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9505B1 - 가습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가습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9505B1
KR101249505B1 KR1020100127844A KR20100127844A KR101249505B1 KR 101249505 B1 KR101249505 B1 KR 101249505B1 KR 1020100127844 A KR1020100127844 A KR 1020100127844A KR 20100127844 A KR20100127844 A KR 20100127844A KR 101249505 B1 KR101249505 B1 KR 101249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ower case
supply
supplement pipe
pip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9023A (ko
Inventor
전종인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7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9505B1/ko
Publication of KR20120069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9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9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6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using slowly rotating discs for evaporation

Abstract

가습 공기청정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가습 공기청정기는, 물을 담아두는 저수조 역할을 하는 하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덮어주는 상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 또는 하부케이스에 설치되고, 회전축에 연결된 다수의 디스크가 회전함에 따라 공기를 가습하는 디스크 조립체와, 상부케이스에 설치되어 가습된 물 분자를 공기와 더불어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 및 하부케이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물 공급부재와 연결되는 공급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습 공기청정기{AIR WASHER}
본 발명은 가습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 케이스와 연결되는 공급호스를 통해 물을 공급하므로 간편하게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외부의 공기가 필터를 거치도록 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것으로, 외부의 공기가 필터를 거쳐 배출될 수 있도록 팬을 이용하여 외부의 공기를 강제 흡입 및 배기시키는 과정을 통해 공기를 여과시키게 된다.
통상의 공기청정기는 필터식과 전기 집진식으로 구분되며, 필터식은 공기 중의 먼지나 오염물질을 필터를 통과시키면서 필터링하게 되고, 전기 집진식은 공기 중의 먼지나 오염물질이 전기장에 의해 집진기에 흡착되어 제거된다.
최근에는 실내 환경에 대한 관리가 더욱 중요해짐에 따라 공기 정화 및 가습을 통시에 할 수 있는 가습 공기청정기의 보급이 더욱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가습 공기청정기는 공기 송풍팬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면, 흡입된 공기가 가습 디스크를 거치면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가습 디스크에 흡착되어 제거됨과 가습 디스크의 물에 의해 가습 되어 배기 된다. 이러한, 가습 공기청정기는 특별한 필터가 필요 없으며, 물이 필터 역할을 하게 되므로, 필터의 오염으로 인한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가습 공기청정기는 하부 케이스에 물을 저장하여 가습 디스크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가습 공기청정기는 하부 케이스에 저장된 물이 디스크에 의해 모두 증발되는 경우, 상부케이스를 분리하고, 하부케이스를 들고서 수도로 이동하여 물을 저장하거나, 별도의 물통에 물을 담아서 하부케이스에서 물을 저장해야 하므로 사용상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하부 케이스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호스에 수동밸브를 구비하여 물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므로 물공급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편리성을 개선하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물공급호스에 연결되는 물 보충관부재에 수량조절부를 구비하여 부력을 통하여 물의 수위를 감지하므로 제품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 단가를 절감하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는, 물을 담아두는 저수조 역할을 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를 덮어주는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 또는 상기 하부케이스에 설치되고, 회전축에 연결된 다수의 디스크가 회전함에 따라 공기를 가습하는 디스크 조립체; 상기 상부케이스에 설치되어 가습된 물 분자를 공기와 더불어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 및 상기 하부케이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물 공급부재와 연결되는 공급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 공급부재는 수도배관에 설치된 수도밸브이고, 상기 수도밸 브의 개폐에 따라 물공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호스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급호스에는 물공급을 개폐하는 수동개폐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호스는 상기 하부케이스 또는 상기 상부케이스에 직접 연결되어 하부케이스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호스는 상기 하부케이스 또는 상기 상부케이스에 구비된 물 보충관부재를 통하여 하부케이스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 보충관부재에는 상기 하부케이스에 저장되는 수량을 감지하여 물 공급량을 자동조절하는 수량조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량조절부는 상기 물 보충부재의 외주에 수위에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부유부재; 상기 물 보충관부재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부유부재의 접촉에 의해 하부케이스의 저수위를 감지하는 하부 감지센서; 상기 물 보충관부재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부유부재의 접촉에 의해 하부케이스의 만수위를 감지하는 상부 감지센서; 및 상기 물 보충관부재에 구비되어 하부감지센서와 상부감지센서에 연결된 제어부에 의해 상기 부유부재의 접촉을 감지하여 물공급을 개폐하는 자동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 보충관부재는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부유부재는 상기 물 보충관부재의 외주에 가이드공이 삽입되어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 보충관부재는 상기 상부케이스에 고정되는 경우, 하단부가 상기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에 설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며, 상기 물 보충관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공급호스 연결 전에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는, 하부 케이스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호스에 수동밸브를 구비하여 물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므로 물공급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편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공급호스에 연결되는 물 보충관부재에 수량조절부를 구비하여 부력에 의해 물의 수위를 감지하므로 제품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조립상태 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공급호스, 물 보충관부재 및 수량조절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량조절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확대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조립상태 측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조립상태 측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공급호스, 물 보충관부재 및 수량조절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량조절부의 작동상태를 보인 확대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1)는, 하부케이스(10), 상부케이스(20), 디스크조립체(30), 송풍팬(40), 공급호스(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부케이스(10)는 물을 담아두는 저수조 역할을 한다.
하부케이스(10)의 상부 둘레 면에는 상부케이스(20)가 걸려져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단턱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10)의 양측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동이 용이하도록 손잡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케이스(20)는 하부케이스(10)에 덮이고 공기유입구(22)와 공기배출구(24)를 형성한다.
공기유입구(22)는 상부케이스(20)의 하부 둘레 면에 내,외측으로 관통 형성된다.
공기배출구(24)는 공기유입구(22)의 상측으로 분리되고, 상부케이스(20)의 상부 둘레 면에 내,외측으로 관통 형성된다.
디스크 조립체(30)는 상부케이스(20) 또는 하부케이스(10)에 설치되고, 회전축(34)에 연결된 다수의 디스크(32)가 회전함에 따라 유입된 공기를 가습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디스크 조립체(30)는 상부케이스(2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디스크(32)는 회전축(34)에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풍팬(40)은 상부케이스(20)에 설치되어 가습된 물 분자를 공기와 더불어 공기배출구(24)로 배출한다.
송풍팬(40)은 송풍모터(42)의 축에 결합되어 구동한다.
송풍모터(42)는 상부케이스(20)의 저면에 나사, 볼트에 의해 고정되거나 프레임 등의 고정부재를 통하여 결합 된다.
하부케이스(10)에는 외부에서 저장된 물의 수위를 주시하도록 투명창(50)을 구비한다.
투명창(50)은 투명 플라스틱 또는 강화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물이 누수되지 않도록 이중사출 또는 여러 고정방식으로 하부케이스(10)의 전면 또는 측면에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한다.
투명창(50)의 후면에는 물의 수위에 따라 부유하는 승강볼(60)을 구비하여 하부케이스(10)에 저장되는 물의 저장량을 감지한다.
승강볼(60)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70)를 하부케이스(10)의 후면에 일체 또는 분리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다.
승강볼(60)은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합성수지 또는 공간을 갖지 않지만 전체적으로 물보다 비중이 낮은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진다.
가이드부재(70)는 하부케이스(10)의 후면에서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된다.
승강볼(60)은 형광도료가 표면에 도포되거나 형광체 분말이 함유될 수 있다.
공급호스(80)는 하부케이스(1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물 공급부재(82)와 연결된다.
물 공급부재(82)는 수도배관에 설치된 수도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물공급부재(82)는 정수기 밸브 또는 기타 저장용수 공급밸브를 적용할 수 있으며, 물을 공급하는 구성이면, 어떤 물공급 밸브도 사용가능하며 권리를 제한하지 않는다.
공급호스(80)는 플렉시블한 재질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공급호스(80)에는 물공급을 개폐하는 수동개폐밸브(90)를 구비한다.
수동개폐밸브(90)는 가습 공기청정기 근처에 위치한 공급호스(80)에 설치되므로 원거리에 있는 물공급부재(82)인 수도밸브와는 별도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물 공급을 조절할 수 있게 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한다.
공급호스(80)는 하부케이스(10) 또는 상부케이스(20)에 구비된 물 보충관부재(100)를 통하여 하부케이스(10)에 물을 공급한다.
본 실시 예에서 물 보충관부재(100)는 상부케이스(20)에 고정되어 하부케이스(10)에 담겨지는 일부 구간이 하부로 노출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도시하고 설명한다. 또한, 공급호스(80)가 물 보충관부재(100)에 끼워지는 상태를 기준으로 도시한다.
물 보충관부재(100)는 경질의 합성수지 또는 부식성이 배제된 금속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 보충관부재(100)는 상부케이스(20)에 고정되는 경우, 하단부가 하부케이스(10)의 바닥면에 설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된다. 이 설정간격을 물공급에 지장이 없는 정도이면 적절하다.
물 보충관부재(100)의 상단에는 공급호스(80) 연결 전에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캡(102)을 구비할 수 있다.
차단캡(102)은 물 보충관부재(100)의 상단부에 고정된 연질의 플라스틱 끈부재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차단캡(102)은 본 발명의 가습 공기청정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물 보충관부재(100)의 상측 입구를 차단함으로써 이물질이 물 보충관부재(100)를 통하여 하부케이스(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물 보충관부재(100)에는 하부케이스(10)에 저장되는 수량을 감지하여 물 공급량을 자동조절하는 수량조절부(110)를 구비한다.
수량조절부(110)는 물 보충관부재(100)의 외주에 수위에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부유부재(112), 물 보충관부재(100) 하부에 구비되어 부유부재(112)의 접촉에 의해 하부케이스(10)의 저수위를 감지하는 하부 감지센서(116), 물 보충관부재(100) 상부에 구비되어 부유부재(112)의 접촉에 의해 하부케이스(10)의 만수위를 감지하는 상부 감지센서(118), 및 물 보충관부재(100)에 구비되어 하부감지센서(116)와 상부감지센서(118)에 연결된 제어부(120)에 의해 부유부재(112)의 접촉을 감지하여 물공급을 개폐하는 자동개폐밸브(122)를 포함한다.
물 보충관부재(100)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유부재(112)는 물 보충관부재(100)의 외주에 가이드공(114)이 삽입되어 승강한다.
부유부재(112)는 내부에 공간을 갖는 합성수지 또는 공간을 갖지 않지만 전체적으로 물보다 비중이 낮은 가벼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공(114)의 내경은 물 보충관부재(80)의 외경에 비하여 약간 더 크게 형성하여 부유부재(112)가 물 보충관부재(80)의 외주를 마찰 없이 부드럽게 승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감지센서(116)과 상부감지센서(118)는 부유부재(112)의 접촉에 의해 신호를 감지하는 접촉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량조절부(110)의 사용 상태를 살펴 보면, 공급호스(80)와 물 보충관부재(100)를 통하여 물이 하부케이스(100)에 저장되는 경우, 저장되는 물로 인하여 부유부재(112)가 상승하게 되고, 상부감지센서(118)에 접촉되면서 만수위(滿水位)를 감지하고, 제어부(120)를 통해 자동개폐밸브(122)를 작동하여 물 보충관부재(100)를 차단하여 물공급을 정지한다.
그리고, 가습 공기청정기를 장시간 사용한 후, 수위 점차적으로 낮아지면, 부유부재(112)가 하강하게 되고, 하부감지센서(116)에 접촉되면서 저수위(低水位)를 감지하고, 제어부(120)를 통해 자동개폐밸브(122)를 작동하여 물 보충관부재(100)를 개방하여 물공급을 시작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하부케이스(10)의 저수량을 자동 조절하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조립상태 측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와 거의 대부분이 구성은 동일하지만, 물 보충관부재(100)와 수량조절부(110)를 삭제하고 공급호스(80)만 구비되어 물을 공급하는 상태로 이루어지므로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공급호스(80)는 하부케이스(10) 또는 상부케이스(20)에 직접 연결되어 하부케이스(10)에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부케이스(20)에 공급호스(80)가 연결되는 상태를 제시하고 있으며, 상부케이스(20)에는 공급호스(80)가 끼워져 물이 공급되는 연결공(28)을 차단하는 차단캡(26)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물공급 상태를 살펴 보면, 공급호스(80)을 통하여 물이 하부케이스(10)에 유입 저장되면, 하부케이스(10)의 전면의 투명창(50)을 통하여 승강볼(60)이 높이를 감지한 후 적정량 차게 되면, 수동개폐밸브(90)를 잠가 물공급을 중단한다. 하부케이스(10)에 저장된 물이 모두 소비되면 수동개폐밸브(90)를 개방하여 다시 물을 공급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부 케이스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호스에 수동밸브를 구비하여 물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므로 물공급의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편리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급호스에 연결되는 물 보충관부재에 수량조절부를 구비하여 부력을 통하여 물의 수위를 감지하므로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하부케이스 20 : 상부케이스
26 : 차단캡 30 : 디스크조립체
32 : 디스크 34 : 회전축
36 : 구동부 40 : 송풍팬
42 : 송풍모터 50 : 투명창
60 : 승강볼 70 : 가이드부재
80 : 공급호스 82 : 물 공급부재
90 : 수동개폐밸브 100 : 물 보충관부재
102 : 차단캡 110 : 수량조절부
112 : 부유부재 114 : 가이드공
116 : 하부감지센서 118 : 상부감지센서
120 : 제어부 122 : 자동개폐밸브

Claims (9)

  1. 물을 담아두는 저수조 역할을 하는 하부케이스;
    상기 하부케이스를 덮어주는 상부케이스;
    상기 상부케이스 또는 상기 하부케이스에 설치되고, 회전축에 연결된 다수의 디스크가 회전함에 따라 공기를 가습하는 디스크 조립체;
    상기 상부케이스에 설치되어 가습된 물 분자를 공기와 더불어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팬; 및
    상기 하부케이스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물 공급부재와 연결되는 공급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호스는 상기 하부케이스 또는 상기 상부케이스에 구비된 물 보충관부재를 통하여 하부케이스에 물을 공급하며,
    상기 물 보충관부재에는 상기 하부케이스에 저장되는 수량을 감지하여 물 공급량을 자동조절하는 수량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공급부재는 수도배관에 설치된 수도밸브이고,
    상기 수도밸브의 개폐에 따라 물공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호스는 플렉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공급호스에는 물공급을 개폐하는 수동개폐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호스는 상기 하부케이스 또는 상기 상부케이스에 직접 연결되어 하부케이스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량조절부는
    상기 물 보충부재의 외주에 수위에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부유부재;
    상기 물 보충관부재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부유부재의 접촉에 의해 하부케이스의 저수위를 감지하는 하부 감지센서;
    상기 물 보충관부재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부유부재의 접촉에 의해 하부케이스의 만수위를 감지하는 상부 감지센서; 및
    상기 물 보충관부재에 구비되어 하부감지센서와 상부감지센서에 연결된 제어부에 의해 상기 부유부재의 접촉을 감지하여 물공급을 개폐하는 자동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보충관부재는 수직으로 배치되고,
    상기 부유부재는 상기 물 보충관부재의 외주에 가이드공이 삽입되어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보충관부재는 상기 상부케이스에 고정되는 경우, 하단부가 상기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에 설정 간격을 갖도록 배치되며,
    상기 물 보충관부재의 상단에는 상기 공급호스 연결 전에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캡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KR1020100127844A 2010-12-14 2010-12-14 가습 공기청정기 KR101249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844A KR101249505B1 (ko) 2010-12-14 2010-12-14 가습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844A KR101249505B1 (ko) 2010-12-14 2010-12-14 가습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023A KR20120069023A (ko) 2012-06-28
KR101249505B1 true KR101249505B1 (ko) 2013-04-01

Family

ID=46687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844A KR101249505B1 (ko) 2010-12-14 2010-12-14 가습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95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94408U1 (ru) * 2019-08-08 2019-12-09 Василий Анатольевич Касаточкин Канальный увлажнитель воздуха испарительного тип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022B1 (ko) * 2014-08-28 2020-11-10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공기처리기
KR20170031934A (ko) 2015-09-14 2017-03-22 문형호 공기청정기
JP7213421B2 (ja) * 2019-03-28 2023-01-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KR102092806B1 (ko) * 2020-01-08 2020-03-24 주식회사 이지 자연기화방식을 이용한 공간소독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0390A (ja) * 2005-02-14 2006-08-24 Seiichi Futaboshi 加湿装置
KR100874233B1 (ko) * 2007-08-27 2008-12-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습식공기청정기
KR20090059725A (ko) * 2007-12-07 2009-06-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의 급수장치
KR20100128814A (ko) * 2009-05-29 201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0390A (ja) * 2005-02-14 2006-08-24 Seiichi Futaboshi 加湿装置
KR100874233B1 (ko) * 2007-08-27 2008-12-16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습식공기청정기
KR20090059725A (ko) * 2007-12-07 2009-06-1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공기청정기의 급수장치
KR20100128814A (ko) * 2009-05-29 201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 및 환기장치의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194408U1 (ru) * 2019-08-08 2019-12-09 Василий Анатольевич Касаточкин Канальный увлажнитель воздуха испарительного тип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023A (ko)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9505B1 (ko) 가습 공기청정기
KR20170051276A (ko) 가습공기청정기
WO2021082288A1 (zh) 加湿器及其关机控制方法
US9423141B2 (en) Console humidifier
KR20210120518A (ko) 가습기
KR20240032768A (ko) 승강식 토출부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KR200263133Y1 (ko) 필터 기화식 가습기
KR20090059725A (ko) 가습공기청정기의 급수장치
KR20100008293A (ko) 공기청정가습기
KR102275558B1 (ko) 에어워셔의 급수 제어 방법
JP2019023541A (ja) 加湿装置
KR20130074164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90029819A (ko) 가습 공기청정기
CN109589044B (zh) 一种用在吸尘器上的高精度指示装置
KR101201513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210112772A (ko) 워터방식의 공기청정기
KR102474775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0685436B1 (ko) 가이드베인에 의하여 회전하는 유입공기의 원심력과회전력으로 집진효율이 향상된 물을 이용한 음이온 발생공기청정기
KR102213126B1 (ko) 에어워셔의 수위 감지방법
JP2006329531A (ja) 加湿装置
KR20120086103A (ko) 가습 공기 청정기
CN206890776U (zh) 一种净化新风机
KR200478801Y1 (ko) 공기청정가습기용 물감지장치
CN109512333B (zh) 一种吸尘器的指示装置
CN220601655U (zh) 一种全回风单转轮除湿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