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235B1 - 누수 방지 가습장치 - Google Patents

누수 방지 가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235B1
KR101777235B1 KR1020110035702A KR20110035702A KR101777235B1 KR 101777235 B1 KR101777235 B1 KR 101777235B1 KR 1020110035702 A KR1020110035702 A KR 1020110035702A KR 20110035702 A KR20110035702 A KR 20110035702A KR 101777235 B1 KR101777235 B1 KR 101777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locking
water tank
water supply
suppl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2393A (ko
Inventor
송규완
김진민
배준형
박찬정
김봉석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32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Abstract

본 발명은 누수 방지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차단부가 일차적으로 물의 수위를 제한함으로써 수조가 기울어진 경우에도 어느 정도의 시간까지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누수 방지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가습장치는 물공급밸브가 구비된 물통이 설치되는 장치하우징; 및 장치하우징에 설치되되, 물통과 결합되어 물이 수용되도록 제공된 수조를 포함하되, 수조에는 물통이 안착되도록 형성된 물통결합부; 물통결합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물통결합부에 형성되어물공급밸브와 접촉되도록 제공된 접촉돌기; 및 접촉돌기를 둘러싸도록 물통결합부에 형성되어 차단공간을 형성하여, 물통과 수조가 기울어졌을 때 물공급밸브 안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제공된 차단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누수 방지 가습장치{HUMIDIFICATION APPARATUS FOR PREVENTING WATER LEAK}
본 발명은 누수 방지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차단부가 일차적으로 물의 수위를 제한함으로써 수조가 기울어진 경우에도 어느 정도의 시간까지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누수 방지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습도를 높이기 위해 인공적으로 습기를 생성 분무하는 가습장치는 습기의 생성 방법이 수조에 저장된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수증기를 실내로 자연 분무시키는 방식인 가열식 가습장치와, 수조에 저장된 물을 초음파 진동시켜 미세화된 물 입자를 실내로 분무시키는 방식인 초음파식 가습장치와, 가열식 가습방식과 초음파식 가습방식이 동시에 구비된 복합식 가습장치로 나뉜다.
최근에는, 수조에 가습필터를 침지시킨 후 가습필터 상부측으로 이동한 물을 송풍에 의하여 기화시키거나, 다수의 디스크의 일부분을 수조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크 표면에 부착된 물을 송풍에 의하여 기화시키는 등의 방식을 사용하는 자연식(송풍식) 가습장치도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가습장치는 수조와 수조에 결합된 물통이 기울어지면, 물통에 내수압이 걸리는 기준점이 올라가게 된다. 이에, 물통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접촉돌기에 결합된 물공급밸브가 개방된다.
이로 인해, 물통에서 수조로 계속적으로 물이 공급되어, 수조 내의 물의 수위가 일정 수위로 유지되지 않고 수조 내의 물이 외부로 넘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조가 기울어졌을 때 물통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물통의 물이 수조로 유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조에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누수 방지 가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단부가 일차적으로 물의 수위를 제한함으로써 수조가 기울어진 경우에도 어느 정도의 시간까지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누수 방지 가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가습장치는 물공급밸브가 구비된 물통이 설치되는 장치하우징; 및 장치하우징에 설치되되, 물통과 결합되어 물이 수용되도록 제공된 수조를 포함하되, 수조에는 물통이 안착되도록 형성된 물통결합부; 물통결합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물통결합부에 형성되어 물공급밸브와 접촉되도록 제공된 접촉돌기; 및 접촉돌기를 둘러싸도록 물통결합부에 형성되어 차단공간을 형성하여, 물통과 수조가 기울어졌을 때 물공급밸브 안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제공된 차단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차단부는 접촉돌기로부터 일정 반경으로 이격되어 접촉돌기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원호형 세그먼트와, 원호형 세그먼트의 양종단으로부터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접촉돌기를 둘러싸도록 제공된 경사형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경사형 세그먼트는 원호형 세그먼트보다 낮은 높이를 가져, 물통결합부로 공급된 물이 경사형 세그먼트를 통해 차단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제공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수용부의 상단에는 수조가 기울어졌을 경우에, 수용부 내의 물이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제공된 가로리브가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가로리브는 물통결합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가습장치는 물공급밸브가 구비된 물통이 설치되는 장치하우징; 및 장치하우징에 설치되되, 물통과 결합되어 물이 수용되도록 제공된 수조를 포함하되, 수조는 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물공급밸브와 접촉되도록 제공된 접촉돌기를 구비하고, 수용부에 안착되어 차단공간을 형성하여, 물통과 수조가 기울어졌을 때 물공급밸브 안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제공된 차단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수용부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수용부에는 차단부의 이탈을 방지토록 제공된 차단부지지돌기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차단부는 수용부의 일정 공간을 차지토록 제공된 차단몸체; 차단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물공급부안착홈; 물공급부안착홈에 구비되어, 물공급밸브와 접촉되도록 제공된 접촉돌기; 및 물통에서 공급된 물이 수용부로 유동되도록 물공급부안착홈에 구비된 복수 개의 유입홀을 구비하여, 물통에서 수용부로 공급되는 물의 투입면적을 제한토록 제공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유입홀은 접촉돌기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된 소형 개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차단몸체는 외측면에 차단공간 내의 물을 수용부로 배출토록 제공된 복수 개의 몸체개구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수용부의 상부에는 수용부를 덮도록 제공된 물통결합부가 구비되고, 물통결합부 상에는 물통이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 차단몸체는 차단몸체의 상부가 물통결합부와 실링되도록 수용부와 물통결합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수조 내의 접촉돌기 감싸도록 제공된 차단부가 수조가 기울어졌을 때 접촉돌기와 결합된 물공급밸브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단부로 하여금 일차적으로 물의 수위를 제한함으로써 수조가 기울어진 경우에도 어느 정도의 시간까지는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가습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가 형성된 수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수조와 물통이 결합된 상태에서 수조와 물통이 기울어지지 않았을 때의 수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수조와 물통이 결합된 상태에서 수조와 물통이 기울어졌을 때의 수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가습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가습수단에 대한 분해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수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8의 (b)는 도 8의 (a)의 A-A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의(a)는 차단부가 설치되지 않은 수조에 물통이 결합된 상태에서, 수조가 기울어지지 않은 정상상태에서의 수위(W)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9의 (b)는 수조가 기울어진 상태에서의 수위(W1)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차단부가 설치된 수조에 물통이 결합된 상태에서, 수조가 기울어지지 않은 정상상태에서 차단공간의 수위(W)와 수용부의 수위(W')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0의 (b)는 수조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차단공간의 수위(W2) 및 수용부의 수위(W2')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가습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가습장치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가 형성된 수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수조와 물통이 결합된 상태에서 수조와 물통이 기울어지지 않았을 때의 수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5는 수조와 물통이 기울어졌을 때의 수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이다. 한편, 도 4 및 도 5에서 일점쇄선(W)은 물의 수위를 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가습장치(100)는 수조가 물통에 결합된 상태에서 기울어졌을 때 물통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물통의 물이 수조로 유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물이 수조에서 넘쳐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가습장치(100)는 흡입구(111)와 토출구(113)를 구비한 장치하우징(110), 장치하우징(110)에 설치되어 물을 수용하는 물통(120)과, 장치하우징(110)에 설치되되 물통(120)과 결합되는 수조(1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장치하우징(110)과 물통(120), 장치하우징(110)과 수조(130), 그리고, 물통(120)과 수조(130)는 상호 간에 탈착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장치하우징(110) 및 물통(120)에 대해서는 특별하게 형상을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가변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치하우징(110) 내부에는 미도시되었지만, 수조(130)의 수용부(133)에 장착되는 가습필터 및 외부 공기를 장치하우징(110) 내부로 흡인하는 송풍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물통(12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형성된 물공급개구(121), 물공급개구(121)를 폐쇄하는 물통캡(123), 및 물통캡(123)에 형성된 물공급밸브(125)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물공급밸브(125)는 접촉돌기(132)와 접촉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수조(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120)과 결합되는 물통결합부(131)와, 물통결합부(131)와 일체로 형성된 수용부(13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수용부(133)는 물통결합부(131)와 연통된 구조를 가져 물통결합부(131)로부터 유동된 물이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물통(120)과 결합되는 물통결합부(131)에는 물이 담기는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접촉돌기(132)가 형성된다. 여기서, 접촉돌기(132)는 물통결합부(131)의 바닥면에서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접촉돌기(132)는 물통(120)의 하부에 위치된 물공급밸브(125)와 접촉되도록 제공된 것으로서, 물통(120)이 수조(130)에 설치될 때, 물공급밸브(125)와 접촉되어 물공급밸브(125)를 개방시키는 부재이다.
그리고, 접촉돌기(132) 주변에는 물통결합부(131)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차단부(135)가 위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135)는 접촉돌기(132)를 둘러싼 형상을 가진다. 차단부(135)에 의해, 물통결합부(131)에는 접촉돌기(132) 주변에 별도의 차단공간(136)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차단부(135)의 형상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단부(135)는 원호형 세그먼트(135a)와, 원호형 세그먼트(135a)의 양종단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경사형 세그먼트(135b)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원호형 세그먼트(135a)는 접촉돌기(132)로부터 일정 반경으로 이격되어 접촉돌기(132)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부재이다. 원호형 세그먼트(135a)는 접촉돌기(132)의 높이와 비슷한 높이 만큼 물통결합부(131)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경사형 세그먼트(135b)는 원호형 세그먼트(135a)의 양종단으로부터 물통결합부(131)의 바닥면을 향해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부재이다.
경사형 세그먼트(135b)는 일단이 원호형 세그먼트(135a)의 양종단으로부터 연장되고, 타단은 물통결합부(131)에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경사형 세그먼트(135b)의 타단은 물통결합부(131)의 바닥면으로부터 대략 8mm 만큼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경사형 세그먼트(135b)의 타단의 높이는 원호형 세그먼트(135a)의 높이보다 대략 2 내지 3mm 만큼 차이가 나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차단공간(136)에 수용된 물은 경사형 세그먼트(135b)의 타단 상부를 넘어 물통결합부(131)로 유동되어, 수용부(133)로 흐른다. 또는, 물통결합부(131) 내의 물은 경사형 세그먼트(135b)의 타단 상부를 넘어 차단공간(136)으로 유입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120)과 수조(130)가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인 경우에, 차단공간(136)에서의 물의 수위는 물통결합부(131)와 수용부(133)에서의 물의 수위(W)와 동일하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120)과 수조(130)가 기울어진 경우에는, 차단공간(136)에서의 물의 수위(W1)은 물통결합부(131)와 수용부(133)에서의 물의 수위(W)보다 높다.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30)가 기울어졌을 때, 차단부(135)에 의해 물통결합부(131)에서 수용부(133)쪽으로 흐르는 물의 유동이 일부 차단됨으로써, 차단공간(136)에서 물의 수위(W1)가 어느 정도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수조(130)와 물통(120)이 기울어졌을 때, 예컨대 수조(130)가 대략 10도까지 기울어졌을 때에도 차단공간(136)에는 물이 수용된 상태로 유지되어, 물통(120)의 내수압이 종전과 거의 유사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이에, 물공급밸브(125)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접촉돌기(132)와 결합된 물공급밸브(125)가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가습장치(100)는 수조(130)가 기울어진 경우라도 수조(130) 내의 물이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30)와 물통(120)이 기울어졌을 때, 차단부(135) 이외에 수조(130) 내의 물이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용부(133) 상단에 가로리브(137)가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로리브(137)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결합부(131)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수조(130)가 기울어져 수용부(133)에 수용된 물이 수용부(133)에서 넘쳐질 수 있는 경우에도, 가로리브(137)에 의해 수용부(133)에서의 물넘침이 방지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가습장치(20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가습장치(200)는 장치하우징(210), 필터수단(220), 가습수단(230) 및 송풍수단(27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하우징(210)은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을 보호하기 위해 제공된 부재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장치하우징(210)의 예로서 하단에 흡입구(212)가 구비되고, 상단에 토출구(216)가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장치하우징(210)이 상하로 분리되는 구조라면, 그 내에서 포함되는 부품의 위치 및/또는 종류 등에 대해서는 제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6에 예시된 누수 방지 가습장치(20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하우징(210)은 외면이 유선형으로 만곡되며, 원형 횡단면을 가진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장치하우징(210)은 상하로 분리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장치하우징(210)의 하부부분을 하부장치하우징(211)이라 지칭하고, 장치하우징(210)의 상부부분을 상부장치하우징(215)이라 지칭하기로 하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장치하우징(211)의 하면에는 송풍수단(270)의 작동시 외부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21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흡입구(212)는 하부장치하우징(211)의 하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통기구멍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부장치하우징(211)의 하면에는 받침대(213)가 구비된다. 여기서, 받침대(213)는 하부장치하우징(211)의 하면과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형성하여 외부공기가 상기 복수 개의 통기구멍으로 용이하게 유입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하부장치하우징(211)의 하단 내주면에는 필터수단(220)이 안착되는 필터수단장착홈(214)이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부장치하우징(215)은 하부장치하우징(211)의 상부에 위치된다. 상부장치하우징(215)의 상면에는 상부장치하우징(215)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토출구(216)가 구비된다. 여기서, 토출구(216)는 필터수단(220)과 가습수단(230)을 경유하여 필터링 및/또는 가습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공간이다.
그리고, 상부장치하우징(215)에는 가습 장치(200)의 미관을 유려하게 하도록, 무드등(217)과 같은 장치가 설치된다. 이때, 무드등(217)은 제어유닛(280)에 연결되어, 무드등(217)의 작동이 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장치하우징(215)의 상단에는 무드등(217)을 보호하기 위한 상부데크(218)가 결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부장치하우징(215)에는 송풍수단(270)과 송풍수단(27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280)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필터수단(220)은 상술했던 바와 같이 하부장치하우징(211)에 설치된다. 이때, 필터수단(220)은 송풍수단(270)에 의해 장치하우징(210)으로 유입된 외부공기를 청정토록 흡입구(212)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수단(220)은 필터프레임(221), 공기청정필터(223), 필터프레임(221)을 하부장치하우징(211)에 결합하는 필터수단고정부재(225)를 포함한다. 여기서, 필터프레임(221)은 내부에 공기청정필터(223)가 고정되도록 고리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공기청정필터(223)는 필터프레임(221)의 내주면에 고정되도록 원형 현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공기청정필터(223)는 일면이 흡입구(212)를 향하도록 위치되고, 다른 일면이 송풍수단(270)을 향하도록 하부장치하우징(211)에 설치된다.
공기청정필터(223)는 송풍수단(270)에 의해 외부에서 흡입된 외부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특성 및 입자의 크기에 따라 단계적으로 걸러낼 수 있도록 여러 층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예를 들어, 공기청정필터(223)로는 프리필터, 전처리필터, 헤파 필터 등 여러 종류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공기를 청정토록 제공된 필터 부재라면, 필터의 부가적 기능, 설치 개수, 종류에 대해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공기청정필터(223)가 설치된 필터프레임(221)의 상부에는 필터수단고정부재(225)가 위치된다. 이때, 필터수단고정부재(225)는 필터프레임(221)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필터수단장착홈(214)에 끼움 결합되어, 하부장치하우징(211)에 고정된다. 한편, 필터수단고정부재(225)의 상단에는 가습수단(230)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습수단(230)은 필터수단(220)과 송풍수단(270) 사이에서 하부장치하우징(211)에 설치되어, 필터수단(220)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를 가습시키는 부재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수단(230)은 수조(240), 물통(250) 및 가습필터(260)를 포함한다. 그리고, 수조(240)는 수용부(241), 물통결합부(243) 및 차단부(24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수용부(241)는 물통(250)에서 공급된 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241)는 하부장치하우징(21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원형 횡단면인,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241)에는 차단부(246)의 안착시 차단부(246)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부지지돌기(242)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물통결합부(243)는 수용부(241)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습필터(260)와 물통(250)이 안착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수용부(241)를 덮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물통결합부(243)에는 가습필터(260)가 수조(240)의 내주면을 따라 안착되도록 형성된 가습필터안착개구(245)와 물통(250)의 물공급부(252)가 삽입되는 물유입개구(244)가 구비된다.
여기서, 물유입개구(244)는 물통(250)의 물공급부(252)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물통결합부(243) 상에는 물통(250)이 안착되고, 이때 물공급부(252)는 물유입개구(244)로 삽입되어 차단부(246)의 물공급부안착홈(248)에 안착된다.
가습필터안착개구(245)는 가습필터(260)가 수조(240)에 침지되도록 설치될 때, 가습필터(260)를 지지토록 제공된 공간이다. 가습필터안착개구(245)는 가습필터(260)가 반원 형상을 이루면서 설치되도록 물통결합부(243)의 원주방향을 따라 부채꼴의 호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246)는 수용부(241)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차단부(246)는 차단몸체(247), 물공급부안착홈(248), 접촉돌기(249) 및 복수 개의 유입홀(248a)을 구비한다.
여기서, 차단몸체(247)는 수용부(241)에 형성된 차단부지지돌기(242)에 의해 고정되어 수용부(241)의 일정공간을 차지토록 수용부(241)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차단몸체(247)는 수용부(241)와 물통결합부(243) 사이의 일부 공간을 폐쇄하여 차단공간(246a)을 형성하여, 수용부(241)로 공급되는 물의 투입면적을 제한할 수 있도록 제공된 부재이다.
여기서, 차단몸체(247)는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차단몸체(247)는 수용부(241)에 안착되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몸체(247)의 상부면과 수용부(241)의 바닥면 사이에 차단공간(246a)을 형성한다.
그리고, 차단몸체(247)의 외측면에는 복수 개의 몸체개구(247a)가 구비된다. 여기서, 몸체개구(247a)는 차단공간(246a)에 물이 수용된 경우에, 차단공간(246a)에 수용된 물을 차단공간(246a)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개구이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 차단몸체(247)의 상부에는 물공급부안착홈(248)이 구비된다. 여기서, 물공급부안착홈(248)은 차단몸체(247)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홈으로써, 물통(250)의 물공급부(252)가 안착되는 공간이다.
이에, 물공급부안착홈(248)은 물유입개구(244)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물공급부안착홈(248)은 물통결합부(243)가 수조(240)에 설치되었을 때, 물유입개구(244)와 연통되도록 차단몸체(247)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물공급부안착홈(248)에는 물공급부(252)의 물공급밸브(253)와 결합되도록 제공된 접촉돌기(249)가 구비된다. 접촉돌기(249)는 물공급부안착홈(248)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접촉돌기(249)는 물통(250)이 수조(240)에 설치될 때, 물통(250)에 구비된 물공급밸브(253)와 결합되어, 물공급밸브(253)를 개방시키는 부재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물공급부안착홈(248)에는 복수 개의 유입홀(248a)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유입홀(248a)은 물공급부안착홈(248)의 중앙에 구비된 접촉돌기(249)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차단공간(246a) 내의 물이 수용부(241)로 고르게 분산되도록 한다. 여기서, 유입홀(248a)은 물통(250)에서 차단공간(246a)으로 유동된 물이 수용부(241)로 유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개구이다.
한편, 물통(250)은 물통몸체(251)와 물통몸체(251)에 결합되는 물공급부(252)를 구비한다. 물공급부(252)는 물통몸체(251)의 뚜껑 역할을 하며, 물통(250)에 수용된 물을 수조(240)로 공급토록 물공급밸브(253)가 구비된다.
그리고, 물공급부(252)의 물공급밸브(253)는 차단부(246)에 구비된 접촉돌기(249)와 결합된다. 물공급부(252)는 물유입개구(244)를 관통하여 물공급밸브(253)가 접촉돌기(249)에 결합되도록 물공급부안착홈(248)에 안착된다. 물공급밸브(253)의 개방상태에서, 물통몸체(251) 내의 물은 수용부(241)로 공급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습필터(260)는 가습필터안착개구(245)로 삽입되어 수조(240)에 침지되도록 설치된다. 가습필터(260)는 공기청정필터에서 필터링된 공기가 통과할 때, 필터링된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는 부재로서, 물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고 통기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필터(260)는 물이 흡수되는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주름 잡힌 플리츠 형상을 가진다. 가습필터(260)에는 물의 흡수율 및 통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복수 개의 소형 개구가 구비된다. 이때, 복수 개의 소형 개구는 가습필터(260) 전체에 걸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차단부(246)가 수조(240)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와 설치된 경우에, 물통(250)이 수조(240)에 결합된 상태에서, 수조(240)가 기울어졌을 때의 물의 상태에 대하여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의 (a)는 차단부가 설치되지 않은 수조에 물통이 결합된 상태에서, 수조가 기울어지지 않은 정상상태에서의 수위(W)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9의 (b)는 수조가 기울어진 상태에서의 수위(W1)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0의 (a)는 차단부가 설치된 수조에 물통이 결합된 상태에서, 수조가 기울어지지 않은 정상상태에서 차단공간의 수위(W)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의 (b)는 수조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차단공간의 수위(W2)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246)가 수용부(241)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 물이 수용부(241)로 투입되는 체적은 수용부(241) 전체이다. 이에, 즉, 차단부(246)가 수용부(241)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 수용부(241)가 기울어지면,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수위(W)보다 더 높은 수위(W1)를 가지게 되어, 물이 넘치는 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반면,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246)가 수용부(241)에 설치된 경우에, 물통(250)에서 수용부(241)로 공급되는 물은 수용부(241) 전체에 수용되는 것이 아니라, 우선적으로 차단부(246)에 의해 수용부(241)와 물통결합부(243)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차단공간(246a)에 수용된 다음, 몸체개구(247a)를 통해 차단공간(246a)에서 배출된 물이 수용부(241)에 수용된다. 이때,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공간(246a)의 수위는 W이고, 수용부(241)의 수위는 차단공간의 수위(W)보다 낮은 W'이다.
이는, 차단부(246)에서 수용부(241)로 유동되는 물은 차단부(246)의 몸체개구(247a)를 통해 수용부(241)로 공급되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차단부(246)가 수용부(241)에 설치된 경우, 수용부(241)에 수용된 물의 수위(W2')는 차단공간(246a)에 수용된 물의 수위(W2)보다 낮다.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246)가 수용부(241)에 설치된 경우에 수조(240)가 기울어지면, 차단공간(246a) 내의 수위(W2)는 도 10의 (a)에 도시된 정상 상태의 실제 수위(W)보다 높아지고, 수용부(241) 내의 수위(W2')도 정상상태의 수용부(241)의 수위(W')보다 높다.
그러나, 수용부(241)에 차단부(246)가 설치된 경우에, 차단부(246)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도 9 참조)보다, 물공급부(252)를 통해 물통몸체(251)에서 수용부(241)로 공급되는 물의 양이 적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가습장치(200)는 장시간 기울어진 경우가 아니면 수조(240)의 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가습장치(200)에 사용된 차단부(246)는 원형 단면의 물공급부안착홈(248) 및 몸체개구(247a) 외에 차단부(246)에서 수용부(241)로 물이 공급되는 구조를 가져, 누수 방지 가습장치(200)는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지던지 관계없이 장시간 기울어진 경우가 아니라면 물이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누수 방지 가습장치(200)는 차단부(246)에 물공급부(252)의 물공급밸브(253)를 개방시키는 접촉돌기(249)를 구비하여, 차단부(246)가 수조(240)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물공급밸브(253)를 개방시킬 수 없어, 물통(250)에 수용된 물이 수조(240)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한적이기보다는 본 발명의 모든 관점들 내에서 설명적인 것이 되도록 의도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기술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하여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된 설명들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많은 변형 및 상세한 실행이 가능하다.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된 바와 같이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100: 누수 방지 가습장치 110: 장치하우징
120: 물통 130: 수조
132: 접촉돌기 135: 차단부
137: 가로리브
200: 누수 방지 가습장치 210: 장치하우징
220: 필터수단 230: 가습수단
240: 수조 250: 물통
260: 가습필터 270: 송풍수단

Claims (13)

  1. 물공급밸브가 구비된 물통이 설치되는 장치하우징; 및
    상기 장치하우징에 설치되되, 상기 물통과 결합되어 물이 수용되도록 제공된 수조를 포함하되,
    상기 수조에는
    상기 물통이 안착되도록 형성된 물통결합부;
    상기 물통결합부와 연통되며 상기 물통결합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물통결합부에 형성되어 상기 물공급밸브와 접촉되도록 제공된 접촉돌기; 및
    상기 접촉돌기를 둘러싸도록 상기 물통결합부에 형성되어 차단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물통과 수조가 기울어졌을 때 상기 물공급밸브 안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제공된 차단부;가 구비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접촉돌기로부터 일정 반경으로 이격되어 상기 접촉돌기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원호형 세그먼트와, 상기 원호형 세그먼트의 양종단으로부터 하부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접촉돌기를 둘러싸도록 제공된 경사형 세그먼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호형 세그먼트는 상기 접촉돌기를 기준으로 상기 수용부 측에 형성되어 상기 차단공간과 상기 수용부를 물의 유동이 불가하게 분리하고,
    상기 경사형 세그먼트는 상기 접촉돌기를 기준으로 상기 수용부의 반대측에 형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 가습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형 세그먼트는 상기 원호형 세그먼트보다 낮은 높이를 가져,
    상기 물통결합부로 공급된 물이 상기 경사형 세그먼트를 통해 상기 차단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 가습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상단에는 상기 수조가 기울어졌을 경우에,
    상기 수용부 내의 물이 외부로 누수되지 않도록 제공된 가로리브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 가습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리브는 상기 물통결합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 가습장치.
  6. 물공급밸브가 구비된 물통이 설치되는 장치하우징; 및
    상기 장치하우징에 설치되되, 상기 물통과 결합되어 물이 수용되도록 제공된 수조를 포함하되,
    상기 수조는
    물을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물공급밸브와 접촉되도록 제공된 접촉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에 안착되어 차단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물통과 수조가 기울어졌을 때 상기 물공급밸브 안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제공된 차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수용부의 일정 공간을 차지토록 제공되고 내부에 상기 차단공간이 형성된 차단몸체;
    상기 차단몸체의 상부에 형성된 물공급부안착홈;
    상기 물공급부안착홈에 구비되어, 상기 물공급밸브와 접촉되도록 제공된 상기 접촉돌기; 및
    상기 물통에서 공급된 물이 상기 차단공간으로 유동되도록 상기 물공급부안착홈에 구비된 복수 개의 유입홀;을 구비하여, 상기 물통에서 상기 수용부로 공급되는 물의 투입면적을 제한토록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 가습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 가습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차단부의 이탈을 방지토록 제공된 차단부지지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 가습장치.
  9. 삭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유입홀은 상기 접촉돌기를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열된 소형 개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 가습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몸체는 외측면에 상기 차단공간 내의 물을 수용부로 배출토록 제공된 복수 개의 몸체개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 가습장치.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는 상기 수용부를 덮도록 제공된 물통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물통결합부 상에는 상기 물통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 가습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몸체는 상기 차단몸체의 상부가 상기 물통결합부와 실링되도록 상기 수용부와 상기 물통결합부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 가습장치.
KR1020110035702A 2010-09-28 2011-04-18 누수 방지 가습장치 KR101777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3719 2010-09-28
KR1020100093719 2010-09-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393A KR20120032393A (ko) 2012-04-05
KR101777235B1 true KR101777235B1 (ko) 2017-09-11

Family

ID=46135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702A KR101777235B1 (ko) 2010-09-28 2011-04-18 누수 방지 가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2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572B1 (ko) 2018-01-19 2020-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 공기청정기
DE202019100292U1 (de) 2018-01-19 2019-05-09 Lg Electronics Inc. Luftreiniger
KR102186444B1 (ko) * 2018-01-19 2020-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 공기청정기
DE202019100290U1 (de) 2018-01-19 2019-06-24 Lg Electronics Inc. Luftreiniger
KR20210120518A (ko) 2020-03-27 2021-10-07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8502A (ja) * 2006-06-27 2008-01-17 Dainichi Co Ltd 給水装置
JP6041068B1 (ja) * 2016-09-09 2016-12-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携帯情報処理装置、画像出力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8502A (ja) * 2006-06-27 2008-01-17 Dainichi Co Ltd 給水装置
JP6041068B1 (ja) * 2016-09-09 2016-12-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携帯情報処理装置、画像出力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393A (ko) 201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037B1 (ko) 가습청정장치
KR101777235B1 (ko) 누수 방지 가습장치
KR102466276B1 (ko) 가습기 및 가전기기
CN107036217B (zh) 加湿净化装置
EP3163188B1 (en)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KR102046476B1 (ko) 누수 방지가 가능한 가습 장치
KR101859960B1 (ko) 가습청정장치
KR102457136B1 (ko) 가습청정장치
JP2007010230A (ja) 空気清浄機
KR20120113027A (ko) 가습필터 및 가습필터를 구비한 가습장치
KR102186444B1 (ko) 가습 공기청정기
JP2012013361A (ja) 小型加湿機および静電霧化手段搭載の小型加湿機
WO2013082414A1 (en) Console humidifier
KR20210120518A (ko) 가습기
JP6282995B2 (ja) 加湿装置
JP2022003298A (ja) 加湿器
KR101183036B1 (ko) 연료탱크용 가스제어밸브
EP2502664A1 (en) Water filtering device equipped with water level adjustment unit
JP2007322018A (ja) 加湿装置
KR20180109790A (ko) 가습청정장치
KR200438782Y1 (ko) 용기캡의 제습구조
KR20120113028A (ko) 가습 장치
CN112665061A (zh) 加湿装置以及空调
KR101801563B1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댐퍼 프레임 구조
KR101852516B1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본체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