 발생 될 수 있는 위조 여부를 명확히 판별하기 위해 마개와 용기간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일정 힘이 가하여질 경우 쉽게 파단 될 수 있도록 하여, 마개의 위조방지태그를 손상시키지 않고서도 용기와 마개간의 분리 시도에 의한 위조 여부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의약품류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합성수지재의 용기(100)에 결합 되는 마개(200) 하단측으로 결합구(250)가 구비되어 상기 용기(100) 상단 외주면에 강제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마개(200)와 결합구(250) 사이에 구비되는 위조방지태그(240)를 절취하여 힌지(260)를 중심으로 회동 개폐되도록 하되, 상기 마개(200) 상측 내면에 하방이 개구되는 제1원형돌출구(210)에 의해 이루어지는 공간부(211)를 형성하고, 상기 제1원형돌출구(210)로부터 이격되는 제2원형돌출구(220)를 형성하고, 제2원형돌출구(220)의 내측에 일측 단부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상기 제1원형돌출구(210)를 감싸는 것으로 다수의 통공(231)을 갖는 마감부재(230)로 이루어져, 상기 제1원형돌출구(210)의 공간부(211)에 수용되는 방습제(10)를 밀봉하는 마개(200)에 있어서, 상기 힌지(260)와 연결되는 부위의 결합구(250) 내면측으로는 절개홈(252)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습제가 내재 되는 위조방지 마개를 제시한다.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의약품과 같은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와 결합되는 마개의 내부 상측 부분에 방습제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여, 영유아나 어린이가 부주의에 의해 방습제를 섭취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마개의 상면측으로 방습제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고 마개 상면을 밀폐 처리하는 부재를 채택하되 그 부재 상면으로 광고성 문자나 도형 등의 기재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여 마개 본연의 기능과 함께 광고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수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개와 용기간 결합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일정 힘이 가하여질 경우 쉽게 파단 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마개의 위조방지태그를 손상시키지 않고서도 용기와 마개간의 분리 시도에 의한 위조 여부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적용을 도시한 용기와 마개의 결합 상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채택되는 마개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면
도 3은 본 발명인 마개를 저면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마개 저면부에 고정되는 마감부재와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의한 상태를 개괄적인 단면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인 마개와 용기간 분리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채택되는 마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서의 마개와 커버부재간 분리 상태에서의 개괄적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7에 의한 마개와 커버부재간을 결합한 상태에서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의약품류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합성수지재의 용기(100)에 결합 되는 마개(200)에 있어서, 마개(200)의 상측 내면에 하방이 개구되는 제1원형돌출구(210)에 의해 이루어지는 공간부(211)를 형성하고, 상기 제1원형돌출구(210)로부터 이격되는 제2원형돌출구(220)를 형성하고, 제2원형돌출구(220)의 내측에 일측 단부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상기 제1원형돌출구(210)를 감싸는 마감부재(230)로 이루어져, 상기 제1원형돌출구(210)의 공간부(211)에 수용되는 방습제(10)를 밀봉하도록 하는 방습제가 내재되는 위조방지 마개를 제시한다.
상기 마개(200)는 의약품에 적용되는 마개를 일실시예로 택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보듯이 마개(200)는 통상의 마개를 이루는 것으로 마개(200)를 개봉하기전에 먼저 위조방지태그(240)를 절취한 다음 마개(200)를 개봉하는 것으로 마개(200)의 하단측으로는 용기(100)의 상단측과 강제 끼움 결합 되기 위한 결합구(25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결합구(250)는 하단 내측에 언더컷(251)을 형성하고 있어, 상기 언더컷(251)이 용기(100) 상단의 외주면측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구(110)에 강제 끼움 방식에 의해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구(250)와 마개(200)의 하단측으로 전술한 위조방지태그(240)가 절취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기(100)의 내용물을 최초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마개(200) 하단의 위조방지태그(240)를 절취하게 되고 마개(200)의 타측으로 힌지(260)에 의해 결합구(250)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마개(200)를 힌지(260)를 중심으로 회동 개폐된다.
한편, 상기 힌지(260)와 연결되는 부위의 결합구(250) 내면측으로는 절개홈(25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개홈(252)을 형성하는 것은 마개(200)의 위조방지태그(240)를 떼어내지 않는 상태에서 위조자가 결합구(250)에 온풍을 가한 후 용기(100)의 고정구(110)로부터 손쉽게 결합구(250)의 탈거가 가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위조자가 고가의 의약품 수량을 위조하거나 또는 내용물을 빼내기 위해 마개(200) 부분의 결합구(250)를 강제로 용기(100)의 고정구(110)와 이탈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때에는 위조방지태그(240)에는 어떠한 손상도 가해지지 않게 되어, 위조자가 마개(200)를 개방한 후 재차 용기(100)와 결합하더라도 외관상 전혀 위조 여부를 식별할 수 없었던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위조자가 용기(100)로부터 마개(200)의 결합구(250)를 용기(100)의 고정구(110)로부터 강제로 이탈시키고자 할 경우, 마개(200) 하단 즉 용기(100)의 고정구(110)와 강제 결착되어 있는 결합구(250)의 내측 즉 힌지(260) 방향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절개홈(252)이 외력에 의해 찢어지며 파손되어지므로 용기(100)로부터 마개(200)의 개방 및 위조 여부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마개(200)의 내측으로는 도 3 및 도 4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측 중앙을 기준으로 원형태의 제1원형돌출구(21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원형돌출구(210)와 이격되며 제2원형돌출구(220)가 돌출 형성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제1원형돌출구(210)에 의해 그 내부에는 자연스럽게 공간부(211)가 형성되는데 그 공간부(211)에 방습제(10)가 내입 되도록 하였다.
아울러 상기 제1원형돌출구(210)를 커버하기 위한 마감부재(230)를 구비한다.
상기 마감부재(230)는 도 4 및 도 5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원형돌출구(210)의 하단부를 커버함과 동시에 마감부재(230)의 외측단은 제2원형돌출구(220)의 단부 내측에 끼워지며 고정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2원형돌출구(220)의 단부 내측면으로는 걸림턱(221)을 형성하여 마감부재(230)의 외측단이 강제로 끼워지며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마감부재(230)는 도 5에서 보듯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부분은 움푹하게 파인 형태를 이루어 제1원형돌출구(210)의 단부와 접하며 제1원형돌출구(210)에 의해 이루어지는 공간부(211)를 밀폐하고 상기 공간부(211)와 연통되기 위한 통공(231)이 다수 천공되고, 상기 제1원형돌출구(210)와 접하는 부위로부터 연하여 2단절곡되는 절곡부(232)를 이루되 절곡면(233)은 마개(200)의 상면 내측과 접하도록 하되 절곡부(232)의 최외단측은 제2원형돌출구(220) 단부 내측으로 이루어지는 걸림턱(221)에 끼워지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제1원형돌출구(210) 및 제2원형돌출구(220)의 걸림턱(221)에 끼워지며 지지되는 마감부재(230)는 외력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므로 방습제(10)가 마개(200) 외부로 배출되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마감부재(230)의 통공(231)을 통해 용기(100)내 방습효과를 충분히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는 달리 도 6 내지 도 8 에서는 전술한 마개(200)에서의 방습제(10)를 수용하는 다른 예를 보이고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마개(200)의 내측 상면에 공간부(211)를 형성하는 것이고, 하기의 실시예는 마개(200)의 상면을 개구하도록 하여 마개(200) 외부에서 상면측에 강제 끼움 방식에 의해 체결되는 커버부재(270)에 의해 실시되도록 하였다.
먼저 상기한 커버부재(270)를 이용한 실시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마개(200)의 구성을 달리하여야 한다.
즉, 도 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개(200)의 상면이 개구되는 형태를 이루며 내부에 저장부(280)가 형성되도록 하고 저장부(280)의 저면으로는 다수의 통공(282)이 천공되도록 하고, 저장부(280)의 내주면으로는 걸림홈(281)이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상측 내주면에는 삽입홈(283)을 형성하였다.
한편, 상기 저장부(280)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부재(270)가 도 6 내지 도 7에서 보는바와 같이 구성되는데 상기 커버부재(270)는 상기 저장부(280)의 내주면에 밀착되며 강제 끼움 방식에 의해 끼워지며 고정되기 위한 구성으로 커버부재(270)의 하단 외주면측으로 돌기(271)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홈(281)에 강제로 끼워지도록 하였으며 커버부재(270)의 상면측 외주연은 테이퍼지며 돌출되도록 하는 돌출부(272)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마개(200)의 저장부(280) 내주면 상측으로 강제 압입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마개(200)의 저장부(280) 내주면 상측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홈(283)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272)가 삽입홈(283)측으로 유도 유입되며 전체적으로 커버부재(270)의 상면과 마개(200)의 상면이 평활하도록 하였다.
상기한 커버부재(270)의 상면은 도 6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양한 문자나 로고, 무늬 등의 표현이 가능하게 되므로 업체의 광고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광고연출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마개(200)와 용기(100)간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용기(100)의 유통과정시 또는 판매점이나 약국과 같이 용기(100)가 제품화되어 유통되는 시점에서, 위조자가 용기(100)로부터 마개(200)를 강제로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 즉 위조방지태그(240)의 파손 없이 마개(200)를 완전히 분리하고자 할 경우, 그 제공되는 힘에 의해 마개(200)의 위조방지태그(240) 하단으로 연결되며 이어지는 결합구(250)에 파단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파단력은 결합구(250) 내주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절개홈(252)에 그 힘이 전달되어 결합구(250)가 파단되는 현상을 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에 의해 마개(200)의 위조 여부 및 사용자가 사용하기 전에 제3자가 용기(100)로부터 마개(200)를 개방하였는지 여부를 확연하게 알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마개(200)에 적용되는 마감부재(230) 및 커버부재(270)에 의해 용기(100) 내부에 수용되는 내용물들과는 무관하게 방습제(10)가 마개(200)에 수용되어지므로, 영유아나 정신지체아 등 방습제(10)의 위험 여부를 판단할 수 없는자에 의해 섭취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방습제 100; 용기
110; 고정구 200; 마개
210; 제1원형돌출구 211; 공간부
220; 제2원형돌출구 221; 걸림턱
230; 마감부재 231; 통공
232; 절곡부 233; 절곡면
240; 위조방지태그 250; 결합구
251; 언더컷 252; 절개홈
260; 힌지 270; 커버부재
271; 돌기 272; 돌출부
280; 저장부 281; 걸림홈
282; 통공 283; 삽입홈

Claims (6)

  1. 삭제
  2. 의약품류의 내용물을 수용하는 합성수지재의 용기(100)에 결합 되는 마개(200) 하단측으로 결합구(250)가 구비되어 상기 용기(100) 상단 외주면에 강제로 결합되어지되 상기 마개(200)와 결합구(250) 사이에 구비되는 위조방지태그(240)를 절취하여 힌지(260)를 중심으로 회동 개폐되도록 하되, 상기 마개(200) 상측 내면에 하방이 개구되는 제1원형돌출구(210)에 의해 이루어지는 공간부(211)를 형성하고, 상기 제1원형돌출구(210)로부터 이격되는 제2원형돌출구(220)를 형성하고, 제2원형돌출구(220)의 내측에 일측 단부가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상기 제1원형돌출구(210)를 감싸는 것으로 다수의 통공(231)을 갖는 마감부재(230)로 이루어져, 상기 제1원형돌출구(210)의 공간부(211)에 수용되는 방습제(10)를 밀봉하는 마개(200)에 있어서, 상기 힌지(260)와 연결되는 부위의 결합구(250) 내면측으로는 절개홈(252)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습제가 내재 되는 위조방지 마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10108827A 2011-10-24 2011-10-24 방습제가 내재되는 위조방지 마개 KR101328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827A KR101328215B1 (ko) 2011-10-24 2011-10-24 방습제가 내재되는 위조방지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8827A KR101328215B1 (ko) 2011-10-24 2011-10-24 방습제가 내재되는 위조방지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658A KR20130044658A (ko) 2013-05-03
KR101328215B1 true KR101328215B1 (ko) 2013-11-14

Family

ID=48657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827A KR101328215B1 (ko) 2011-10-24 2011-10-24 방습제가 내재되는 위조방지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2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89849A (zh) * 2019-09-29 2020-02-14 赵孝虎 一种密封保鲜杂粮储物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910Y1 (ko) * 1988-02-15 1991-03-30 강달웅 방습제를 내장한 포장용 용기뚜껑
KR200447604Y1 (ko) * 2007-09-19 2010-02-10 문오형 방습제가 내재된 밀폐부재를 갖는 마개
KR20100138537A (ko) * 2009-06-25 2010-12-31 아성프라스틱공업 주식회사 제습부재가 구비된 원터치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1910Y1 (ko) * 1988-02-15 1991-03-30 강달웅 방습제를 내장한 포장용 용기뚜껑
KR200447604Y1 (ko) * 2007-09-19 2010-02-10 문오형 방습제가 내재된 밀폐부재를 갖는 마개
KR20100138537A (ko) * 2009-06-25 2010-12-31 아성프라스틱공업 주식회사 제습부재가 구비된 원터치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658A (ko) 201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8347A (en) Child resistant, user friendly container and closure
US8636160B2 (en) Safety container with safety locking part
US20150028033A1 (en) Tamper Evident Packaging
US9592937B1 (en) Tamper-evident container structure
JP6282354B2 (ja) 改良された不正開封証拠明示蓋
WO2017183952A1 (es) Sistema y dispositivos de cierre de seguridad para envases
EP2030908A1 (en) Tamper evident container
JP2008546609A (ja) 一体形注ぎ口装置および内部ストローを有するフレキシブル自立パウチ
JPH04215969A (ja) 容器の不正開封を明示するシール
CN107735336B (zh) 封闭盖
KR100646378B1 (ko) 안전용기
KR101328215B1 (ko) 방습제가 내재되는 위조방지 마개
JP5449960B2 (ja) 不正開封防止機構付きヒンジキャップ
CN109890708A (zh) 用于容器颈部的双层显窃启盖,包含容器和所述盖的系统以及用于制造所述盖的方法
KR20050009134A (ko) 열림방지용 마개구조
JP4447405B2 (ja) 開封識別容器
CN215157287U (zh) 一种防盗结构及防盗容器盖
CN206842066U (zh) 一种儿童安全药瓶
CN111566017A (zh) 容器用保护器
JP6682140B2 (ja) 不正開封防止機構付きヒンジキャップ
JP5709613B2 (ja) 不正防止キャップ
TWI354640B (en) Safety sealed reservoir cap
CN206654340U (zh) 一种显窃启儿童安全瓶
KR101020031B1 (ko) 병 및 병마개
CN112824250B (zh) 瓶子和用于瓶子颈部的安全密封封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