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5451A -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5451A
KR20210085451A KR1020190178488A KR20190178488A KR20210085451A KR 20210085451 A KR20210085451 A KR 20210085451A KR 1020190178488 A KR1020190178488 A KR 1020190178488A KR 20190178488 A KR20190178488 A KR 20190178488A KR 20210085451 A KR20210085451 A KR 202100854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mode
air
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진
조안호
김봉석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8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5451A/ko
Priority to JP2020217204A priority patent/JP2021110534A/ja
Publication of KR20210085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4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수조 및/또는 가습부재의 오염이나 세균 발생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물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급수밸브부재를 구비하는 물통; 상기 물통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수조를 구비하는 수조유닛; 상기 수조에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가습을 수행하는 가습부재; 상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로 유동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부; 상기 물통으로부터 상기 수조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거나 차단되도록 상기 급수밸브부재를 개폐시키는 급수조절부재; 및 상기 물통으로부터 상기 수조로의 물 공급과 상기 송풍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가습을 수행하는 가습모드가 종료된 후 상기 가습부재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모드를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모드가 상기 물통으로부터 상기 수조로의 물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Humidifier and Contro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 중의 습도를 높이기 위한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습부재(가습필터)를 통해 물을 기화시켜 가습을 수행하는 기화식(송풍식)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습도를 높이기 위해 인공적으로 습기를 생성 분무하는 가습기는 습기의 생성 방법에 따라 수조에 저장된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수증기를 실내로 분무시키는 방식인 가열식 가습기와, 수조에 저장된 물을 초음파 진동시켜 미세화된 물 입자를 실내로 분무시키는 방식인 초음파식 가습기와, 가열식 가습방식과 초음파식 가습방식이 동시에 구비된 복합식 가습기로 나뉜다.
최근에는, 수조에 가습부재(가습필터)를 침지시킨 후 가습부재에 흡수된 물을 물을 송풍에 의하여 기화시켜 가습을 수행하는 기화식(송풍식) 가습기도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기화식 가습기의 경우, 송풍팬이 외부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송풍팬에 의해 흡인된 공기가 가습필터를 통과하면서 무화(霧化)된다. 무화된 공기는 가습기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어, 건조한 실내를 가습한다.
이러한 기화식 가습기는 물통에서 공급된 물을 수용하는 수조를 사용하며, 수조에 수용된 물에 가습필터를 침지시키거나 회전하는 디스크를 수조에 수용된 물과 접촉시켜 가습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화식 가습기는 가습이 종료된 이후에도 수조에 미리 설정된 수위로 물이 남아 있게 되므로 가습부재뿐만 아니라 수조에도 곰팡이나 스케일, 물때, 냄새가 발생하거나 세균이 증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화식 가습기는 수조에 물통을 장착하여 물통으로부터 수조에 물이 공급되도록 구성되는데, 수조에 수용된 물이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도록 물이 계속 공급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가습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도 수조에 수용된 물에 의해 가습이 수행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수조의 수위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므로 가습을 수행하지 않는 동안에도 발생하는 증발에 의하여 물통의 물이 계속 소진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기화식 가습기는 가습을 장시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물통 내부의 물이 오랜 기간 동안 잔류하게 되므로, 물통 내부에서 곰팡이나 스케일, 물때, 냄새가 발생하거나 세균이 증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상태에서 가습을 수행하는 경우 오염된 물에 의한 가습이 이루어지므로 위생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수조 및/또는 가습부재의 오염이나 세균 발생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가습부재뿐만 아니라 수조의 건조가 가능한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물통 내에 수용된 물의 오염이나 세균 발생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물통 내부의 물을 교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는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물통으로부터 수조로의 물 공급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위생성이 향상된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가습모드와 물통 비움모드에서만 수조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고 청정모드와 건조모드에서는 수조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수조로의 물 공급을 위하여 별도로 구동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가습기 내부의 유로 조절에 따라 수조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거나 물 공급의 차단이 가능한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가습효율과 공기청정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물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급수밸브부재를 구비하는 물통; 상기 물통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수조를 구비하는 수조유닛; 상기 수조에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가습을 수행하는 가습부재; 상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로 유동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부; 상기 물통으로부터 상기 수조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거나 차단되도록 상기 급수밸브부재를 개폐시키는 급수조절부재; 및 상기 물통으로부터 상기 수조로의 물 공급과 상기 송풍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가습을 수행하는 가습모드가 종료된 후 상기 가습부재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모드를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모드가 상기 물통으로부터 상기 수조로의 물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수행되도록 하는 가습기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모드의 수행 시 상기 급수밸브부재가 폐쇄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급수조절부재의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가습부재의 건조가 이루어도록 상기 송풍부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습모드의 수행 시 상기 급수밸브부재가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급수조절부재의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송풍부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모드의 수행 시 조도와 상대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부의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조에 물 없음이 감지된 이후에 미리 설정된 추가건조시간 동안 추가로 상기 건조모드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조절부재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급수밸브부재를 가압 가능하도록 승강이동하는 누름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작동부와, 상기 누름부와 작동부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축부를 구비하며, 상기 작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누름부가 상기 회전축부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여 승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조유닛은 물을 수용하는 상기 수조와, 상기 수조의 상부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수조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수조커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는, 상기 급수조절부재의 작동부를 상기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가압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부의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가습모드 수행 시 상기 가압부가 상기 작동부와 접촉하여 상기 작동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급수밸브부재가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건조모드 수행 시 상기 가압부가 상기 작동부를 가압하는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급수밸브부재가 폐쇄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토출구는 상기 흡입구에서 유입되어 공기정화필터를 통해 여과된 공기가 상기 가습부재를 거쳐 토출되는 가습공기토출구와, 상기 가습부재를 거치지 않고 토출되는 청정공기토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송풍부에서 송풍된 공기는 유로조절부재의 유로 전환에 의해 상기 가습공기토출구와 청정공기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압부는 상기 유로조절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유로조절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는 달리, 상기 급수조절부재는 자력에 의해 상기 급수밸브부재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물통으로부터 수조에 공급된 물이 가습부재에 제공되어 가습을 수행하는 가습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습부재를 통한 가습이 이루어지는 가습모드를 진행하는 가습단계; 및 상기 가습모드가 종료된 후 상기 가습부재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모드를 진행하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물통으로부터 상기 수조로의 물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수행되는 가습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건조단계는 송풍부에서 송풍된 공기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상기 가습부재로 유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가습부재가 상기 수조에 침지된 상태에서 수행되어 상기 수조에 수용된 물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단계는 미리 설정된 건조설정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수조에 물 있음이 감지되는 상태에서 계속되며, 상기 수조에 물 없음이 감지된 이후에도 미리 설정된 추가건조시간 동안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조단계는, 조도와 상대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조단계는, 측정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 송풍량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 측정 상대습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기준 상대습도값보다 작은 경우에 비해 송풍량을 크게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건조단계는, 측정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 송풍량을 최소로 하고, 측정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보다 큰 경우 측정 상대습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상대습도값을 비교하여 송풍량을 증감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설정시간 및/또는 추가건조시간은 송풍량의 증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가습단계의 종료신호가 입력되면 수행되고, 상기 종료신호는 상기 가습기의 구동을 오프하는 종료신호와, 상기 가습모드와 상기 건조모드 이외의 제3 모드를 수행하는 제3 모드 진행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단계 종료 후에, 상기 종료신호에 따라 가습기의 구동을 오프하거나 상기 제3 모드를 진행하는 후속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모드 진행신호는 공기정화필터를 통해 여과된 공기가 상기 가습부재를 거치지 않고 토출되는 청정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습모드에서는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가습부재를 거치면서 가습된 후 가습공기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청정모드에서는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가습부재를 거치지 않고 청정공기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건조모드에서는 송풍되는 공기 중 일부의 공기가 상기 가습부재를 거치면서 상기 가습부재를 건조시킨 후 상기 가습공기토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나머지 공기가 상기 가습부재를 거치지 않고 청정공기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수조 및/또는 가습부재의 오염이나 세균 발생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습부재뿐만 아니라 수조의 건조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물통 내에 수용된 물의 오염이나 세균 발생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물통 내부의 물을 교체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물통에 장시간 물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물통으로부터 수조로의 물 공급 여부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가습모드나 물통 비움모드에서 수조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고 청정모드나 건조모드에서는 수조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물통의 물이 수조로 계속 공급되어 물통의 물이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습기의 위생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청정모드 위치와 가습모드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는 유로조절부재의 회전만으로 수조로의 물 공급 및 차단이 가능하므로 물통으로부터 수조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물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별도의 구동수단이 필요하지 않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습효율과 공기청정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기에서 물통과 수조유닛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조유닛 및 가습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조유닛 및 가습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기에서 물통몸체를 제거한 후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에 구비되는 유로조절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급수조절부재의 사시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가습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하측부분은 중앙부의 종단면도, 상측 부분은 물통을 제거한 상태에서의 도 1의 A-A' 선에 따른 종단면도.
도 9는 도 8의 B 부분에 대하여 청정모드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 10은 도 8의 B 부분에 대하여 가습모드 및 물통 비움모드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 11은 도 8의 B 부분에 대하여 건조모드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에 구비되는 물통 및 수조유닛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수조유닛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수조유닛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급수밸브부재가 페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도 14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급수밸브부재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급수밸브부재의 개폐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가습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20 내지 도 24는 도 19에 도시된 제어방법 중에서 건조단계에 대한 여러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 비움 단계를 포함하는 가습기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통 비움 단계를 포함하는 가습기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27 내지 도 29는 도 25 및/또는 도 26에 도시된 제어방법 중에서 물통 비움 단계에 대한 여러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와 그 제어방법(S100, S2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100)의 여러가지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100)는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에 물을 공급하고, 수조(141)에 수용된 물이 가습부재(160)에 제공되어 가습을 수행하며,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거나 차단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100)는 전술한 가습기능만을 갖는 가습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공기정화기능이 부가된 가습청정기나, 다른 부가 기능을 포함하는 가습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
먼저, 도 1 내지 도 11,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기(100)에서 물통(130)과 수조유닛(140)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수조유닛(140) 및 가습부재(160)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조유닛(140) 및 가습부재(16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급수밸브부재(135)를 함께 도시하였다. 또한,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기(100)에서 물통몸체(131)를 제거한 후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에 구비되는 유로조절부재(180)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급수조절부재(150)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가습기(100)를 도시한 것으로서 하측부분은 중앙부의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상측 부분은 물통(130)을 제거한 상태에서의 도 1의 A-A' 선에 따른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9는 도 8의 B 부분에 대하여 청정모드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8의 B 부분에 대하여 가습모드 및 물통 비움모드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11은 도 8의 B 부분에 대하여 건조모드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부(C)의 작동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11,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는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과, 가습용 물을 수용하며 급수밸브부재(135)를 구비하는 물통(130)과, 물통(13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수조(141)를 구비하는 수조유닛(140)과, 가습을 수행하는 가습부재(160)와,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부(170)와, 급수밸브부재(135)를 개폐시키는 급수조절부재(150)와,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물 공급과 송풍부(17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는, 공기를 여과하여 정화하는 공기정화필터(120)와, 공기유동을 조절하는 유로조절부재(180)와, 급수조절부재(150)를 작동시키는 가압부(190) 중 적어도 일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은,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 몸체(111)와,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 몸체(111)의 내부로 유입되는 흡입구(115)와, 하우징 몸체(111) 내부를 거친 공기가 하우징 몸체(111)의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116)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116)는 흡입구(115)에서 유입된 공기가 후술하는 공기정화필터(120)와 가습부재(160)를 거쳐 토출되는 가습공기토출구(118)와, 흡입구(115)에서 유입된 공기가 공기정화필터(120)를 거친 후 가습부재(160)를 거치지 않고 토출되는 청정공기토출구(117)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115)가 하우징(11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고, 가습공기토출구(118)가 하우징(110)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며, 청정공기토출구(117)는 하우징(1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으나, 흡입구(115)와 토출구(116; 117, 118)의 설치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흡입구(115)는 여러방향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우징(110)의 전후좌우 면 중 복수의 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가습공기토출구(118)와 청정공기토출구(117)의 설치 위치 및 개수도 변경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면, 공기정화필터(120)는 흡입구(115) 후단의 공기유로에 배치되어 흡입구(115)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정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기정화필터(120)는 흡입구(115)에서 유입된 공기가 공기정화필터(120)에서 여과된 후 송풍부(170)에 유입되도록 송풍부(170)의 전단 유로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정화필터(120)는 흡입구(115) 후단의 공기유로의 형상 및 단면적에 대응하는 사각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하우징(110)의 흡입구(115)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전량 공기정화필터(120)를 통과할 수 있다. 다만, 공기정화필터(120)의 형상은 전술한 사각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정화필터(120)는 원형이나 각형 단면을 갖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입체형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기정화필터(120)는 공기의 여과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는 공지의 필터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공기정화필터(120)로 사용되는 필터의 종류와 개수, 형태 등은 도 8에 도시된 예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물통(130)은 그 내부에 가습용 물을 수용하는 물통몸체(131)와, 상기 물통몸체(131)에 수용된 물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급수밸브부재(135)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물통(130)은 물통몸체(131) 내부에 물을 용이하게 채울 수 있도록 가습기(100)에서 분리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130)은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물통몸체(131)는 하우징(110)의 일부 외관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2에 도시된 제2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하우징(110)의 외관과는 별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급수밸브부재(135)는 물통몸체(131)의 입구(주입구)에 나사결합되는 캡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급수밸브부재(135)는 탄성부재(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개폐부(도 9의 136)를 구비할 수 있다.
급수밸브부재(135)는 통상적인 가습기의 물통(130)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으로서,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급수밸브부재(135)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급수밸브부재(135)는 물통몸체(131)의 입구에 결합되는 캡부재(137)와, 물통(130)에 수용된 물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개폐되는 개폐부(136)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개폐부(136)는, 캡부재(137)에 형성된 토출구를 개방하거나 밀봉하는 밀봉부재(136a)와, 밀봉부재(136a)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로드부재(136b)와, 밀봉부재(136a)가 캡부재(137)의 토출구를 밀봉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36c)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15 및 도 16에는 캡부재(137)가 2개의 캡(137a, 137b)으로 이루어진 2중 구조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캡부재(137)는 단일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급수밸브부재(135)는 개폐부(136)가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개폐부(136)가 가압된 상태에서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기계식 밸브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수조유닛(140)은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며 급수밸브부재(135)의 개방에 따라 물통(13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수용하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수조유닛(140)은 물통(13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수용하는 수조(141)와, 수조(141)의 상부 중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며 물통(130)이 안착되는 수조커버(148)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수조커버(148)에는 가습부재(160)가 장착되는 가습부재장착부(146) 측으로 연장된 커버연장부(145)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 내부에는 하우징(100) 내부에 형성된 공기유로부(도 8의 F1, F2, F3)를 물통(130)이 설치된 개구(113)과 차단하는 칸막이(도 2의 112)가 형성되는데, 커버연장부(145)의 상측에는 수조유닛(140)이 하우징(110)의 개구부(113)에 장착되었을 때 칸막이(도 2의 112)에 형성된 관통구(도 2의 112b)를 막는 개구덮개(143)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수조커버(148)에는 후술하는 급수조절부재(150)가 설치되는 설치홈(147)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조유닛(140)에는 수조(141)에 수용된 물의 수위나 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물 감지 센서(도 18의 LS)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물 감지 센서(LS)는 수조(141)에 수용된 물의 높이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조(141) 바닥에 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물 감지 센서(LS)는 수조유닛(140) 내부에 설치될 수 있지만, 수조유닛(140)의 청소 용이성을 위해 수조유닛(140)의 외측에 설치되어 수조유닛(140)이 결합되는 경우 정전용량 등을 이용하여 수위나 물 존재 여부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조유닛(1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130)이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하우징(110)으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가습부재(가습필터)(160)는 수조유닛(140)의 수조(141)에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기화식(송풍식)으로 가습을 수행하게 되며, 가습공기토출구(118)에 인접하여 하우징(110)의 전면과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가습부재(160)는 공기 유동 경로상 송풍부(170)의 후단에 배치되며, 이에 따라 송풍부(170)의 작동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는 가습부재(160)를 거치면서 가습이 이루어진 후 가습공기토출구(118)를 통해 토출된다(도 10 참조).
이와 같이, 송풍부(170)의 전단에 공기정화필터(120)가 배치되고 송풍부(170)의 후단에 가습부재(160)가 배치되므로, 공기 청정기능만을 수행하는 경우(도 9 참조), 공기정화필터(120)에서 여과된 공기가 가습부재(160)를 거치지 않고 청정공기토출구(117)를 통해 배출되므로 공기청정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부(170)에 구비되는 송풍팬을 상대적으로 낮은 RPM, 저전력으로도 구동하더라도 충분한 토출량 확보가 가능하며 소음 발생도 줄일 수 있게 된다. 더욱이, 후술하는 유로조절부재(180)의 유로 전환을 통해 가습을 수행하는 경우(도 10 참조), 송풍부(170)에서 송풍되는 공기를 전체적으로 가습부재(160) 측으로 유동시킴으로써 가습 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가습부재(160)는 수조유닛(140)의 수조(141)에 수용된 물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흡습성이 우수한 재질이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가습부재(16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41)에 수용된 물에 침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가습부재(160)는 전술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화식 가습이 가능하다면 회전 구동하는 디스크 형태 등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기화식 가습구조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부재(160)는 가습부재장착부(146)를 통해 수조유닛(140)에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다. 또한, 가습부재(160)는 물통(130)을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수조유닛(140)에 장착된 상태로 하우징(110)으로부터 슬라이딩 방식으로 분리될 수 있다.
한편, 가습부재(160)는 칸막이(112)의 내측에 해당하는 공기유로부(F1, F2, F3) 중 가습유로(F3)에 배치되므로 가습부재(160)가 장착된 수조유닛(140)이 가습유로(F3)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칸막이(112)에는 가습부재(160) 부분이 인입, 인출되는 관통구(112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구(112b)를 폐쇄하기 위하여 수조유닛(140)에는 개구덮개(14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부(170)는 흡입구(115)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흡입구(115)와 토출구(116; 117, 118) 사이에 형성된 공기유로부(F1, F2, F3)를 거쳐 토출구(116; 117, 118)로 유동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공기유로부(F1, F2, F3)는 송풍부(170)의 출구측에 위치하는 송풍유로(F1)와, 송풍유로(F1)로부터의 공기가 청정공기토출구(117)로 유동하는 청정유로(F2)와, 송풍유로(F1)로부터의 공기가 가습공기토출구(118)로 유동하는 가습유로(F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유로부(F1, F2, F3)의 구체적인 공기 유동경로는 흡입구(115)와 토출구(116; 117, 118)의 위치, 송풍부(170)의 흡입/토출 위치 및 방향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송풍부(170)는 공기청정기에 사용되는 통상의 송풍기구와 마찬가지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팬(도면부호 미부여)과,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팬모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8에는 송풍부(170)가 공기 유동경로를 기준으로 하여 공기정화필터(120)의 후방에 배치되고 일측에서 흡입되는 구조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송풍부(170)의 설치 위치 및 흡입 구조는 도 8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송풍부(170)의 구비되는 송풍팬은 양흡입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유로조절부재(180)는 공기유로부(F1, F2, F3)에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토출구(116; 117, 118)로의 공기 유동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유로조절부재(180)는 공기유로부(F1, F2, F3)를 유동하는 공기가 가습공기토출구(118)와 청정공기토출구(117)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토출되도록 유로를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로조절부재(180)는 공기정화필터(120)에서 여과된 후 송풍부(170)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청정유로(F2)를 거쳐 청정공기토출구(117)로 유동하도록 하는 청정모드 위치(도 9 참조)와, 송풍부(170)로부터의 공기가 가습유로(F3)를 거쳐 가습공기토출구(118)로 유동하도록 하는 가습모드 위치(도 10 참조)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공기정화필터(120)를 거쳐 정화된 공기는, 유로조절부재(180)가 도 10에 도시된 가습모드 위치에 있을 때 가습부재(160)를 거쳐 가습공기토출구(118)를 통해 가습된 상태로 토출되며, 유로조절부재(180)가 도 9에 도시된 청정모드 위치에 있을 때 가습부재(160)를 거치지 않고 청정공기토출구(117)를 통해 토출된다.
한편, 상기 유로조절부재(180)는 청정모드 위치와 가습모드 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위치(건조모드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며(도 11 참조), 이 경우 송풍부(170)로부터의 공기는 청정유로(F2)와 가습유로(F3)로 분기되어 청정공기토출구(117)와 가습공기토출구(118)로 모두 유동될 수 있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유로조절부재(180)는 공기유로부(F1, F2, F3)를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도록 공기유로부(F1, F2, F3)를 가로지르도록 구성된 몸체부(181)와, 상기 몸체부(181)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회전샤프트(18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유로조절부재(180)는 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동부(M)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C)를 통해 구동부(M)를 제어함으로써 유로조절부재(180)가 청정모드 위치와 가습모드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급수조절부재(150)는 급수밸브부재(135)의 개폐를 위해 작동하며, 급수밸브부재(135)가 개폐됨에 따라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거나 차단된다.
이러한 급수조절부재(15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유닛(140)의 수조커버(148)에 설치되어 급수조절부재(150) 및/또는 수조유닛(140)의 청소를 위해 분리될 수 있다. 즉, 급수조절부재(150)는 수조유닛(140)의 바닥면에 설치되지 않고 수조(141)로부터 분리 가능한 수조커버(148)에 설치되므로 수조유닛(140) 청소 시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도 3 내지 도 5,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급수조절부재(150)는 급수밸브부재(135)를 가압하도록 승강이동하는 누름부(157)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급수조절부재(150)는, 몸체부(151)와, 몸체부(151)의 일측에 형성되어 물통(130)의 급수밸브부재(135)를 가압 가능하도록 배치된 누름부(157)와, 몸체부(151)의 타측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가압부(190)에 의해 가압 가능하도록 배치된 작동부(155)와, 상기 누름부(157)와 작동부(155) 사이에 위치하며 수조커버(148)에 형성된 설치홈(147)에 결합되는 회전축부(15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급수조절부재(150)는 작동부(155)의 이동에 따라 누름부(157)가 회전축부(153)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여 승강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가압부(190)에 의해 작동부(155)가 가압되어 이동하는 경우, 그리고 가압부(190)와 작동부(155)의 접촉이 해제되어 작동부(155)가 급수밸브부재(135)에 구비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경우에, 급수조절부재(150)의 누름부(157)와 작동부(155)는 회전축부(153)를 중심으로 하여 시소 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도 3 및 도 7의 화살표 참조).
또한, 급수조절부재(150)는 회전축부(153)가 수조커버(148)에 형성된 설치홈(147)에 결합되므로, 수조(141)에는 급수밸브부재(135)를 가압하기 위한 구성이나 급수조절부재(150)의 설치를 위한 구조물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수조(141)의 바닥면의 청소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급수조절부재(150)가 설치되는 수조커버(145)의 설치홈(147)은 급수조절부재(150)가 수조커버(145)에 설치된 상태에서 작동부(155) 측(상측)이 개구되고 누름부(157) 측(하측)이 폐쇄된 호 형상의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급수조절부재(150)는 후술하는 가압부(190)가 급수조절부재(150)의 작동부(155)를 가압하더라도 설치홈(147)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인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가압부(190)는 급수조절부재(150)의 작동부(155)를 가압하여 급수조절부재(150)가 회전축부(153)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 도 5,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가압부(190)가 급수조절부재(150)의 작동부(155)를 하측으로 가압하는 경우 누름부(157)가 회전축부(153)를 중심으로 하여 상측으로 승강 이동하게 되므로 급수밸브부재(135)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157)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급수밸브부재(135)의 개폐부(136)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개폐부(136) 주변에 물이 흘러나올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물통(130)으로부터 수조유닛(140)으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가압부(190)가 회전이동하여 가압부(190)와 급수조절부재(150)의 작동부(155) 사이의 접촉(가압상태)이 해제되는 경우에는 급수밸브부재(135)의 개폐부(136)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급수밸브부재(135)가 폐쇄된다.
이러한 가압부(190)는 급수조절부재(130)의 작동부(155)를 가압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다른 구성요소와는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구성을 가질수 있지만, 유로조절부재(180)의 회전에 따라 유로조절부재(180)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M)의 구동에 의하여 유로조절부재(180)의 몸체부(181)가 회전샤프트(183)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가압부(190)가 유로조절부재(18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가압부(190)는 유로조절부재(18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일측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물통(130)에 구비되는 급수밸브부재(135)의 개폐는 유로조절부재(180)와 함께 가압부(190)가 회전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습부재(160)를 통한 가습이 이루어질 때{즉 유로조절부재(180)가 가습모드 위치에 있을 때}, 유로조절부재(180)는 가습유로(F3)를 개방하는 위치에 있고 가압부(190)는 급수조절부재(150)의 작동부(155)를 가압하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물통(130)에 구비된 급수밸브부재(135)가 개방되어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에 물이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물통(130)에 구비된 급수밸브부재(135)의 개폐가 유로조절부재(180)와 함께 회전하는 가압부(190)에 의하여 수행되므로 물통(130)으로부터 수조유닛(140)으로의 물 공급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수조유닛(140)으로의 물 공급을 위한 별도의 구동수단이 필요하지 않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은 물통(130)이 설치되는 개구부(113)와 공기가 유동하는 공기유로부(F1, F2, F3)를 구획하는 칸막이(112)를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급수조절부재(150)는 칸막이(112)의 외측에 해당하는 개구부(113)에 위치하며, 유로조절부재(180)는 칸막이(112)의 내측에 해당하는 공기유로부(F1, F2, F3)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유로조절부재(180)에 연결된 가압부(190)는 개구부(113)에 위치하는 급수조절부재(150)의 작동부(155)를 가압할 수 있도록 칸막이(112)에 형성된 관통구(112a)를 통해 개구부(113)에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 수조유닛(140)을 하우징(110)에 설치하는 경우 급수조절부재(150)의 작동부(155)가 상측으로 들린 상태라면 유로조절부재(180)에 연결된 가압부(190)의 측면과 접촉하여 간섭될 수 있다. 이러한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 수조유닛(140)의 완전한 장착이 이루어지지 않아 물통(130)으로부터의 급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급수조절부재(150)가 수조커버(148)에 설치된 상태에서 작동부(155) 측이 회전축부(153)를 중심으로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조절부재(150)는 몸체부(151)의 타측, 즉 작동부(155) 측에 중량을 부가하는 중량부(159)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조유닛(140)이 하우징(110)으로부터 분리된 경우 중량부(159)의 하중에 의해 작동부(155)가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며, 수조유닛(140)을 하우징(110)에 장착하더라도 급수조절부재(150)의 작동부(155)가 유로조절부재(180)에 연결된 가압부(190)에 의해 간섭되지 않아 수조유닛(140)의 장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C)는,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물 공급과 송풍부(170)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즉, 제어부(C)는 수조(141)로의 물 공급과 송풍부(170)의 구동을 제어하여 공기청정을 위한 청정모드와 가습을 위한 가습모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추가하여 가습모드가 종료된 후 가습부재(160)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C)는 가습모드 또는 건조모드가 종료된 후 미리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물통(130)의 물을 비우는 물통 비움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C)는 유로조절부재(180)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청정모드, 가습모드, 건조모드, 물통 비움모드에 따른 공기 흐름을 유도하기 위하여 유로조절부재(180)의 회전 위치를 조정할 수 도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청정모드, 가습모드, 건조모드 및 물통 비움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청정모드]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정모드의 경우 제어부(C)는 공기유로부(F1, F2, F3)의 청정유로(F2)를 개방하도록 하기 위하여 유로조절부재(180)가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유로조절부재(180)의 위치를 제어하고 송풍부(170)를 구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로조절부재(180)의 몸체부(181)가 청정유로(F2)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경우 송풍부(170)에서 송풍되는 공기는 가습유로(F3)에 설치된 가습부재(160)의 유로저항으로 인해 개방된 청정유로(F2)를 거쳐 청정공기토출구(117)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유로조절부재(180)에 연결된 가압부(190)가 급수조절부재(150)의 작동부(155)와 이격된 상태(접촉하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급수조절부재(150)의 누름부(157)가 급수밸브부재(135)를 가압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급수밸브부재(135)에 구비되는 개폐부(136)는 탄성부재(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물통(130)으로부터 수조유닛(140)으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청정모드의 유로 상태에서 송풍부(170)를 구동시키면 흡입구(115)에서 유입된 공기는 공기정화필터(120)를 거쳐 여과된 후 가습부재(160)를 거치지 않고 청정유로(F2)를 통해 청정공기토출구(117)로 토출될 수 있다.
[가습모드]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모드의 경우 제어부(C)는 공기유로부(F1, F2, F3)의 청정유로(F2)가 폐쇄되도록 유로조절부재(180)가 청정유로(F2)의 횡방향 단면을 가로지는 방향, 예를 들어 경사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유로조절부재(18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유로조절부재(180)는 몸체부(181)의 상단이 가습공기청정토출구(118) 측으로 경사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유로조절부재(180)의 몸체부(181) 상단은 격벽(W)과 인접하게 되고 하단은 격벽(W) 반대측과 인접하게 되므로 청정유로(F2)로의 공기 유동이 차단되고 공기유로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격벽(W)에 형성된 관통홀(WH)을 통해 가습유로(F3)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송풍부(170)에서 송풍되는 공기는 가습부재(160)를 통해 가습된 후 가습공기토출구(118)를 통해 하우징(11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습모드의 수행 시, 제어부(C)는 급수밸브부재(135)가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급수조절부재(150)의 이동을 제어하고 송풍부(170)를 구동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습모드의 수행 시 제어부(C)는 유로조절부재(180)에 연결된 가압부(190)가 급수조절부재(150)의 작동부(155)와 접촉하여 작동부(155)를 가압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급수조절부재(150)의 작동부(155)는 회전축부(153)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급수조절부재(150)의 누름부(157)는 회전축부(153)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급수조절부재(150)의 누름부(157)가 급수밸브부재(135)의 개폐부(136)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개폐부(136)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개폐부(136)가 개방된 상태가 되어 물통(130)으로부터 수조유닛(140)으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가습모드의 유로 상태에서 송풍부(170)를 구동시키면 흡입구(115)에서 유입된 공기는 공기정화필터(120)를 거쳐 여과된 후 가습부재(160) 및 가습유로(F3)를 거치면서 가습된 상태가 된 후 가습공기토출구(118)로 토출될 수 있다.
[건조모드]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C)는 가습모드가 종료된 후 가습부재(160) 및/또는 수조(141)의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건조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건조모드의 수행 시, 제어부(C)는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물 공급이 차단된 상태가 되도록 하며, 가습부재(160)에 흡습된 물 및/또는 수조(141)에 수용된 물의 건조가 이루어도록 송풍부(170)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C)는 건조모드의 수행 시 급수밸브부재(135)가 폐쇄된 상태가 되도록 급수조절부재(150)의 이동을 제어하게 된다. 즉, 제어부(C)에 의하여 유로조절부재(180)가 가습모드 위치에서 건조모드 위치로 회전하는 경우 유로조절부재(180)에 연결된 가압부(190)와 급수조절부재(150)의 작동부(155) 사이의 접촉이 해제되므로, 탄성부재(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급수조절부재(150)의 누름부(155)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탄성력에 의해 급수밸브부재(135)에 구비되는 개폐부(136)가 폐쇄된 상태가 됨으로써 물통(130)으로부터 수조유닛(140)으로의 물 공급이 차단된다.
또한, 제어부(C)는 가습이 종료된 후 건조모드의 수행을 위하여 유로조절부재(180)가 청정모드 위치와 가습모드 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위치(건조모드 위치)를 갖도록 유로조절부재(18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송풍부(170)의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가습부재(160)에 흡습된 물 및/또는 수조(141)에 수용된 물의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유로조절부재(180)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한 경사각은 도 10의 가습모드 위치에서의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한 경사각보다는 작은 각도를 갖게 된다. 이 경우, 유로조절부재(180)의 상단은 격벽(W)과 약간 이격된 상태가 되고 하단은 격벽(W) 반대측과 약간 이격된 상태가 되므로 일부 공기는 청정유로(F2)로 유동하고 일부 공기는 격벽(W)에 형성된 관통홀(WH)을 통해 가습유로(F3)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가습부재(160)를 통과하는 공기는 가습부재(160)의 건조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습부재(160)는 수조유닛(140)에 수용된 물의 흡습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가습부재(160)의 건조에 따라 수조유닛(140)의 수조(141)에 수용된 물의 건조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건조효율 상승을 위하여, 건조모드에서의 유로조절부재(180)의 위치는 가습유로(F3)로의 송풍량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모드에서의 유로조절부재(180)의 위치는 가압부(190)와 급수조절부재(150)의 작동부(155) 사이의 접촉이 해제되어 개폐부(136)가 폐쇄될 수 있도록 가습모드 위치에서 약간 회전한 정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어부(C)는 건조모드의 수행 시 조도와 상대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송풍부(170)의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C)는 야간(취침시간)과 같이 조도센서(도 18의 IS)에서 감지한 측정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 정숙한 운전을 위해 송풍부(170)의 송풍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C)는 측정 상대습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 경우에는 공기 중에 수증기량이 많아 가습부재(160) 및 수조(141)의 건조가 원활하지 않으므로, 빠른 건조 작업 수행을 위하여 기준 상대습도값보다 작은 경우에 비해 송풍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이때, 측정 상대습도는 도 18에 도시된 온습도센서(HS) 등 공지의 다양한 센서를 통해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C)는 측정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 송풍량을 최소로 하고, 측정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보다 큰 경우 측정 상대습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상대습도값을 비교하여 송풍량을 증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송풍량의 증감은 송풍부(170)의 구동 RPM을 조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가습기(100)의 송풍 단계가 최저 RPM인 1단으로부터 최고 RPM인 5단까지 5개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측정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라면, 사용자의 휴식(취침)을 방해하지 않기 위하여(즉, 정숙한 운전을 위하여) 송풍부(170)를 최저 RPM인 1단으로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보다 큰 경우라면 송풍부(170)를 1단보다 높은 2단 이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 경우라면 공기 중에 수증기량이 많은 경우이므로 빠른 건조 작업 수행을 위해 송풍부(170)를 4단 또는 5단으로 구동할 수 있으며, 반대로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보다 작다면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 경우보다 송풍량이 적도록 송풍부(170)를 3단 또는 2단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현재의 공기 상태(예를 들어, 먼지량)에 대응하는 송풍 단계를 기준으로 하여, 조도나 상대습도에 따라 송풍 단계를 높이거나 낮추어 구동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의 공기 상태(예를 들어, 먼지량)에 대응하는 송풍 단계 설정값이 3단인 경우에 있어서, 측정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라면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보다 낮은 송풍단계(예를 들어, 1단이나 2단)로 송풍부(170)를 구동하고, 측정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보다 큰 경우라면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를 유지하거나 빠른 건조작업 수행을 위하여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보다 높은 4단 또는 5단으로 송풍부(170)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 경우라면 빠른 건조작업 수행을 위하여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보다 높은 4단 또는 5단으로 송풍부(170)를 구동하고,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보다 작다면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를 유지하거나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보다 낮은 2단 또는 1단으로 송풍부(170)를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이나 기준 상대습도값은 하나의 값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기준 조도값이나 기준 상대습도값이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측정 조도나 측정 상대습도에 해당하는 구간에 대응하여 송풍량의 증감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도나 상대습도를 고려한 송풍량의 조절이나 증감방법은 전술한 방법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어부(C)는, 미리 설정된 건조설정시간 동안 건조모드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건조설정시간은 수조(141)에 수용된 물의 용량, 가습부재(160)에 흡습된 물의 양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C)는 조도와 상대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송풍부(170)의 송풍량을 증감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송풍량의 증감을 추가로 고려하여 건조설정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C)가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물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송풍부(170)를 구동하여 가습부재(160)에 흡습된 물 및/또는 수조(141)에 수용된 물의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 수조(141)에 수용된 물은 점점 소진된다. 이에 따라 수조(141)에 수용된 물의 수위는 점점 낮아져 최종적으로는 물 감지 센서(LS)를 통해 수조(141)의 수위가 바닥 수위가 되거나 수조(141)의 바닥에 물이 없는 상태가 감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 감지 센서(LS)를 통해 수조(141)에 물 없음이 감지된 이후에도 가습부재(160)는 일정시간 동안 흡습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가습부재(160)에 흡습된 물을 완전히 건조하기 위하여, 제어부(C)는 수조(141)에 물 없음이 감지된 이후에 미리 설정된 추가건조시간 동안 추가로 건조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추가건조시간은 가습부재(160)에 흡습된 물의 양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C)는 조도와 상대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송풍부(170)의 송풍량을 증감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송풍량의 증감을 추가로 고려하여 추가건조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건조모드의 유로 상태에서 송풍부(170)를 구동시키면 흡입구(115)에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공기정화필터(120)를 거쳐 여과된 후 가습부재(160) 및 가습유로(F3)를 거치면서 가습부재(160)에 흡습된 물 및/또는 수조(141)에 수용된 물을 건조시킨 후 가습공기토출구(118)로 토출될 수 있고, 일부의 공기는 공기정화필터(120)를 거쳐 여과된 후 가습부재(160)를 거치지 않고 청정유로(F2)를 통해 청정공기토출구(117)로 토출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건조모드를 수행하는 경우에 유로조절부재(180)에 의해 형성되는 송풍유로는 전술한 도 11을 통하여 예시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제2 실시예와 같이 급수조절부재(150)를 동작시키는 가압부(190)의 구동이 유로조절부재(180)의 동작과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유로조절부재(180)가 도 10의 가습모드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유로조절부재(180)를 제어하고, 급수밸브부재(135)가 폐쇄되도록 가압부(190)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급수밸브부재(135)가 폐쇄되도록 하고 유로조절부재(180)가 도 10의 가습모드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건조모드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송풍부(170)에서 송풍된 공기가 전량 가습유로(F3)를 통해 가습공기토출구(118)를 통해 배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통 비움모드]
한편, 가습모드 및/또는 건조모드가 종료된 후 사용자가 물통(130)에 수용되어 있던 종전의 물을 배수하거나 새로운 물로 교체하지 않고 장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물통(130) 내부에 수용된 물에 오염이 발생하거나 세균이 증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어부(C)는 가습모드가 종료된 후 미리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면, 물통(130)에 수용된 물을 수조로(141) 공급하여 가습부재(160)를 통한 강제 가습을 수행함으로써 물통(130)의 물을 비우는 물통 비움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물통 비움모드의 수행 시 제어부(C)는 강제 가습을 진행하기 위하여 급수밸브부재(135)가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급수조절부재(150)의 이동을 제어하고, 송풍부(170)에서 송풍된 공기 중에서 적어도 일부가 가습부재(160)로 송풍되어 가습부재(160)를 통한 강제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송풍부(170)를 구동시키게 된다.
즉, 제어부(C)는 도 10에 도시된 가습모드와 마찬가지로, 물통 비움모드의 수행 시 급수밸브부재(135)가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급수조절부재(150)의 이동을 제어하고 강제 가습을 위하여 송풍부(170)를 구동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물통 비움모드를 통한 강제 가습의 수행 시 제어부(C)는 유로조절부재(180)에 연결된 가압부(190)가 급수조절부재(150)의 작동부(155)와 접촉하여 작동부(155)를 가압하는 상태가 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급수조절부재(150)의 작동부(155)는 회전축부(153)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급수조절부재(150)의 누름부(157)는 회전축부(153)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급수조절부재(150)의 누름부(157)가 급수밸브부재(135)의 개폐부(136)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개폐부(136)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개폐부(136)가 개방된 상태가 되어 물통(130)으로부터 수조유닛(140)으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어부(C)는 도 10에 도시된 가습모드와 마찬가지로 물통 비움모드의 수행 시 공기유로부(F1, F2, F3)의 청정유로(F2)가 폐쇄되도록 유로조절부재(180)가 청정유로(F2)의 횡방향 단면을 가로지는 방향, 예를 들어 경사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유로조절부재(18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유로조절부재(180)는 몸체부(181)의 상단이 가습공기청정토출구(118) 측으로 경사지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유로조절부재(180)의 몸체부(181) 상단은 격벽(W)과 인접하게 되고 하단은 격벽(W) 반대측과 인접하게 되므로 청정유로(F2)로의 공기 유동이 차단되고 공기유로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격벽(W)에 형성된 관통홀(WH)을 통해 가습유로(F3)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송풍부(170)에서 송풍되는 공기는 가습부재(160)를 통해 가습된 후 가습공기토출구(118)를 통해 하우징(11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러한 물통 비움모드의 유로 상태에서 송풍부(170)를 구동시키면 흡입구(115)에서 유입된 공기는 공기정화필터(120)를 거쳐 여과된 후 가습부재(160) 및 가습유로(F3)를 거치면서 가습된 상태가 된 후 가습공기토출구(118)로 토출될 수 있으며, 강제 가습의 과정에서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므로 물통(130)의 물을 비울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러한 물통 비움모드를 수행하는 경우에 유로조절부재(180)에 의해 형성되는 송풍유로는 전술한 도 10을 통하여 예시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제2 실시예와 같이 급수조절부재(150)를 동작시키는 가압부(190)의 구동이 유로조절부재(180)의 동작과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유로조절부재(180)가 도 11의 건조모드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유로조절부재(180)를 제어하고, 급수밸브부재(135)가 개방되도록 가압부(190)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급수밸브부재(135)가 개방되도록 하고 유로조절부재(180)가 도 11의 건조모드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물통 비움모드를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는 송풍부(170)에서 송풍된 공기 중 일부는 가습유로(F3)를 통해 가습공기토출구(118)를 통해 배출되고, 일부는 청정유로(F2)를 통해 청정공기토출구(117)를 통해 배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C)는 가습모드나 건조모드를 진행한 이후에 사용자가 물통(130)에 수용되어 있던 종전의 물을 배수하거나 새로운 물로 교체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알람 설정시간(제1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사용자에게 물통(130) 비움 또는 물 교체가 필요함을 안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물통 비움모드를 수행하기 이전에 사용자에게 직접 물통 비움 또는 물 교체가 필요함을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안내함으로써 물통 비움모드가 불필요하게 자주 수행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알람 설정시간은 가습모드나 건조모드 종료 이후부터 산정한 고정 시간(예를 들어, 48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계절이나 주변 온도, 습도 등을 고려하여 변동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물통(130) 비움 또는 물 교체를 수행했는지 여부는 사용자가 하우징(110)으로부터 물통(130)을 분리하는지 여부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물통(130) 분리의 감지는 물통(130)의 중량을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나 자기장 등을 이용하여 물통(130)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미도시) 등 공지의 다양한 감지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알람 설정시간 이전에 물통(130)의 분리가 감지되면 물통(130) 내부에 수용된 물의 비움 또는 물의 교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알람 설정시간(제1 설정시간)을 리셋하여 초기화 하게 된다.
한편, 물통 비움모드가 수행되는 미리 설정된 조건은 가습모드가 종료된 후 물통(130)의 분리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로 미리 설정된 물통 비움 설정시간(제2 설정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물통 비움모드가 수행되는 미리 설정된 조건은 전술한 건조모드가 종료된 후 물통(130)의 분리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로 미리 설정된 물통 비움 설정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물통 비움 설정시간은 전술한 알람 설정시간보다 큰 값을 가지며 가습모드나 건조모드 종료 이후부터 산정한 고정시간(예를 들어, 60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계절이나 주변 온도, 습도 등을 고려하여 변동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는 달리, 물통 비움모드가 수행되는 미리 설정된 조건은 가습모드 또는 건조모드가 종료된 후 물통(130) 내부의 물로부터 측정한 측정 미생물량이 미리 설정된 설정 미생물값 이상인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미생물량의 측정은 바이오 센서, 곰팡이 센서 등 공지의 미생물 검출 센서(도 18의 MS)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설정 미생물값은 고정된 수치를 가질 수 있으나, 미생물의 증식 속도 등을 고려할 수 있도록 계절이나 주변 온도, 습도 등을 고려하여 변동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미생물량의 측정을 위해 미생물 검출 센서(MS)는 물통(130)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나, 그 설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미생물은 공지의 미생물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면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으며, 곰팡이, 효모, 세균, 바이러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물통(130)의 분리가 감지되면 물통(130) 내부에 수용된 물의 비움 또는 물의 교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전술한 알람 설정시간(제1 설정시간)과 물통 비움설정시간(제2 설정시간)을 모두 리셋하여 초기화 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C)는, 전술한 건조모드와 마찬가지로 물통 비움모드를 수행하는 경우에도 조도와 상대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송풍부(170)의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C)는 야간(취침시간)과 같이 조도센서(도 18의 IS)에서 감지한 측정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 송풍부(170)의 송풍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C)는 측정 상대습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 경우에는 공기 중에 수증기량이 많아 가습부재(160)를 이용한 건조(물통 비움)가 원활하지 않으므로, 빠른 물통 비움작업 수행을 위하여 기준 상대습도값보다 작은 경우에 비해 송풍량을 크게 할 수 있다. 이때, 측정 상대습도는 도 18에 도시된 온습도센서(HS) 등 공지의 다양한 센서를 통해 취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C)는 측정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 송풍량을 최소로 하고, 측정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보다 큰 경우 측정 상대습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상대습도값을 비교하여 송풍량을 증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송풍량의 증감은 송풍부(170)의 구동 RPM을 조정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가습기(100)의 송풍 단계가 최저 RPM인 1단으로부터 최고 RPM인 5단까지 5개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측정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라면, 사용자의 휴식(취침)을 방해하지 않기 위하여(즉, 정숙한 운전을 위하여) 송풍부(170)를 최저 RPM인 1단으로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보다 큰 경우라면 송풍부(170)를 1단보다 높은 2단 이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 경우라면 공기 중에 수증기량이 많은 경우이므로 빠른 물통 비움작업 수행을 위해 송풍부(170)를 4단 또는 5단으로 구동할 수 있으며, 반대로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보다 작다면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 경우보다 송풍량이 적도록 송풍부(170)를 3단 또는 2단으로 구동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현재의 공기 상태(예를 들어, 먼지량)에 대응하는 송풍 단계를 기준으로 하여, 조도나 상대습도에 따라 송풍 단계를 높이거나 낮추어 구동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의 공기 상태(예를 들어, 먼지량)에 대응하는 송풍 단계 설정값이 3단인 경우에 있어서, 측정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라면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보다 낮은 송풍단계(예를 들어, 1단이나 2단)로 송풍부(170)를 구동하고, 측정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보다 큰 경우라면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를 유지하거나 빠른 물통 비움작업 수행을 위하여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보다 높은 4단 또는 5단으로 송풍부(170)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 경우라면 빠른 물통 비움작업 수행을 위하여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보다 높은 4단 또는 5단으로 송풍부(170)를 구동하고,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보다 작다면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를 유지하거나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보다 낮은 2단 또는 1단으로 송풍부(170)를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이나 기준 상대습도값은 하나의 값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기준 조도값이나 기준 상대습도값이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측정 조도나 측정 상대습도에 해당하는 구간에 대응하여 송풍량의 증감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도나 상대습도를 고려한 송풍량의 조절이나 증감방법은 전술한 방법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제어부(C)가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물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송풍부(170)를 구동하여 가습부재(160)에 흡습된 물의 건조에 따른 물통 비움작업이 진행됨에 따라 수조(141)에 수용된 물은 점점 소진된다. 이에 따라 수조(141)에 수용된 물의 수위는 점점 낮아져 최종적으로는 물 감지 센서(LS)를 통해 수조(141)의 수위가 바닥 수위가 되거나 수조(141)의 바닥에 물이 없는 상태가 감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 감지 센서(LS)를 통해 수조(141)에 물 없음이 감지된 이후에도 가습부재(160)는 일정시간 동안 흡습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가습부재(160)에 흡습된 물을 완전히 건조하기 위하여, 제어부(C)는 수조(141)에 물 없음이 감지된 이후에 미리 설정된 추가건조시간 동안 추가로 물통 비움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추가건조시간은 가습부재(160)에 흡습된 물의 양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C)는 조도와 상대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송풍부(170)의 송풍량을 증감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송풍량의 증감을 추가로 고려하여 추가건조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가압부(190)가 유로조절부재(180)에 연결되어 유로조절부재(180)와 일체로 회전하므로, 유로조절부재(180)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는 가습모드/물통비움모드와,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청정모드/건조모드가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유로조절부재(180)가 가습모드 및/또는 물통비움모드 위치에 있는 경우에서만 수조유닛(140)으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고, 청정모드 및/또는 건조모드 위치에서는 수조유닛(140)으로의 물 공급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가습모드의 종료 후 건조모드를 수행함으로써 수조유닛(140) 및/또는 가습부재(160)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수조유닛(140) 및/또는 가습부재(160)의 오염이나 세균 발생 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물통 비움모드를 수행함으로써 물통(130)에 수용된 물을 비울 수 있고, 이에 따라 물통(130) 내부에 수용된 물의 오염이나 세균 발생 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경우, 가습부재(160)가 수조(141)에 수용된 물에 침지된 상태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에 공급된 물이 가습부재(160)에 제공되어 가습을 수행할 수 있다면 가습부재(160)의 형상, 구조 및/또는 작동방식은 전술한 침지식 가습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습부재(160)로 물이 공급되는 구조는 수조(141)에 수용된 물이 가습부재(160)에 분사되는 구조나, 물통(130)이나 수조(141)에 수용된 물이 가습부재(160)의 표면을 따라 흐르도록 하고 가습부재(160)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수용되도록 가습부재(160)의 하부에 수조(141)가 설치되는 구조나, 가습부재(160)가 회전 구동하는 디스크 형태를 갖는 구조 등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도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의 물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가습부재(160) 측으로 송풍을 수행함으로써 수조(141)에 수용된 물 및/또는 가습부재(160)의 건조하는 건조모드를 수행할 수 있으며, 가습모드가 종료된 후 미리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물통(130)의 물을 수조(141)로 공급하여 가습부재(160)를 통한 강제 가습을 수행함으로써 물통(130)의 물을 비우는 물통 비움모드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에 구비되는 물통(130) 및 수조유닛(140)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수조유닛(140)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수조유닛(140)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급수밸브부재(135)가 페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6은 도 14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급수밸브부재(135)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의 경우에도 도 1 내지 도 11,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10), 물통(130), 수조유닛(140), 가습부재(160), 송풍부(170), 급수조절부재(150) 및 제어부(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공기정화필터(120), 유로조절부재(180) 및 가압부(190) 중 적어도 일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는 하우징(110), 물통(130), 가습부재(160), 송풍부(170), 공기정화필터(120) 및 유로조절부재(180)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의 구성과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수조유닛(140), 급수조절부재(150) 및 가압부(190)의 구성에 일부 차이가 있으며, 제어부(C)를 통한 급수밸브부재(135)의 개폐동작과 유로조절부재(190)의 유로전환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내지 유사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수조유닛(140)은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며 급수밸브부재(135)의 개방에 따라 물통(13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수용하게 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수조유닛(140)은 물통(13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수용하는 물 수용공간(141a)이 형성된 수조(141)와, 수조(141)의 상부 중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구성되며 물통(130)이 안착되는 수조커버(148)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수조(141)는 가습부재(160)가 장착되는 가습부재장착부(146)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수조커버(148)는 수조(141)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수조(141)의 안착면(148a)에는 물통(130)이 안착될 수 있다. 즉,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130)에 구비된 급수밸브부재(135)의 하면이 수조커버(148)의 안착면(148a)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수조커버(148)는 수조(141)의 상부로부터 분리 가능하므로 수조(141)의 청소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수조커버(148)에는 후술하는 급수조절부재(150)의 회전축부(153)가 설치되는 설치홈(147)과, 급수밸브부재(135)의 로드부재(136b)와 급수조절부재(150)의 누름부(157)의 동작을 위해 관통 형성된 관통구(148c)와, 가압부(190)의 작동을 위해 관통 형성된 장착개구(148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조유닛(140)에는 수조(141)에 수용된 물의 수위나 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물 감지 센서(도 18의 LS)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수위센서(LS)는 수조유닛(140) 내부에 설치될 수 있지만, 수조유닛(140)의 청소 용이성을 위해 수조유닛(140)의 외측에 설치되어 수조유닛(140)가 결합되는 경우 정전용량 등을 이용하여 수위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급수조절부재(150)는 급수밸브부재(135)의 개폐를 위해 작동하며, 급수밸브부재(135)가 개폐됨에 따라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거나 차단된다.
이러한 급수조절부재(150)는 도 13,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유닛(140)의 수조커버(148)에 설치되어 급수조절부재(150) 및/또는 수조유닛(140)의 청소를 위해 분리될 수 있다. 즉, 급수조절부재(150)는 수조유닛(140)의 바닥면에 설치되지 않고 수조(141)로부터 분리 가능한 수조커버(148)에 설치되므로 수조유닛(140) 청소 시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급수조절부재(150)는 급수밸브부재(135)를 가압하도록 승강이동하는 누름부(157)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급수조절부재(150)는 몸체부(151)와, 몸체부(151)의 일측에 형성되어 물통(130)의 급수밸브부재(135)를 가압 가능하도록 배치된 누름부(157)와, 몸체부(151)의 타측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가압부(190)에 의해 가압 가능하도록 배치된 작동부(155)와, 상기 누름부(157)와 작동부(155) 사이에 위치하며 수조커버(148)에 형성된 설치홈(147)에 결합되는 회전축부(15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급수조절부재(150)는 작동부(155)의 이동에 따라 누름부(157)가 회전축부(153)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여 승강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가압부(190)에 의해 작동부(155)가 가압되어 이동하는 경우, 그리고 가압부(190)와 작동부(155)의 접촉이 해제되어 작동부(155)가 급수밸브부재(135)에 구비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이동하는 경우에, 급수조절부재(150)의 누름부(157)와 작동부(155)는 회전축부(153)를 중심으로 하여 시소 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급수조절부재(150)는 회전축부(153)가 수조커버(148)에 형성된 설치홈(147)에 결합되므로, 수조(141)에는 급수밸브부재(135)를 가압하기 위한 구성이나 급수조절부재(150)의 설치를 위한 구조물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수조(141)의 바닥면의 청소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가압부(190)는 급수조절부재(150)의 작동부(155)를 가압하여 급수조절부재(150)가 회전축부(153)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유로조절부재(180)와 가압부(190)가 별도의 동력원을 통해 구동되므로, 별도의 구동부(M)를 통해 가압부(190)를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동부(M)는 가압부(190)를 이동시키기 위해 전원 공급이 필요하므로 하우징(11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수조유닛(140)에 인접한 하우징(110)의 베이스부(114)에 구동부(M)를 설치함으로써, 청소를 위한 수조유닛(140)의 분리 작업이 구동부(M)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구동부(M), 가압부(190) 및 급수조절부재(150)의 작동의 일 예에 대하여,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급수조절부재(150)는 몸체부(151) 타측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작동부(155)를 구비하고, 가압부(190)는 작동부(155)와 접촉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압부(190)는 수조커버(148)에 형성된 장착개구(148b)를 통해 수조커버(148)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며, 가압부(190)의 일측에는 랙기어부(191)가 형성된다. 또한, 구동부(M)는 모터(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PG)를 구비하며, 구동기어(PG)가 가압부(190)의 랙기어부(191)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가압부(190)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가압부(190)의 하측이 급수조절부재(150)의 작동부(155)를 가압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누름부(157)가 급수밸브부재(135)의 로드부재(136b)를 가압하지 않으므로 밀봉부재(136a)가 캡부재(137)의 토출구를 밀폐한 상태가 되며, 물통(130)의 물이 수조유닛(140)로 공급되지 않게 된다.
도 16을, 도 12 내지 14와 함께 참조하면, 도 15의 급수밸브부재(135)의 폐쇄 상태에서 구동부(M)를 작동하게 되면, 구동기어(PG)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구동기어(PG)와 맞물리는 랙기어부(191)를 갖는 가압부(190)가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도 14의 하측 방향, 도 16의 화살표 방향). 슬라이딩 이동되는 가압부(190)는 급수조절부재(150)의 작동부(155)와 접촉하여 작동부(155)를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누름부(157)는 회전축부(153)를 중심으로 상측방향으로 이동하여 급수밸브부재(135)의 로드부재(136b)를 가압하게 된다. 이를 통해 밀봉부재(136a)가 캡부재(137)의 토출구를 개방하게 되고, 물통(130)의 물이 수조유닛(140)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구동부(M)와 급수조절부재(150)의 구성을 통하여 급수밸브부재(135)의 개폐를 수행함으로써 물통(130)으로부터 수조유닛(140)로의 물 공급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는 유로조절부재(180)의 유로전환과 급수밸브부재(135)의 개폐를 통한 수조(141)로의 물공급 여부를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의 경우에도 제어부(C)의 제어를 통해 제1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청정모드, 가습모드, 건조모드, 물통 비움모드를 수행할 있다.
특히, 제2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에는 제어부(C)를 통하여 유로조절부재(180)의 유로전환과 수조(141)로의 물공급 여부를 별도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건조모드와 물통 비움모드를 수행하는 경우의 유로 구성을 다양화할 수 있게 된다. 즉, 건조모드 수행 시 가습부재(160) 및/또는 수조(141)에 수용된 물의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물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공기토출구(118)로만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거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공기토출구(118)와 청정공기토출구(117)로 공기가 분기되어 토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물통 비움모드 수행 시 물통(130)에 수용된 물을 비우기 위한 강제 가습을 수행하기 위하여,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공기토출구(118)로만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거나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공기토출구(118)와 청정공기토출구(117)로 공기가 분기되어 토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
다음으로,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급수밸브부재(135)의 개폐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의 경우에도 도 1 내지 도 11,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와 마찬가지로, 하우징(110), 물통(130), 수조유닛(140), 가습부재(160), 송풍부(170), 급수조절부재(150) 및 제어부(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공기정화필터(120), 유로조절부재(180) 및 가압부(190) 중 적어도 일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는 하우징(110), 물통(130), 가습부재(160), 송풍부(170), 공기정화필터(120) 및 유로조절부재(180)의 구성은 제1 및 제2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의 구성과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다만, 제3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는, 제2 실시예의 구성과 대비할 때 수조유닛(140)의 수조커버(148), 급수조절부재(150) 및 가압부(190)의 일부 구성에서 차이가 있으며, 제어부(C)를 통한 급수밸브부재(135)의 개폐동작이 자력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만 차이가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중복을 피하기 위하여, 동일 내지 유사한 부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급수조절부재(150)는 하우징(110)의 베이스부(114)에 설치되며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 물 공급이 가능하도록 자력에 의해 급수밸브부재(135)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급수밸브부재(135)의 로드부재(136b)의 선단에는 영구자석이나 자성이 강한 물질로 이루어진 자력부재(136d)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하우징(110)의 베이스부(114)에는 전원 공급에 의하여 자력이 인가되는 자력발생부(195)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M)에 의해 급수조절부재(150)를 구성하는 자력발생부(195)에 자력이 인가되면 급수밸브부재(135)가 개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력부재(136d)와 자력발생부(195)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자력발생부(195)에 자력이 인가되면 자력부재(136d)는 척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밀봉부재(136a)가 캡부재(137)의 토출구를 개방하여 물통(130)으로부터 수조유닛(140)로의 물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는 유로조절부재(180)의 유로전환과 급수밸브부재(135)의 개폐를 통한 수조(141)로의 물공급 여부를 서로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100)의 경우에도 제어부(C)의 제어를 통해 제1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청정모드, 가습모드, 건조모드, 물통 비움모드를 수행할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의 경우에도 제2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어부(C)를 통하여 유로조절부재(180)의 유로전환과 수조(141)로의 물공급 여부를 별도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건조모드와 물통 비움모드를 수행하는 경우의 유로 구성을 다양화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9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의 제어방법(S100, S2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의 제어방법(S100, S200)는 수조(141)에 수용된 물의 건조를 위하여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가습기의 제어방법(S100)과, 물통(130)에 수용된 물의 비움이 가능하도록 물통 비움단계를 포함하는 제어방법(S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의 제어방법(S100, S200)은,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에 공급된 물이 가습부재(160)에 제공되어 가습을 수행하는 가습기(100)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가습기(100)를 기초로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의 제어방법(S100, S200)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의 제어방법(S100, S200)이 적용되는 가습기(100)는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물 공급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면 그 구체적인 구성은 도 1 내지 도 18을 통해 설명한 가습기(100)의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습기의 제어방법(S100, S200)이 적용되는 가습기(100)는 가습기능만을 갖는 가습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정화기능이 부가된 가습청정기나, 다른 부가 기능을 포함하는 가습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가습기의 제어방법(S100)]
도 19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수조(141)의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가습기의 제어방법(S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가습기의 제어방법(S100)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20 내지 도 24는 도 19에 도시된 제어방법(S100) 중에서 건조단계에 대한 여러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가습기의 제어방법(S100)은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에 공급된 물이 가습부재(160)에 제공되어 가습을 수행하는 가습기(100)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습단계(S110)와 건조단계(S150~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건조단계 이후에 진행되는 후속단계(S19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가습단계(S110)는 가습부재(160)를 통한 가습이 이루어지는 가습모드를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가습단계(S110)는 가습기(100)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가습모드에 대응하며, 가습단계(S1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가습모드의 기재로 갈음하기로 한다. 이러한 가습단계(S100)는 가습종료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수행되며, 가습종료 신호가 입력되면(S120) 가습모드가 종료된다.
이러한 가습종료 신호는 가습기(100)의 구동을 오프(OFF)하는 종료신호와, 가습모드와 건조모드 이외의 제3 모드를 수행하는 제3 모드 진행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 모드 진행신호에는 가습단계를 종료하고 대기하는 대기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종료신호와 제3 모드 진행신호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가습기(100)의 설정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가습모드가 종료된 후 수조(141) 및/또는 가습부재(160)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모드를 진행하는 건조단계(S150~170)가 수행된다.
이러한 건조단계(S150~17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물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건조모드가 수행되는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와, 건조모드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완료여부 판단단계(S160)와, 건조모드가 완료된 후 건조모드를 종료하는 종료단계(S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는 가습기(100)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건조모드에 대응한다. 그리고,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는 급수밸브부재(135)가 폐쇄된 상태에서 수행되며,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에서의 급수밸브부재(135)의 폐쇄를 위한 작동은 전술한 건조모드의 기재로 갈음하기로 한다.
그리고,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에서는 송풍부(170)에서 송풍된 공기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가습부재(160)로 유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습기(100)의 제1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유로조절부재(180)가 도 11의 위치가 되도록 한 상태에서 송풍부(170)를 구동시켜 일부의 공기가 가습부재(160)를 거쳐 가습공기토출구(118)를 통해 토출되고 나머지 공기가 청정공기토출구(117)를 통해 토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습기(100)의 제2 및 제3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유로조절부재(180)의 구동과 급수밸브부재(135)의 개폐가 서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유로조절부재(180)가 도 10의 위치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1의 위치가 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므로 송풍부(170)에서 송풍된 공기가 가습부재(160)를 거쳐 가습공기토출구(118)를 통해 토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는 가습부재(160)가 수조(141)에 침지된 상태에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가습부재(160)로의 송풍을 통해 수조(141)에 수용된 물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는 조도와 상대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송풍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는, 도 20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도와 상대습도를 모두 고려하여 송풍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도 21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도를 고려하여 송풍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습도를 고려하여 송풍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는, 도 20, 도 21,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조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을 비교하여(S151) 측정 조도가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 송풍량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S155), 도 20,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상대습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상대습도값을 비교하여(S153)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 경우, 기준 상대습도값보다 작은 경우의 송풍량(S156)에 비해 송풍량을 크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157).
도 20 및 도 23을 참조하면,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는, 조도센서(도 18의 IS)에서 감지한 측정 조도와 기준 조도값을 비교하여(S151), 야간(취침시간)과 같이 측정 조도가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 송풍부(170)를 최저 RPM으로 구동하여 송풍량을 최소로 하고(S155), 측정 조도가 기준 조도값보다 큰 경우 측정 상대습도와 기준 상대습도값을 비교하여(S153),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 경우에는 공기 중에 수증기량이 많아 가습부재(160)의 건조가 원활하지 않으므로, 빠른 건조 작업 수행을 위하여 송풍부(170)를 고 RPM으로 구동하여 송풍량을 크게 하고(S157),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송풍부(170)를 저 RPM으로 구동하여 송풍량을 작게 할 수 있다(S156).
그리고, 도 21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는 조도를 고려하되 상대습도를 고려하지 않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측정 조도와 기준 조도값을 비교하여(S151), 야간(취침시간)과 같이 측정 조도가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 송풍부(170)를 최저 RPM으로 구동하여 송풍량을 최소로 하고(S155), 측정 조도가 기준 조도값보다 큰 경우에는 송풍부(170)를 저 RPM 또는 공기질에 따라 선택되는 통상의 RPM으로 구동하여 송풍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156).
또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는 상대습도를 고려하되 조도를 고려하지 않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측정 상대습도와 기준 상대습도값을 비교하여(S153),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 경우에는 공기 중에 수증기량이 많아 가습부재(160)의 건조가 원활하지 않으므로, 빠른 건조 작업 수행을 위하여 송풍부(170)를 고 RPM으로 구동하여 송풍량을 크게 하고(S157),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송풍부(170)를 저 RPM으로 구동하여 송풍량을 작게 할 수 있다(S156).
이러한 송풍량의 증감은 조도 및/또는 상대습도에 따라 송풍부(170)의 구동 RPM을 단순히 증가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현재의 공기 상태(예를 들어, 먼지량)에 대응하는 송풍 단계를 기준으로 함과 동시에, 조도나 상대습도에 따라 송풍 단계를 높이거나 낮추어 구동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습기(100)의 송풍 단계가 최저 RPM인 1단으로부터 최고 RPM인 5단까지 5개로 구성되어 있고, 현재의 공기 상태(예를 들어, 먼지량)에 대응하는 송풍 단계 설정값이 3단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측정 조도가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라면 정숙한 운전을 위하여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보다 낮은 송풍단계(예를 들어, 1단이나 2단)로 송풍부(170)를 구동하고(S155), 측정 조도가 기준 조도값보다 큰 경우라면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를 유지하거나 빠른 건조작업 수행을 위하여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보다 높은 4단 또는 5단으로 송풍부(170)를 구동할 수 있다(S157). 또한,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 경우라면 빠른 건조작업 수행을 위하여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보다 높은 4단 또는 5단으로 송풍부(170)를 구동하고,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보다 작다면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를 유지하거나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보다 낮은 2단 또는 1단으로 송풍부(170)를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기준 조도값이나 기준 상대습도값은 하나의 값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기준 조도값이나 기준 상대습도값이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측정 조도나 측정 상대습도에 해당하는 구간에 대응하여 송풍량의 증감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도나 상대습도를 고려한 송풍량의 조절이나 증감방법은 전술한 방법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건조모드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완료여부 판단단계(S160)는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건조설정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S161), 건조설정시간이 경과하면 건조모드가 종료된다(S170).
즉, 건조단계(S150~170)는 미리 설정된 건조설정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건조설정시간은 수조(141)에 수용된 물의 용량, 가습부재(160)에 흡습된 물의 양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는 조도와 상대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송풍부(170)의 송풍량을 증감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송풍량의 증감을 추가로 고려하여 건조설정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건조모드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완료여부 판단단계(S160)는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41)에 물 없음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65)와, 수조(141)에 물 없음이 감지된 후 추가건조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6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추가건조시간이 경과하면 건조모드가 종료되도록(S170) 구성될 수 있다.
즉,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물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가 진행됨에 따라 수조(141)에 수용된 물은 점점 소진되고, 이에 따라 수조(141)에 수용된 물의 수위는 점점 낮아져 최종적으로는 수조(141)의 바닥에 물이 없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수조(141)에 물 없음이 감지된 이후에도 가습부재(160)는 일정시간 동안 흡습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가습부재(160)에 흡습된 물을 완전히 건조하기 위하여, 건조모드의 완료여부 판단단계(S160)에서는 수조(141)에 물 없음이 감지된 이후에 추가건조시간 동안 추가로 건조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추가건조시간은 가습부재(160)에 흡습된 물의 양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모드 수행단계(S150)는 조도와 상대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송풍부(170)의 송풍량을 증감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송풍량의 증감을 추가로 고려하여 추가건조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건조모드가 종료된 후(S170)에는 후속단계가 진행된다(S190). 전술한 바와 같이, 건조단계(S150~170)는 가습종료 신호 입력(S120) 이후에 수행되며, 가습종료 신호는 가습기 구동 종료신호와, 제3 모드 진행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후속단계(S190)는 건조단계 종료(S170) 후에, 가습기 종료신호에 따라 가습기(100)의 구동을 오프하거나 제3 모드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 모드 진행신호는 공기정화필터(120)를 통해 여과된 공기가 가습부재(160)를 거치지 않고 토출되는 청정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물통 비움 단계를 포함하는 가습기의 제어방법(S200)]
마지막으로, 도 25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물통(130)에 수용된 물을 비울 수 있는 물통 비움단계를 포함하는 가습기의 제어방법(S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통 비움 단계를 포함하는 가습기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통 비움 단계를 포함하는 가습기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27 내지 도 29는 도 25 및/또는 도 26에 도시된 제어방법 중에서 물통 비움 단계에 대한 여러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물통 비움단계를 포함하는 가습기의 제어방법(S200)은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에 공급된 물이 가습부재(160)에 제공되어 가습을 수행하는 가습기(100)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습/건조단계(S210)와, 물통 비움모드 수행여부를 판단하는 수행여부 판단단계(S240, S240a)와, 물통 비움단계(S250~27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물통 비움단계(S250~270) 이전에 수행되는 물 교체 알람단계(S230)와, 각 단계의 진행 시 수행되는 물통 분리 감지단계(S28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먼저, 가습/건조단계(S210)는 가습모드 또는 건조모드를 진행하게 된다. 가습/건조단계(S210) 중에서 가습단계는 가습부재(160)를 통한 가습이 이루어지는 가습모드를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가습모드의 수행은 가습기(100)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가습모드에 대응하며, 가습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가습모드의 기재로 갈음하기로 한다. 또한, 가습/건조단계(S210) 중에서 건조단계는 가습을 수행하는 가습모드가 종료된 후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물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수조(141) 및/또는 가습부재(160)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모드를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건조모드의 수행은 가습기(100)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건조모드에 대응하며, 건조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건조모드의 기재로 갈음하기로 한다. 한편, 도 25 및 도 25에 도시된 가습/건조단계(S210)는 가습단계 이후에 건조단계가 수행되는 구성뿐만 아니라, 가습단계만 실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가습/건조단계(S210)가 완료된 후 수행여부 판단단계(S240, S240a)를 통하여 물통 비움모드 수행에 필요한 미리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물통(130)의 물을 수조(141)로 공급하여 가습부재(160)를 통한 강제 가습을 수행함으로써 물통(130)의 물을 비우는 물통 비움모드를 진행하는 물통 비움단계(S250~27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의 제어방법(S200)은 물통 비움모드가 불필요하게 자주 수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수행여부 판단단계(S240, S240a) 이전에 사용자에게 직접 물통 비움 또는 물 교체가 필요함을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안내하는 물 교체 알람단계(S230)를 추가로 거칠 수 있다.
즉, 전술한 가습/건조단계(S210)가 종료된 이후에 사용자가 물통(130)에 수용되어 있던 종전의 물을 배수하거나 새로운 물로 교체하지 않고 미리 설정된 알람 설정시간(제1 설정시간)이 경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20), 알람설정시간(제1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물 교체 알람단계(S23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물통(130) 비움 또는 물 교체가 필요함을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 설정시간은 가습모드나 건조모드 종료 이후부터 산정한 고정 시간(예를 들어, 48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계절이나 주변 온도, 습도 등을 고려하여 변동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물통(130) 또는 물 교체를 수행했는지 여부는 사용자가 하우징(110)으로부터 물통(130)을 분리하는지 여부(S280)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물통(130) 분리의 감지는 물통(130)의 중량을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나 자기장 등을 이용하여 물통(130)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미도시) 등 공지의 다양한 감지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알람설정시간(제1 설정시간) 이전에 물통(130)의 분리가 감지되면 물통(130) 내부에 수용된 물의 비움 또는 물의 교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알람 설정시간(제1 설정시간)을 리셋하여 초기화 하게 되며(S290), 추후에 가습모드 또는 건조모드가 수행된 후 종료될 때까지(S210) 대기하게 된다. 또한, 물통(130)의 분리가 감지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진행하여(S285), 알람설정시간(제1 설정시간) 경과 여부를 다시 판단하게 된다(S220).
또한, 알람설정시간(제1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사용자에게 물통(130) 비움 또는 물 교체가 필요함을 안내하도록 물 교체 알람 단계(S230)를 진행하게 된다.
물 교체 알람 단계(S230) 이후에 사용자가 하우징(110)으로부터 물통(130)을 분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280), 물통(130)의 분리가 감지되면 알람 설정시간(제1 설정시간)을 리셋하여 초기화 하게 되며(S290), 추후에 가습모드 또는 건조모드가 수행된 후 종료될 때까지(S210) 대기하게 된다. 또한, 물통(130)의 분리가 감지되지 않으면 다음 단계로 진행하여(S285), 물통 비움모드 수행여부를 다시 판단하게 된다(S240, S240a).
물통 비움모드 수행여부를 판단하는 수행여부 판단단계(S240, S240a)는 물통 비움단계(S250~270)가 수행되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물통 비움모드가 수행되는 미리 설정된 조건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모드가 종료된 후, 또는 건조모드가 종료된 후 물통(130)의 분리가 감지되지 않은 상태로 미리 설정된 물통 비움 설정시간(제2 설정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S240). 이러한 물통 비움 설정시간은 전술한 알람 설정시간보다 큰 값을 가지며 가습모드나 건조모드 종료(S210) 이후부터 산정한 고정시간(예를 들어, 60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계절이나 주변 온도, 습도 등을 고려하여 변동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수행여부 판단단계(S240)의 진행 중 또는 진행 후에 물통(130)의 분리가 감지되면(S280), 물통(130) 내부에 수용된 물의 비움 또는 물의 교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전술한 알람 설정시간(제1 설정시간)과 물통 비움설정시간(제2 설정시간)을 모두 리셋하여 초기화 하게 된다(S285).
이와는 달리, 물통 비움모드가 수행되는 미리 설정된 조건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모드가 종료된 후, 또는 건조모드가 종료된 후 물통(130) 내부의 물로부터 측정한 측정 미생물량이 미리 설정된 설정 미생물값 이상인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S240a). 이러한 미생물량의 측정은 바이오 센서 등 공지의 미생물 검출 센서(도 18의 MS)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설정 미생물값도 고정된 수치를 가질 수 있으나, 미생물의 증식 속도 등을 고려할 수 있도록 계절이나 주변 온도, 습도 등을 고려하여 변동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수행여부 판단단계(S240a)의 진행 중 또는 진행 후에 물통(130)의 분리가 감지되면(S280), 물통(130) 내부에 수용된 물의 비움 또는 물의 교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전술한 알람 설정시간(제1 설정시간)과 물통 비움설정시간(제2 설정시간)을 모두 리셋하여 초기화 하게 된다(S285).
그리고, 물통 비움모드가 수행되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면(도 25의 S240, 도 26의 S240a), 물통 비움단계(S250~270)가 수행된다. 이때, 물통 비움단계(S250~270)는 물 교체 알람단계(S230) 이후에도 물통(130)의 분리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가습기의 제어방법(S200)은 전술한 물 교체 알람단계(S230)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물통 비움단계(S250~270)는 물 교체 알람단계(S230)를 거치지 않고 물통 비움모드가 수행되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S240, S240a)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물통 비움단계(S250~270)는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물통 비움모드가 수행되는 물통 비움모드 수행단계(S250)와, 물통 비움모드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완료여부 판단단계(S260)와, 물통 비움모드가 완료된 후 물통 비움모드를 종료하는 종료단계(S2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물통 비움모드 수행단계(S250)는 가습기(100)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물통 비움모드에 대응한다. 그리고, 물통 비움모드 수행단계(S250)는 급수밸브부재(135)가 개방되어 수조(141)로 물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수행되며, 물통 비움모드 수행단계(S250)에서의 급수밸브부재(135)의 개방을 위한 작동은 전술한 물통 비움모드의 기재로 갈음하기로 한다.
그리고, 물통 비움모드 수행단계(S250)에서는 송풍부(170)에서 송풍된 공기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가습부재(160)로 유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습기(100)의 제1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유로조절부재(180)가 도 11의 위치가 되도록 한 상태에서 송풍부(170)를 구동시켜 일부의 공기가 가습부재(160)를 거쳐 가습공기토출구(118)를 통해 토출되고 나머지 공기가 청정공기토출구(117)를 통해 토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습기(100)의 제2 및 제3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유로조절부재(180)의 구동과 급수밸브부재(135)의 개폐가 서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유로조절부재(180)가 도 10의 위치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11의 위치가 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므로 송풍부(170)에서 송풍된 공기가 가습부재(160)를 거쳐 가습공기토출구(118)를 통해 토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물통 비움모드 수행단계(S250)는 가습부재(160)가 수조(141)에 침지된 상태에서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가습부재(160)로의 송풍을 통해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에 공급된 물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7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물통 비움모드 수행단계(S250)는 조도와 상대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송풍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통 비움모드 수행단계(S250)는,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도와 상대습도를 모두 고려하여 송풍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도를 고려하여 송풍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습도를 고려하여 송풍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물통 비움모드 수행단계(S250)는, 도 27 및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조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을 비교하여(S251) 측정 조도가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 송풍량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고(S255), 도 27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상대습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상대습도값을 비교하여(S253)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 경우, 기준 상대습도값보다 작은 경우의 송풍량(S256)에 비해 송풍량을 크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257).
도 27을 참조하면, 물통 비움모드 수행단계(S250)는, 조도센서(도 18의 IS)에서 감지한 측정 조도와 기준 조도값을 비교하여(S251), 야간(취침시간)과 같이 측정 조도가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 송풍부(170)를 최저 RPM으로 구동하여 송풍량을 최소로 하고(S255), 측정 조도가 기준 조도값보다 큰 경우 측정 상대습도와 기준 상대습도값을 비교하여(S253),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 경우에는 공기 중에 수증기량이 많아 가습부재(160)를 통한 물통(130)의 물 비움이 원활하지 않으므로, 빠른 물통 비움작업 수행을 위하여 송풍부(170)를 고 RPM으로 구동하여 송풍량을 크게 하고(S257),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송풍부(170)를 저 RPM으로 구동하여 송풍량을 작게 할 수 있다(S256).
그리고,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 비움모드 수행단계(S250)는 조도를 고려하되 상대습도를 고려하지 않는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측정 조도와 기준 조도값을 비교하여(S251), 야간(취침시간)과 같이 측정 조도가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 송풍부(170)를 최저 RPM으로 구동하여 송풍량을 최소로 하고(S255), 측정 조도가 기준 조도값보다 큰 경우에는 송풍부(170)를 저 RPM 또는 공기질에 따라 선택되는 통상의 RPM으로 구동하여 송풍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S256).
또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 비움모드 수행단계(S250)는 상대습도를 고려하되 조도를 고려하지 않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측정 상대습도와 기준 상대습도값을 비교하여(S253),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 경우에는 공기 중에 수증기량이 많아 가습부재(160)를 통한 물통(130)의 물 비움 작업이 원활하지 않으므로, 빠른 물통 비움작업 수행을 위하여 송풍부(170)를 고 RPM으로 구동하여 송풍량을 크게 하고(S257),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송풍부(170)를 저 RPM으로 구동하여 송풍량을 작게 할 수 있다(S256).
이러한 송풍량의 증감은 조도 및/또는 상대습도에 따라 송풍부(170)의 구동 RPM을 단순히 증가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지만, 현재의 공기 상태(예를 들어, 먼지량)에 대응하는 송풍 단계를 기준으로 함과 동시에, 조도나 상대습도에 따라 송풍 단계를 높이거나 낮추어 구동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가습기(100)의 송풍 단계가 최저 RPM인 1단으로부터 최고 RPM인 5단까지 5개로 구성되어 있고, 현재의 공기 상태(예를 들어, 먼지량)에 대응하는 송풍 단계 설정값이 3단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측정 조도가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라면 정숙한 운전을 위하여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보다 낮은 송풍단계(예를 들어, 1단이나 2단)로 송풍부(170)를 구동하고(S255), 측정 조도가 기준 조도값보다 큰 경우라면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를 유지하거나 빠른 물통 비움작업 수행을 위하여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보다 높은 4단 또는 5단으로 송풍부(170)를 구동할 수 있다(S257). 또한,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 경우라면 빠른 물통 비움작업 수행을 위하여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보다 높은 4단 또는 5단으로 송풍부(170)를 구동하고, 측정 상대습도가 기준 상대습도값보다 작다면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를 유지하거나 현재의 설정송풍단계(3단)보다 낮은 2단 또는 1단으로 송풍부(170)를 구동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기준 조도값이나 기준 상대습도값은 하나의 값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기준 조도값이나 기준 상대습도값이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측정 조도나 측정 상대습도에 해당하는 구간에 대응하여 송풍량의 증감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도나 상대습도를 고려한 송풍량의 조절이나 증감방법은 전술한 방법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물통 비움모드의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S260)는 도 27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41)에 물 없음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65)와, 수조(141)에 물 없음이 감지된 후 추가건조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6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추가건조시간이 경과하면 물통 비움모드가 종료되도록(S270) 구성될 수 있다.
즉, 물통(130)으로부터 수조(14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물통 비움모드 수행단계(S250)가 진행됨에 따라 수조(141)에 수용된 물은 점점 소진되고, 이에 따라 수조(141)에 수용된 물의 수위는 점점 낮아져 최종적으로는 수조(141)의 바닥에 물이 없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수조(141)에 물 없음이 감지된 이후에도 가습부재(160)는 일정시간 동안 흡습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가습부재(160)에 흡습된 물을 완전히 건조하기 위하여, 물통 비움모드의 완료 여부 판단단계(S260)에서는 수조(141)에 물 없음이 감지된 이후에 추가건조시간 동안 추가로 물통 비움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S265).
이때, 추가건조시간은 가습부재(160)에 흡습된 물의 양 등을 고려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물통 비움모드 수행단계(S250)는 조도와 상대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송풍부(170)의 송풍량을 증감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송풍량의 증감을 추가로 고려하여 추가건조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건조모드나 물통비움모드에 필수적이지 않은 일부 구성을 삭제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하거나, 또는 다른 구성을 부가하여 실시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이 상호 복합적으로 조합되어 실시되는 것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00... 가습기 110... 하우징
111... 하우징 몸체 112... 칸막이
112a, 112b... 관통구 113... 개구부
115... 흡입구 116... 토출구
117... 청정공기토출구 118... 가습공기토출구
120... 공기정화필터 130... 물통
131... 물통몸체 135... 급수밸브부재
136... 개폐부 136a... 밀봉부재
136b... 로드부재 136c... 탄성부재
136d... 자력부재 137... 캡부재
140... 수조유닛 141... 수조
143... 개구덮개 145... 커버연장부
146... 가습부재장착부 147... 설치홈
148... 수조커버 148a... 안착면
148b... 장착개구 148c... 관통구
150... 급수조절부재 151... 몸체부
153... 회전축부 155... 작동부
157... 누름부 159... 중량부
160... 가습부재 170... 송풍부
180... 유로조절부재 181... 몸체부
183... 회전샤프트 190... 가압부
195... 자력발생부 C... 제어부
F1... 송풍유로 F2... 청정유로
F3... 가습유로 HS... 온습도센서
IS,,, 조도센서 LS... 물 감지 센서
M... 구동부 MS... 미생물 검출 센서
PG... 구동기어 W... 격벽
WH... 관통홀

Claims (26)

  1.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내부에 수용된 물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급수밸브부재를 구비하는 물통;
    상기 물통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수조를 구비하는 수조유닛;
    상기 수조에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가습을 수행하는 가습부재;
    상기 흡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상기 토출구로 유동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부;
    상기 물통으로부터 상기 수조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거나 차단되도록 상기 급수밸브부재를 개폐시키는 급수조절부재; 및
    상기 물통으로부터 상기 수조로의 물 공급과 상기 송풍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가습을 수행하는 가습모드가 종료된 후 상기 가습부재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모드를 수행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모드가 상기 물통으로부터 상기 수조로의 물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수행되도록 하는 가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모드의 수행 시 상기 급수밸브부재가 폐쇄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급수조절부재의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가습부재의 건조가 이루어도록 상기 송풍부를 구동시키는 가습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습모드의 수행 시 상기 급수밸브부재가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급수조절부재의 이동을 제어하고, 상기 송풍부를 구동시키는 가습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모드의 수행 시 조도와 상대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송풍부의 송풍량을 조절하는 가습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조에 물 없음이 감지된 이후에 미리 설정된 추가건조시간 동안 추가로 상기 건조모드를 수행하는 가습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조절부재는 상기 급수밸브부재를 가압하도록 승강이동하는 누름부를 구비하는 가습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조절부재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급수밸브부재를 가압 가능하도록 배치된 상기 누름부와,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작동부와, 상기 누름부와 작동부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축부를 구비하며,
    상기 작동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누름부가 상기 회전축부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여 승강되는 가습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유닛은 물을 수용하는 상기 수조와, 상기 수조의 상부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수조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수조커버에 설치되는 가습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조절부재의 작동부를 상기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가압부;
    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부의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가습모드 수행 시 상기 가압부가 상기 작동부와 접촉하여 상기 작동부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급수밸브부재가 개방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건조모드 수행 시 상기 가압부가 상기 작동부를 가압하는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상기 급수밸브부재가 폐쇄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가습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는 상기 흡입구에서 유입되어 공기정화필터를 통해 여과된 공기가 상기 가습부재를 거쳐 토출되는 가습공기토출구와, 상기 가습부재를 거치지 않고 토출되는 청정공기토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흡입구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가습부재를 거쳐 토출되는 가습공기토출구와, 상기 가습부재를 거치지 않고 토출되는 청정공기토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송풍부에서 송풍된 공기는 유로조절부재의 유로 전환에 의해 상기 가습공기토출구와 청정공기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토출되는 가습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유로조절부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유로조절부재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가습기.
  1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조절부재는 자력에 의해 상기 급수밸브부재를 개폐하는 가습기.
  13. 물통으로부터 수조에 공급된 물이 가습부재에 제공되어 가습을 수행하는 가습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습부재를 통한 가습이 이루어지는 가습모드를 진행하는 가습단계; 및
    상기 가습모드가 종료된 후 상기 가습부재의 건조가 이루어지는 건조모드를 진행하는 건조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물통으로부터 상기 수조로의 물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 수행되는 가습기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는 송풍부에서 송풍된 공기 중에서 적어도 일부를 상기 가습부재로 유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가습기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가습부재가 상기 수조에 침지된 상태에서 수행되어 상기 수조에 수용된 물의 제거가 가능한 가습기의 제어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는 미리 설정된 건조설정시간 동안 수행되는 가습기의 제어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수조에 물 있음이 감지되는 상태에서 계속되며, 상기 수조에 물 없음이 감지된 이후에도 미리 설정된 추가건조시간 동안 추가로 수행되는 가습기의 제어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는, 조도와 상대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송풍량을 조절하는 가습기의 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는, 측정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 송풍량을 감소시키는 가습기의 제어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는, 측정 상대습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상대습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기준 상대습도값보다 작은 경우에 비해 송풍량을 크게 하는 가습기의 제어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는, 측정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 이하인 경우 송풍량을 최소로 하고, 측정 조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조도값보다 큰 경우 측정 상대습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상대습도값을 비교하여 송풍량을 증감시키는 가습기의 제어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는 조도와 상대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송풍량을 증감시키고,
    상기 건조설정시간은 송풍량의 증감에 따라 조절되는 가습기의 제어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는 조도와 상대습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송풍량을 증감시키고,
    상기 추가건조시간은 송풍량의 증감에 따라 조절되는 가습기의 제어방법.
  24. 제13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는 상기 가습단계의 종료신호가 입력되면 수행되고,
    상기 종료신호는 상기 가습기의 구동을 오프하는 종료신호와, 상기 가습모드와 상기 건조모드 이외의 제3 모드를 수행하는 제3 모드 진행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단계 종료 후에, 상기 종료신호에 따라 가습기의 구동을 오프하거나 상기 제3 모드를 진행하는 후속단계가 수행되는 가습기의 제어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모드 진행신호는 공기정화필터를 통해 여과된 공기가 상기 가습부재를 거치지 않고 토출되는 청정모드를 포함하는 가습기의 제어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모드에서는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가습부재를 거치면서 가습된 후 가습공기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청정모드에서는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가습부재를 거치지 않고 청정공기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건조모드에서는 송풍되는 공기 중 일부의 공기가 상기 가습부재를 거치면서 상기 가습부재를 건조시킨 후 상기 가습공기토출구를 통해 배출되고, 나머지 공기가 상기 가습부재를 거치지 않고 청정공기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가습기의 제어방법.
KR1020190178488A 2019-12-30 2019-12-30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8545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488A KR20210085451A (ko) 2019-12-30 2019-12-30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JP2020217204A JP2021110534A (ja) 2019-12-30 2020-12-25 加湿器及びその制御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488A KR20210085451A (ko) 2019-12-30 2019-12-30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451A true KR20210085451A (ko) 2021-07-08

Family

ID=76894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488A KR20210085451A (ko) 2019-12-30 2019-12-30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21110534A (ko)
KR (1) KR20210085451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10534A (ja) 202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93557A1 (en) Humidifier
KR102340052B1 (ko) 가습기
CN113994153B (zh) 加湿净化器
KR100987833B1 (ko) 공기 청정기
JP4519815B2 (ja) 加湿機能付き空気清浄機
JP6925293B2 (ja) 加湿空気清浄装置
WO2002013957A1 (en) Evaporative humidifier
KR20090058446A (ko) 공기 청정 및 가습 장치
KR101765663B1 (ko) 공기 청정기 및 그 운전 방법
KR20180026525A (ko) 가습 필터 및 가습기
KR20200107067A (ko) 습식 방식의 다기능 공기 여과기
KR20210085452A (ko)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10085451A (ko)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876225B1 (ko) 공기 청정기
RU2797492C1 (ru) Увлажнитель
KR20120078139A (ko) 기화식 가습기
KR20200086972A (ko) 가습기
JP2014070859A (ja) 送風機
KR102011743B1 (ko) 용량 가변형 구조의 실내공기 조절장치
WO2023032420A1 (ja) 加湿装置
JP6486803B2 (ja) 加湿装置
KR20200086971A (ko) 회전가습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습기
KR101174039B1 (ko) 가습공기청정기의 제어장치
KR20130019096A (ko) 가습기
KR102108950B1 (ko) 가습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