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136B1 - 가습청정장치 - Google Patents

가습청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136B1
KR102457136B1 KR1020160122172A KR20160122172A KR102457136B1 KR 102457136 B1 KR102457136 B1 KR 102457136B1 KR 1020160122172 A KR1020160122172 A KR 1020160122172A KR 20160122172 A KR20160122172 A KR 20160122172A KR 102457136 B1 KR102457136 B1 KR 102457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tering
housing
watering hous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1212A (ko
Inventor
이경호
김태윤
이건영
이종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51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24F3/163Clean air work stations, i.e. selected areas within a space which filtered air is pas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rot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using a decorative fount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로어바디 및 상기 로어바디 상부에 결합된 어퍼바디를 포함하는 베이스바디; 상기 로어바디에 설치된 송풍모터; 상기 어퍼바디에 설치되는 워터링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모터 및 워터링모터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송풍모터 및 워티링모터는 소정간격 이격되어 모터이격거리(MD)를 형성하고, 어느 하나에서 발생된 진동이 다른 하나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발명은 2개의 모터가 모터이격간격을 형성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에서 생성된 진동이 다른 하나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가습청정장치{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본 발명은 가습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장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에어컨디셔너,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정도를 유지시키는 공기청정기, 공기 중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기,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기 등이 있다.
종래 가습기는 진동판에서 물을 무화시켜 공기 중으로 토출하는 진동식 및 가습필터에서 자연증발시키는 자연증발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자연식 증발식 가습기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디스크를 회전시키고, 공기 중의 디스크 표면에서 물이 자연증발되는 디스크식 가습기와, 물이 적셔진 가습매체에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자연증발되는 가습필터식 가습기로 구분된다.
종래 가습기는 가습과정에서 유동되는 공기 중 일부가 필터에서 여과되었다. 그러나 종래 가습기는 가습 기능이 메인이기 때문에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이 미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가습기는 가습과정에서 여과기능이 부가되어 실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공기 여과만을 위해 작동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종래 가습기는 습도가 높은 상황에서도 사용자가 공기청정을 원할 경우 가습이 실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가습기능 및 공기청정기능을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2개의 모터를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2개의 모터가 동시에 작동되더라도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2개의 모터가 동시에 작동되더라도 공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모터에서 생성된 진동이 다른 하나의 모터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로어바디 및 상기 로어바디 상부에 결합된 어퍼바디를 포함하는 베이스바디; 상기 로어바디에 설치된 송풍모터; 상기 어퍼바디에 설치되는 워터링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모터 및 워터링모터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송풍모터 및 워티링모터는 소정간격 이격되어 모터이격거리(MD)를 형성하고, 어느 하나에서 발생된 진동이 다른 하나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송풍모터는 송풍모터축을 포함하고, 상기 워터링모터는 워터링모터축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모터축 및 워터링모터축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송풍모터축 및 워터링모터축은 동일 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송풍모터축은 하측을 향해 배치되고, 상기 워터링모터축은 상측을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퍼바디에 거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을 분사하는 워터링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워터링모터는 상기 워터링하우징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상기 워터링하우징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워터링모터축에 결합된 제 1 커플링; 상기 제 1 커플링과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고, 상기 워터링하우징 측과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 커플링;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조는 상기 어퍼바디에 대해 분리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커플링 및 제 2 커플링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조의 분리 시, 상기 제 1 커플링 및 제 2 커플링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어퍼바디는 수조삽입공간이 형성된 어퍼이너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워터링모터는 상기 어퍼이너바디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모터는 상기 어퍼이너바디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워터링모터는 상기 어퍼이너바디 저면을 관통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어바디는, 송풍팬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모터는 상기 송풍팬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모터축에 송풍팬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이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모터는 상기 송풍팬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송풍모터축은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송풍팬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은 상기 송풍모터를 감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은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반경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은 반경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되, 상측으로 경사지게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어퍼바디는, 상기 베이스바디의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로어바디와 결합되는 어퍼아우터바디; 상기 어퍼아우터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아우터바디에 결합된 어퍼이너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어바디는, 상기 베이스바디의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어퍼아우터바디와 결합되는 로어아우터바디; 상기 로어아우터바디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아우터바디에 결합된 송풍팬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워터링모터는 상기 어퍼이너바디에 설치되고, 상기 송풍모터는 상기 송풍팬하우징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로어아우터바디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평단면이 좁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어퍼아우터바디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평단면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아우터바디 및 로어아우터바디가 체결되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어퍼이너바디 및 송풍팬하우징이 체결되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어퍼아우터바디 및 로어아우터바디가 체결되어 조립되고, 상기 어퍼이너바디 및 송풍팬하우징이 체결되어 조립되고, 상기 워터링모터 및 송풍모터는 모터이격간격(MD)를 형성하고,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송풍모터는 송풍모터축을 포함하고, 상기 워터링모터는 워터링모터축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모터축은 하측을 향해 설치되고, 상기 워터링모터축은 상측을 행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2개의 모터가 모터이격간격을 형성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에서 생성된 진동이 다른 하나로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상기 모터이격간격이 형성되기 때문에, 2개의 모터가 동시에 작동되더라도 공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베이스바디 내부에 송풍모터 및 워터링모터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기 때문에, 편심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송풍모터축은 하측을 향해 설치되고, 워터링모터축은 상측을 향해 설치되기 때문에,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송풍모터축 및 워터링모터축이 동일 선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2개가 동시에 작동되더라도 편심 및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공기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에어워시모듈을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에어워시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에어워시모듈의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에서 수조베이스가 분해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2의 어퍼바디 하측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6의 저면도이다.
도 20은 도 16의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워터링모터 및 송풍모터의 분리상태가 도시된 분해 단면도이다.
도 24는 워터링모터 및 송풍모터의 결합상태가 도시된 결합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에어클린모듈(100) 및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상측에 거치되는 에어워시모듈(200)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은 외부공기를 흡입한 후 여과하고, 여과공기를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제공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상기 여과공기를 공급받아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을 실시하고, 가습공기를 외부로 토출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물이 저장되는 수조(300)를 포함한다. 상기 수조(300)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될 때,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가능하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에어클린모듈(100) 위에 거치된다.
사용자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을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에어워시모듈(200)을 청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된 에어클린모듈(100) 내부를 청소할 수도 있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된 경우,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의 상면이 사용자에게 개방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은 후술하는 필터어셈블리(10)를 별도로 분리한 후 청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는 외부에서 상기 수조(30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급수유로는 어느 때나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작동 중일 때에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클린모듈(10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될 상태일 때에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은 연결유로(103)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유로(103)는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에 분산되어 형성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형성된 연결유로를 클린연결유로(104)라 정의하고,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형성된 연결유로를 가습연결유로(105)라 정의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거치될 때, 비로소 상기 연결유로가 연결되고, 공기의 유로 정확하게 구성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은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겠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은 흡입유로(101) 및 클린연결유로(104)가 형성된 베이스바디(1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유동되는 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하는 필터어셈블리(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유닛(20)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외부공기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를 통해 상기 필터어셈블리(10)에서 여과된 공기가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2파트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외형을 형성하고, 하측면에 흡입구(111)가 형성된 로어바디(130)와,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로어바디(130) 상측에 결합되는 어퍼바디(120)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또는 에어워시모듈(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가습청정장치의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60)이 설치된다.
상기 어퍼바디(120) 및 로어바디(130)는 일체로 조립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어퍼바디(120) 및 로어바디(130)는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어퍼바디(120)의 상측에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의 하중을 지지한다.
상기 어퍼바디(120)는 상기 수조(300)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어퍼바디(120)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의 수조(300)가 분리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어퍼바디(120)는 상기 수조(300)를 수납할 수 있도록 오목한 구조이다.
상기 어퍼바디(12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로 상기 수조(300)를 수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기청정기의 무게중심을 보다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을 통해 전원을 입력받고,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을 통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전원을 제공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대해 분리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는 분리가능한 전원공급구조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은 상기 어퍼바디(120)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어퍼바디(120)에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전원을 제공하는 커넥터(260)가 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에는 상기 커넥터(260)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탑커넥터(270)가 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가 거치될 때, 상기 탑커넥터(270)가 커넥터(260) 상측에 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상기 탑커넥터(270)를 통해 상기 커넥터(26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여과유로(102)를 제공하고, 외부 공기에 대해 필터링을 실시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탈착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직방향을 거슬러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해 교차되게 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에 대해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송풍유닛(20)은 공기의 유동을 생성시킨다. 상기 송풍유닛(20)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배치되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상기 송풍유닛(20)은 송풍하우징(150), 송풍모터(22) 및 송풍팬(24)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모터(22)가 상측에 배치되고, 송풍팬(24)이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송풍모터축(23)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모터축(23)은 하측을 향해 설치되고, 상기 송풍모터축(23)에 송풍팬(24)이 결합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에 상기 송풍모터(22) 및 송풍팬(24)이 배치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필터어셈블리(1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바디(120)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팬(24)은 원심팬으로서,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반경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송풍팬(24)은 반경방향 바깥쪽 및 상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송풍팬(24)은 외측단이 반경방향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유동되는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상기 송풍팬(24)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상기 송풍팬(24)에 의한 공기 유로 상에 위치되지 않는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을 위한 물이 저장되고,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수조(300)와, 상기 수조(300)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의 물을 분사하는 워터링유닛(400)과, 상기 워터링유닛(400)에서 분사된 물에 의해 적셔지고, 유동되는 공기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매체(50)와, 상기 수조(300)에 결합되고, 내부를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비주얼바디(210)와,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유로(107) 및 물이 공급되는 급수유로(109)가 형성된 탑커버어셈블리(230)를 포함한다.
상기 수조(300)는 상기 어퍼바디(120)에 거치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상기 수조(3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 내부에서 회전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하고, 양수된 물을 반경방향 바깥으로 분사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물을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한 후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분사시키는 워터링하우징(800)을 포함한다. 도 8을 참조하여 수조(300)와 워터링 하우징(800)의 구조를 설명한다. 수조(300)는 바닥면과 바닥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측면을 포함하여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다. 워터링하우징(800)은 워터링하우징(800)의 하부를 이루는 하측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의 하측부는 상기 수조(300)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 하우징(800)의 하측부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상기 워터링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 하우징(800)의 하측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원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워터링하우징(800)은 상기 하측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상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워터링 하우징(800)의 길이방향(상하방향)에서 상기 워터링 하우징(800)의 상측부의 내측면과 워터링 하우징의 회전 중심축 사이의 각도는, 상기 워터링 하우징(800)의 하측부의 내측면과 상기 회전 중심축 사이의 각도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서 분사된 물이 상기 가습매체(50)를 적신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서 분사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 또는 가습매체(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해 분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향해 물을 분사하고, 분사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린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는 물방울 형태로 맺혀진 액적이 형성되고, 사용자는 상기 비주얼바디(210)를 통해 상기 액적을 볼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상기 수조(300)와 결합되고, 상기 수조(300)의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 내측면에 맺힌 액적은 빗방울이 맺힌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린 액적이 상기 가습매체(50)를 적신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바깥쪽에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비주얼바디(210) 또는 어퍼바디(1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상기 어퍼바디(120)에 배치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거치될 때,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외측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에 밀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는 빛을 반사하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맺힌 액적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표면에도 투영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상기 비주얼바디(210) 및 디스플레이모듈(160) 2군데에서 액적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다.
상기 수조(300)는 공기가 소통되는 수조유입구(31)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수조유입구(31)를 통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 내부로 유동된다.
상기 가습매체(50)는 연결유로(103)에 배치되는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유로(107)에 배치되는 토출가습매체(55)를 포함한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연결유로(103) 상에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수조(300)의 수조유입구(31)에 배치된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수조유입구(31)의 안쪽에 위치되고, 상기 수조유입구(31)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가습을 제공한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상기 수조유입구(31)를 커버하고, 공기는 상기 수조가습매체(51)를 관통하여 상기 수조(300) 내부로 유동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토출유로(107) 상에 배치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비주얼바디(21) 또는 탑커버어셈블리(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에 상기 토출가습매체(55)가 배치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상기 토출유로(107)를 커버하고, 공기는 상기 토출가습매체(55)를 관통하여 탑커버어셈블리(230) 밖으로 유동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공기의 유동에 대해 설명한다.
송풍유닛(20)이 작동되면, 외부 공기는 베이스바디(110)의 하측면에 형성된 흡입유로(101)를 통해 베이스바디(1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를 통과하고, 에어워시모듈(200)의 상측에 형성된 토출유로(107)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 흡입유로(101)로 흡입된 공기는 필터어셈블리(10)의 여과유로(102)를 통과한다.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하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102)는 외부공기를 여과한다.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한 공기는 송풍유닛(20)을 통해 연결유로(103)로 유동된다.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한 공기는 송풍팬(24)에 의해 가압된 후, 송풍팬하우징(150)을 따라 연결유로(103)로 유동된다.
상기 송풍유닛(20)이 여과유로(102) 다음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송풍팬(24)에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송풍유닛(20)이 여과유로(102) 전에 배치되는 경우, 송풍팬(24)에 이물질이 부착되고 이로 인한 청소주기가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송풍유닛(20)이 후술하는 가습유로(106) 전에 배치되기 때문에, 송풍팬(24) 표면에 수분이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송풍팬(24) 표면에 가습된 수분이 부착되는 경우, 이물질이 엉겨붙거나 곰팡이 등이 발생될 위험이 매우 크다.
상기 송풍유닛(20)은 여과유로(102) 및 가습유로(106)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물질의 부착을 최소할 수 있고, 공기의 유동압력을 적절하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103)는 에어클린모듈(100)에 형성된 클린연결유로(104) 및 에어워시모듈(200)에 형성된 가습연결유로(105)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어퍼바디(120)에 거치된 상태일 때, 상기 클린연결유로(104) 및 가습연결유로(105)가 연결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된 상태일 때, 상기 클린연결유로(104) 및 가습연결유로(105)는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는 어퍼바디(120)에 형성되고, 가습연결유로(105)는 에어워시모듈(20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린연결유로(104) 및 가습연결유로(105)는 덕트형태로 형성되어 명확한 유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유로(103)가 어퍼바디(120)의 일부 구조물 및 상기 수조(300)의 일부 구조물로 분산되고,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어퍼바디(120)에 거치될 때, 상기 연결유로(103)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바디(120)가 상기 연결유로(103)의 바깥쪽 구조물을 제공하고, 상기 수조(300)가 상기 연결유로(103)의 안쪽 구조물을 제공한다.
즉, 상기 수조(300)의 바깥 쪽 및 어퍼바디(120)의 안쪽 사이에 상기 연결유로(103)가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연결유로(103)는 수조(300) 및 어퍼바디(120)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수조(300)가 상기 연결유로(103)의 안쪽 벽을 형성하고, 상기 어퍼바디(120)가 상기 연결유로(103)의 바깥쪽 벽을 형성한다.
이렇게 연결유로(103)의 구조는 분산배치함으로써, 유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연결유로(103)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유로(103)를 통과한 공기는 가습유로(106)로 유동된다. 상기 가습유로(106)는 수분이 공급되는 구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유로(106)는 수조가습매체(51) 부터 토출가습매체(55)까지이다.
연결유로(103)에서 수조가습매체(51)를 통과하면서, 공기에 수분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조(300) 내부에는 상기 워터링유닛(400)에서 비산된 물방울 및 수조(300)에서 증발된 수분이 제공된다.
상기 수조(300) 내부에서 상기 토출가습매체(55)를 통과하면서, 다시 수분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가습유로(106)에서는 상기 수조가습매체(51), 수조(300) 내부 및 토출가습매체(55)를 통해 수분이 공급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55)를 통과한 공기는 토출유로(107)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에어워시모듈을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에어워시모듈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에어워시모듈의 좌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6에서 수조베이스가 분해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저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수조(300)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바디(320)와, 상기 수조바디(3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수조베이스(340)와, 상기 수조바디(320)의 측면에 형성된 수조유입구(31)와, 상기 수조바디(320)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컬럼(35)과, 상기 수조바디(32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결합되는 수조바디연장부(380)와, 상기 수조바디(320)의 내부에 배치되고, 플로터(332)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플로터하우징(3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바디(320)는 상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조바디(32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조바디(320)에 컬럼(35)이 형성되고, 상기 컬럼(35) 내부에 후술하는 동력전달모듈(60)이 배치된다. 상기 컬럼(35)은 수조바디(320)에 저장된 물과 동력전달모듈(60)이 접촉되는 것을 차단 또는 억제한다.
상기 수조베이스(340)는 수조바디(320)의 외측 저면에 결합된다. 상기 수조베이스(340) 및 수조바디(32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수조베이스공간(311)으로 정의한다. 상기 수조베이스공간(311)은 외부와 밀폐되고,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상기 수조(30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상기 수조유입구(31)를 형성시킨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 사이에 상기 수조유입구(31)가 형성된다.
상기 수조유입구(31)는 수조바디(320)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수조유입구(31)는 수조바디(320)에 대하여 360도 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조유입구(31)는 연결유로(103)와 연통된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상기 수조(300) 내부로 안내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안내함으로써 낙수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비주얼바디(210)의 하단에 체결된다. 복수개의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와 체결되는 수조체결부(381)가 배치된다. 상기 수조체결부(381)는 수조바디연장부(380)의 바깥쪽에 배치된다. 상기 수조체결부(381)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비주얼바디(210) 및 수조(300)가 결합된다.
상기 수조바디(320)에 컬럼(35)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컬럼(35)은 원뿔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컬럼(35)을 감싸도록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컬럼(35)은 상기 수조바디(320)와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컬럼(35)은 상기 수조바디(320)의 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조바디(320)는 내부에 플로터하우징(330)이 형성된다. 상기 플로터하우징(330) 내부에 플로터(332)가 배치된다. 상기 플로터(332)는 물보다 비중이 가벼운 물질로 형성되고, 수조(300)에 저장된 수위에 따라 상기 플로터하우징(330)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플로터하우징(330)은 상기 수조바디(320)의 내측벽에 설치된다. 상기 플로터하우징(33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플로터하우징(330)은 상기 수조(300)의 물이 유입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플로터하우징(330)의 하단(331)은 상기 수조바디(32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조바디(320)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공간은 플로터수납공간(333)으로 정의한다.
상기 플로터수납공간(333)에 플로터(332)가 위치되는 경우, 상기 수조(300)에 물이 없는 상태이다.
상기 플로터(332)는 수위센서의 일부이다. 상기 플로터(332)에는 영구자석(335)이 배치된다.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영구자석(335)의 자기력을 감지하는 마그네틱센서(334)를 포함한다. 상기 마그네틱센서(334)는 어퍼바디(120)에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수위센서는 비접촉 방식으로 상기 수조(300)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수조(300)는 분리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비접촉 방식으로 수위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수조(300)의 거치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그네틱센서(334)가 상기 영구자석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수조(300)가 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수조베이스(340)는 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베이스보더(342)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보더(342)에는 상기 플로터하우징(330)의 하단(331)이 삽입되는 홈(343)이 형성된다. 상기 홈(343)에 상기 하단(331)이 끼워진다. 상기 홈(343)을 통해 상기 하단(331)이 노출된다. 상기 홈(343)을 통해 노출되는 플로터하우징(330)의 하단(331)은 상기 마그네틱센서(334)의 감지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하단(331)이 베이스보더(342)에 의해 감싸질 경우, 영구자석에 대한 자기장신호가 감소하고, 이로 인해 오감지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홈(343)을 통해 하단(331)을 노출시킴으로서, 상기 하단(331) 내부에 위치되는 플로터(332)의 영구자석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에는 수조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이 배치된다. 상기 수조(300)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으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워터링유닛(400)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이를 통해 워터링유닛(4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억제해야 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을 충분히 지지하지 못할 경우, 수조바디(320)의 바닥(301)이 변형되거나 흔들리면서 진동이 발생된다. 상기 수조(300)에서 발생된 진동은 구조물 전체로 퍼져나 가습청정장치 전체에 악영향이 발생된다.
이를 최소화기 위해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에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가 배치된다.
상기 수조바디(320)에 형성된 컬럼(35)의 저면은 개구되어 형성된다. 개구된 상기 컬럼(35)의 저면을 수조바디삽입구(329)라 한다. 상기 수조바디삽입구(329)를 통해 후술하는 베어링하우징(650)이 삽입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650)은 동력전달모듈(600)의 구성이다.
상기 수조베이스(340)의 내측에는 베이스삽입구(349)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삽입구(349)는 상기 수조바디삽입구(329)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베어링삽입구(349)는 상기 베어링하우징(650)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베이스삽입구(349)를 통해 상기 베어링하우징(650)의 하부가 노출된다. 상기 베이스삽입구(349)를 통해 후술하는 제 1 커플러(610)가 삽입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650)은 상기 컬럼(35) 내부로 삽입되는 베어링하우징바디(652)와, 상기 베어링하우징바디(652)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수조바디(320)의 저면에 밀착되는 하우징플랜지(654)를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650)의 하면은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650)의 개구된 저면을 베어링하우징삽입구(659)라 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삽입구(659)에 후술하는 제 2 커플러(620)가 배치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삽입구(659)와 베이스삽입구(349)는 서로 연통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삽입구(659) 하측에 상기 베이스삽입구(349)가 위치된다. 상기 베이스삽입구(349)를 통해 상기 제 2 커플러(620)가 노출된다. 상기 베이스삽입구(349)를 통해 후술하는 제 1 커플러(610)가 삽입되고, 상기 제 2 커플러(62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플랜지(654)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플랜지(654)는 수조바디(320)의 하측 저면에 밀착된다.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하우징플랜지(654)는 상기 컬럼(35)의 평면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컬럼(35) 및 하우징플랜지(654)은 동심축 상에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플랜지(654)는 체결부재(651)를 통해 상기 수조(300)에 체결된다. 체결부재(651)는 상기 하우징플랜지(654)를 관통하여 상기 수조바디(32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하우징(650)을 고정하기 위한 제 1 체결부재(651)와 별도로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655)가 배치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650)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651)를 제 1 체결부재(651)로 정의하고, 상기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655)를 제 2 체결부재(655)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체결부재(651)가 수조베이스(340), 하우징플랜지(654) 및 수조바디(320)를 한번에 체결한다. 상기 제 1 체결부재(651)가 3개의 구성을 동시에 체결하기 때문에, 상기 베어링하우징(65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부재(651)가 3개의 구성을 한번에 체결하기 때문에, 상기 수조(300)의 하부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부재(651)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에는 각각 체결부(321)(341)가 형성된다.
상기 수조바디(320)에 형성된 바디체결부(321)는 보스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조베이스(340)에 형성된 베이스체결부(341)은 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플랜지(654)는 상기 제 1 체결부재(651)가 관통되는 플랜지체결부(653)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체결부(653)는 홀 형태이다.
상기 제 1 체결부재(651)는 나사이고, 상기 제 1 체결부재(651)는 상기 베이스체결부(341) 및 하우징플랜지(654)를 관통하여 바디체결부(321)에 고정된다. 상기 제 1 체결부재(651)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체결된다.
상기 제 1 체결부재(651) 및 체결부(341)(653)(321)은 각각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부재(651)는 적어도 2개가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4개가 동력전달축(64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 체결부재(651)는 동력전달축(640)을 중심으로 90도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650)을 고정하기 위한 제 1 체결부재(651)와 별도로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655)가 배치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650)을 고정하기 위한 제 1 체결부재(651)를 제 1 체결부재(651)로 정의하고, 상기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655)를 제 2 체결부재(655)로 정의한다.
상기 체결부재(655)는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를 결합시켜 상기 수조(300)의 강성을 보다 향상시킨다.
상기 제 2 체결부재(655)는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와 달리 체결부재 대신 후크 등을 통한 상호 걸림을 통해 수조바디와 수조베이스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호 걸림을 통해 결합되는 경우, 미세한 간격이 형성되기 때문에 진동에 취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 2 체결부재(655)를 통해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를 결합시킨다.
상기 제 2 체결부재(655)는 수조베이스(340)의 하부에서 체결되고, 상기 수조베이스(340)를 관통하여 수조바디(320)에 결합된다. 상기 수조바디(320)의 저면에는 상기 제 2 체결부재(655)가 체결되는 체결부(325)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체결부재(655)와 결합되는 체결부(321)를 제 1 체결부(321)라 정의하고, 상기 제 2 체결부재(655)와 결합되는 체결부(325)를 제 2 체결부(325)라 정의하고, 상기 수조베이스(340)에 형성된 체결부(341)를 베이스체결(341)부라 정의한다.
상기 제 2 체결부(325)는 상기 수조바디(32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 체결부(325)는 보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체결부(325)는 동력전달축(64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2 체결부(325)는 동력전달축(640) 주변에 복수개가 배치되고, 각각이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체결부(325)는 동력전달축(640)을 중심으로 60도 간격으로 6개가 배치된다.
상기 제 2 체결부재(655)를 통해 수조베이스(340)가 수조바디(320) 저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뿐만 아니라, 하우징플랜지(654)에 밀착된다.
상기 수조베이스(340)에는 상기 하우징플랜지(654)를 지지하는 플랜지서포터(348)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서포터(348)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서포터(348)는 베이스삽입구(349) 주변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랜지지부(348)는 상기 베이스삽입구(349)를 따라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서포터(348) 바깥쪽에 상기 베이스체결부(341)가 배치된다. 즉, 상기 플랜지서포터(348)가 상기 베어링하우징(650)을 지지한 상태에서 제 1 체결부재(651)가 수조베이스(340), 하우징플랜지(654) 및 수조바디(320)를 체결시킨다.
한편, 상기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에는 각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리브들이 배치된다.
강도보강을 위해 상기 수조바디(320)에 형성된 것을 바디보강리브(350)라 하고, 수조베이스(340)에 형성된 것을 베이스보강리브(355)라 한다.
상기 바디보강리브(350)는 수조바디(320)의 바닥(301)에 형성된다. 상기 바디보강리브(350)는 수조바딕(32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바디보강리브(350)는 동력전달축(640)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 1 보강리브(352)와, 상기 동력전달축(640)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 2 보강리브(35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보강리브(352)는 상기 수조바디삽입구(329)에서부터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보강리브(352)는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보강리브(354)는 상기 수조바디삽입구(329)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2 보강리브(354)는 동심원을 이루면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복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보강리브(352) 및 제 2 보강리브(354)는 교차된다.
상기 제 1 보강리브(352) 및 제 2 보강리브(354)를 통해 수조바디(320)의 두께를 최소할 수 있고, 두께를 최소화한 상태에서도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보강리브(352) 및 제 2 보강리브(354)를 통해 베어링하우징(650)의 진동이 수조(30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 1 보강리브(352) 및 제 2 보강리브(354)를 통해 워터링유닛(400)의 작동 시 편심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수조(300) 바닥(301)의 강성을 보강할 경우, 워터링유닛(400)의 상단에서의 편심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보강리브(355)는 수조베이스(34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수조베이스(340)에는 상하 방향으로 오목한 홈(356)이 형성되고, 상기 홈(356)에 상기 베이스보강리브(355)가 형성된다.
상기 홈(356)은 상기 수조베이스(34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홈(356)은 상기 수조베이스(340)의 저면에서 볼 때, 폐곡선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보강리브(355)는 상기 홈(356)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된다.
한편, 상기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 사이에는 물의 침투를 억제하는 밀폐구조가 배치된다.
상기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의 내측 가장자리를 밀폐하는 제 1 패킹(361)과, 상기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의 외측 가장자리르 밀폐하는 제 2 패킹(362)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패킹(361)은 베이스삽입구(349)를 통해 물이나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 2 패킹(362)은 상기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의 외측 가장자리를 통해 물이나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 1 패킹(361)을 설치하기 위해 제 1 패킹설치홈(363)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패킹설치홈(363)은 플랜지서포터(348) 또는 하우징플랜지(6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플랜지(654)의 저면에 제 1 패킹설치홈(363)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패킹설치홈(363)은 베이스삽입구(349) 주변으로 폐곡선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패킹설치홈(363)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서포터(348)가 상기 하우징플랜지(654)에 밀착될 때, 상기 제 1 패킹(361)이 밀착되면서 밀폐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하우징플랜지(654) 및 수조바디(320) 사이에도 패킹(365)이 설치된다. 상기 패킹(365)는 하우징플랜지(654)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패킹(365)은 수조바디삽입구(329)를 밀폐시킨다. 상기 패킹(365)은 수조바디삽입구(329)을 따라 폐곡선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패킹(365)는 수조바디(32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체결부재(651)의 체결 시, 베어링하우징(650) 및 수조바디(320) 사이에서 밀착된다. 상기 패킹(365)은 제 1 체결부재(651) 또는 바디체결부(321)에 비해 내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패킹(362)을 설치하기 위해 제 2 패킹설치홈(364)이 배치된다.
상기 제 2 패킹설치홈(364)은 수조바디(320) 또는 수조베이스(3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조베이스(340)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패킹설치홈(364)은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패킹설치홈(364)은 수조베이스(340)의 가장자리를 따라 폐곡선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패킹설치홈(364)은 수조베이스(34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리브(367)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패킹설치홈(364)은 베이스보강리브(355)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베이스보강리브(355)가 배치되는 홈(356) 상측에 상기 제 2 패킹설치홈(364)이 배치된다.
즉, 상기 베이스보강리브(355)를 위한 홈(356) 및 제 2 패킹설치홈(364)이 상하로 배치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제 2 패킹설치홈(364)도 강도를 보강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 2 패킹설치홈(364)는 상기 플로터하우징(330)의 하단(331)을 회피해 형성된다. 상기 패킹설치홈(364)의 바깥쪽에 상기 플로터하우징(330)의 하단(331)이 위치된다.
한편, 상기 수조(300)의 저면에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윈도우모듈(390)이 설치된다. 상기 윈도우모듈(390)은 자외선을 투과시킨다.
상기 수조바디(320)에는 바디개구부(326)가 형성된다. 상기 수조베이스(340)에는 베이스개구부(346)가 형성된다. 상기 바디개구부(326) 하측에 상기 베이스개구부(346)가 위치된다. 상기 바디개구부(326) 및 베이스개구부(346)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 사이에 상기 윈도우모듈(390)이 배치된다. 상기 윈도우모듈(390)은 상기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 사이에서 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윈도우모듈(390)은 상기 수조바디(320) 저면에 체결되고, 상기 바디개구부(326)를 밀폐시킨다.
상기 윈도우모듈(390)에 자외선을 제공하는 자외선모듈(190)은 어퍼바디(120)에 배치된다. 상기 자외선모듈(190)에서 발생된 자외선은 상기 윈도우모듈(390)을 투과하여 수조(300) 내부로 투사된다. 상기 자외선을 통해 수조(300)에 저장된 물을 살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수조(300)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유동가이드(31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수조(300)의 저면에는 저장된 물을 상기 워터링하우징(80)으로 안내하는 유동가이드(310)가 배치된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상기 수조(30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수조바디(320)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상기 수조바디(320)의 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조(300)에 저장된 물이 적을 경우를 빈수라 정의한다. 상기 빈수는 워터링하우징(800)을 통해 물을 분사할 수 있는 최소양보다는 많다.
상기 빈수는 수조(300)의 내부 저면에서부터의 높이일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정지된 상태일때, 저장된 물 높이가 분사구(410)를 통해 분사할 수 있는 양이지만, 워터링하우징(800)이 회전된 후에는 물높이가 흡입간격(801)보다 낮을 수 있다.
이는 워터링하우징(800)의 회전에 의해 중앙의 물이 수조(300)의 내측벽 쪽으로 이동되기 때문이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이러한 물의 편중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수조에 저장된 물이 빈수일 때,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의 흡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수조 내부에서 회전되는 물에 대해 상승하는 방향으로 유동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수조 내부에서 회전되는 물이 워터링하우징(800)을 향하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수조(300)의 내측변을 따라 유동되는 물을 워터링하우징(800)이 위치된 중앙으로 가이드한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워터링하우징과의 최소 이격거리(5mm)를 형성한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빈수효율 향상, 소음 저감, 진동 저감의 효과가 있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상기 수조바디(320)의 내측벽과도 소정간격 이격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 의해 수조(300)의 물이 회전될 때, 워터링하우징(800)에 가까운 거리에서 회전되는 물의 유속과 수조바디(320)의 내측벽을 따라 회전되는 물의 유속이 상이하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수조 내 유속을 균일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유동가이드(310)의 길이방향과 워터링하우징(800)의 외측면이 이루는 사이각은 90도 이내로 형성된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제 1 경사면(312) 및 제 2 경사면(314)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경사면(312)은 물의 유동방향을 향해 형성된다. 상기 제 1 경사면(312)을 통해 회전되는 물을 맞이한다. 상기 제 1 경사면(312)을 따라 회전되는 물이 상측으로 상승된다. 상기 제 1 경사면(312)이 수조(300)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도는 물을 워터링하우징(800) 측으로 안내한다.
상기 제 2 경사면(314)는 제 1 경사면(314)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경사면(312) 및 제 2 경사면(314) 사이에 물이 넘어가는 경계(315)가 형성될 수 있다.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경계(315)는 워터링하우징(800)의 표면과 접선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1개 만으로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2개가 배치된다.
다음으로, 수조(300) 내부에 배치되는 워터링유닛(4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수조(300) 내부에 배치된 워터링하우징(800)을 회전시키고,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의 회전을 통해 수조(300) 내부에 저장된 물을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분사시킨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상기 수조(300) 및 어퍼바디(120)의 분리가능한 구조에서도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동력전달모듈(600)를 제공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워터링하우징(800), 워터링모터(42), 동력전달모듈(600)을 포함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수조(300) 내부에 배치되고, 회전되어 수조(300)의 물을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하고, 양수된 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워터링하우징(800)과,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워터링모터(42)와, 상기 워터링모터(42)의 회전력을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모듈(600)을 포함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수조(300)에 저장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한 후, 반경방향 외측으로 분사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워터링모터(42)는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동력전달모듈(600)은 상기 워터링모터(42)의 회전력을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워터링모터(42) 및 동력전달모듈(600)이 수조(300)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에어워시모듈(200)을 분리할 때, 워터링모터(42)까지 들어올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워터링모터(42)까지 에어워시모듈(200)에 조립된 경우,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될 때 워터링모터(42)의 전원공급구조가 분리가능한 구조여야 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무게가 무거운 워터링모터(42)는 어퍼바디(120)에 배치시키고, 워터링하우징(800) 및 동력전달모듈(600)만 분리되는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은 구조는 분리가능한 에어워시모듈(200)의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및 워터링모터(42)는 분리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에어워시모듈(200) 내부에 설치되고, 워터링모터(42)는 에어클린모듈(100)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될 때,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수조(300)와 함께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및 워터링모터(42)의 분리구조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동력전달모듈(600)이 분리가능한 구조로 설계된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워터링하우징(800)은 수조(300)에 배치될 수 있다. 워터링하우징(800) 측면에 날개(830)가 구비될 수 있다. 워터링 하우징(800) 측면에 분사구(410)가 형성될 수 있다.
워터링 하우징(800)은 수조(3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워터링 하우징(800)은 수조(300)의 높이 방향에서 연장될 수 있다. 워터링 하우징(80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워터링 하우징(800)은 비주얼바디(210)의 하단을 지나 연장될 수 있다. 워터링 하우징(800)은 수조(300) 내측에서 비주얼바디(210)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워터링 하우징(800)은 수조(300)에 배치되고 비주얼바디(210)의 하단을 지나 비주얼바디(210)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날개(830)는 워터링 하우징(800)의 측면(810)에 구비될 수 있다. 날개(83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날개(830)는 워터링 하우징(8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날개(830)는 워터링 하우징(800)의 측면(8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날개(830)는 워터링 하우징(800)의 측면(810)에서 워터링 하우징(800)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날개(830)는 워터링하우징(8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날개(830)는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날개(830)는 날개(830)의 외측단과 워터링 하우징(800)의 측면(810) 사이의 거리로 정의될 수 있는 폭을 갖는다. 날개(830)의 폭은 워터링 하우징(8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날개(830)의 폭은 상하 방향을 따라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날개(830)는 워터링 하우징(800)의 회전 중심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날개(830)는 워터링 하우징(8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날개(830)는 워터링 하우징(800)의 측면(81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워터링 하우징(8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즉, 날개(830)와 워터링 하우징(800)의 측면(810)이 연결되는 부분(또는, 날개와 워터링 하우징의 측면이 만나는 부분이라 할 수도 있다.)은 워터링 하우징(8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워터링 하우징(800)의 측면(810)에 위치하는 날개(830)의 기저(基底)는 워터링 하우징(8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분사구(410)는 워터링 하우징(800)의 측면(810)에 위치할 수 있다. 분사구(410)는 워터링 하우징(8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분사구(410)는 복수의 날개(8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분사구(410)는 복수의 날개(830)가 워터링 하우징(800)의 측면이 연결되는 부분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분사구(410)는 날개(830)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분사구(410)는 워터링하우징(800)의 길이방향에서 날개(830)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분사구(410)는 워터링 하우징(800)의 길이방향에서 날개(830)의 수조(300)측 일단과 비주얼바디(210)측 타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분사구(410)는 날개(830)의 폭이 최대인 부분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워터링 하우징(800)은 내부에 공간(820)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공간(820)은 수조(300)와 연통할 수 있다. 상기 공간(820)는 수조(300) 내부의 공간과 연통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워터링 하우징(800)은 수조(300)에 배치되고 비주얼바디(210)의 하단을 지나 비주얼바디(210)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워터링 하우징(800)의 측면(810)은 워터링 하우징(800)의 공간(820)을 제공할 수 있다. 워터링 하우징(800)의 측면(810)은 워터링 하우징(800)의 공간(820)을 규정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4를 참조하면, 분사구(410)는 워터링 하우징(800)의 내부 공간(820)과 연통할 수 있다. 분사구(410)는 워터링 하우징(800)의 외부와 연통할 수 있다. 분사구(410)는 워터링 하우징(800)의 외부와 내부(820)를 연통할 수 있다. 분사구(410)는 워터링 하우징(800)의 측면(810)을 관통할 수 있다.
도 16은 도 2의 어퍼바디 하측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정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6의 저면도이고, 도 20은 도 16의 평면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상기 어퍼바디(120)는 베이스바디(110)의 상부를 구성하고, 상기 수조(300)가 거치된다. 상기 수조(300)는 상기 어퍼바디(120)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어퍼바디(120)는 상기 에어워시모듈(100)의 하중을 지지한다. 특히 상기 수조(300)가 상기 어퍼바디(120)에 거치되고, 상기 수조(300) 및 어퍼바디(120)는 서로 접촉된다.
상기 수조(300) 및 어퍼바디(120) 사이에는 진동절연부재(370)가 배치된다. 상기 진동절연부재(370)는 상기 수조(300) 및 어퍼바디(120)를 소정간격 이격시키고, 상기 수조(300) 및 어퍼바디(120)를 진동 절연(vibration isolation)시킨다.
즉, 상기 진동절연부재(370)는 수조(300) 및 어퍼바디(120) 사이의 진동을 차단시킨다. 상기 진동절연부재(370)는 수조(300) 및 어퍼바디(120)를 소정간격 이격시킨다.
상기 진동절연부재(370)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절연부재(370)는 수조(300) 또는 어퍼바디(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절연부재(370)는 어퍼바디(120)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를 지지한다.
상기 진동절연부재(370)는 상기 어퍼바디(120)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바디(120)의 바닥에서 소정 높이 돌출된다. 상기 진동절연부재(370)에 수조(300)를 포함한 에어워시모듈(200)의 하중이 지지된다.
상기 진동절연부재(370)는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의 진동이 에어워시모듈(20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배치된 송풍팬(24), 송풍모터(22), 워터링모터(42)의 진동이 에어워시모듈(200)로 전달되는 차단한다.
또한, 상기 진동절연부재(370)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의 워터링유닛(400)의 진동이 어퍼바디(12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진동절연부재(370)의 진동 절연을 통해 진동이 사용자에게 전달되거나 진동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절연부재(370)의 진동 절연을 통해 공진의 발생가능성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 어퍼바디(120)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어퍼바디(120)는 베이스바디(110)의 외형을 형성하고, 로어바디(130)와 결합되는 어퍼아우터바디(128)와,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가 삽입되고, 연결유로(103)를 제공하는 어퍼이너바디(140)와,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및 어퍼아우터바디(128)를 결합시키고, 공기를 상기 수조(300)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170)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상측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조(300)가 삽입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여과공기가 유입되는 클린연결유로(104) 중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수조유입구(31)와 대응되는 어퍼유입구(121)가 형성된다. 상기 어퍼유입구(121)는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다. 어퍼바디(120)가 상기 수조유입구(31)를 연결유로(103)에 노출시키는 형상이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클린연결유로(104)를 통해 공급된 공기를 상기 어퍼유입구(121)로 안내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베이스바디(110)의 바깥쪽을 따라 상승된 공기를 안쪽으로 모아준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킨다. 다만,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되, 그 각도를 최소화시켜 공기의 유동저항을 최소화시킨다.
그래서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공기의 유동방향으로 형성된 안내부(172)와, 상기 안내부(172)와 연결되고, 안내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전환시키는 전환부(174)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연결유로(103)를 형성한다.
상기 안내부(172)는 여과유로(102)와 대략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환부(174)는 상기 여과유로(10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전환부(174)는 에어가이드(170)의 상측에 형성된다. 상기 전환부(172)는 안내부(172)와 곡면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환부(174)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도, 상기 연결유로(103)를 통과하는 공기는 대략 경사진 상측 방향으로 유동된다. 상기 연결유로(103) 및 여과유로(102)의 사이각을 180도에 가깝게 형성하여 공기의 유동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172)의 하단이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에 고정된다. 상기 전환부(174)의 상측단이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에 고정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바깥쪽에 상기 클린연결유로(104) 중 일부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가 클린연결유로(104) 중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를 통과한 공기는 어퍼유입구(121) 및 수조유입구(31)를 통해 수조(300) 내부로 유동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전체적으로 바스켓 형상이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평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는 360도 전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내측이 오목한 형상이고, 상기 수조(300)의 외측을 감싼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바닥(141)에 진동절연부재(370)가 배치된다.
상기 진동절연부재(370)는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바닥(141)에서 소정높이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진동절연부재(370)는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와 다른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상기 진동절연부재(370)가 삽입되는 삽입홈(142)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42)은 제 1 커플러(610)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삽입홈(142)은 복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삽입홈(142)은 상기 워터링모터축(43)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삽입홈(142)은 상기 워터링모터축(43)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위치된다. 상기 삽입홈(142)은 바닥(141)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142)은 상측에서 하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어퍼바디(120) 및 로어바디(130)를 체결고정하는 체결부재(147)가 배치되고, 상기 체결부재(147)는 상기 삽입홈(14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142)의 하단은 상기 로어바디(130) 구조물에 지지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삽입홈(142)의 하단을 관통하여 상기 로어바디(130)에 체결된다.
상기 삽입홈(142)의 하단에는 상기 체결부재가 관통되는 홀(143)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측에서 상기 삽입홈(142)에 삽입된 후, 로어바디(13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147)가 체결된 후, 상기 진동절연부재(370)가 삽입홈(142)에 끼워져 설치된다. 상기 진동절연부재(370)는 상기 삽입홈(142)을 밀폐시킨다. 상기 삽입홈(142)을 밀폐시켜 상기 체결부재의 노출을 차단하고, 상기 체결부재가 물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수조(300)의 물이 넘칠 경우,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바닥에 고이고, 상기 고인 물에 체결부재(147)가 노출될 경우, 부식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수조삽입공간(125)에 물이 고일 경우, 삽입홈(142)의 홀(143)을 통해 로어바디(130) 내부로 물이 누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로어바디(130) 내부에는 다수의 전장부품이 배치되기 때문에, 물이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해야한다.
상기 체결부재(147)의 설치구조를 실링하는 것은 상술한 이유로 인해 매우 중요하다. 본 실시예에는 상기 진동절연부재(370)를 통해 에어워시모듈(200) 및 에어클린모듈(100)을 진동절연할 뿐만 아니라, 어퍼바디(120) 및 로어바디(130)의 체결구조를 실링할 수 있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바닥(141)에는 내부에 고인 물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부(149)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부(149)는 상기 바닥(141)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물이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바닥(141)에는 수조바디(320)의 바닥(301)에 형성된 것과 같은 보강리브들이 형성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에 형성된 보강리브는 상술한 것과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자외선을 발생시키는 자외선모듈(190)은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바닥에 설치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바닥(141)에는 어퍼개구부(146)가 형성된다.
상기 어퍼개구부(146)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어퍼개구부(146)에는 자외선을 투과시킬 수 있는 재질의 윈도우(147)가 배치된다.
상기 수조(300)의 바디개구부(326), 베이스개구부(346) 하측에 상기 어퍼개구부(146)가 배치된다. 상기 윈도우(147) 하측에 상기 자외선모듈(190)이 배치된다. 상기 자외선모듈(190)에서 발생된 자외선은 상기 윈도우(147) 및 윈도우모듈(390)을 통과하여 수조 내부로 투사된다.
상기 워터링모터(42)는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하측에 설치되고, 워터링모터축(43)은 어퍼이너바디(140)의 바닥(141)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워터링모터축(43)의 상단에 상기 제 1 커플러(610)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커플러(610)는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바닥(14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측부에는 마그네틱센서(334)가 설치되는 센서하우징(336)이 배치된다. 상기 센서하우징(336)은 어퍼이너바디(140)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설치된다. 상기 센서하우징(336)은 수조(300)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센서하우징(336)의 내부에 마그네틱센서(334)가 배치된다. 상기 센서하우징(336)은 에어가이드(170) 내측에 위치되고, 클린연결유로(104)에 배치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여과공기를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로 안내하기 위한 구성이고, 실시예에 따라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어퍼이너바디(140) 또는 어퍼아우터바디(128)를 결합시킨다.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어퍼유입구(121)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어퍼유입구(121)로 여과공기를 안내한다. 평면에서 볼때, 상기 에어가이드(170)는 도넛형상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가이드(170)의 상단은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상단에 밀착된다.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에어가이드(170)의 상측면과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상측면이 일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의 상단에는 상기 에어가이드(170)와 결합 또는 밀착되는 어퍼이너바디링(126)이 형성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및 어퍼이너바디링(126)을 연결하는 이너바디연장부(148)가 형성된다.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는 복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들 및 어퍼이너바디링(126) 사이에 어퍼유입구(121)가 형성된다.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는 수조바디연장부(380)와 대응된다. 상기 수조(300)의 거치 시,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의 내측에 수조바디연장부(380)가 위치된다. 상기 이너바디연장부(148) 및 수조바디연장부(380)는 안밖으로 겹쳐진다.
상기 에어가이드(170)의 상단은 상기 어퍼이너바디링(126)과 밀착 또는 결합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70)의 하단은 어퍼아우터바디(128)와 밀착 또는 결합된다.
그래서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및 어퍼아우터바디(128) 사이의 클린연결유로(104)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는 어퍼유입구(121)로 안내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링(126)의 직경과 상기 에어가이드(170) 상단의 직경이 일치하거나 유사하다. 상기 에어가이드(170) 및 어퍼이너바디링(126)이 밀착되어 여과공기의 누출을 방지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링(126)은 에어가이드(170)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에 손잡이(12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바디(120)에 에어워시모듈(200)이 거치되는 바, 상기 손잡이(129)를 통해 가습청장장치 전체를 들어올릴 수 있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는 수조(3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조삽입공간(125)이 형성된다.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는 수조(300) 내부와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클린연결유로(104)의 내측에 상기 가습매체(50)가 배치된다.
상기 어퍼바디(120)에 후술하는 워터링유닛(40)의 워터링모터(42)가 설치된다. 상기 워터링모터(42)는 상기 송풍모터(22)와 물리적으로 분리된다.
상기 워터링모터(42)는 워터링브래킷(126)을 통해 어퍼이너바디(140) 외부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모터(42)는 어퍼이너바디(140)의 저면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모터(42)의 구동력을 상기 어퍼이너바디(140)를 관통하여 상기 워터링(30) 내부로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워터링모터(42) 및 송풍모터(22)를 서로 다른 구조물에 분리 설치하고, 이를 통해 진동에 대한 영향을 차단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모터(42)는 어퍼바디(120)에 설치되고, 송풍모터(22)는 송풍하우징(150)에 설치된다. 이를 통해 두 모터(22)(42)가 동시에 작동될 때, 공진이나 진동에 대한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송풍모터(22) 및 워터링모터(42)는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어퍼바디(120)의 상측에 아우터비주얼바디(214)가 결합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비주얼바디(210)의 구성이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어퍼바디(12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에어워시모듈(200)에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은 삭제 가능한 구성이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어퍼바디(12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어퍼아우터바디(128)에 결합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어퍼아우터바디(128)의 외측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비주얼바디(214) 내측에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아우터비주얼바디(214)의 내측면에 밀착되게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평면에서 볼때, 도넛형상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으로 상기 수조(300)가 삽입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아우터비주얼바디(214)에 지지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 가장자리는 어퍼이너바디링(126)에 지지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에어가이드(170)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커넥터(26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에어가이드(170)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어퍼아우터바디(128) 및 어퍼이너바디(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사용자가 어퍼아우터바디(128) 및 어퍼이너바디(140) 사이를 볼 수 없도록 커버한다. 특히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 및 어퍼이너바디(140) 사이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 및 외측은 실링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내측은 어퍼이너바디(140)에 지지되고, 외측은 아우터비주얼바디(218)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링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160)는 디스플레이 피씨비(162, PCB) 및 디스플레이하우징(164)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하우징(164)은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이 코팅된다.
그래서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물이 맺힐 경우, 비주얼바디(210) 맺힌 물이 디스플레이하우징(164) 표면에 투영되거나 반사될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맺힌 물이 흘러내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하우징(164)에도 동일한 효과가 나타난다.
이러한 효과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자극을 주고, 가습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하우징(164)에 투영된 물방울 이미지는 사용자에게 청량감을 주는 감성적 효과 뿐만 아니라 가습 상태를 알 수 있는 기능적 효과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하우징(164)의 상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하우징(164)은 사용자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래서 내측이 높고, 외측이 낮게 형성된다.
도 22는 도 1의 단면도이고, 도 23은 워터링모터 및 송풍모터의 분리상태가 도시된 분해 단면도이고, 도 24는 워터링모터 및 송풍모터의 결합상태가 도시된 결합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어퍼바디 및 로어바디의 결합관계 및 배치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로어바디(130)는 베이스바디(110)의 외형을 형성하는 로어아우터바디(138)와, 상기 로어아우터바디(138) 내부에 배치되는 송풍팬하우징(150)을 포함한다.
상기 송풍팬하우징(150)은 상기 로어아우터바디(138)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로어아우터바디(138)에 결합된다.
상기 어퍼바디(120)는 베이스바디(110)의 외형을 형성하고, 로어아우터바디(138)와 결합되는 어퍼아우터바디(128)와,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가 삽입되고, 연결유로(103)를 제공하는 어퍼이너바디(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와 로어아우터바디(138)가 체결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와 송풍팬하우징(150)이 체결된다. 상기 체결된 상태에서 워터링모터(42) 및 송풍모터(22)은 모터이격거리(MD)를 형성한다.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 및 로어아우터바디(138)의 체결을 위해, 어퍼아우터바디(128)에는 체결부(127)가 배치되고, 로어아우터바디(138)에도 체결부(137)가 배치된다. 상기 체결부(127)(137)들을 통해 하중이 지지된다.
상기 어퍼이너바디(140) 및 송풍팬하우징(150)의 체결을 위해, 어퍼이너바디(140)에 삽입홈(142)이 배치되고, 송풍팬하우징(150)에 체결부(152)가 배치된다.
상기 삽입홈(142) 및 체결부(152)들을 통해 하중이 지지된다.
상기 워터링모터(42)는 어퍼이너바디(140)에 설치되고, 송풍모터(22)는 송풍팬하우징(150)에 설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 및 워터링모터(42)가 이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진동이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송풍모터(22) 및 워터링모터(42)가 이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공진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송풍모터(22)에서 발생된 진동은 송풍팬하우징(150), 로어아우터바디(138), 어퍼아우터바디(128) 및 어퍼이너바디(140) 거쳐야만 워터링모터(42)로 전달된다.
상기 워터링모터(42)에서 발생된 진동은 이와 반대로 어퍼이너바디9140), 어퍼아우터바디(128), 로어아우터바디(138) 및 송풍팬하우징(150)을 거쳐야 송풍모터(22)로 전달된다.
다수의 구조물을 거치는 과정에서 진동이 감쇄되고 완충될 수 있다.
특히, 이렇게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구조는 수조삽입공간(300)에 거치된 수조(300)에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 필터어셈블리 20 : 송풍유닛
30 : 수조 40 : 워터링유닛
51 : 수조가습매체 55 : 토출가습매체
100 : 에어클린모듈 110 : 베이스바디
120 : 어퍼바디 130 : 로어바디
150 : 송풍하우징 160 : 디스플레이모듈
200 : 에어워시모듈 210 : 비주얼바디
230 : 탑커버어셈블리 260 : 커넥터

Claims (20)

  1. 수조;
    상기 수조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수조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회전시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이 상승하도록 내부에 상기 수조와 연통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워터링 하우징;으로서, 상기 공간을 규정하는 측면을 포함하는 워터링 하우징;
    상기 워터링 하우징을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워터링 하우징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워터링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워터링 하우징의 회전 중심에 대해 경사진 복수의 날개; 그리고,
    상기 워터링 하우징의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워터링 하우징의 내부를 통하여 상승된 물을 상기 워터링 하우징의 외측으로 분사하는 분사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날개와 상기 워터링 하우징의 측면이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워터링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분사구는 상기 복수의 날개 사이에 위치하는 가습청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상측에 위치하고, 내부를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비주얼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워터링 하우징은 상기 비주얼 바디의 하단을 지나 연장되는 가습청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워터링 하우징은,
    상기 수조의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고, 상기 워터링 하우징의 하부를 이루는 하측부; 그리고,
    상기 하측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상측부를 포함하고,
    상기 날개는 상기 워터링 하우징의 상측부에 위치하는 가습청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링 하우징의 하측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원뿔대 형상을 갖고,
    상기 워터링 하우징의 길이방향에서, 상기 워터링 하우징의 상측부의 내측면과 상기 워터링 하우징의 회전 중심축 사이의 각도는, 상기 워터링 하우징의 하측부의 내측면과 상기 회전 중심축 사이의 각도보다 작은 가습청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는 상기 워터링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날개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높이에 위치하는 가습청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상기 워터링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른 폭을 갖고, 상기 날개의 폭은 상기 날개의 외측단과 상기 워터링 하우징의 측면 사이의 거리로 정의되는 가습청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는 상기 날개의 최대 폭을 갖는 부분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가습청정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링 하우징의 하측부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워터링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더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에 결합되고, 내부를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비주얼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워터링 하우징은 상기 분사구를 통해 상기 비주얼 바디로 물을 분사하도록 구성된 가습청정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는 상기 비주얼 바디의 하단과 상단 사이의 높이에 위치하는 가습청정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60122172A 2015-10-30 2016-09-23 가습청정장치 KR1024571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48463P 2015-10-30 2015-10-30
US62/248,463 2015-10-30
KR1020150156254 2015-11-07
KR20150156254 2015-11-07
KR1020150185857 2015-12-2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857 Division 2015-10-30 2015-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212A KR20170051212A (ko) 2017-05-11
KR102457136B1 true KR102457136B1 (ko) 2022-10-20

Family

ID=587421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172A KR102457136B1 (ko) 2015-10-30 2016-09-23 가습청정장치
KR1020160129313A KR101871265B1 (ko) 2015-10-30 2016-10-06 가습청정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313A KR101871265B1 (ko) 2015-10-30 2016-10-06 가습청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457136B1 (ko)
CN (1) CN1071013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2565A (zh) * 2017-06-19 2017-08-18 王福军 一种室内空气调节方法及其调节系统
KR102527659B1 (ko) 2017-11-27 2023-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2500522B1 (ko) * 2018-03-09 202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청정장치 및 그 방법
CN109099536A (zh) * 2018-08-14 2018-12-28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空气加湿净化器
CN109681981A (zh) * 2018-12-29 2019-04-26 奥佳华智能健康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加湿型空气净化器
CN109681982A (zh) * 2018-12-29 2019-04-26 奥佳华智能健康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加湿空气净化器
CN110030644A (zh) * 2019-04-30 2019-07-19 贵州全世通精密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富氧加湿空气净化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7327A (ja) * 2002-04-17 2003-10-31 Rabi:Kk 陰イオン発生装置
JP2004028412A (ja) * 2002-06-24 2004-01-29 Takutoron Kk 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用ミスト生成機構
KR100989773B1 (ko) * 2008-08-13 2010-10-26 이영훈 습식 공기청정기의 물분사장치 고정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8402A (ja) * 1997-10-09 1999-04-23 Aiwa Co Ltd 動作確認機構、空気清浄装置、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及び加湿器
JP2005274041A (ja) * 2004-03-25 2005-10-06 Seiichi Futaboshi 加湿装置
KR20120076284A (ko) * 2010-12-29 2012-07-0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가습 장치
CN102748817B (zh) * 2012-07-04 2014-05-21 同济大学 一种高效多功能模块化室内空气净化装置
JP6398072B2 (ja) * 2013-03-27 2018-10-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湿空気清浄機
JP2015042921A (ja) * 2013-08-26 2015-03-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湿装置および加湿空気清浄装置
JP6179948B2 (ja) * 2013-10-09 2017-08-16 バルミューダ株式会社 気化式加湿器
JP5842962B2 (ja) * 2013-12-27 2016-01-1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清浄機
CN104990137A (zh) * 2015-05-28 2015-10-2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气净化加湿设备的风道和空气净化加湿设备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7327A (ja) * 2002-04-17 2003-10-31 Rabi:Kk 陰イオン発生装置
JP2004028412A (ja) * 2002-06-24 2004-01-29 Takutoron Kk 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用ミスト生成機構
KR100989773B1 (ko) * 2008-08-13 2010-10-26 이영훈 습식 공기청정기의 물분사장치 고정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212A (ko) 2017-05-11
CN107101305A (zh) 2017-08-29
KR101871265B1 (ko) 2018-06-27
KR20170051234A (ko) 2017-05-11
CN107101305B (zh) 2020-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7136B1 (ko) 가습청정장치
KR101769817B1 (ko) 가습청정장치
KR101931706B1 (ko) 가습청정장치
KR101859960B1 (ko) 가습청정장치
JP7413319B2 (ja) 加湿清浄装置
EP3163189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US10151499B2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1880484B1 (ko) 가습청정장치
KR20170051108A (ko) 가습청정장치
EP3163192B1 (en)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EP3163195B1 (en)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EP3163197B1 (en)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KR102462767B1 (ko) 가습청정장치
EP3163194B1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2381724B1 (ko) 가습청정장치
KR101859041B1 (ko) 가습청정장치
KR102419346B1 (ko) 가습청정장치
KR101931708B1 (ko) 가습청정장치
KR101859039B1 (ko) 가습청정장치
CN113959027A (zh) 加湿净化装置
KR20220039025A (ko) 가습청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