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0518A -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0518A
KR20210120518A KR1020200037325A KR20200037325A KR20210120518A KR 20210120518 A KR20210120518 A KR 20210120518A KR 1020200037325 A KR1020200037325 A KR 1020200037325A KR 20200037325 A KR20200037325 A KR 20200037325A KR 20210120518 A KR20210120518 A KR 20210120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water supply
ai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진
조안호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7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20518A/ko
Priority to JP2020217082A priority patent/JP2021156569A/ja
Priority to PCT/KR2021/003710 priority patent/WO2021194277A1/ko
Priority to CN202180024045.0A priority patent/CN115362335A/zh
Priority to US17/911,473 priority patent/US20230093557A1/en
Publication of KR20210120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6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automa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며, 물통몸체와, 상기 물통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물통몸체의 내부에 수용된 물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개폐밸브를 구비하는 물통; 상기 물통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수용하는 수조를 구비하는 수조유닛; 상기 수조에 수용된 물을 이용하여 가습을 수행하는 가습부재; 상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 사이에 형성된 공기유로부를 거쳐 상기 토출구로 유동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부; 상기 개폐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물통으로부터 상기 수조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개폐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물통으로부터의 물공급을 차단하는 폐쇄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수조유닛에 설치되는 급수조절부재; 상기 급수조절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급수조절부재를 이동시키는 급수작동부재; 및 상기 급수조절부재가 상기 개방위치 또는 폐쇄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급수작동부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습기이고, 상기 급수조절부재는 상기 개폐밸브의 유출구로부터 배출된 물을 상기 수조유닛으로 안내하는 개구가 형성된 공간형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형성부재는 상기 하우징이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유출구로부터 배출된 물을 가둘 수 있는 물가둠 공간을 포함하는 가습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가습기{Humidifier}
본 발명은 공기 중의 습도를 높이기 위한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통으로부터 수조로의 급수조절이 가능한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습도를 높이기 위해 인공적으로 습기를 생성 분무하는 가습기는 습기의 생성 방법에 따라 수조에 저장된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수증기를 실내로 분무시키는 방식인 가열식 가습기와, 수조에 저장된 물을 초음파 진동시켜 미세화된 물 입자를 실내로 분무시키는 방식인 초음파식 가습기와, 가열식 가습방식과 초음파식 가습방식이 동시에 구비된 복합식 가습기로 나뉜다. 최근에는, 수조에 가습부재(가습필터)를 침지시킨 후 가습부재로 이동한 물을 송풍에 의하여 기화시켜 가습을 수행하는 기화식(송풍식) 가습기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종래의 가습기는 가습방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통상적으로 물통으로부터 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물통과 수조를 구비하는 종래의 가습기는 물통이 수조에 장착되면 물통의 주입구에 결합된 개폐밸브가 수조에 형성된 돌기부에 의해 개방되어 물통으로부터 수조로 물공급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때, 수조의 수위가 개폐밸브의 유출구 하단과 일치하면 물통에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되어 물통에 저장된 물이 더 이상 수조로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가습기는 수조의 수위가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므로, 가습이 종료된 이후에도 일정 수위의 물이 수조에 계속 잔류해 수조에 곰팡이나 스케일, 물때, 냄새가 발생하거나 세균이 증식할 수 있다는 위생상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기화식 가습기의 경우 수조에 수용된 물에 가습필터를 침지시키거나 회전하는 디스크를 수조에 수용된 물과 접촉시킨 상태에서 가습을 수행하게 되므로 수조뿐만 아니라 가습부재에도 물이 잔류하여 상기와 같은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공기청정 기능을 함께 구비하는 종래의 가습기는 공기청정 모드와 가습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데, 공기청정모드와 같이 가습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송풍에 의하여 수조 및/또는 가습부재의 물이 계속 증발되어 가습 상태가 지속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가습기는 물 공급이 필요하지 않은 공기청정 모드에서도 수조의 수위가 낮아지면 물통으로부터 다시 물이 공급되어 수조의 오염 상태가 계속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가습기는 사용 중에 또는 이동 중에 기울어지게 되면 수조에 수용된 물이 가습기(수조)가 기울어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개폐밸브의 유출구 하단이 수조의 수위보다 높아져 공기 중에 노출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물통의 유출구를 통해 공기가 물통 내부로 공급되므로 물통에 수용된 물이 계속 수조로 유출되어 수조의 상단을 넘쳐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개폐밸브의 유출구 주변에 대응하는 수조 부분에 격벽을 형성하는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가습기 하우징이 기울어진 경우에도 물통으로부터 물이 계속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격벽이 수조 부분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습기가 기울어지는 정도에 상응하여 능동적으로 물 넘침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2-0032393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3-009980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물통으로부터 수조로의 물 공급 여부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우징이 기울어진 경우 수조 외부로 물이 유출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수조 및/또는 가습부재의 오염이나 세균 발생 등을 최소화하여 위생성이 향상된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가습부재 및/또는 수조의 건조가 가능한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수조로의 물 공급을 위하여 별도로 구동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가습기 내부의 유로 변경에 따라 수조로의 급수가 이루어지거나 급수 차단이 가능한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수조의 청소가 용이한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며, 물통몸체와, 상기 물통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물통몸체의 내부에 수용된 물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개폐밸브를 구비하는 물통; 상기 물통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수용하는 수조를 구비하는 수조유닛; 상기 수조에 수용된 물을 이용하여 가습을 수행하는 가습부재; 상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 사이에 형성된 공기유로부를 거쳐 상기 토출구로 유동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부; 상기 개폐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물통으로부터 상기 수조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개폐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물통으로부터의 물공급을 차단하는 폐쇄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수조유닛에 설치되는 급수조절부재; 상기 급수조절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급수조절부재를 이동시키는 급수작동부재; 및 상기 급수조절부재가 상기 개방위치 또는 폐쇄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급수작동부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습기이고, 상기 급수조절부재는 상기 개폐밸브의 유출구로부터 배출된 물을 상기 수조유닛으로 안내하는 개구가 형성된 공간형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형성부재는 상기 하우징이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유출구로부터 배출된 물을 가둘 수 있는 물가둠 공간을 포함하는 가습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급수조절부재는, 상기 급수작동부재에 의해 가압 가능하도록 배치된 접촉부와, 상기 공간형성부재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개폐밸브를 가압 가능하도록 배치된 승강가압부와, 상기 접촉부와 상기 승강가압부를 연결하는 회전축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급수작동부재의 구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승강가압부는 상기 접촉부의 상하방향 이동에 상응하여 상기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하고, 상기 개방위치는, 상기 승강가압부가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상기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서의 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가습기는, 상기 하우징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서 감지된 기울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급수조절부재가 급수차단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급수작동부재의 구동을 더 제어하고, 상기 급수차단위치는 상기 승강가압부가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할 때 회전한 각도보다 더 큰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서의 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유닛은 상기 수조의 상부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수조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급수조절부재는 상기 수조커버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통은 상기 수조의 길이방향 일측에 편심되어 배치되며, 상기 공간형성부재의 개구는 상기 수조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형성부재는, 상기 급수조절부재가 개방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유출구의 하면에 대응하는 바닥면과, 상기 유출구의 둘레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물가둠 공간은 상기 하우징이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바닥면과 측벽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간형성부재의 상기 개구는 상기 측벽의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된 개방단부로 구성되거나, 상기 바닥면의 일측에 형성된 연통개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가습기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공기정화필터; 및 상기 공기유로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로의 공기 유동을 조절하는 유로조절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로조절부재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급수작동부재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토출구는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공기정화필터를 거친 공기가 상기 가습부재를 거쳐 토출되는 가습공기토출구와, 상기 가습부재를 거치지 않고 토출되는 청정공기토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로조절부재는 상기 공기유로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가습부재를 거쳐 토출되도록 하는 가습모드 위치와, 상기 가습부재를 거치지 않고 토출되도록 하는 청정모드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고, 상기 유로조절부재가 상기 가습모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급수조절부재는 상기 개방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유로조절부재가 상기 청정모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급수조절부재는 상기 폐쇄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조절부재는, 상기 공기유로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공기유로부를 가로지르도록 구성된 유로조절몸체와, 상기 유로조절몸체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급수작동부재는 상기 축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유로조절부재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가능한 급수조절부재를 통하여 물통으로부터 수조로의 물 공급 여부를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형성부재를 통하여 물가둠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하우징이 기울어진 경우 수조 외부로 물이 유출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이 기울어짐에 따라 급수조절부재를 구동시킴으로써 하우징이 기울어진 경우 물통으로부터 수조로의 물 공급을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조 및/또는 가습부재의 오염이나 세균 발생 등을 최소화하여 위생성이 향상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습부재의 건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조의 건조도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조로의 물 공급을 위하여 별도로 구동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가습기 내부의 유로 변경에 따라 수조로의 급수가 이루어지거나 급수 차단이 가능하므로 구동수단의 개수를 감소시키고 가습기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기에서 물통, 가습부재 및 수조유닛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조유닛, 급수조절부재 및 가습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기에서 물통몸체를 제거한 후 도 1의 A-A' 선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급수조절부재의 사시도로서, (a)는 폐쇄위치에서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b)는 개방위치에서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급수조절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개방위치에서의 사시도이고, (b)는 (a)의 B-B'선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에 구비되는 유로조절부재 및 급수작동부재의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가습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측 부분은 물통몸체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하측부분은 하우징 중앙부의 단면도.
도 9는 도 8의 D 부분에 대하여 가습모드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 10은 도 8의 D 부분에 대하여 공기청정모드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 11은 도 8의 D 부분에 대하여 건조모드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 12는 도 3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E 부분에 대하여 급수조절부재의 폐쇄위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는 도 12의 E 부분에 대하여 급수조절부재의 개방위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15는 도 12의 E 부분에 대하여 급수조절부재의 개방위치에서 수조가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도 15의 상태에서 급수조절부재가 급수차단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급수차단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가습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20 내지 도 24는 도 19에 도시된 제어방법 중에서 건조단계에 대한 여러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통(130)과 수조(141)를 구비하여 가습을 수행하는 가습기(100)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100)는 가습기능만을 갖는 가습기뿐만 아니라, 가습기능에 추가하여 공기청정기능 등 다른 부가 기능을 갖는 가습기(가습청정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수조(141)에 침지된 가습부재(170)를 이용하여 가습을 수행하고, 가습기능과 공기청정기능을 포함하는 가습기(100)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100)는 물통(130)과 수조(141)를 구비하여 가습을 수행할 수 있다면 구체적인 가습방식, 가습부재(170)의 종류나 형상, 가습기능 이외의 부가 기능 포함여부 및 부가 기능의 종류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100)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기(100)에서 물통(130), 가습부재(170) 및 수조유닛(140)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조유닛(140), 급수조절부재(150) 및 가습부재(17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기(100)에서 물통몸체(131)를 제거한 후 도 1의 A-A' 선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5의 (a)와 (b)는 각각 도 3에 도시된 급수조절부재(150)가 개폐밸브(135)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급수조절부재(150)가 개폐밸브(135)를 개방하는 개방위치에서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급수조절부재(150) 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개방위치에서의 사시도이고, (b)는 (a)의 B-B'선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에 구비되는 유로조절부재(190) 및 급수작동부재(195)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가습기(100)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측 부분은 물통몸체(131)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하측부분은 하우징(110) 중앙부의 단면도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각각 도 8의 D 부분에 대하여 가습모드, 공기청정모드 및 건조모드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12는 도 3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3 내지 도 16은 도 12의 E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각각 급수조절부재(150)의 폐쇄위치, 급수조절부재(150)의 개방위치, 도 14의 개방위치에서 수조가 기울어진 상태, 및 도 15의 상태에서 급수조절부재(150)가 급수차단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는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과, 물통몸체(131)와 개폐밸브(135)를 구비하는 물통(130)과, 물통(130)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수용하는 수조(141)를 구비하는 수조유닛(140)과, 수조(141)에 수용된 물을 이용하여 가습을 수행하는 가습부재(170)와,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부(180)와, 개폐밸브(135)를 개폐하기 위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급수조절부재(150)와, 급수조절부재(150)의 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는, 급수조절부재(15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급수작동부재(195)와, 공기를 여과하여 정화하는 공기정화필터(120)와, 공기유동을 조절하는 유로조절부재(190) 중 적어도 일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급수조절부재(150)는 개폐밸브(135)의 유출구로부터 배출된 물을 수조(141)로 안내하도록 개구(163)가 형성된 공간형성부재(16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은, 제품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 몸체(111)와,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 몸체(111)의 내부로 유입되는 흡입구(115)와, 하우징 몸체(111) 내부를 거친 공기가 하우징 몸체(111)의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116)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토출구(116)는 흡입구(115)로 유입된 공기가 후술하는 공기정화필터(120)에서 여과된 후 가습부재(170)를 거쳐 토출되는 가습공기토출구(118)와, 흡입구(115)에서 유입된 공기가 공기정화필터(120)를 거친 후 가습부재(170)를 거치지 않고 토출되는 청정공기토출구(117)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은 흡입구(115)가 하우징 몸체(111)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고, 가습공기토출구(118)가 하우징 몸체(111)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며, 청정공기토출구(117)가 하우징 몸체(111)의 상면에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흡입구(115)와 토출구(116; 117, 118)의 설치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흡입구(115)는 여러방향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전후좌우 면 중 복수의 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가습공기토출구(118)와 청정공기토출구(117)의 설치 위치 및 개수도 변경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면, 하우징(110)은 흡입구(115)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토출구(116; 117, 118)를 통해 배출되도록 그 내부에 공기유로부(F1, F2, F3)가 형성된다. 또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에는 공기유로부(F1, F2, F3)와 물통(130)이 설치되는 개구부(113)를 구획하도록 칸막이(112)가 설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공기정화필터(120)는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된다. 공기정화필터(120)는 흡입구(115) 후단의 공기유로에 배치되어 흡입구(115)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정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정화필터(120)는 흡입구(115)에서 유입된 공기가 공기정화필터(120)에서 여과된 후 송풍부(180)에 유입되도록 송풍부(180)의 전단 유로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정화필터(120)는 흡입구(115) 후단의 공기유로의 형상 및 단면적에 대응하는 사각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10)의 흡입구(115)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전량(全量) 공기정화필터(120)를 통과할 수 있다. 다만, 공기정화필터(120)의 형상은 전술한 사각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정화필터(120)는 원형이나 각형 단면을 갖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입체형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공기정화필터(120)는 공기의 여과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는 공지의 필터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공기정화필터(120)로 사용되는 필터의 종류와 개수, 형태 등은 도 8에 도시된 예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물통(130)은 하우징(110)의 개구부(113)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 가습용 물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물통몸체(131)와, 물통몸체(131)에 결합되어 물통몸체(131) 내부에 수용된 물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개폐밸브(135)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물통(130)은 물통몸체(131) 내부에 물을 용이하게 채울 수 있도록 가습기(100)에서 분리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130)은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물통몸체(131)는 하우징(110)의 일부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개폐밸브(135)는 물통(130)에 수용된 물을 수조유닛(140)의 수조(141)로 공급하기 위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개폐밸브(135)에는 물통몸체(131)에 수용된 물이 배출되는 유출구(136)가 형성될 수 있다. 유출구(136)의 하측 단부에는 부분적으로 단차가 형성된 단차부(도 3의 136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단차부(136a)를 통하여 외부 공기가 물통몸체(131) 내부로 쉽게 유입될 수 있으며, 물통몸체(131) 내부로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물통몸체(131) 내부에 수용된 물이 유출구(136)를 통하여 쉽게 배출될 수 있다.
개폐밸브(135)는, 일 예로서, 탄성력에 의해 개폐되는 기계식 밸브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기계식 밸브 구조를 갖는 개폐밸브(135)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개폐밸브(135)는 로드부재(137)의 상측에 설치된 차단부재(139)가 로드부재(137)에 설치된 탄성부재(138)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138)는 로드부재(137)의 둘레에 감겨진 코일 스프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38)는 차단부재(139)에 인장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38)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차단부재(139)는 유출구(136)의 상측 단부를 밀봉하여 페쇄하게 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부재(137)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외력이 개폐밸브(135)에 작용하는 경우, 탄성부재(138)가 압축되면서 로드부재(137) 및 차단부재(139)가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차단부재(139)가 유출구(136)의 상측 단부를 개방하여 물통몸체(131)의 내부에 수용된 물이 유출구(136)를 통하여 배출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개폐밸브(135)는 캡부재(135a, 135b)를 통하여 물통몸체(131)의 주입구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는 캡부재(135a, 135b)가 2개로 분리되어 구성된 2중 구조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캡부재(137)는 단일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개폐밸브(135)는 통상적인 가습기의 물통(130)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수조유닛(140)은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며 개폐밸브(135)의 개방에 따라 물통(130)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수용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수조유닛(140)은 물통(130)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수용하는 수조(141)와, 수조(141)의 상부 중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며 물통(130)이 안착되는 수조커버(145)를 구비할 수 있다.
수조(141)의 일측(도 2 및 도 3의 오른쪽)에는 수조커버(145)가 설치되는 커버설치부(144)가 형성되며, 수조(141)의 타측(도 2 및 도 3의 왼쪽)에는 가습부재(170)가 설치되는 가습부재장착개구(14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습부재(170)는 수조(141)에 수용된 물에 침지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12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이 약간 기울어지더라도 수조(141)에 수용된 물이 수조(141) 외부로 넘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수조상단(143)은 길이방향 일측과 타측이 중앙측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수조커버(145)에는 상면에 물통(130)의 개폐밸브(135)가 안착되는 물통안착부(146)가 형성되며, 물통안착부(146)를 통해 물통(13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개폐밸브(136)의 유출구(136)가 수조커버(145)를 관통하여 수조커버(145)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수조커버(145)에는 유출구(136)보다 큰 직경을 갖는 설치개구(147)가 형성될 수 있다. 수조커버(145)에는 후술하는 급수조절부재(150)가 수조커버(145)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도피홈(148)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조커버(145)의 하면에는 급수조절부재(150)를 설치를 위한 급수조절부재 장착부(149)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수조유닛(140)에는 수조(141)에 수용된 물의 수위나 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물 감지 센서(도 17의 LS)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물 감지 센서(LS)는 수조(141)에 수용된 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물 감지 센서(LS)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조(141) 바닥에 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물 감지 센서(LS)는 수조유닛(140) 내부에 설치될 수 있지만, 수조(141)의 청소 용이성을 위해 수조(141)의 외측에 설치되어 수조(141)가 결합되는 경우 정전용량 등을 이용하여 수위나 물 존재 여부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조유닛(1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130)이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하우징(110)의 개구부(113)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수조유닛(140)은 수조(141)에 가습부재(170)가 장착된 상태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가습부재(가습필터)(170)는 물통(130)으로부터 수조유닛(140)의 수조(141)에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가습을 수행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가습부재(170)는 가습공기토출구(118)에 인접하여 하우징(110)의 전면과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가습부재(170)는 공기 유동 경로상 송풍부(180)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부(180)의 작동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는 가습부재(170)를 거치면서 가습이 이루어진 후 가습공기토출구(118)를 통해 토출된다(도 9 참조).
이와 같이, 송풍부(180)의 전단에 공기정화필터(120)가 배치되고 송풍부(180)의 후단에 가습부재(170)가 배치되므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기 청정기능만을 수행하는 경우(도 10 참조), 공기정화필터(120)에서 여과된 공기가 가습부재(170)를 거치지 않고 청정공기토출구(117)를 통해 배출되므로 공기청정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부(180)에 구비되는 송풍팬을 상대적으로 낮은 RPM, 저전력으로도 구동하더라도 충분한 토출량 확보가 가능하며 소음 발생도 줄일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후술하는 유로조절부재(190)의 유로 전환을 통해 가습을 수행하는 경우(도 9 참조), 송풍부(180)에서 송풍되는 공기를 전체적으로 가습부재(170) 측으로 유동시킴으로써 가습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가습부재(170)는 수조유닛(140)의 수조(141)에 수용된 물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흡습성이 우수한 재질이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가습부재(17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41)에 수용된 물에 침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가습부재(170)의 설치 구조는 전술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전 구동하는 디스크 형태 등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기화식 가습구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100)에 구비되는 가습부재(170)는 기화식 가습부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에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가습을 수행할 수 있다면 구체적인 구조나 형상도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부재(170)는 가습부재장착개구(142)를 통해 수조유닛(140)에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 또한, 가습부재(170)는 물통(130)을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수조유닛(140)에 장착된 상태로 하우징(110)으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될 수 있다.
한편, 가습부재(170)는 칸막이(112)의 내측에 해당하는 공기유로부(도 8의 F1, F2, F3) 중 가습유로(F3)에 배치된다. 따라서, 가습부재(170)가 장착된 수조유닛(140)이 가습유로(F3)에 배치될 수 있도록 칸막이(112)의 측면에는 가습부재(170)가 장착된 수조유닛(140) 부분이 인입, 인출되는 관통구(도 4 참조, 도면부호 미부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부(180)는 흡입구(115)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흡입구(115)와 토출구(116; 117, 118) 사이에 형성된 공기유로부(F1, F2, F3)를 거쳐 토출구(116; 117, 118)로 유동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공기유로부(F1, F2, F3)는 송풍부(180)의 출구측에 위치하는 송풍유로(F1)와, 송풍유로(F1)로부터의 공기가 청정공기토출구(117)로 유동하는 청정유로(F2)와, 송풍유로(F1)로부터의 공기가 가습공기토출구(118)로 유동하는 가습유로(F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유로부(F1, F2, F3)의 구체적인 공기 유동경로는 흡입구(115)와 토출구(116; 117, 118)의 위치, 송풍부(180)의 흡입/토출 위치 및 방향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송풍부(180)는 공기청정기에 사용되는 통상의 송풍기구와 마찬가지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도면부호 미부여)과,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팬모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8에는 공기 유동경로를 기준으로 하여 송풍부(180)가 공기정화필터(120)의 후방에 배치되고 송풍부(180)의 일측에서 흡입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송풍부(180)의 설치 위치 및 흡입 구조는 도 8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송풍부(180)에 구비되는 송풍팬은 양흡입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급수조절부재(150)는 개폐밸브(135)의 개폐를 위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개폐밸브(135)가 개폐됨에 따라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거나 차단된다. 즉, 급수조절부재(150)는 개폐밸브(135)를 개방하여 물통(130)으로부터 수조유닛(140)의 수조(141)로 물을 공급하는 개방위치(도 14)와 개폐밸브(135)를 폐쇄하여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물 공급을 차단하는 폐쇄위치(도 13)로 이동 가능하도록 수조유닛(14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급수조절부재(150)는, 몸체부(151)와, 몸체부(151)의 일측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급수작동부재(195)에 의해 가압 가능하도록 배치된 접촉부(158)와, 몸체부(151)의 타측에 형성되어 개폐밸브(135)를 가압 가능하도록 배치된 승강가압부(159)와, 접촉부(158)와 승강가압부(159)를 연결하는 회전축부(15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승강가압부(159)는 후술하는 공간형성부재(160)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접촉부(158)는 급수작동부재(195)의 구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승강가압부(159)는 접촉부(158)의 상하방향 이동에 상응하여 회전축부(154)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즉, 접촉부(158)와 승강가압부(159)는 회전축부(154)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개방위치(도 14)는 승강가압부(159)가 폐쇄위치(도 13)로부터 회전축부(154)를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서의 위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또한, 회전축부(154)는 수조커버(145)의 하면에 형성된 급수조절부재 장착부(149)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몸체부(151)는 후술하는 급수작동부재(195)의 가압에 의해 회전축부(154)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수조(141)의 내벽면과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2개의 몸체(152, 153)가 연결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즉, 몸체부(151)는 몸체부(151)의 일측에 대응하며 급수작동부재(195)의 가압에 의해 승강하는 제1 몸체(152)와, 제1 몸체(152)의 승강에 따라 회전축부(154)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몸체(153)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몸체(152)에 접촉부(158)가 구비되고, 제2 몸체(153)에 승강가압부(159) 및 회전축부(15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몸체(153)는 제1 몸체(152) 측으로 연장된 제1 연장부(155)와, 제1 연장부(155)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156)와, 제2 연장부(156)로부터 승강가압부(159) 방향으로 연장된 측면연장부(157)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승강가압부(159)는 측면연장부(157)에 연결된다.
도 5에는 제1 몸체(152)와 제2 몸체(153)의 연결구조가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1 몸체(152)의 승강에 따라 제2 몸체(153)의 회전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1 몸체(152)와 제2 몸체(153)는 힌지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제1 몸체(152)와 제2 몸체(153)의 연결구조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몸체(152)가 수조커버(145)에 형성된 가이드부재(미도시)에 의해 승강이 가이드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급수조절부재(150)는 접촉부(158)의 상하방향(승강) 이동에 따라 승강가압부(159)가 회전축부(154)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여 승강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급수작동부재(195)에 의해 접촉부(158)가 가압되어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그리고 급수작동부재(195)와 접촉부(158)의 접촉이 해제되어 접촉부(158)가 개폐밸브(135)에 구비된 탄성부재(138)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급수조절부재(150)의 승강가압부(159)와 접촉부(158)는 회전축부(154)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5 및 도 6의 화살표 참조).
도 14를 참조하면, 급수조절부재(150)가 회전함에 따라 승강가압부(159)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개폐밸브(135)의 차단부재(139)가 상측으로 들어 올려져 개폐밸브(135)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물통(130) 내부에 수용된 물이 유출구(136)를 통해 배출되어 수조(141)로 공급될 수 있다. 수조(141)로 물이 공급됨에 따라 수조(141)의 수위(WL1)는 유출구(136) 하단{단차부(136a}의 높이에 대응할 때까지 상승하게 된다. 수조(141)의 수위(WL1)가 유출구(136) 하단의 높이에 대응하면 물통(130) 내부로의 공기 유입이 차단되어 물통(130)의 물이 배출되지 않으므로 수조(141)의 수위(WL1)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급수조절부재(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커버(145)에 형성된 급수조절부재 장착부(149)에 설치되어 급수조절부재(150) 및/또는 수조유닛(140)의 청소를 위해 분리될 수 있다. 또한, 급수조절부재(150)는 수조유닛(140)의 바닥면에 설치되지 않고 수조(141)로부터 분리 가능한 수조커버(145)에 설치되므로, 수조유닛(140) 청소 시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즉, 수조(141)의 바닥면에는 개폐밸브(135)를 가압하기 위한 구성이나 급수조절부재(150)의 설치를 위한 구조물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수조(141)의 바닥면의 청소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공간형성부재(160)는 급수조절부재(150)에 구비되며, 급수조절부재(150)가 개방위치(도 14)에 위치할 때 개폐밸브(135)의 유출구(136)로부터 배출된 물을 수조유닛(140)의 수조(141)로 안내하도록 개구(163)가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형성부재(160)는 측면연장부(157)에 연결된 승강가압부(159)의 둘레에 형성되며, 급수조절부재(150)의 몸체부(15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급수작동부재(195)에 의해 접촉부(158)가 가압되면 공간형성부재(160)는 회전축부(154)를 중심으로 하여 급수조절부재(15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공간형성부재(160)는, 급수작동부재(195)에 의해 접촉부(158)가 가압되어 급수조절부재(150)가 개방위치(도 14)에 위치한 상태에서 개폐밸브(135)의 유출구(136)의 하면에 대응하는 바닥면(162)과, 유출구(136)의 둘레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바닥면(162)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측벽(16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급수조절부재(150)의 승강가압부(159)는 바닥면(162)의 중앙부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형성부재(160)는 급수조절부재(150)가 개방위치(도 14)에 위치한 상태에서 개폐밸브(135)의 유출구(136)로부터 배출된 물이 바닥면(162)을 거쳐 개구(163)를 통해 수조(141)로 흘러내릴 수 있도록 안내한다.
또한, 도 15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수조(141)의 일측이 들어올려져 하우징(110)/수조(141)의 바닥면이 수평면에 대해 기울어지면, 하우징(110)/수조(141)의 바닥면과 수평면 사이에 경사각(θ)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급수조절부재(150)가 개방위치(도 14)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우징(100)/수조(141)의 기울어진 각도(θ)가 일정 각도 이상이 되는 경우, 공간형성부재(160)에는 개폐밸브(135)의 유출구(136)로부터 배출된 물을 공간형성부재(160)에 가둘 수 있는 물가둠 공간(16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물가둠 공간(165)은 하우징(110) 및 수조(141)가 수평면에 대해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 바닥면(161)과 측벽(16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10)/수조(141)가 기울어지는 경우 수조(141)에 수용된 물이 수조(141)가 들린 방향과 반대로 이동하므로, 수조(141)가 들린 부분에서의 수조(141)의 수위(WL1)는 개폐밸브(135)의 유출구(136)의 하단보다 낮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물통(130)의 물이 계속 배출되어 수조(141)의 밖으로 넘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공간형성부재(160)에 물가둠 공간(165)이 형성되므로, 하우징(110)/수조(141)가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지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가둠 공간(165)의 수위(WL2)가 유출구(136)의 하측 단부보다 높게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밸브(135)가 개방위치(도 14)에 위치한 상태에서 수조(141)가 일정각도 이상 기울어진 경우에 유출구(136)의 하측 단부가 물가둠 공간(165)에 완전히 수용된다. 이 경우, 유출구(136)를 통해 물통(13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되므로 개폐밸브(135)가 개방된 상태라고 하더라도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급수가 차단될 수 있다.
물가둠 공간(165)의 수위(WL2)가 유출구(136)의 하측 단부보다 높게 형성되기 위한 하우징(110)/수조(141)의 기울어진 각도(θ) 및/또는 물가둠 공간(165)의 부피는, 공간유동부재(160)의 바닥면(162)의 길이, 바닥면(162)이 개구(163) 측을 향하여 기울어진 각도, 바닥면(162)과 유출구(136)의 하측 단부 사이의 거리 등을 변경함으로써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조(141)의 기울어진 각도(θ)가 미리 설정된 설정값 이상인 경우, 급수작동부재(195)가 도 14의 개방위치보다 접촉부(158)를 하측방향으로 추가로 가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급수조절부재(150) 및 이에 연결된 공간형성부재(160)는 도 13의 폐쇄위치에서 도 14의 개방위치로 이동할 때 회전한 각도보다 더 큰 각도로 회전한 위치(상태)에 해당하는 급수차단위치(도 16)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급수차단위치(도 16)에서는 공간형성부재(160)의 바닥면(162)과 개폐밸브(135)의 유출구(136)의 하측 단부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고 바닥면(161)과 측벽(162) 사이에 형성되는 물가둠 공간(165)의 부피가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급수차단위치(도 16)에서는 개방위치(도 15)에 비하여 개폐밸브(135)의 유출구(136)의 하측 단부가 물가둠 공간(165)의 수위(WL2)보다 더 낮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10)/수조(141)가 일정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 공간형성부재(160)에 미리 물가둠 공간(165)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물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5의 경우에는 하우징(110)/수조(141)가 일정 각도(예를 들어, 10~15°) 이상 기울어져야 물가둠 공간(165)에 유출구(136)의 하측 단부가 수용될 수 있다. 반면에, 급수차단위치(도 16)에서는 도 15보다 작은 기울임 각도(예를 들어, 5~7° 내외)에서도 물가둠 공간(165)을 미리 형성하여 물가둠 공간(165)에 유출구(136)의 하측 단부가 수용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수조(141)의 기울어짐(기울기)에 따라 급수를 미리 차단하여 수조(141)에 수용된 물이 넘치는 현상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12를 참조하면, 수조(141)에는 가습부재(170)가 설치되며, 물통(130)은 하우징(110)의 외측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가습부재(170)와 반대측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수조(141)의 일측(도 2 및 도 12의 오른쪽)에는 물통(130)이 설치되고, 수조(141)의 타측(도 2 및 도 12의 왼쪽)에는 가습부재(170)가 설치되므로 물통(130) 및 이에 구비되는 개폐밸브(135)는 수조(141)의 길이방향(도 12에서 좌우방향) 일측에 편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물통(130)에서 배출된 물이 가습부재(170)의 반대쪽 방향을 통하여 수조(141)로 흘러 내릴 수 있도록, 공간형성부재(160)의 개구(163)는 수조(141)의 길이방향 일측(도 2 및 도 12의 오른쪽)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간형성부재(160)는 유출구(136)를 개폐하는 승강가압부(159)의 둘레 중 일부 영역에만 측벽(161)이 형성되고, 측벽(161)의 일측이 개방된 형상를 가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형상을 갖는 공간형성부재(160)의 경우, 개구(163)는 측벽(161)의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된 개방단부(163a)로 구성될 수 있다.
공간형성부재(160)의 변형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형성부재(160)의 측벽(161)은 유출구(136)를 개폐하는 승강가압부(159)의 둘레를 전체적으로 감싸는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형상을 갖는 공간형성부재(160)의 경우, 개구(163)는 바닥면(162)의 일측에 형성된 연통개구(163b)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130)에서 배출된 물이 수조(141)로 용이하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공간형성부재(160)의 바닥면(162)은 급수조절부재(150)가 개폐밸브(135)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도 14)에서 개구(163)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이룰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물가둠 공간(165)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재(160)가 급수조절부재(150)와 일체로 형성되므로, 수조(141)의 장착 방향이나 개폐밸브(135)의 편심 위치 등에 따라 공간형성부재(160)의 개구(163) 방향이나 회전축부(154)의 회전축 방향을 설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수조유닛(140)의 설계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급수작동부재(195)는 급수조절부재(150)의 접촉부(158)를 가압하거나 접촉부(158)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여 급수조절부재(150)가 회전축부(154)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급수작동부재(195)는 급수조절부재(150)가 개방위치(도 14) 또는 폐쇄위치(도 13)에 위치하도록 구동된다. 이러한 급수작동부재(195)의 구동은 제어부(C)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 도 5,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급수작동부재(195)가 급수조절부재(150)의 접촉부(158)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경우 승강가압부(159)가 회전축부(154)를 중심으로 하여 상측으로 승강 이동하게 되므로 개폐밸브(135)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가압부(159)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탄성부재(138)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개폐밸브(135)의 차단부재(139)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차단부재(139)와 유출구(136) 상측 단부의 사이에 물이 흘러나올 수 있는 간극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물통(130)으로부터 수조유닛(140)으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작동부재(195)와 급수조절부재(150)의 접촉부(158) 사이의 접촉(가압상태)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개폐밸브(135)에 구비되는 탄성부재(138)의 탄성력에 의해 차단부재(139)가 유출구(136)의 상측 단부와 밀착하게 되어 개폐밸브(135)가 폐쇄된다.
이러한 급수작동부재(195)는 급수조절부재(150)의 접촉부(158)를 가압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독립적인 구동수단에 의해 다른 구성요소와는 독립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급수작동부재(195)는 후술하는 유로조절부재(190)의 유로전환에 따라 유로조절부재(190)와 함께 회전하여 접촉부(158)를 가압함으로써 개폐밸브(135)를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유로조절부재(190)는 공기유로부(F1, F2, F3)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토출구(116; 117, 118)로의 공기 유동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유로조절부재(190)는 공기유로부(F1, F2, F3)를 유동하는 공기가 가습공기토출구(118)와 청정공기토출구(117)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토출되도록 유로를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조절부재(190)는 흡입구(115)로 유입되어 공기정화필터(120)에서 여과된 후 송풍부(180)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청정유로(F2)를 거쳐 청정공기토출구(117)로 유동하도록 하는 청정모드 위치(도 10 참조)와, 송풍부(180)로부터의 공기가 가습유로(F3)를 거쳐 가습공기토출구(118)로 유동하도록 하는 가습모드 위치(도 9 참조)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공기정화필터(120)를 거쳐 정화된 공기는, 유로조절부재(190)가 도 9에 도시된 가습모드 위치에 있을 때 가습부재(170)를 거쳐 가습공기토출구(118)를 통해 가습된 상태로 토출되며, 유로조절부재(190)가 도 10에 도시된 청정모드 위치에 있을 때 가습부재(170)를 거치지 않고 청정공기토출구(117)를 통해 토출된다. 유로조절부재(190)가 가습모드 위치(도 9)에 있을 때 급수조절부재(150)는 개방위치(도 14)에 위치하고, 유로조절부재(190)가 청정모드 위치(도 10)에 있을 때 급수조절부재(150)는 폐쇄위치(도 13)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유로조절부재(190)는 청정모드 위치와 가습모드 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위치(건조모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며(도 11 참조), 이 경우 송풍부(180)로부터의 공기는 청정유로(F2)와 가습유로(F3)로 분기되어 청정공기토출구(117)와 가습공기토출구(118)로 모두 유동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유로조절부재(190)는 공기유로부(F1, F2, F3)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도록 공기유로부(F1, F2, F3)를 가로지르도록 구성된 유로조절몸체(191)와, 상기 유로조절몸체(191)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축부재(193)와, 유로조절몸체(191)의 강성을 보완하기 위한 보강리브(19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유로조절부재(190)는 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동부(M)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C)를 통해 구동부(M)를 제어함으로써 유로조절부재(190)가 청정모드 위치와 가습모드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급수작동부재(195)는 유로조절부재(190)의 회전에 따라 유로조절부재(190)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M)의 구동에 의하여 유로조절부재(190)의 유로조절몸체(191)가 축부재(193)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급수작동부재(195)가 유로조절부재(19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급수작동부재(195)는 유로조절부재(190)의 축부재(193)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축부재(193)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물통(130)에 구비되는 개폐밸브(135)의 개폐는 유로조절부재(190)와 함께 급수작동부재(195)가 회전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습부재(170)를 통한 가습이 이루어질 때{즉 유로조절부재(190)가 가습모드 위치에 있을 때}, 유로조절부재(190)는 가습유로(F3)를 개방하는 위치에 있고 급수작동부재(195)는 급수조절부재(150)의 접촉부(158)를 가압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통(130)에 구비된 개폐밸브(135)가 개방되어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물통(130)에 구비된 개폐밸브(135)의 개폐가 유로조절부재(190)와 함께 회전하는 급수작동부재(195)에 의하여 수행되므로 물통(130)으로부터 수조유닛(140)으로의 물 공급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수조유닛(140)으로의 물 공급을 위한 별도의 구동수단이 필요하지 않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은 물통(130)이 설치되는 개구부(113)와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유로부(F1, F2, F3)를 구획하는 칸막이(112)를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급수조절부재(150)는 칸막이(112)의 외측에 해당하는 개구부(113)에 위치하며, 유로조절부재(190)는 칸막이(112)의 내측에 해당하는 공기유로부(F1, F2, F3)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유로조절부재(190)에 연결된 급수작동부재(195)는 개구부(113)에 위치하는 급수조절부재(150)의 접촉부(158)를 가압할 수 있도록 칸막이(112)에 형성된 관통구(미도시)를 통해 개구부(113)에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C)는 급수조절부재(150)가 개방위치 또는 폐쇄위치에 위치하도록 급수작동부재(195)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C)는 하우징(110)/수조(141)이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진 경우 수조(141)로부터의 물 넘침을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하우징(110)의 기울어짐(기울기)이 감지되는 경우 급수조절부재(150)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급수(물공급)가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C)는 기울기 센서(TS)에 의해 감지된 기울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급수조절부재(150)가 도 16의 급수차단위치로 이동하도록 급수작동부재(195)의 이동을 제어하는 급수차단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C)는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물 공급과 송풍부(18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C)는 수조(141)로의 물 공급과 송풍부(180)의 구동을 제어하여 공기청정을 위한 청정모드와 가습을 위한 가습모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추가하여 가습모드가 종료된 후 가습부재(170) 및/또는 수조(141)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C)는 유로조절부재(19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청정모드, 가습모드, 건조모드에 따른 공기 흐름을 유도하기 위하여 유로조절부재(190)의 회전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먼저,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급수차단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급수차단모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는 하우징(110)의 기울어짐(기울기)을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도 17의 TS)를 포함하며, 제어부(C)는 기울기 센서(TS)에서 감지된 기울기 값에 기초하여 급수조절부재(15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기울기 센서(TS)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어 하우징(110)의 기울기를 감지하며, 이에 따라 하우징(110)에 설치된 수조(141)의 기울기도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C)는 기울기 센서(TS)를 통하여 하우징(110)/수조(141)의 기울어짐을 감지하고, 감지된 기울기 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 이상이 경우, 급수조절부재(150)가 폐쇄위치(도 13)로부터 개방위치(도 14)로 이동할 때 회전한 각도보다 더 큰 각도로 회전한 위치에 해당하는 급수차단위치(도 16)로 급수조절부재(15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급수조절부재(150)의 이동은 급수작동부재(195)의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급수작동부재(195)의 구동을 위하여 구동수단을 별도로 설치하고, 제어부(C)가 구동수단을 제어함으로써 급수작동부재(195)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급수작동부재(195)가 유로조절부재(190)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제어부(C)가 유로조절부재(19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급수작동부재(195)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급수조절부재(135)는 회전에 의하여 개폐밸브(135)를 폐쇄하는 폐쇄위치(도 13)로부터 개폐밸브(135)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도 14)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급수조절부재(135)가 개방위치(도 14)에 있는 상태에서 하우징(110) 또는 수조(141)가 기울어지면 수조(141)에 수용된 물은 수조(141)가 들린 쪽의 반대방향으로 몰려 수조(141)가 들린 쪽의 반대방향의 수위가 증가하게 된다. 만약, 도 14의 상태에서 수조(141)의 왼쪽이 들리면 수조(141)에 수용된 물은 오른쪽으로 몰리게 되어 수조(141)의 오른쪽 영역의 수위(WL1)가 상승하게 된다. 수조(141) 오른쪽 영역의 수위(WL1)가 상승하면 개폐밸브(136)의 유출구(136)의 하측 단부가 수조(141)의 수위(WL1)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므로,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급수가 자동으로 차단될 수 있다. 반면에, 도 14의 상태에서 도 15와 같이 수조의 오른쪽이 들리면 수조(141)에 수용된 물은 왼쪽으로 몰리게 되어 수조(141)의 오른쪽 영역의 수위(WL1)가 하강하게 된다. 수조(141)의 오른쪽 영역의 수위(WL1)가 상승하면 개폐밸브(136)의 유출구(136)의 하측 단부가 수조(141)의 수위(WL1)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므로,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급수가 계속되어 수조(141)의 물 넘침이 발생할 수 있다.
개폐밸브(135)의 개방위치(도 14)에서 하우징(110)/수조(141)가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에 공간형성부재(160)에 물가둠 공간(165)이 형성되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구(136)의 하측 단부가 물가둠 공간(165)에 완전히 수용되면 급수가 차단될 수 있다. 그러나, 하우징(110)/수조(141)가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져야만 유출구(136)의 하측 단부가 물가둠 공간(165)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급수차단모드는 하우징(110)/수조(141)가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지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도 기울기 센서(TS)에서 감지된 기울기 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 이상인 경우 급수조절부재(150)의 회전각도를 개방위치(도 14)보다 증가시켜 급수조절부재(150)가 급수차단위치(도 16)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기울기기 값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 공간형성부재(160)에 미리 물가둠 공간(165)을 형성시킴으로써 급수를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은 기울임 각도에서도 급수의 차단이 가능하므로 수조(141)의 물넘침 현상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4의 상태에서 수조(141)의 왼쪽이 들리는 경우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급수가 자동으로 차단되므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밸브(135)가 위치한 수조(141)의 오른쪽 영역이 들리는 경우에 급수차단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C)는 개폐밸브(135)가 위치한 수조(141)의 오른쪽 영역이 들림으로써 발생하는 경사각이 설정값 이상인 경우에 급수차단모드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수조(141)의 물넘침을 보다 확실히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부(C)는 임의의 방향에서의 기울기 각도가 설정값 이상인 경우 급수차단모드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청정모드, 가습모드 및 건조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청정모드]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정모드의 경우 제어부(C)는 공기유로부(F1, F2, F3)의 청정유로(F2)를 개방하도록 하기 위하여 유로조절부재(190)가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유로조절부재(190)의 위치를 제어하고 송풍부(180)를 구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로조절부재(190)의 유로조절몸체(191)가 청정유로(F2)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경우 송풍부(180)에서 송풍되는 공기는 가습유로(F3)에 설치된 가습부재(170)의 유로저항으로 인해 개방된 청정유로(F2)를 거쳐 청정공기토출구(117)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로조절부재(190)에 연결된 급수작동부재(195)가 급수조절부재(150)의 접촉부(158)와 이격된 상태(접촉하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급수조절부재(150)의 승강가압부(159)가 개폐밸브(135)를 가압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개폐밸브(135)에 구비되는 차단부재(139)는 탄성부재(138)의 탄성력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물통(130)으로부터 수조유닛(140)으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청정모드의 유로 상태에서 송풍부(180)를 구동시키면 흡입구(115)에서 유입된 공기는 공기정화필터(120)를 거쳐 여과된 후 가습부재(170)를 거치지 않고 청정유로(F2)를 통해 청정공기토출구(117)로 토출될 수 있다.
[가습모드]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모드의 경우 제어부(C)는 공기유로부(F1, F2, F3)의 청정유로(F2)가 폐쇄되도록 유로조절부재(190)가 청정유로(F2)의 횡방향 단면을 가로지는 방향, 예를 들어 경사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유로조절부재(19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유로조절부재(190)는 유로조절몸체(191)의 상단이 가습공기청정토출구(118) 측으로 경사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유로조절부재(190)의 유로조절몸체(191) 상단은 격벽(W)과 인접하게 되고 하단은 격벽(W) 반대측과 인접하게 되므로 청정유로(F2)로의 공기 유동이 차단되고 공기유로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격벽(W)에 형성된 관통홀(WH)을 통해 가습유로(F3)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송풍부(180)에서 송풍되는 공기는 가습부재(170)를 통해 가습된 후 가습공기토출구(118)를 통해 하우징(11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습모드의 수행 시, 제어부(C)는 개폐밸브(135)가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급수조절부재(150)의 이동을 제어하고 송풍부(180)를 구동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습모드의 수행 시 제어부(C)는 유로조절부재(190)에 연결된 급수작동부재(195)가 급수조절부재(150)의 접촉부(158)와 접촉하여 접촉부(158)를 가압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급수조절부재(150)의 접촉부(158)는 회전축부(154)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급수조절부재(150)의 승강가압부(159)는 회전축부(154)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급수조절부재(150)의 승강가압부(159)가 개폐밸브(135)의 로드부재(137)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차단부재(139)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개폐밸브(135)가 개방된 상태가 되어 물통(130)으로부터 수조유닛(140)으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가습모드의 유로 상태에서 송풍부(180)를 구동시키면 흡입구(115)에서 유입된 공기는 공기정화필터(120)를 거쳐 여과된 후 가습부재(170) 및 가습유로(F3)를 거치면서 가습된 상태가 된 후 가습공기토출구(118)로 토출될 수 있다.
[건조모드]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C)는 가습모드가 종료된 후 가습부재(170) 및/또는 수조(141)의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건조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건조모드의 수행 시, 제어부(C)는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물 공급이 차단된 상태가 되도록 하며, 가습부재(170)에 흡습된 물 및/또는 수조(141)에 수용된 물의 건조가 이루어도록 송풍부(180)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C)는 건조모드의 수행 시 개폐밸브(135)가 폐쇄된 상태가 되도록 급수조절부재(150)의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즉, 제어부(C)에 의하여 유로조절부재(190)가 가습모드 위치에서 건조모드 위치로 회전하는 경우 유로조절부재(190)에 연결된 급수작동부재(195)와 급수조절부재(150)의 접촉부(158) 사이의 접촉이 해제되므로, 탄성부재(158)의 탄성력에 의해 급수조절부재(150)의 승강가압부(159)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력에 의해 개폐밸브(135)가 폐쇄된 상태가 됨으로써 물통(130)으로부터 수조유닛(140)으로의 물 공급이 차단된다.
또한, 제어부(C)는 가습이 종료된 후 건조모드의 수행을 위하여 유로조절부재(190)가 청정모드 위치와 가습모드 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위치(건조모드 위치)를 갖도록 유로조절부재(19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송풍부(180)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가습부재(170)에 흡습된 물 및/또는 수조(141)에 수용된 물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로조절부재(190)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한 경사각은 도 10의 가습모드 위치에서의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한 경사각보다는 작은 각도를 갖게 된다. 이 경우, 유로조절부재(190)의 상단은 격벽(W)과 약간 이격된 상태가 되고 하단은 격벽(W) 반대측과 약간 이격된 상태가 되므로 일부 공기는 청정유로(F2)로 유동하고 일부 공기는 격벽(W)에 형성된 관통홀(WH)을 통해 가습유로(F3)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가습부재(170)를 통과하는 공기는 가습부재(170)의 건조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습부재(170)는 수조유닛(140)에 수용된 물의 흡수가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가습부재(170)의 건조에 따라 수조유닛(140)의 수조(141)에 수용된 물의 건조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건조효율 상승을 위하여, 건조모드에서의 유로조절부재(190)의 위치는 가습유로(F3)로의 송풍량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모드에서의 유로조절부재(190)의 위치는 급수작동부재(195)와 급수조절부재(150)의 접촉부(158) 사이의 접촉이 해제되어 개폐밸브(135)가 폐쇄될 수 있도록 가습모드 위치에서 약간 회전한 정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어부(C)는 건조모드의 수행 시 조도와 상대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송풍부(180)의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C)는 야간(취침시간)과 같이 조도센서(도 17의 IS)에서 감지한 측정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 정숙한 운전을 위해 송풍부(180)의 송풍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C)는 측정 상대습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 경우에는 공기 중에 수증기량이 많아 가습부재(170) 및 수조(141)의 건조가 원활하지 않으므로, 빠른 건조 작업 수행을 위하여 기준 상대습도값보다 작은 경우에 비해 송풍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이때, 측정 상대습도는 도 17에 도시된 온습도 센서(HS) 등 공지의 다양한 센서를 통해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C)는 측정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 송풍량을 최소로 하고, 측정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보다 큰 경우 측정 상대습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상대습도값을 비교하여 송풍량을 증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송풍량의 증감은 송풍부(180)의 구동 RPM을 조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가습기(100)의 송풍 단계가 최저 RPM인 1단으로부터 최고 RPM인 5단까지 5개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측정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라면, 사용자의 휴식(취침)을 방해하지 않기 위하여(즉, 정숙한 운전을 위하여) 송풍부(180)를 최저 RPM인 1단으로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보다 큰 경우라면 송풍부(180)를 1단보다 높은 2단 이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 경우라면 공기 중에 수증기량이 많은 경우이므로 빠른 건조 작업 수행을 위해 송풍부(180)를 4단 또는 5단으로 구동할 수 있으며, 반대로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보다 작다면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 경우보다 송풍량이 적도록 송풍부(180)를 3단 또는 2단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현재의 공기 상태(예를 들어, 먼지량)에 대응하는 송풍 단계를 기준으로 하여, 조도나 상대습도에 따라 송풍 단계를 높이거나 낮추어 구동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의 공기 상태(예를 들어, 먼지량)에 대응하는 송풍 단계 설정값이 3단인 경우에 있어서, 측정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라면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보다 낮은 송풍단계(예를 들어, 1단이나 2단)로 송풍부(180)를 구동하고, 측정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보다 큰 경우라면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를 유지하거나 빠른 건조작업 수행을 위하여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보다 높은 4단 또는 5단으로 송풍부(180)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 경우라면 빠른 건조작업 수행을 위하여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보다 높은 4단 또는 5단으로 송풍부(180)를 구동하고,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보다 작다면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를 유지하거나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보다 낮은 2단 또는 1단으로 송풍부(180)를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이나 기준 상대습도값은 하나의 값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기준 조도값이나 기준 상대습도값이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측정 조도나 측정 상대습도에 해당하는 구간에 대응하여 송풍량의 증감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도나 상대습도를 고려한 송풍량의 조절이나 증감방법은 전술한 방법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어부(C)는, 미리 설정된 건조설정시간 동안 건조모드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건조설정시간은 수조(141)에 수용된 물의 용량, 가습부재(170)에 흡습된 물의 양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C)는 조도와 상대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송풍부(180)의 송풍량을 증감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송풍량의 증감을 추가로 고려하여 건조설정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C)가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물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송풍부(180)를 구동하여 가습부재(170)에 흡습된 물 및/또는 수조(141)에 수용된 물의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수조(141)에 수용된 물은 점점 소진된다. 이에 따라 수조(141)에 수용된 물의 수위는 점점 낮아져 최종적으로는 물 감지 센서(LS)를 통해 수조(141)의 수위가 바닥 수위가 되거나 수조(141)의 바닥에 물이 없는 상태가 감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 감지 센서(LS)를 통해 수조(141)에 물 없음이 감지된 이후에도 가습부재(170)는 일정시간 동안 흡습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가습부재(170)에 흡습된 물을 완전히 건조하기 위하여, 제어부(C)는 수조(141)에 물 없음이 감지된 이후에 미리 설정된 추가건조시간 동안 추가로 건조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추가건조시간은 가습부재(170)에 흡습된 물의 양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C)는 조도와 상대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송풍부(180)의 송풍량을 증감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송풍량의 증감을 추가로 고려하여 추가건조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건조모드의 유로 상태에서 송풍부(180)를 구동시키면 흡입구(115)에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공기정화필터(120)를 거쳐 여과된 후 가습부재(170) 및 가습유로(F3)를 거치면서 가습부재(170)에 흡습된 물 및/또는 수조(141)에 수용된 물을 건조시킨 후 가습공기토출구(118)로 토출될 수 있고, 일부의 공기는 공기정화필터(120)를 거쳐 여과된 후 가습부재(170)를 거치지 않고 청정유로(F2)를 통해 청정공기토출구(117)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가습부재(170)가 수조(141)에 수용된 물에 침지된 상태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에 공급된 물이 가습부재(170)에 제공되어 가습을 수행할 수 있다면 가습부재(170)의 형상, 구조 및/또는 작동방식은 전술한 침지식 가습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습부재(170)로 물이 공급되는 구조는 수조(141)에 수용된 물이 가습부재(170)에 분사되는 구조나, 물통(130)이나 수조(141)에 수용된 물이 가습부재(170)의 표면을 따라 흐르도록 하고 가습부재(170)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수용되도록 가습부재(170)의 하부에 수조(141)가 설치되는 구조나, 가습부재(170)가 회전 구동하는 디스크 형태를 갖는 구조 등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도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의 물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가습부재(170) 측으로 송풍을 수행함으로써 수조(141)에 수용된 물 및/또는 가습부재(170)의 건조하는 건조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8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의 제어방법(S10, S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의 제어방법(S10, S100)는 급수차단을 위한 가습기의 제어방법(S10)과, 수조(141)에 수용된 물의 건조를 위하여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가습기의 제어방법(S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가습기(100)를 기초로 하여 급수차단 제어방법(S10)과 건조 제어방법(S100)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급수차단 제어방법(S10)이 적용되는 가습기(100)는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급수(물 공급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면 그 구체적인 구성은 도 1 내지 도 17을 통해 설명한 가습기(100)의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구체적인 가습방식도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급수차단 제어방법(S10)과 건조 제어방법(S100)이 적용되는 가습기(100)는 가습기능만을 갖는 가습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정화기능이 부가된 가습청정기나, 다른 부가 기능을 포함하는 가습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급수차단 제어방법(S10)]
도 18을 참조하여, 하우징(110)/수조(141)가 기울어진 경우 급수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급수차단 제어방법(S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기의 급수차단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급수차단 제어방법(S10)은 기울기 비교단계(S11), 급수조절부재(150)의 위치 판단단계(S12) 및 급수조절부재 이동단계(S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기울기 비교단계(S11)에서는 기울기 센서(도 17의 TS)를 통하여 감지된 하우징(110)/수조(141)의 기울기 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밸브(135)가 위치한 오른쪽 영역이 들리는 경우에 급수차단이 필요하므로 기울기 비교단계(S11)에서는 개폐밸브(135)가 위치한 오른쪽 영역이 들림으로써 발생하는 경사각이 설정값 이상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수조(141)의 물넘침을 보다 확실히 방지하기 위하여, 기울기 비교단계(S11)에서는 하우징(110)의 임의의 방향에서의 측정 기울기값이 설정값 이상인지 비교할 수도 있다.
급수조절부재(150)의 위치 판단단계(S12)는 개폐밸브(135)의 개방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급수조절부재(150)가 개폐밸브(135)의 폐쇄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하우징(110)/수조(141)가 기울어지더라도 물통(130)의 물이 배출되지 않으므로 급수차단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급수조절부재(150)가 개폐밸브(135)의 개방위치에 있는 경우에만 급수조절부재(150)의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만약, 측정 기울기 값이 설정값 이상이고, 급수조절부재(150)가 개방위치에 있는 경우, 급수조절부재(150)를 개방위치에서 급수차단위치로 이동시키는 급수조절부재 이동단계(S13)가 수행된다. 이에 따라, 공간형성부재(160)에 물가둠 공간(165)이 형성되고, 개폐밸브(135)의 하측 단부가 물가둠 공간(165)에 잠기게 되어 급수가 차단될 수 있다.
한편, 도 18에서는, 기울기 비교단계(S11) 이후에 급수조절부재(150)의 위치 판단단계(S12)가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급수조절부재(150)의 위치 판단단계(S12) 이후에 기울기 비교단계(S11)가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건조 제어방법(S100)]
도 19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수조(141)의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가습기의 제어방법(S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가습기의 제어방법(S100)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20 내지 도 24는 도 19에 도시된 제어방법(S100) 중에서 건조단계에 대한 여러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가습기의 제어방법(S100)은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에 공급된 물이 가습부재(170)에 제공되어 가습을 수행하는 가습기(100)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습단계(S110)와 건조단계(S150~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건조단계 이후에 진행되는 후속단계(S19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가습단계(S110)는 가습부재(170)를 통한 가습이 이루어지는 가습모드를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가습단계(S110)는 가습기(100)의 가습모드에 대응하며, 가습단계(S1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가습모드의 기재로 갈음하기로 한다. 이러한 가습단계(S100)는 가습종료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수행되며, 가습종료 신호가 입력되면(S120) 가습모드가 종료된다.
이러한 가습종료 신호는 가습기(100)의 구동을 오프(OFF)하는 종료신호와, 가습모드와 건조모드 이외의 제3 모드를 수행하는 제3 모드 진행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 모드 진행신호에는 가습단계를 종료하고 대기하는 대기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종료신호와 제3 모드 진행신호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가습기(100)의 설정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가습모드가 종료된 후 수조(141) 및/또는 가습부재(170)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모드를 진행하는 건조단계(S150~170)가 수행된다.
이러한 건조단계(S150~17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물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건조모드가 수행되는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와, 건조모드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완료여부 판단단계(S160)와, 건조모드가 완료된 후 건조모드를 종료하는 종료단계(S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는 가습기(100)의 건조모드에 대응한다. 그리고,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는 급수밸브부재(135)가 폐쇄된 상태에서 수행되며,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에서의 급수밸브부재(135)의 폐쇄를 위한 작동은 전술한 건조모드의 기재로 갈음하기로 한다.
그리고,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에서는 송풍부(180)에서 송풍된 공기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가습부재(170)로 유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조절부재(190)가 도 11의 위치가 되도록 한 상태에서 송풍부(180)를 구동시켜 일부의 공기가 가습부재(170)를 거쳐 가습공기토출구(118)를 통해 토출되고 나머지 공기가 청정공기토출구(117)를 통해 토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는 가습부재(170)가 수조(141)에 침지된 상태에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가습부재(170)로의 송풍을 통해 수조(141)에 수용된 물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는 조도와 상대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송풍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는 도 20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도와 상대습도를 모두 고려하여 송풍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는 도 21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도를 고려하여 송풍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습도를 고려하여 송풍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는 도 20, 도 21,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조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을 비교하여(S151) 측정 조도가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 송풍량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S155). 또한,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는 도 20,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상대습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상대습도값을 비교하여(S153)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 경우, 기준 상대습도값보다 작은 경우의 송풍량(S156)에 비해 송풍량을 크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157).
도 20 및 도 23을 참조하면,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는, 조도센서(도 17의 IS)에서 감지한 측정 조도와 기준 조도값을 비교하여(S151), 야간(취침시간)과 같이 측정 조도가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 송풍부(180)를 최저 RPM으로 구동하여 송풍량을 최소로 할 수 있다(S155). 또한, 측정 조도가 기준 조도값보다 큰 경우 측정 상대습도와 기준 상대습도값을 비교할 수 있다(S153).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 경우에는 공기 중에 수증기량이 많아 가습부재(170)의 건조가 원활하지 않으므로, 빠른 건조 작업 수행을 위하여 송풍부(180)를 고 RPM으로 구동하여 송풍량을 크게 할 수 있다(S157).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송풍부(180)를 저 RPM으로 구동하여 송풍량을 작게 할 수 있다(S156).
그리고, 도 21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는 조도를 고려하되 상대습도를 고려하지 않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측정 조도와 기준 조도값을 비교하여(S151), 야간(취침시간)과 같이 측정 조도가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 송풍부(180)를 최저 RPM으로 구동하여 송풍량을 최소로 하고(S155), 측정 조도가 기준 조도값보다 큰 경우에는 송풍부(180)를 저 RPM 또는 공기질에 따라 선택되는 통상의 RPM으로 구동하여 송풍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156).
또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는 상대습도를 고려하되 조도를 고려하지 않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측정 상대습도와 기준 상대습도값을 비교하여(S153),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 경우에는 공기 중에 수증기량이 많아 가습부재(170)의 건조가 원활하지 않으므로, 빠른 건조 작업 수행을 위하여 송풍부(180)를 고 RPM으로 구동하여 송풍량을 크게 하고(S157),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송풍부(180)를 저 RPM으로 구동하여 송풍량을 작게 할 수 있다(S156).
이러한 송풍량의 증감은 조도 및/또는 상대습도에 따라 송풍부(180)의 구동 RPM을 단순히 증가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현재의 공기 상태(예를 들어, 먼지량)에 대응하는 송풍 단계를 기준으로 함과 동시에, 조도나 상대습도에 따라 송풍 단계를 높이거나 낮추어 구동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습기(100)의 송풍 단계가 최저 RPM인 1단으로부터 최고 RPM인 5단까지 5개로 구성되어 있고, 현재의 공기 상태(예를 들어, 먼지량)에 대응하는 송풍 단계 설정값이 3단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측정 조도가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라면 정숙한 운전을 위하여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보다 낮은 송풍단계(예를 들어, 1단이나 2단)로 송풍부(180)를 구동할 수 있다(S155). 측정 조도가 기준 조도값보다 큰 경우라면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를 유지하거나 빠른 건조작업 수행을 위하여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보다 높은 4단 또는 5단으로 송풍부(180)를 구동할 수 있다(S157). 또한,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 경우라면 빠른 건조작업 수행을 위하여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보다 높은 4단 또는 5단으로 송풍부(180)를 구동할 수 있다.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보다 작다면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를 유지하거나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보다 낮은 2단 또는 1단으로 송풍부(180)를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기준 조도값이나 기준 상대습도값은 하나의 값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기준 조도값이나 기준 상대습도값이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측정 조도나 측정 상대습도에 해당하는 구간에 대응하여 송풍량의 증감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도나 상대습도를 고려한 송풍량의 조절이나 증감방법은 전술한 방법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건조모드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완료여부 판단단계(S160)는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건조설정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S161), 건조설정시간이 경과하면 건조모드가 종료된다(S170).
즉, 건조단계(S150~170)는 미리 설정된 건조설정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건조설정시간은 수조(141)에 수용된 물의 용량, 가습부재(170)에 흡습된 물의 양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는 조도와 상대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송풍부(180)의 송풍량을 증감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송풍량의 증감을 추가로 고려하여 건조설정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건조모드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완료여부 판단단계(S160)는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41)에 물 없음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65)와, 수조(141)에 물 없음이 감지된 후 추가건조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6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추가건조시간이 경과하면 건조모드가 종료되도록(S170) 구성될 수 있다.
즉,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물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가 진행됨에 따라 수조(141)에 수용된 물은 점점 소진되고, 이에 따라 수조(141)에 수용된 물의 수위는 점점 낮아져 최종적으로는 수조(141)의 바닥에 물이 없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수조(141)에 물 없음이 감지된 이후에도 가습부재(170)는 일정시간 동안 흡습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가습부재(170)에 흡습된 물을 완전히 건조하기 위하여, 건조모드의 완료여부 판단단계(S160)에서는 수조(141)에 물 없음이 감지된 이후에 추가건조시간 동안 추가로 건조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추가건조시간은 가습부재(170)에 흡습된 물의 양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는 조도와 상대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송풍부(180)의 송풍량을 증감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송풍량의 증감을 추가로 고려하여 추가건조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모드가 종료된 후(S170)에는 후속단계가 진행된다(S190).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단계(S150~170)는 가습종료 신호 입력(S120) 이후에 수행되며, 가습종료 신호는 가습기 구동 종료신호와, 제3 모드 진행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후속단계(S190)는 건조단계 종료(S170) 후에, 가습기 종료신호에 따라 가습기(100)의 구동을 오프하거나 제3 모드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 모드 진행신호는 공기정화필터(120)를 통해 여과된 공기가 가습부재(170)를 거치지 않고 토출되는 공기청정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필수적이지 않은 일부 구성을 삭제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하거나, 또는 다른 구성을 부가하여 실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이 상호 복합적으로 조합되어 실시되는 것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어부에 의한 제어 구성은 가습기 내에서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를 제어하는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100... 가습기 110... 하우징
111... 하우징 몸체 112... 칸막이
113... 개구부 115... 흡입구
116... 토출구 117... 청정공기토출구
118... 가습공기토출구 120... 공기정화필터
130... 물통 131... 물통몸체
135... 개폐밸브 136... 유출구
136a... 단차부 137... 로드부재
138... 탄성부재 139... 차단부재
140... 수조유닛 141... 수조
142... 가습부재장착개구 143... 수조상단
144.. 커버설치부 145... 수조커버
146... 물통안착부 147... 설치개구
148... 도피홈 149... 급수조절부재 장착부
150... 급수조절부재 151... 몸체부
152... 제1 몸체 153... 제2 몸체
154... 회전축부 155... 제1 연장부
156... 제2 연장부 157... 측면연장부
158... 접촉부 159... 승강가압부
160... 공간형성부재 161... 측벽
162... 바닥면 163... 개구
163a...개방단부 163b... 연통개구
165... 물가둠 공간 170... 가습부재
180... 송풍부 190... 유로조절부재
191... 유로조절몸체 192... 보강리브
193... 축부재 195... 급수작동부재
C... 제어부 F1... 송풍유로
F2... 청정유로 F3... 가습유로
HS... 온습도 센서 IS... 조도 센서
LS... 물감지 센서 M... 구동부
TS... 기울기 센서 W... 격벽
WH... 관통홀 WL1... 수조의 수위
WL2... 물가둠 공간의 수위

Claims (11)

  1.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며, 물통몸체와, 상기 물통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물통몸체의 내부에 수용된 물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개폐밸브를 구비하는 물통;
    상기 물통으로부터 배출된 물을 수용하는 수조를 구비하는 수조유닛;
    상기 수조에 수용된 물을 이용하여 가습을 수행하는 가습부재;
    상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흡입구와 토출구 사이에 형성된 공기유로부를 거쳐 상기 토출구로 유동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부;
    상기 개폐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물통으로부터 상기 수조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개폐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물통으로부터의 물공급을 차단하는 폐쇄위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수조유닛에 설치되는 급수조절부재;
    상기 급수조절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급수조절부재를 이동시키는 급수작동부재; 및
    상기 급수조절부재가 상기 개방위치 또는 폐쇄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급수작동부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가습기이고,
    상기 급수조절부재는 상기 개폐밸브의 유출구로부터 배출된 물을 상기 수조유닛으로 안내하는 개구가 형성된 공간형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형성부재는 상기 하우징이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유출구로부터 배출된 물을 가둘 수 있는 물가둠 공간을 포함하는 가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조절부재는, 상기 급수작동부재에 의해 가압 가능하도록 배치된 접촉부와, 상기 공간형성부재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개폐밸브를 가압 가능하도록 배치된 승강가압부와, 상기 접촉부와 상기 승강가압부를 연결하는 회전축부를 구비하는 가습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급수작동부재의 구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승강가압부는 상기 접촉부의 상하방향 이동에 상응하여 상기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하고,
    상기 개방위치는, 상기 승강가압부가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상기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서의 위치인 가습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에서 감지된 기울기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급수조절부재가 급수차단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급수작동부재의 구동을 더 제어하고,
    상기 급수차단위치는 상기 승강가압부가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할 때 회전한 각도보다 더 큰 각도로 회전한 상태에서의 위치인 가습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유닛은 상기 수조의 상부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수조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급수조절부재는 상기 수조커버에 설치되는 가습기.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상기 수조의 길이방향 일측에 편심되어 배치되며,
    상기 공간형성부재의 개구는 상기 수조의 길이방향 일측에 형성된 가습기.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형성부재는, 상기 급수조절부재가 개방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유출구의 하면에 대응하는 바닥면과, 상기 유출구의 둘레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측벽을 구비하며,
    상기 물가둠 공간은 상기 하우징이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지는 경우 상기 바닥면과 측벽 사이에 형성되는 가습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형성부재의 상기 개구는 상기 측벽의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된 개방단부로 구성되거나, 상기 바닥면의 일측에 형성된 연통개구로 구성되는 가습기.
  9.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공기정화필터; 및
    상기 공기유로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토출구로의 공기 유동을 조절하는 유로조절부재;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로조절부재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급수작동부재의 구동을 제어하는 가습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공기정화필터를 거친 공기가 상기 가습부재를 거쳐 토출되는 가습공기토출구와, 상기 가습부재를 거치지 않고 토출되는 청정공기토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유로조절부재는 상기 공기유로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가습부재를 거쳐 토출되도록 하는 가습모드 위치와, 상기 가습부재를 거치지 않고 토출되도록 하는 청정모드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고,
    상기 유로조절부재가 상기 가습모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급수조절부재는 상기 개방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유로조절부재가 상기 청정모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급수조절부재는 상기 폐쇄위치에 위치하는 가습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조절부재는, 상기 공기유로부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공기유로부를 가로지르도록 구성된 유로조절몸체와, 상기 유로조절몸체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급수작동부재는 상기 축부재에 결합되어 상기 유로조절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가습기.
KR1020200037325A 2020-03-27 2020-03-27 가습기 KR20210120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325A KR20210120518A (ko) 2020-03-27 2020-03-27 가습기
JP2020217082A JP2021156569A (ja) 2020-03-27 2020-12-25 加湿器
PCT/KR2021/003710 WO2021194277A1 (ko) 2020-03-27 2021-03-25 가습기
CN202180024045.0A CN115362335A (zh) 2020-03-27 2021-03-25 加湿器
US17/911,473 US20230093557A1 (en) 2020-03-27 2021-03-25 Humid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325A KR20210120518A (ko) 2020-03-27 2020-03-27 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518A true KR20210120518A (ko) 2021-10-07

Family

ID=77890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325A KR20210120518A (ko) 2020-03-27 2020-03-27 가습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093557A1 (ko)
JP (1) JP2021156569A (ko)
KR (1) KR20210120518A (ko)
CN (1) CN115362335A (ko)
WO (1) WO20211942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052B1 (ko) * 2019-01-03 2021-12-16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기
USD1023266S1 (en) * 2021-08-09 2024-04-16 Winix Inc. Air cleaner
USD1028197S1 (en) * 2022-03-04 2024-05-21 Shenzhen Kaysno Technology Co., Ltd Dehumidifier
CN114857698B (zh) * 2022-05-31 2024-04-02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一种加湿组件及净化器
JP1744175S (ja) * 2022-11-29 2023-05-16 除湿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2393A (ko) 2010-09-28 2012-04-0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누수 방지 가습장치
KR20130099807A (ko) 2012-02-29 2013-09-06 코웨이 주식회사 누수 방지가 가능한 가습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1511A (ja) * 1993-02-23 1994-08-30 Sharp Corp 加湿器
KR101276044B1 (ko) * 2012-01-18 2013-06-20 이인영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KR20160082375A (ko) * 2014-12-26 2016-07-08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582102B1 (ko) * 2016-05-11 2023-09-22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누수 방지 가습기
CN206310047U (zh) * 2016-12-23 2017-07-07 陈祎芸 一种加湿器的下水控制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2393A (ko) 2010-09-28 2012-04-05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누수 방지 가습장치
KR20130099807A (ko) 2012-02-29 2013-09-06 코웨이 주식회사 누수 방지가 가능한 가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93557A1 (en) 2023-03-23
JP2021156569A (ja) 2021-10-07
WO2021194277A1 (ko) 2021-09-30
CN115362335A (zh) 2022-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120518A (ko) 가습기
KR102340052B1 (ko) 가습기
JP2008064429A (ja) 加湿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空気清浄機
US9423141B2 (en) Console humidifier
JP2019163898A (ja) 加湿空気清浄装置
JP2021042935A (ja) 空気調和機
KR200263133Y1 (ko) 필터 기화식 가습기
EP3971487A1 (en) Air humidific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KR101249505B1 (ko) 가습 공기청정기
KR20120032393A (ko) 누수 방지 가습장치
KR102541779B1 (ko) 가습 공기청정기
KR20210085452A (ko)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76225B1 (ko) 공기 청정기
RU2797492C1 (ru) Увлажнитель
KR20160051257A (ko) 에어워셔의 급수 제어 방법
KR102213126B1 (ko) 에어워셔의 수위 감지방법
KR102474775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210085451A (ko)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74164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60047856A (ko) 가습 공기청정기
US12013150B2 (en) Air humidific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US20240200824A1 (en) Humidifier
KR20190105442A (ko) 가습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JP7348537B2 (ja) 加湿装置
KR20190029818A (ko) 가습 공기청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