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1708B1 - 가습청정장치 - Google Patents

가습청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1708B1
KR101931708B1 KR1020160129319A KR20160129319A KR101931708B1 KR 101931708 B1 KR101931708 B1 KR 101931708B1 KR 1020160129319 A KR1020160129319 A KR 1020160129319A KR 20160129319 A KR20160129319 A KR 20160129319A KR 101931708 B1 KR101931708 B1 KR 101931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housing
ai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9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1240A (ko
Inventor
손상혁
이정우
이영구
정운창
정창욱
김태윤
최지은
이건영
이종수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3723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170051142A/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EP16196414.3A priority Critical patent/EP3163197B1/en
Priority to US15/337,974 priority patent/US10113759B2/en
Priority to PCT/KR2016/012317 priority patent/WO2017074132A1/ko
Priority to CN201610996882.0A priority patent/CN107101306A/zh
Priority to CN202111246314.6A priority patent/CN113959027A/zh
Priority to US15/339,568 priority patent/US10267528B2/en
Publication of KR20170051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1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1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1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F24F3/160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rot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24F2003/161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using a decorative fount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 내부에 배치되고, 워터링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회전 시 상기 수조의 물을 내부로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한 후, 상기 양수된 물이 분사되는 워터링하우징; 상기 수조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의 내부로 돌출되는 레벨러;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링하우징이 회전될 때, 상기 레벨러는 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물과 저항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레벨러는 수조 내에서 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물과 저항을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수조 내의 물 높이를 균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가습청정장치{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본 발명은 가습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장치는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는 에어컨디셔너,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정도를 유지시키는 공기청정기, 공기 중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기, 공기 중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기 등이 있다.
종래 가습기는 진동판에서 물을 무화시켜 공기 중으로 토출하는 진동식 및 가습필터에서 자연증발시키는 자연증발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자연식 증발식 가습기는 구동력을 이용하여 디스크를 회전시키고, 공기 중의 디스크 표면에서 물이 자연증발되는 디스크식 가습기와, 물이 적셔진 가습매체에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자연증발되는 가습필터식 가습기로 구분된다.
종래 가습기는 가습과정에서 유동되는 공기 중 일부가 필터에서 여과되었다. 그러나 종래 가습기는 가습 기능이 메인이기 때문에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이 미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가습기는 가습과정에서 여과기능이 부가되어 실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공기 여과만을 위해 작동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종래 가습기는 습도가 높은 상황에서도 사용자가 공기청정을 원할 경우 가습이 실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가습기능 및 공기청정기능을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비주얼바디에 맺힌 물방울을 통해 사용자가 가습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조 내에서 회전되는 물과 저항을 발생시켜 물 높이를 균일화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조의 내측 벽을 따라 회전되는 물을 중심 측으로 안내할 수 있는 가습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 상기 수조 내부에 배치되고, 워터링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회전 시 상기 수조의 물을 내부로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한 후, 상기 양수된 물이 분사되는 워터링하우징; 상기 수조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의 내부로 돌출되는 레벨러;를 포함하고, 상기 워터링하우징이 회전될 때, 상기 레벨러는 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물과 저항을 발생시킨다.
상기 레벨러는 상기 수조의 내부 바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벨러는 상기 수조의 내부 바닥에 구배를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이 회전될 때, 상기 레벨러는 상기 수조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물을 안내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벨러는 상기 수조의 내부 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벨러는 상기 수조의 내부 측벽에서 안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벨러는 상기 수조의 내부 측벽에서 안쪽으로 돌출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벨러는 상기 수조의 내부 바닥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벨러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직선 또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은 상기 수조의 내부 바닥과 이격되어 흡입간격을 형성시키고, 상기 레벨러는 흡입간격으로 물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레벨러는 상기 수조의 내부 바닥에 형성된 유동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가이드는, 상기 바닥과 경사지게 배치되고 물의 유동방향을 향해 형성된 제 1 경사면; 상기 바닥과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경사면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 2 경사면; 상기 제 1 경사면 및 제 2 경사면을 연결하는 경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경사면의 경사각이 상기 제 2 경사면의 경사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동가이드의 안쪽은 상기 워터링하우징과 이격되고, 상기 유동가이드의 바깥쪽은 상기 수조의 측벽과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유동가이드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유동가이드들은 상기 워터링하우징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각 유동가이드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은 상기 수조의 내부 바닥과 이격되어 흡입간격을 형성시키고, 상기 유동가이드는 상기 흡입간격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가이드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직선 또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레벨러가 수조 내에서 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물과 저항을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수조 내의 물 높이를 균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레벨러가 수조의 측벽을 따라 유동되는 물을 중심으로 안내하는 장점이 있다.
셋째, 레벨러가 수조 내의 물 높이 편차를 최소화시키기 때문에, 수조에 저장된 물이 빈수일 때에도 효율적인 워터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공기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에어워시모듈을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에어워시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에어워시모듈의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에서 수조베이스가 분해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6은 도 8에 도시된 D의 확대도이다.
도 17은 도 8에 도시된 E의 확대도이다.
도 18는 도 8에 도시된 G의 확대도이다.
도 19는 도 10에 도시된 L-L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레벨러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레벨러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레벨러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정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유동가이드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해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습청정장치는 에어클린모듈(100) 및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상측에 거치되는 에어워시모듈(200)을 포함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은 외부공기를 흡입한 후 여과하고, 여과공기를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제공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상기 여과공기를 공급받아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을 실시하고, 가습공기를 외부로 토출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물이 저장되는 수조(300)를 포함한다. 상기 수조(300)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될 때,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가능하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에어클린모듈(100) 위에 거치된다.
사용자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을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에어워시모듈(200)을 청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된 에어클린모듈(100) 내부를 청소할 수도 있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된 경우,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의 상면이 사용자에게 개방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은 후술하는 필터어셈블리(10)를 별도로 분리한 후 청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는 외부에서 상기 수조(30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급수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급수유로는 어느 때나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작동 중일 때에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클린모듈(100)에 결합된 상태에서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될 상태일 때에도 급수유로를 통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은 연결유로(103)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연결유로(103)는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에 분산되어 형성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형성된 연결유로를 클린연결유로(104)라 정의하고,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형성된 연결유로를 가습연결유로(105)라 정의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거치될 때, 비로소 상기 연결유로가 연결되고, 공기의 유로 정확하게 구성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은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겠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은 흡입유로(101) 및 클린연결유로(104)가 형성된 베이스바디(1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유동되는 공기에 대해 여과를 실시하는 필터어셈블리(10)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유닛(20)을 포함한다.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외부공기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를 통해 상기 필터어셈블리(10)에서 여과된 공기가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2파트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바디(110)는 외형을 형성하고, 하측면에 흡입구(111)가 형성된 로어바디(130)와, 외형을 형성하고, 상기 로어바디(130) 상측에 결합되는 어퍼바디(120)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또는 에어워시모듈(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가습청정장치의 작동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모듈(160)이 설치된다.
상기 어퍼바디(120) 및 로어바디(130)는 일체로 조립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어퍼바디(120) 및 로어바디(130)는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어퍼바디(120)의 상측에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의 하중을 지지한다.
상기 어퍼바디(120)는 상기 수조(300)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어퍼바디(120)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의 수조(300)가 분리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어퍼바디(120)는 상기 수조(300)를 수납할 수 있도록 오목한 구조이다.
상기 어퍼바디(12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로 상기 수조(300)를 수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기청정기의 무게중심을 보다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을 통해 전원을 입력받고,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을 통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전원을 제공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대해 분리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는 분리가능한 전원공급구조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은 상기 어퍼바디(120)를 통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어퍼바디(120)에는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전원을 제공하는 커넥터(260)가 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에는 상기 커넥터(260)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탑커넥터(270)가 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가 거치될 때, 상기 탑커넥터(270)가 커넥터(260) 상측에 거치된다.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는 상기 탑커넥터(270)를 통해 상기 커넥터(26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여과유로(102)를 제공하고, 외부 공기에 대해 필터링을 실시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탈착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수직방향을 거슬러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해 교차되게 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에 대해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10)는 상기 베이스바디(11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송풍유닛(20)은 공기의 유동을 생성시킨다. 상기 송풍유닛(20)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배치되고, 하측에서 상측으로 공기를 유동시킨다.
상기 송풍유닛(20)은 송풍하우징(150), 송풍모터(22) 및 송풍팬(24)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풍모터(22)가 상측에 배치되고, 송풍팬(24)이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베이스바디(11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에 상기 송풍모터(22) 및 송풍팬(24)이 배치된다.
상기 송풍하우징(150)은 상기 필터어셈블리(1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어퍼바디(120)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팬(24)은 원심팬으로서, 하측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반경방향 외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송풍팬(24)은 반경방향 바깥쪽 및 상측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송풍팬(24)은 외측단이 반경방향 상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유동되는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상기 송풍팬(24)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2)는 상기 송풍팬(24)에 의한 공기 유로 상에 위치되지 않는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은 가습을 위한 물이 저장되고,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수조(300)와, 상기 수조(300)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의 물을 분사하는 워터링유닛(400)과, 상기 워터링유닛(400)에서 분사된 물에 의해 적셔지고, 유동되는 공기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매체(50)와, 상기 수조(300)에 결합되고, 내부를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 비주얼바디(210)와,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유로(107) 및 물이 공급되는 급수유로(109)가 형성된 탑커버어셈블리(230)를 포함한다.
상기 수조(300)는 상기 어퍼바디(120)에 거치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상기 수조(3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조(300) 내부에서 회전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상기 수조 내부의 물을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하고, 양수된 물을 반경방향 바깥으로 분사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물을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한 후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분사시키는 워터링하우징(800)을 포함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서 분사된 물이 상기 가습매체(50)를 적신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서 분사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 또는 가습매체(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향해 분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향해 물을 분사하고, 분사된 물은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린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는 물방울 형태로 맺혀진 액적이 형성되고, 사용자는 상기 비주얼바디(210)를 통해 상기 액적을 볼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는 상기 수조(300)와 결합되고, 상기 수조(300)의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적어도 일부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 내측면에 맺힌 액적은 빗방울이 맺힌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린 액적이 상기 가습매체(50)를 적신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바깥쪽에 디스플레이모듈(16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비주얼바디(210) 또는 어퍼바디(1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은 상기 어퍼바디(120)에 배치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거치될 때,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외측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에 밀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는 빛을 반사하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맺힌 액적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60)의 표면에도 투영된다. 그래서 사용자는 상기 비주얼바디(210) 및 디스플레이모듈(160) 2군데에서 액적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다.
상기 수조(300)는 공기가 소통되는 수조유입구(31)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수조유입구(31)를 통해 상기 에어워시모듈(200) 내부로 유동된다.
상기 가습매체(50)는 연결유로(103)에 배치되는 수조가습매체(51) 및 토출유로(107)에 배치되는 토출가습매체(55)를 포함한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연결유로(103) 상에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수조(300)의 수조유입구(31)에 배치된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수조유입구(31)의 안쪽에 위치되고, 상기 수조유입구(31)를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가습을 제공한다.
상기 수조가습매체(51)는 상기 수조유입구(31)를 커버하고, 공기는 상기 수조가습매체(51)를 관통하여 상기 수조(300) 내부로 유동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토출유로(107) 상에 배치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비주얼바디(21) 또는 탑커버어셈블리(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탑커버어셈블리(230)에 상기 토출가습매체(55)가 배치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55)는 상기 토출유로(107)를 커버하고, 공기는 상기 토출가습매체(55)를 관통하여 탑커버어셈블리(230) 밖으로 유동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공기의 유동에 대해 설명한다.
송풍유닛(20)이 작동되면, 외부 공기는 베이스바디(110)의 하측면에 형성된 흡입유로(101)를 통해 베이스바디(1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흡입유로(10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에어클린모듈(100) 및 에어워시모듈(200)를 통과하고, 에어워시모듈(200)의 상측에 형성된 토출유로(107)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 흡입유로(101)로 흡입된 공기는 필터어셈블리(10)의 여과유로(102)를 통과한다.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하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102)는 외부공기를 여과한다.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한 공기는 송풍유닛(20)을 통해 연결유로(103)로 유동된다. 상기 여과유로(102)를 통과한 공기는 송풍팬(24)에 의해 가압된 후, 송풍팬하우징(150)을 따라 연결유로(103)로 유동된다.
상기 송풍유닛(20)이 여과유로(102) 다음에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송풍팬(24)에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송풍유닛(20)이 여과유로(102) 전에 배치되는 경우, 송풍팬(24)에 이물질이 부착되고 이로 인한 청소주기가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송풍유닛(20)이 후술하는 가습유로(106) 전에 배치되기 때문에, 송풍팬(24) 표면에 수분이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송풍팬(24) 표면에 가습된 수분이 부착되는 경우, 이물질이 엉겨붙거나 곰팡이 등이 발생될 위험이 매우 크다.
상기 송풍유닛(20)은 여과유로(102) 및 가습유로(106) 사이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물질의 부착을 최소할 수 있고, 공기의 유동압력을 적절하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103)는 에어클린모듈(100)에 형성된 클린연결유로(104) 및 에어워시모듈(200)에 형성된 가습연결유로(105)로 구성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어퍼바디(120)에 거치된 상태일 때, 상기 클린연결유로(104) 및 가습연결유로(105)가 연결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된 상태일 때, 상기 클린연결유로(104) 및 가습연결유로(105)는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클린연결유로(104)는 어퍼바디(120)에 형성되고, 가습연결유로(105)는 에어워시모듈(20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클린연결유로(104) 및 가습연결유로(105)는 덕트형태로 형성되어 명확한 유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유로(103)가 어퍼바디(120)의 일부 구조물 및 상기 수조(300)의 일부 구조물로 분산되고,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어퍼바디(120)에 거치될 때, 상기 연결유로(103)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바디(120)가 상기 연결유로(103)의 바깥쪽 구조물을 제공하고, 상기 수조(300)가 상기 연결유로(103)의 안쪽 구조물을 제공한다.
즉, 상기 수조(300)의 바깥 쪽 및 어퍼바디(120)의 안쪽 사이에 상기 연결유로(103)가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연결유로(103)는 수조(300) 및 어퍼바디(120)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수조(300)가 상기 연결유로(103)의 안쪽 벽을 형성하고, 상기 어퍼바디(120)가 상기 연결유로(103)의 바깥쪽 벽을 형성한다.
이렇게 연결유로(103)의 구조는 분산배치함으로써, 유로를 형성하는 구조물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연결유로(103)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유로(103)를 통과한 공기는 가습유로(106)로 유동된다. 상기 가습유로(106)는 수분이 공급되는 구간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유로(106)는 수조가습매체(51) 부터 토출가습매체(55)까지이다.
연결유로(103)에서 수조가습매체(51)를 통과하면서, 공기에 수분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조(300) 내부에는 상기 워터링유닛(400)에서 비산된 물방울 및 수조(300)에서 증발된 수분이 제공된다.
상기 수조(300) 내부에서 상기 토출가습매체(55)를 통과하면서, 다시 수분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가습유로(106)에서는 상기 수조가습매체(51), 수조(300) 내부 및 토출가습매체(55)를 통해 수분이 공급된다.
상기 토출가습매체(55)를 통과한 공기는 토출유로(107)를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에어워시모듈을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에어워시모듈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2에 도시된 에어워시모듈의 좌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6에서 수조베이스가 분해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저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B-B를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수조(300)는 물이 저장되는 수조바디(320)와, 상기 수조바디(320)의 하부에 결합되는 수조베이스(340)와, 상기 수조바디(320)의 측면에 형성된 수조유입구(31)와, 상기 수조바디(320)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컬럼(35)과, 상기 수조바디(32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비주얼바디(210)에 결합되는 수조바디연장부(380)와, 상기 수조바디(320)의 내부에 배치되고, 플로터(332)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플로터하우징(33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바디(320)는 상측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수조바디(320)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조바디(320)에 컬럼(35)이 형성되고, 상기 컬럼(35) 내부에 후술하는 동력전달모듈(60)이 배치된다. 상기 컬럼(35)은 수조바디(320)에 저장된 물과 동력전달모듈(60)이 접촉되는 것을 차단 또는 억제한다.
상기 수조베이스(340)는 수조바디(320)의 외측 저면에 결합된다. 상기 수조베이스(340) 및 수조바디(32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수조베이스공간(311)으로 정의한다. 상기 수조베이스공간(311)은 외부와 밀폐되고,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상기 수조(300)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상기 수조유입구(31)를 형성시킨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 사이에 상기 수조유입구(31)가 형성된다.
상기 수조유입구(31)는 수조바디(320)의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수조유입구(31)는 수조바디(320)에 대하여 360도 전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조유입구(31)는 연결유로(103)와 연통된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상기 수조(300) 내부로 안내한다. 상기 비주얼바디(210)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안내함으로써 낙수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는 비주얼바디(210)의 하단에 체결된다. 복수개의 상기 수조바디연장부(38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비주얼바디(210)와 체결되는 수조체결부(381)가 배치된다. 상기 수조체결부(381)는 수조바디연장부(380)의 바깥쪽에 배치된다. 상기 수조체결부(381)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통해 비주얼바디(210) 및 수조(300)가 결합된다.
상기 수조바디(320)에 컬럼(35)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컬럼(35)은 원뿔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컬럼(35)을 감싸도록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컬럼(35)은 상기 수조바디(320)와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컬럼(35)은 상기 수조바디(320)의 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조바디(320)는 내부에 플로터하우징(330)이 형성된다. 상기 플로터하우징(330) 내부에 플로터(332)가 배치된다. 상기 플로터(332)는 물보다 비중이 가벼운 물질로 형성되고, 수조(300)에 저장된 수위에 따라 상기 플로터하우징(330)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플로터하우징(330)은 상기 수조바디(320)의 내측벽에 설치된다. 상기 플로터하우징(33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플로터하우징(330)은 상기 수조(300)의 물이 유입될 수 있는 구조이다.
상기 플로터하우징(330)의 하단(331)은 상기 수조바디(32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수조바디(320)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공간은 플로터수납공간(333)으로 정의한다.
상기 플로터수납공간(333)에 플로터(332)가 위치되는 경우, 상기 수조(300)에 물이 없는 상태이다.
상기 플로터(332)는 수위센서의 일부이다. 상기 플로터(332)에는 영구자석(335)이 배치된다. 상기 수위센서는 상기 영구자석(335)의 자기력을 감지하는 마그네틱센서(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마그네틱센서는 어퍼바디(120)에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수위센서는 비접촉 방식으로 상기 수조(300)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수조(300)는 분리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비접촉 방식으로 수위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수조(300)의 거치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그네틱센서가 상기 영구자석을 감지하는 경우, 제어부(미도시)는 수조(300)가 거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수조베이스(340)는 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베이스보더(342)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보더(342)에는 상기 플로터하우징(330)의 하단(331)이 삽입되는 홈(343)이 형성된다. 상기 홈(343)에 상기 하단(331)이 끼워진다. 상기 홈(343)을 통해 상기 하단(331)이 노출된다. 상기 홈(343)을 통해 노출되는 플로터하우징(330)의 하단(331)은 상기 마그네틱센서의 감지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하단(331)이 베이스보더(342)에 의해 감싸질 경우, 영구자석에 대한 자기장신호가 감소하고, 이로 인해 오감지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홈(343)을 통해 하단(331)을 노출시킴으로서, 상기 하단(331) 내부에 위치되는 플로터(332)의 영구자석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에는 수조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이 배치된다. 상기 수조(300)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공간으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워터링유닛(400)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이를 통해 워터링유닛(4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억제해야 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을 충분히 지지하지 못할 경우, 수조바디(320)의 바닥(301)이 변형되거나 흔들리면서 진동이 발생된다. 상기 수조(300)에서 발생된 진동은 구조물 전체로 퍼져나 가습청정장치 전체에 악영향이 발생된다.
이를 최소화기 위해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에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조가 배치된다.
상기 수조바디(320)에 형성된 컬럼(35)의 저면은 개구되어 형성된다. 개구된 상기 컬럼(35)의 저면을 수조바디삽입구(329)라 한다. 상기 수조바디삽입구(329)를 통해 후술하는 베어링하우징(650)이 삽입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650)은 동력전달모듈(600)의 구성이다.
상기 수조베이스(340)의 내측에는 베이스삽입구(349)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삽입구(349)는 상기 수조바디삽입구(329)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베어링삽입구(349)는 상기 베어링하우징(650)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베이스삽입구(349)를 통해 상기 베어링하우징(650)의 하부가 노출된다. 상기 베이스삽입구(349)를 통해 후술하는 제 1 커플러(610)가 삽입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650)은 상기 컬럼(35) 내부로 삽입되는 베어링하우징바디(652)와, 상기 베어링하우징바디(652)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수조바디(320)의 저면에 밀착되는 하우징플랜지(654)를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650)의 하면은 개구되어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650)의 개구된 저면을 베어링하우징삽입구(659)라 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삽입구(659)에 후술하는 제 2 커플러(620)가 배치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삽입구(659)와 베이스삽입구(349)는 서로 연통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삽입구(659) 하측에 상기 베이스삽입구(349)가 위치된다. 상기 베이스삽입구(349)를 통해 상기 제 2 커플러(620)가 노출된다. 상기 베이스삽입구(349)를 통해 후술하는 제 1 커플러(610)가 삽입되고, 상기 제 2 커플러(62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플랜지(654)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플랜지(654)는 수조바디(320)의 하측 저면에 밀착된다.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하우징플랜지(654)는 상기 컬럼(35)의 평면보다 넓게 형성된다.
상기 컬럼(35) 및 하우징플랜지(654)은 동심축 상에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플랜지(654)는 체결부재(651)를 통해 상기 수조(300)에 체결된다. 체결부재(651)는 상기 하우징플랜지(654)를 관통하여 상기 수조바디(320)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하우징(650)을 고정하기 위한 제 1 체결부재(651)와 별도로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655)가 배치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650)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651)를 제 1 체결부재(651)로 정의하고, 상기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655)를 제 2 체결부재(655)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체결부재(651)가 수조베이스(340), 하우징플랜지(654) 및 수조바디(320)를 한번에 체결한다. 상기 제 1 체결부재(651)가 3개의 구성을 동시에 체결하기 때문에, 상기 베어링하우징(65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부재(651)가 3개의 구성을 한번에 체결하기 때문에, 상기 수조(300)의 하부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부재(651)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에는 각각 체결부(321)(341)가 형성된다.
상기 수조바디(320)에 형성된 바디체결부(321)는 보스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수조베이스(340)에 형성된 베이스체결부(341)은 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플랜지(654)는 상기 제 1 체결부재(651)가 관통되는 플랜지체결부(653)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체결부(653)는 홀 형태이다.
상기 제 1 체결부재(651)는 나사이고, 상기 제 1 체결부재(651)는 상기 베이스체결부(341) 및 하우징플랜지(654)를 관통하여 바디체결부(321)에 고정된다. 상기 제 1 체결부재(651)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체결된다.
상기 제 1 체결부재(651) 및 체결부(341)(653)(321)은 각각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체결부재(651)는 적어도 2개가 배치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4개가 동력전달축(64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 체결부재(651)는 동력전달축(640)을 중심으로 90도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650)을 고정하기 위한 제 1 체결부재(651)와 별도로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655)가 배치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650)을 고정하기 위한 제 1 체결부재(651)를 제 1 체결부재(651)로 정의하고, 상기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655)를 제 2 체결부재(655)로 정의한다.
상기 체결부재(655)는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를 결합시켜 상기 수조(300)의 강성을 보다 향상시킨다.
상기 제 2 체결부재(655)는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와 달리 체결부재 대신 후크 등을 통한 상호 걸림을 통해 수조바디와 수조베이스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호 걸림을 통해 결합되는 경우, 미세한 간격이 형성되기 때문에 진동에 취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 2 체결부재(655)를 통해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를 결합시킨다.
상기 제 2 체결부재(655)는 수조베이스(340)의 하부에서 체결되고, 상기 수조베이스(340)를 관통하여 수조바디(320)에 결합된다. 상기 수조바디(320)의 저면에는 상기 제 2 체결부재(655)가 체결되는 체결부(325)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체결부재(655)와 결합되는 체결부(321)를 제 1 체결부(321)라 정의하고, 상기 제 2 체결부재(655)와 결합되는 체결부(325)를 제 2 체결부(325)라 정의하고, 상기 수조베이스(340)에 형성된 체결부(341)를 베이스체결(341)부라 정의한다.
상기 제 2 체결부(325)는 상기 수조바디(32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 체결부(325)는 보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체결부(325)는 동력전달축(64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2 체결부(325)는 동력전달축(640) 주변에 복수개가 배치되고, 각각이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체결부(325)는 동력전달축(640)을 중심으로 60도 간격으로 6개가 배치된다.
상기 제 2 체결부재(655)를 통해 수조베이스(340)가 수조바디(320) 저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뿐만 아니라, 하우징플랜지(654)에 밀착된다.
상기 수조베이스(340)에는 상기 하우징플랜지(654)를 지지하는 플랜지서포터(348)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서포터(348)는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서포터(348)는 베이스삽입구(349) 주변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랜지지부(348)는 상기 베이스삽입구(349)를 따라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서포터(348) 바깥쪽에 상기 베이스체결부(341)가 배치된다. 즉, 상기 플랜지서포터(348)가 상기 베어링하우징(650)을 지지한 상태에서 제 1 체결부재(651)가 수조베이스(340), 하우징플랜지(654) 및 수조바디(320)를 체결시킨다.
한편, 상기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에는 각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리브들이 배치된다.
강도보강을 위해 상기 수조바디(320)에 형성된 것을 바디보강리브(350)라 하고, 수조베이스(340)에 형성된 것을 베이스보강리브(355)라 한다.
상기 바디보강리브(350)는 수조바디(320)의 바닥(301)에 형성된다. 상기 바디보강리브(350)는 수조바딕(320)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바디보강리브(350)는 동력전달축(640)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 1 보강리브(352)와, 상기 동력전달축(640)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 2 보강리브(35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보강리브(352)는 상기 수조바디삽입구(329)에서부터 가장자리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1 보강리브(352)는 방사상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보강리브(354)는 상기 수조바디삽입구(329)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 2 보강리브(354)는 동심원을 이루면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복수개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보강리브(352) 및 제 2 보강리브(354)는 교차된다.
상기 제 1 보강리브(352) 및 제 2 보강리브(354)를 통해 수조바디(320)의 두께를 최소할 수 있고, 두께를 최소화한 상태에서도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보강리브(352) 및 제 2 보강리브(354)를 통해 베어링하우징(650)의 진동이 수조(30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 1 보강리브(352) 및 제 2 보강리브(354)를 통해 워터링유닛(400)의 작동 시 편심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수조(300) 바닥(301)의 강성을 보강할 경우, 워터링유닛(400)의 상단에서의 편심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보강리브(355)는 수조베이스(34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수조베이스(340)에는 상하 방향으로 오목한 홈(356)이 형성되고, 상기 홈(356)에 상기 베이스보강리브(355)가 형성된다.
상기 홈(356)은 상기 수조베이스(34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홈(356)은 상기 수조베이스(340)의 저면에서 볼 때, 폐곡선을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보강리브(355)는 상기 홈(356)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된다.
한편, 상기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 사이에는 물의 침투를 억제하는 밀폐구조가 배치된다.
상기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의 내측 가장자리를 밀폐하는 제 1 패킹(361)과, 상기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의 외측 가장자리르 밀폐하는 제 2 패킹(362)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패킹(361)은 베이스삽입구(349)를 통해 물이나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 2 패킹(362)은 상기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의 외측 가장자리를 통해 물이나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 1 패킹(361)을 설치하기 위해 제 1 패킹설치홈(363)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패킹설치홈(363)은 플랜지서포터(348) 또는 하우징플랜지(65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플랜지(654)의 저면에 제 1 패킹설치홈(363)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패킹설치홈(363)은 베이스삽입구(349) 주변으로 폐곡선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패킹설치홈(363)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서포터(348)가 상기 하우징플랜지(654)에 밀착될 때, 상기 제 1 패킹(361)이 밀착되면서 밀폐가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하우징플랜지(654) 및 수조바디(320) 사이에도 패킹(365)이 설치된다. 상기 패킹(365)는 하우징플랜지(654)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패킹(365)은 수조바디삽입구(329)를 밀폐시킨다. 상기 패킹(365)은 수조바디삽입구(329)을 따라 폐곡선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패킹(365)는 수조바디(32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체결부재(651)의 체결 시, 베어링하우징(650) 및 수조바디(320) 사이에서 밀착된다. 상기 패킹(365)은 제 1 체결부재(651) 또는 바디체결부(321)에 비해 내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패킹(362)을 설치하기 위해 제 2 패킹설치홈(364)이 배치된다.
상기 제 2 패킹설치홈(364)은 수조바디(320) 또는 수조베이스(3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조베이스(340) 상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패킹설치홈(364)은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패킹설치홈(364)은 수조베이스(340)의 가장자리를 따라 폐곡선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패킹설치홈(364)은 수조베이스(34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리브(367)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패킹설치홈(364)은 베이스보강리브(355)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베이스보강리브(355)가 배치되는 홈(356) 상측에 상기 제 2 패킹설치홈(364)이 배치된다.
즉, 상기 베이스보강리브(355)를 위한 홈(356) 및 제 2 패킹설치홈(364)이 상하로 배치되고, 이를 통해 상기 제 2 패킹설치홈(364)도 강도를 보강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 2 패킹설치홈(364)는 상기 플로터하우징(330)의 하단(331)을 회피해 형성된다. 상기 패킹설치홈(364)의 바깥쪽에 상기 플로터하우징(330)의 하단(331)이 위치된다.
한편, 상기 수조(300)의 저면에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윈도우모듈(390)이 설치된다. 상기 윈도우모듈(390)은 자외선을 투과시킨다.
상기 수조바디(320)에는 바디개구부(326)가 형성된다. 상기 수조베이스(340)에는 베이스개구부(346)가 형성된다. 상기 바디개구부(326) 하측에 상기 베이스개구부(346)가 위치된다. 상기 바디개구부(326) 및 베이스개구부(346)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 사이에 상기 윈도우모듈(390)이 배치된다. 상기 윈도우모듈(390)은 상기 수조바디(320) 및 수조베이스(340) 사이에서 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윈도우모듈(390)은 상기 수조바디(320) 저면에 체결되고, 상기 바디개구부(326)를 밀폐시킨다.
상기 윈도우모듈(390)에 자외선을 제공하는 자외선모듈(190)은 어퍼바디(120)에 배치된다. 상기 자외선모듈(190)에서 발생된 자외선은 상기 윈도우모듈(390)을 투과하여 수조(300) 내부로 투사된다. 상기 자외선을 통해 수조(300)에 저장된 물을 살균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조(300)의 물은 한쪽 방향으로 회전된다.
수조(300)의 물이 회전될 때, 워터링하우징(800)에 가까운 거리에서 회전되는 물의 유속과 수조바디(320)의 내측벽을 따라 회전되는 물의 유속이 상이하다.
상기 수조(300)에는 한 쪽 방향으로 회전되는 물의 높낮이를 균일화시키는 레벨러가 배치된다. 상기 레벨러는 회전되는 물의 높낮이 편차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즉, 레벨러는 바깥 쪽에서 회전되는 물의 높이와 안쪽에서 회전되는 물의 높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레벨러는 수조(300)의 바깥 쪽에서 회전되는 물을 안쪽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레벨러는 수조(30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레벨러는 수조(300)의 바닥 또는 측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벨러는 수조의 바닥과 측벽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레벨러는 한 쪽 방향으로 회전되는 물에 대해 적극적으로 난류를 발생시킨다. 상기 레벨러는 균일하게 유동되는 물에 대해 고의적인 저항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벨러는 유동가이드(310)이다. 수조(300)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유동가이드(31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수조(300)의 저면에는 저장된 물을 상기 워터링하우징(80)으로 안내하는 유동가이드(310)가 배치된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상기 수조(30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수조바디(320)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상기 수조바디(320)의 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수조(300)의 바닥과 이격되어 흡입간격(801)을 형성한다. 상기 흡입간격보다 수위가 낮을 경우, 상기 워터링유닛(400)이 작동되지 않는다.
상기 레벨러는 수조(300)의 수위가 빈수일 때,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빈수는 상기 흡입간격(801)보다 높은 수위이고,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회전될 때, 상기 흡입간격(801)보다 낮아지는 수위이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의 하단이 물에 잠기지 않으면 물을 양수할 수 없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이 정지된 상태일 때, 수위가 상기 흡입간격(801) 보다 높아서 분사구(410)를 통해 분사할 수 있는 수위지만, 워터링하우징(800)이 회전된 후에는 물높이가 흡입간격(801)보다 낮아질 수 있다.
이는 워터링하우징(800)의 회전에 의해 중앙의 물이 수조(300)의 바깥쪽으로 편중되어 회전되기 때문이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이러한 물의 편중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수조에 저장된 물이 빈수일 때,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의 흡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수조의 바닥에 구배를 형성시키고, 한쪽으로 회전되는 물에 대해 상승하는 방향으로 유동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수조 내부에서 회전되는 물이 워터링하우징(800)을 향하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수조의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물을 안내한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수조의 바깥쪽에서 워터링하우징(800) 쪽으로 물을 안내한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수조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된 후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수조(300)의 내측변을 따라 유동되는 물을 워터링하우징(800)이 위치된 중앙으로 가이드한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워터링하우징과의 최소 이격거리(5mm)를 형성한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빈수효율 향상, 소음 저감, 진동 저감의 효과가 있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상기 수조바디(320)의 내측벽과도 소정간격 이격된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수조 내 유속을 균일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유동가이드(310)의 길이방향과 워터링하우징(800)의 외측면이 이루는 사이각은 90도 이내로 형성된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제 1 경사면(312) 및 제 2 경사면(314)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경사면(312)은 물의 유동방향을 향해 형성된다. 상기 제 1 경사면(312)을 통해 회전되는 물을 맞이한다. 상기 제 1 경사면(312)을 따라 회전되는 물이 상측으로 상승된다. 상기 제 1 경사면(312)이 수조(300)의 내부 가장자리를 따라 도는 물을 워터링하우징(800) 측으로 안내한다.
상기 제 2 경사면(314)는 제 1 경사면(314)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경사면(312) 및 제 2 경사면(314) 사이에 물이 넘어가는 경계(315)가 형성될 수 있다. 평면상에서 보았을 때,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경계(315)는 워터링하우징(800)의 표면과 접선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1개 만으로도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2개가 배치된다.
다음으로, 수조(300) 내부에 배치되는 워터링유닛(4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수조(300) 내부에 배치된 워터링하우징(800)을 회전시키고,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의 회전을 통해 수조(300) 내부에 저장된 물을 비주얼바디(210)의 내측면에 분사시킨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상기 수조(300) 및 어퍼바디(120)의 분리가능한 구조에서도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동력전달모듈(600)를 제공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워터링하우징(800), 워터링모터(42), 동력전달모듈(600)을 포함한다.
상기 워터링유닛(400)은 수조(300) 내부에 배치되고, 회전되어 수조(300)의 물을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하고, 양수된 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워터링하우징(800)과,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워터링모터(42)와, 상기 워터링모터(42)의 회전력을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모듈(600)을 포함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수조(300)에 저장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한 후, 반경방향 외측으로 분사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워터링모터(42)는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동력전달모듈(600)은 상기 워터링모터(42)의 회전력을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워터링모터(42) 및 동력전달모듈(600)이 수조(300)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에어워시모듈(200)을 분리할 때, 워터링모터(42)까지 들어올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워터링모터(42)까지 에어워시모듈(200)에 조립된 경우, 에어워시모듈(200)이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될 때 워터링모터(42)의 전원공급구조가 분리가능한 구조여야 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무게가 무거운 워터링모터(42)는 어퍼바디(120)에 배치시키고, 워터링하우징(800) 및 동력전달모듈(600)만 분리되는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은 구조는 분리가능한 에어워시모듈(200)의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및 워터링모터(42)는 분리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에어워시모듈(200) 내부에 설치되고, 워터링모터(42)는 에어클린모듈(100)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이 분리될 때,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은 수조(300)와 함께 에어클린모듈(100)에서 분리된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및 워터링모터(42)의 분리구조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동력전달모듈(600)이 분리가능한 구조로 설계된다.
다음으로 동력전달모듈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6은 도 8에 도시된 D의 확대도이고, 도 17은 도 8에 도시된 E의 확대도이고, 도 18는 도 8에 도시된 G의 확대도이고, 도 19는 도 10에 도시된 L-L을 따라 절단된 단면도이다.
상기 동력전달모듈(600)은 워터링모터(42)의 회전력을 워터링하우징(800)에 전달하되, 분리가능한 커플러(610)(620)를 포함한다.
상기 에어클린모듈(100)에 배치되고, 상기 워터링모터(42)에 결합된 커플러를 제 1 커플러(610)로 정의한다.
상기 에어워시모듈(200)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커플러(61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커플러를 제 2 커플러(620)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커플러(610) 또는 제 2 커플러(620) 중 어느 하나는 수 형상이고, 다른 하나는 암 형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커플러(610)가 수 형상이고, 제 2 커플러(620)가 암 형상으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커플러(610)가 제 2 커플러(620)에 삽입되는 형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 커플러(620)가 상기 제 1 커플러(610)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모터(42)는 어퍼바디(120)에 설치된다. 상기 워터링모터(42)는 상기 송풍모터(22)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송풍모터(22)와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기 어퍼바디(120) 내부에 상기 수조(300)가 거치된다. 상기 수조(300)가 어퍼바디(120)에 거치될 때, 상기 제 1, 2 커플러(610)(620)가 동력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워터링모터(42)의 워터링모터축(43)은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워터링모터축(43)의 상단에 제 1 커플러(610)가 설치된다.
상기 어퍼바디(120)는 상기 수조(300)가 거치되는 어퍼이너바디(122)와, 상기 어퍼이너바디(122)와 결합되고, 상기 어퍼이너바디(122)의 바깥쪽에 위치되고 상기 로어바디(130)에 결합되어 베이스바디(110)의 외형을 형성하는 어퍼아우터바디(128)와, 상기 어퍼이너바디(122) 및 어퍼아우터바디(128) 사이에 배치되고, 공기를 상기 어퍼이너바디(122) 상측으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124)와, 상기 어퍼아우터바디(128)에 결합되고, 투시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비주얼바디(120)의 외측에 배치되는 아우터비주얼바디(21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커플러(610)는 어퍼이너바디(122)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커플러(610)는 어퍼이너바디(122)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커플러(610)는 어퍼이너바디(122)에 배치되고, 상측으로 노출된다.
상기 제 1 커플러(610)는 상측 단면이 좁고 하측 단면이 넓은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커플러(610)는 원추, 피라미드 등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 1 커플러(610)는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커플러(610)의 외주면에 치형이 형성된다. 상기 제 1 커플러(610)의 치형은 워터링모터축(43)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커플러(610)의 치형은 워터링모터축(43)의 원주방향에 대해 세레이션(serration)을 형성한다.
상기 동력전달모듈(600)은 워터링모터(42)의 회전력을 워터링하우징(800)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달모듈(600)은 대부분의 구성은 상기 수조(300)에 설치되고, 제 1 커플러(610)와 같은 일부 구성은 어퍼바디(120)에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모듈(600)은 수조(300)의 컬럼(35) 내부에 위치되는 동력전달하우징(630)과,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0)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0)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축(640)과, 상기 동력전달축(640) 및 동력전달하우징(630) 사이에 위치되는 베어링(670)과, 상기 동력전달축(640)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동력전달축(64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 커플러(620)와, 워터링모터축(43)에 결합되고, 상기 제 2 커플러(620)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 2 커플러(620)와의 결합 시 상기 워터링모터축(43)의 회전력을 상기 제 2 커플러(620)로 전달하는 제 1 커플러(6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동력전달모듈(600)이 물과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컬럼(35) 내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0), 동력전달축(640), 베어링(670), 제 2 커플러(620)는 상기 컬럼(35)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동력전달축(640)은 동력전달하우징(630)을 상하로 관통하게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축(640)은 동력전달하우징(630)을 관통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0)은 금속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0)은 내부식성이 높은 알루미늄 또는 황동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0)은 수조(300)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수조(300)는 제 1 커플러(610)를 노출시키는 수조바디삽입구(329)가 형성된다.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0)은 상기 수조바디삽입구(329)의 상측을 밀폐한다.
상기 동력전달축(640)은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동력전달축(640)의 상단은 상기 워터링하우징(800)에 결합되고, 하단은 제 2 커플러(62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커플러(620)는 수조(300)의 저면 상측에 위치되고, 동력전달하우징(630) 내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제 2 커플러(620)는 수조(300)의 저면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670)은 동력전달하우징(630) 및 동력전달축(640)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달축(640)은 상기 베어링(670)을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0)은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되어 형성된 베어링하우징(650)과, 상기 베어링하우징(650)의 상측에 결합되고 동력전달축(640)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하우징캡(660)과, 상기 하우징캡(660) 및 동력전달축(64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캡(660)에 끼워져 고정되는 축개스킷(680)과, 베어링(670) 및 하우징캡(660)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하우징탄성부재(690)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전달축(640)은 상기 베어링(670)을 지지하는 베어링지지단(641)이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670)은 상기 베어링지지단(641)에 지지된다. 상기 베어링지지단(641))의 하측 직경이 상측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680)은 상기 동력전달축(640)의 상측에서 삽입된 후, 상기 베어링지지단(641)에 지지된다.
상기 하우징캡(660)은 베어링하우징(650)의 상단에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캡(660)은 베어링하우징(650)에 끼움고정된다. 상기 하우징캡(660)은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캡(660)은 내측에 중공(661)이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축(640)은 상기 중공(661)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하우징캡(660)은 베어링하우징(650)에 지지되고, 동력전달축(640)이 관통되는 중공(661)이 형성되는 하우징캡바디(662)와, 상기 하우징캡바디(662)에 형성되고, 축개스킷(680)이 지지되는 캡지지부(664)를 포함한다.
상기 캡지지부(664)는 상기 동력전달축(64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축개스킷(680)은 상기 캡지지부(664)에 지지된다.
상기 하우징캡(660)은 컬럼(35)의 상면의 아래에 위치된다. 상기 컬럼(35)에는 상기 동력전달축(640)이 관통되는 컬럼개구부(39)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캡(660)은 축개스킷(680)을 지지하고, 상기 축개스킷(680)은 컬럼(35)의 내부 상측면에 밀착시킨다.
상기 축개스킷(680)은 탄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개스킷(680)을 통해 수조(300)의 물이 컬럼(35)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축개스킷(680)은 물이 베어링하우징(65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축개스킷(680)은 캡지지부(664)에 밀착되는 개스킷바디(682)와, 상기 개스킷바디(682)에서 동력전달축(640)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개스킷다이어프램(684)을 포함한다.
상기 개스킷바디(682)는 "ㄴ"자 단면으로 형성되고, 외측면 및 하측면이 하우징캡(660)에 지지된다. 상기 개스킷다이어프램(684)은 개스킷바디(682)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개스킷다이어프램(684)은 동력전달축(640)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개스킷다이어프램(684)은 상하 방향으로 2개가 형성되고, 2중으로 물의 유입을 차단한다.
상기 하우징탄성부재(690)는 하우징캡(660) 및 베어링(670) 사이에 배치된다. 하우징탄성부재(690)는 상단이 하우징캡(660)을 탄성지지하고, 하단이 베어링(670)을 탄성지지된다.
상기 하우징탄성부재(690)는 베어링(670)을 탄성력을 통해 하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하우징탄성부재(690)에 의해 베어링(670)이 베어링지지단(641)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탄성부재(690)는 동력전달축(640)이 회전될 때, 베어링(670)의 진동을 최소화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컬러(35) 내부에 동력전달하우징(630)이 설치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동력전달하우징(630)이 수조 내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전달축(64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설치된다. 상기 동력전달축(640)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수조(300)의 용량을 원하는 만큼 용이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수조(300)의 용량이 작은 경우, 워터링하우징(800)에 제 2 커플러(620)를 직접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동력전달축(640) 및 베어링(670) 등의 구성이 삭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조가 더욱 간결해진다.
수조(300)의 용량이 큰 경우, 상하 길이가 긴 워터링하우징(800)이 요구된다. 워터링하우징(800)의 길이가 길어지면, 회전 시 진동이 발생된다. 즉, 회전력이 워터링하우징(800)의 하측에만 전달되는 경우, 워터링하우징(800)에 비틀림 등의 변형이 발생될 수 있고, 워터링하우징(800)의 상측 및 하측의 속도차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또는 속도차에 의해 워터링하우징(800)에서는 대량의 진동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내부로 흡입되어 양수되는 물에 의해 진동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워터링하우징(800) 내부로 흡입된 물이 편심되어 배치될 경우, 진동이 더 크게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동력전달축(640)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상태에서 워터링하우징(800)의 무게중심 및 상단에 각각 결합되기 때문에,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와 같은 구조에는 수조(300)의 높이가 증가됨에 따라 워터링하우징(800)의 높이를 증가시켜도 진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축(640)은 상단 및 하단에 각각 나사산(643)(644)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베어링지지단(641)(645) 및 축지지단(642)이 형성된다.
상단 나사산(643)은 워터링하우징커버(860)와 조립된다. 하단 나사산(644)는 제 2 커플러(620)와 조립된다.
상기 베어링지지단(641)(645) 및 축지지단(642)는 동력전달축(640)의 직경을 달리하여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지지단(641)(645)은 베어링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축지지단(642)은 워터링동력전달부(88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단 나사산(644)은 제 2 커플러(620)에 직접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커플러(620)의 동력전달결합부(627)에 별도의 커플러결합부재(646)를 배치하고, 상기 커플러결합부재(646)를 통해 동력전달축(640) 및 제 2 커플러(620)를 결합시킨다.
상기 커플러결합부재(646)의 외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동력전달축그루브(626)이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상기 하단 나사산(644)과 조립되는 나사산(미도시) 형성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레벨러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벨러는 곡선으로 형성된 유동가이드(310')이다.
상기 유동가이드(310')는 워터링하우징(800)을 향해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유동가이드(310')가 동력전달축(640)을 향해 나선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동가이드(310')의 경계(315)가 곡선으로 형성된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레벨러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벨러는 유동가이드 대신 리브(1310)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리브(1310)는 수조의 바닥에 형성되고,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리브(131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직선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리브(1310)는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1310)는 수조(300) 안에서 한 쪽 방향으로 회전되는 물과 저항을 발생시킨다. 상기 리브(1310)는 한쪽 방향으로 회전되는 물을 워터링하우징(800) 측으로 안내한다.
상기 리브(1310)의 안쪽은 워터링하우징(800)과 이격되고, 바깥 쪽은 수조(300)의 내측벽과 이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벨러는 형태가 상이하고, 유동가이드와 유사하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레벨러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정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동가이드(310)와 별도의 레벨러인 리브(317)(318)가 배치된다.
상기 리브(317)(318)는 수조(300)의 내측벽에 배치되고, 안쪽으로 돌출된다. 상기 리브(317)(318)는 수조의 내측벽과 바닥을 연결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317)(318)는 동력전달축(640) 또는 워터링하우징(80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상기 리브(317)(318)는 수조 내부의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고, 한 쪽 방향으로 회전되는 물과 저항을 발생시킨다. 상기 리브(317)(318)는 수조의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바깥 쪽 수위를 더욱 낮출 수 있다.
상기 리브(317)(318)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각 리브(317)(318)의 높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각 리브(318)의 높이를 각기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회전되는 물에 대해 적극적으로 난류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유동가이드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브(319)는 상기 제 4 실시예와 달리 곡선으로 형성된다.
상기 리브(319)는 수조의 내측벽에 형성된다. 상기 리브(319)는 수조의 내측벽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 필터어셈블리 20 : 송풍유닛
30 : 수조 40 : 워터링유닛
51 : 수조가습매체 55 : 토출가습매체
100 : 에어클린모듈 110 : 베이스바디
120 : 어퍼바디 130 : 로어바디
150 : 송풍하우징 160 : 디스플레이모듈
200 : 에어워시모듈 210 : 비주얼바디
230 : 탑커버어셈블리 260 : 커넥터

Claims (16)

  1. 바닥 및 상기 바닥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측벽이 형성되는 수조;
    상기 수조 내부에 배치되고, 워터링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고, 하측면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조의 바닥면과 흡입간격 만큼 이격되어 배치되고, 회전 시 상기 수조의 물을 내부로 흡입하고, 상기 흡입된 물을 상측으로 양수한 후, 상기 양수된 물이 분사되는 워터링하우징;상기 워터링하우징을 회전시키는 워터링모터;
    상기 수조의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흡입간격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유동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가이드는,
    상기 바닥과 제 1 경사각을 형성시키는 제 1 경사면;
    상기 제 1 경사면과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바닥과 제 2 경사각을 형성시키는 제 2 경사면;
    상기 제 1 경사면 및 제 2 경사면을 연결하는 경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경사면은 상기 워터링하우징의 의해 한쪽방향으로 회전되는 물의 유동방향을 향해 형성되고,
    상기 제 1 경사면의 경사각이 상기 제 2 경사면의 경사각보다 작게 형성된 가습청정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계는 상기 워터링하우징의 하단보다 높게 위치되는 가습청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가이드의 안쪽은 상기 워터링하우징과 이격되고, 상기 유동가이드의 바깥쪽은 상기 수조의 측벽과 이격되고, 상기 유동가이드는 상기 경계의 방향은 상기 워터링하우징의 외측면과 교차되게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내부 측벽에서 안쪽으로 돌출된 리브를 더 포함하는 가습청정장치.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가이드는 직선 또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 가습청정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가이드의 안쪽은 상기 워터링하우징과 이격되고, 상기 유동가이드의 바깥쪽은 상기 수조의 측벽과 이격되고, 상기 유동가이드는 상기 경계의 방향은 상기 워터링하우징의 외측면과 교차되게 배치된 가습청정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가이드는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유동가이드들은 상기 워터링하우징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각 유동가이드는 서로 이격된 가습청정장치.
  15. 삭제
  16. 삭제
KR1020160129319A 2015-10-30 2016-10-06 가습청정장치 KR101931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96414.3A EP3163197B1 (en) 2015-10-30 2016-10-28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US15/337,974 US10113759B2 (en) 2015-10-30 2016-10-28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6/012317 WO2017074132A1 (ko) 2015-10-30 2016-10-29 가습청정장치
CN201610996882.0A CN107101306A (zh) 2015-10-30 2016-10-31 加湿净化装置
CN202111246314.6A CN113959027A (zh) 2015-10-30 2016-10-31 加湿净化装置
US15/339,568 US10267528B2 (en) 2015-10-30 2016-10-31 Air conditio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48463P 2015-10-30 2015-10-30
US62/248,463 2015-10-30
KR20150156254 2015-11-07
KR1020150156254 2015-11-07
KR1020150185850 2015-12-24
KR20150185850 2015-12-24
KR1020160037235 2016-03-28
KR1020160037235A KR20170051142A (ko) 2015-10-30 2016-03-28 가습청정장치
US201662355118P 2016-06-27 2016-06-27
US62/355,118 2016-06-27
KR1020160083062 2016-06-30
KR20160083062 2016-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240A KR20170051240A (ko) 2017-05-11
KR101931708B1 true KR101931708B1 (ko) 2018-12-21

Family

ID=58742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9319A KR101931708B1 (ko) 2015-10-30 2016-10-06 가습청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1708B1 (ko)
CN (1) CN10710130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1549A1 (ko) * 2012-03-19 2013-09-26 Yun Jangshik 원심분리형식의 습식 공기청정기
JP2015059671A (ja) * 2013-09-17 2015-03-30 株式会社コロナ ミスト発生装置
KR101510610B1 (ko) * 2015-01-20 2015-04-14 유제빈 꽃병형 공기정화기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8007A (en) * 1962-04-16 1965-06-08 Hankscraft Co Humidifier
CN2509205Y (zh) * 2001-11-13 2002-09-04 宁波华利电器厂 紊流洗衣机
JP2004154535A (ja) * 2002-09-12 2004-06-03 Takutoron Kk メンテナンスの容易なマイナスイオン発生装置
CN2718436Y (zh) * 2004-07-06 2005-08-17 台棱股份有限公司 温室雾状加湿装置
CN201174961Y (zh) * 2008-03-03 2009-01-07 罗晓峰 一种改进的豆浆机
CN201360519Y (zh) * 2009-03-09 2009-12-16 东莞市步步高家用电器有限公司 豆浆机扰流筋
JP2010216710A (ja) * 2009-03-16 2010-09-30 Noritz Corp ミスト発生装置
CN201499562U (zh) * 2009-09-14 2010-06-09 金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无网豆浆机
CN102100487A (zh) * 2009-12-17 2011-06-22 彭亚军 一种豆浆机杯子及应用该杯子的豆浆机
CN202341802U (zh) * 2011-10-27 2012-07-25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带扰流筋条的物料杯
CN202536009U (zh) * 2012-03-21 2012-11-21 格力电器(中山)小家电制造有限公司 一种豆浆机杯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41549A1 (ko) * 2012-03-19 2013-09-26 Yun Jangshik 원심분리형식의 습식 공기청정기
JP2015059671A (ja) * 2013-09-17 2015-03-30 株式会社コロナ ミスト発生装置
KR101510610B1 (ko) * 2015-01-20 2015-04-14 유제빈 꽃병형 공기정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1240A (ko) 2017-05-11
CN107101306A (zh)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9354B1 (ko) 가습청정장치
KR101989094B1 (ko) 가습청정장치
KR101859960B1 (ko) 가습청정장치
KR102457136B1 (ko) 가습청정장치
US10151499B2 (en) Apparatus for both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KR101871268B1 (ko) 가습청정장치
EP3163201A1 (en)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KR101880484B1 (ko) 가습청정장치
EP3163195B1 (en)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EP3163197B1 (en) Humidification and air cleaning apparatus
KR101931708B1 (ko) 가습청정장치
KR101859041B1 (ko) 가습청정장치
CN113959027A (zh) 加湿净化装置
KR102381724B1 (ko) 가습청정장치
KR101859039B1 (ko) 가습청정장치
KR102419346B1 (ko) 가습청정장치
KR101957162B1 (ko) 가습청정장치
KR20170051230A (ko) 가습청정장치
CN114353223A (zh) 加湿净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