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8139A - 기화식 가습기 - Google Patents
기화식 가습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78139A KR20120078139A KR1020100140346A KR20100140346A KR20120078139A KR 20120078139 A KR20120078139 A KR 20120078139A KR 1020100140346 A KR1020100140346 A KR 1020100140346A KR 20100140346 A KR20100140346 A KR 20100140346A KR 20120078139 A KR20120078139 A KR 201200781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high pressure
- humidifier
- gas
- supply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가습필터를 수조에 침지시키지 않고도 가습필터에 물을 미세입자로 분사하여 가습을 수행할 수 있는 기화식 가습기가 개시된다.
상기 기화식 가습기는, 물에 침지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되는 가습필터; 원수제공수단으로부터 제공된 물을 상기 가습필터에 입자형태로 분무하는 물공급부; 상기 가습필터에 공급된 물을 기화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물공급부 및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기화식 가습기에 의하면, 침지된 가습필터에 오염이나 세균번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을 미세한 입자로 분무하므로 가습효율이 우수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기화식 가습기는, 물에 침지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되는 가습필터; 원수제공수단으로부터 제공된 물을 상기 가습필터에 입자형태로 분무하는 물공급부; 상기 가습필터에 공급된 물을 기화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물공급부 및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기화식 가습기에 의하면, 침지된 가습필터에 오염이나 세균번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을 미세한 입자로 분무하므로 가습효율이 우수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습필터에 물을 공급하여 기화시켜 가습을 수행하는 기화식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습필터를 수조에 침지시키지 않고도 가습필터에 물을 미세입자로 분사하여 가습을 수행할 수 있는 기화식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실내의 공기는 적당한 습도(예를 들어, 60% 정도)를 유지함으로써 호흡장애와 질병을 예방할 수 있고,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다. 이러한 습도조절을 위하여 깨끗한 물을 입자화하여 실내로 배출시키는 가습기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공기청정기에 이러한 가습기의 기능을 구현한 가습청정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가습기의 용어는 가습기의 기능이 부가된 가습청정기 등의 제품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가습기에는, 흡입한 물을 원심력에 의해 입자화하는 원심분무식 가습기, 전기회로에서 발생된 소정 주파수의 전기신호를 물속에 놓인 진동자로 전달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면 캐비테이션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이용한 초음파 가습기, 히터나 전극봉으로 물을 가열시켜 증기를 발생시키는 전열식(電熱式) 가습기, 젖은 필터로 공기가 통하게 하여 물을 증발시키는 기화식 가습기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이러한 가습기 중 기화식 가습기는 단독으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공기청정기에 구비된 송풍팬을 이용하여 공기청정과 가습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습청정기에 기화식 가습방식이 많이 채택되고 있다.
이러한 기화식 가습기(가습청정기)의 일 예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기화식 가습기(10)는 하우징(11)에 형성된 흡입구(11a)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도록 복수의 필터(12a, 12b, 12c, 12c, 12d, 12e)로 이루어진 필터부(12)를 구비하며, 필터부(12)를 거쳐 정화된 공기는 송풍팬(14)에 의해 바로 송풍구(11b)를 통해 배출되거나 가습부(16)를 통과한 후 송풍팬(14)에 의해 송풍구(11b)를 통해 배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종래의 기화식 가습기(10)에 구비되는 가습부(16)는 물을 흡수하거나 물이 표면에 잔류하도록 구성되는 가습필터(18)가 구비되며, 상기 가습필터(18)에 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가습필터(18)가 침지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수조(17)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수조(17)에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하도록 물탱크(2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가습필터(18)는 수조 안착부(17a)에 설치되어 수조(17) 내의 물에 침지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물탱크(20)는 수조(17)의 물탱크 안착부(17b)에 설치되어 수조(17)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습필터(18)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습성의 부재로 이루어져 하면에서 접촉하는 물을 상부측으로 흡수 이동시키는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나, 회전에 의해 물을 상측으로 끌어올리는 회전디스크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화식 가습기(10)는 가습필터(18)가 항상 수조(17)에 침지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가습필터(18)가 항상 물을 머금고 있는 상황이므로 가습필터(18)에 다량의 세균이 번식할 수 있다.
특히, 가습필터(18)의 하부에 수조(17)가 있으며, 이와 같이 수조(17)에 고여 있는 물에서 세균이 번식하거나 오염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화식 가습기(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 내부에 물탱크(20)가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우징(11) 내부에 수조(20)가 설치되면 하우징(11) 내부에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어 제품 디자인 설정에 한계가 있게 된다. 더욱이, 하우징(11) 내부의 정해진 공간에 물탱크(20)가 설치되므로 물탱크(20)의 용량에 한계가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물탱크(20)에 수시로 물을 보충하여 주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탱크(20)가 하우징(11) 내부에 위치하므로 물탱크(20)에 물을 충진하기 위해서는 커버 등을 제거하고 물탱크(20)를 꺼낸후 물을 충진하여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종래의 기화식 가습기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수조를 제거하여 수조 및 이에 침지된 가습필터에 오염이나 세균번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화식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물을 입자형태로 분사(분무)함으로써 기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화식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가습필터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 적절하지 않거나 입자 형태로 분사되지 않아 물받이에 고이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가습필터에 지속적으로 물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안정한 구동이 가능한 기화식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물에 침지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되는 가습필터; 원수제공수단으로부터 제공된 물을 상기 가습필터에 입자형태로 분무하는 물공급부; 상기 가습필터에 공급된 물을 기화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물공급부 및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기화식 가습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물공급부는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의 고압수를 생성하는 고압수 생성부와, 상기 고압수 생성부에서 생성된 고압수를 입자형태로 분무하는 분무노즐을 구비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고압수 생성부는, 대기압보다 높은 고압가스를 수용하는 가스공급부와, 상기 가스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고압가스를 통하여 상기 원수제공수단으로부터 물을 고압상태로 수용하는 혼합탱크와, 상기 혼합탱크에 수용된 고압수를 상기 분무노즐에 공급하는 배출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고압수 생성부는 상기 혼합탱크 내의 저수위와 만수위를 각각 감지하는 저수위 센서와 만수위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수위 센서와 만수위 센서에서 받은 수위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원수제공수단과 연결된 원수인입밸브와, 상기 가스공급부와 연결된 가스인입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고압수 생성부는 상기 혼합탱크 내부의 가스를 외부를 배출하는 가스배출밸브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수위 센서에서 저수위가 감지되지 않을 때 상기 원수인입밸브와 가스배출밸브를 개방시키고, 상기 만수위 센서에서 만수위가 감지되면 원수인입밸브와 가스배출밸브를 차단하고 가스인입밸브를 개방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화식 가습기는 상기 가습필터에 분무된 물이 상기 송풍팬의 회전에 의해 기화되지 않고 상기 가습필터 아래로 낙하할 때 낙수를 받는 물받이; 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물받이에는 상기 가습필터로부터 낙수가 유입될 때 이를 감지하는 낙수센서가 구비되며, 싱기 제어부는 상기 낙수센서를 통하여 낙수가 감지되면 상기 물공급부의 작동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습필터, 물공급부 및 송풍팬은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원수제공수단은 상기 하우징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공급부에 구비된 연결포트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종래의 기화식 가습기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수조를 제거하여 수조 내부에 수용된 물과, 이에 침지된 가습필터에 오염이나 세균번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가습필터가 침지된 상태가 아니므로 가습필터에 잔류하는 물이 빠른 시간 이내에 증발될 수 있으므로 가습필터의 오염이나 세균증식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혼합탱크를 이용하여 물을 가습필터의 표면에 입자형태로 분사(분무)함으로써 기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가습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낙수센서를 구비함으로써 물공급부에 이상이 있거나 송풍팬의 출력이 적은 이유 등에 의하여 가습필터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 물공급부로부터 가습필터로부터 물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기화식 가습기의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의하면 물탱크 등의 원수제공수단을 기화식 가습기의 하우징의 외부에 설치함으로써, 종래의 기화식 가습기와 같이 물탱크의 용량이나 하우징의 크기에 제약을 받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원수제공수단에 다량의 물을 저장할 수 있으므로 한 번의 물 주입으로 장시간 동안 가습기의 구동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화식 가습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화식 가습기의 가습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화식 가습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화식 가습기의 주요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습필터와 물받이를 상세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화식 가습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화식 가습기의 가습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화식 가습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화식 가습기의 주요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습필터와 물받이를 상세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화식 가습기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가지다(갖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화식 가습기에 대해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화식 가습기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화식 가습기의 주요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습필터와 물받이를 상세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화식 가습기(100)는 필터부(120)와 가습필터(150)를 구비하는 가습청정기에 관한 것이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습기능을 구비한다면 모두 가습기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에 일 예로서 도시된 기화식 가습기(100)는 하우징(110)의 전면에 형성된 흡입구(11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여과하도록 복수의 필터로 이루어진 필터부(120)를 구비하며, 필터부(120)를 거쳐 정화된 공기는 송풍팬(170)에 의해 바로 송풍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제1 공기유로(청정유로)(F1)를 거치거나 가습필터(150)를 통과한 후 송풍팬(170)에 의해 송풍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제2 공기유로(가습유로)(F2)를 거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화식 가습기(100)의 가습부분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화식 가습기(100)는 가습필터(150)와, 물공급부(130)와, 송풍팬(도 3의 17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물공급부(130), 송풍팬(170) 등 기화식 가습기(100)에 구비되는 각종 전장부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150)는 종래의 기화식 가습기와는 달리 수조에 침지된 상태로 설치되지 않으며, 물공급부(130)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며, 가습필터(150)에 공급된 물은 송풍팬(170)의 회전에 따라 기화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습필터(150)는 흡습성의 소재로 이루어져 물공급부(130)에서 미세입자의 물이 분무될 때 이를 보유함으로써 기화가 이루어지도록 기능한다. 그러나, 상기 가습필터(150)는 그 표면에 일정한 시간 또는 일정량의 물이 유지될 수 있다면 반드시 흡습성 소재로 이루어질 필요는 없으며, 그 형상이나 구조 등도 다양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부(130)는 하우징(110)의 외부에 구비된 원수제공수단(210)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가습필터(150)에 미세입자로 분무하게 된다. 즉, 상기 물공급부(130)는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의 고압수를 생성하는 고압수 생성부(140)와, 상기 고압수 생성부(140)에서 생성된 고압수를 미세한 입자형태로 분무하는 분무노즐(135)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공급부(130)는, 상기 원수제공수단(210)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하우징(110) 외부로 노출가능하게 설치된 연결포트(131)와, 상기 연결포트(131)에서 유입된 물이 고압수 공급부(140)의 혼합탱크(141)로 유입되도록 개폐되는 원수인입밸브(132)와, 상기 고압수 공급부(140)와 상기 분무노즐(135) 사이의 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밸브(13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폐밸브(133)는 고압수 공급부(140)의 배출관(144)에 연결되어 가습필터(150)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즉, 고압수 공급부(140)에서 출수되는 물의 양이 많은 경우 가습필터(150)에 다량의 물이 공급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개폐밸브(133)는 미리 설정된 가습모드에 따라 정해진 시간마다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80)는 상기 유량센서(132)에 의한 유량정보, 송풍팬(170)의 회전수, 설정된 가습모드의 사양 등에 따라 개폐밸브(133)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원수제공수단(210)은 하우징(110) 외부에 설치되어 그 용량에 제한을 받지 않는 외부 물탱크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외부 물탱크에 수도전을 연결하여 외부 물탱크의 물보충이 필요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원수제공수단(210)은 수도전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도전과 연결된 호스나 튜빙이 연결포트(131)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원수제공수단(210)이 하우징(110) 외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이 구현될 수 있다면 상기 원수제공수단(210)이 하우징(110)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압수 공급부(140)는 대기압보다 높은 고압가스를 수용하는 가스공급부(146)와, 상기 가스공급부(146)로부터 공급받은 고압가스를 통하여 상기 원수제공수단(210)으로부터 물을 고압상태로 수용하는 혼합탱크(141)와, 상기 혼합탱크(141)에 수용된 고압수를 상기 개폐밸브(133)의 개방에 따라 분무노즐(135)에 공급하는 배출관(144)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압수 생성부(140)는 상기 혼합탱크(141) 내부의 가스를 외부를 배출하는 가스배출밸브(145)와, 상기 혼합탱크(141) 내의 저수위와 만수위를 각각 감지하는 저수위 센서(143)와 만수위 센서(14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압수 공급부(140)는 가스공급부(146)로부터 공급된 대기압보다 높은 고압가스를 통하여 원수제공수단(210)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고압의 상태로 수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스공급부(146)는 가스실린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추출단에 일정압력으로 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압력조절밸브(147)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공급부(146)와 압력조절밸브(147)는 가스실린더로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공급부(146)는 도 4에서는 하우징(110) 내부에 수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교체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하우징(110) 외부 또는 외부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하우징(110) 내부의 별도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144)는 혼합탱크(141) 내부로 길게 연장되어 혼합탱크(141) 상부에 수용된 고압가스의 압력에 의해 물을 가습필터(150)로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에서는 혼합탱크(141)의 내부구성을 표시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크기로 도시되어 있으나, 혼합탱크(141)의 크기는 가습량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혼합탱크(141) 내부에 고압의 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제어부(180)는 상기 저수위 센서(143)와 만수위 센서(142)에서 받은 수위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원수제공수단(210)과 연결된 원수인입밸브(132)와, 상기 가스공급부(146)와 연결된 가스인입밸브(148)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저수위 센서(143)에서 저수위가 감지되지 않을 때 원수인입밸브(132)를 개방시켜 물이 공급되도록 하고, 혼합탱크(141) 내부의 압력이 높아 물의 유입이 원활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스배출밸브(145)를 개방시켜 혼합탱크(141) 내부에 잔류하는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가스인입밸브(148)는 폐쇄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물이 공급된 후 상기 만수위 센서(143)에서 만수위가 감지되면 원수인입밸브(132)와 가스배출밸브(145)를 차단하여 물공급과 가스배출을 종료하고 가스인입밸브(148)를 개방시켜 일정시간 동안 혼합탱크(141)에 가스를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혼합탱크(141)에는 고압상태의 물이 수용되고, 분무노즐(135)을 통해 입자상태로 분무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기화식 가습기(100)는 상기 가습필터(150)에 공급된 물이 상기 송풍팬(170)의 회전에 의해 기화되지 않고 상기 가습필터(150) 아래로 낙하할 때 낙수를 받는 물받이(16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압수 공급부(140)에 이상이 있어서 물이 미세한 입자로 분무되지 않거나 너무 과도한 양이 분무되는 등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물이 기화되지 않고 물받이(160)에 낙하될 수 있다.
이러한 물받이(160)는 종래의 기화식 가습기(10)에 구비된 수조(17)와는 달리 평상시에는 비어 있는 구조를 가지며, 가습필터(150)에 물공급이 과도한 경우에 이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물받이(160)에는 상기 가습필터(150)로부터 낙수가 유입될 때 이를 감지하는 낙수센서(165)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낙수센서(165)는 물과 접촉하는 것을 감지하는 정전용량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물의 유입을 감지할 수 있다는 그 종류나 설치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물받이(160)는 상기 가습필터(150)로부터 유입되는 낙수가 측정면(163)(예를 들어, 바닥면)에 고이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물받이(160)의 측면 또는 측정면(163)에 인접하여 유도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낙수센서(165)는 측정면(163)에 설치되어 측정면(163)에 낙하한 물이 유입을 측정할 수 있다. 다만, 물받이(160)에 물이 유입되자마자 낙수센서(165)가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일정량만큼 유입된 후에 낙수센서(165)에서 감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낙수센서를 통하여 낙수가 감지되면 상기 물공급부(130)의 작동을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미리 설정된 가습모드, 가습필터(150)의 재질, 송풍팬(170)의 회전속도, 유량센서(132)의 유량, 개폐밸브(133)의 개폐 등을 통하여 낙수가 이루어지지 않고 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습필터(150)로의 물의 공급을 제어하지만, 어떤 특정구성의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낙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계속하여 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공급부(130)의 구동을 차단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80)는 개폐밸브(133)를 폐쇄하게 되며, 미도시된 디스플레이부에 낙수 발생을 표시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화식 가습기의 제어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방법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기화식 가습기(100)를 참조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제어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기화식 가습기는 물에 침지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되는 가습필터에 물을 공급하여 송풍팬을 통해 기화시키는 것이라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기화식 가습기(1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제어방법(S100)은 혼합탱크(141)가 가습모드에서 동작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S110)와, 동작가능한 상태인 경우 가습모드를 수행하는 단계(S140)와, 동작가능한 상태가 아닌 경우 혼합탱크(141)에 물과 고압가스를 공급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혼합탱크(141)가 가습모드에서 동작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S110)에서는 수위센서(142,143)에 이상이 있는지, 그리고 혼합탱크(141)의 내부압력과 수위가 가습모드 수행에 적정한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고, 이상이 없으면 가습모드를 수행하게 된다(S140).
이러한 가습모드(S140)는 통상의 가습기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일정시간후(예를 들어, 1초) 다시 시작단계(S110)로 리턴하게 된다(S150).
그리고, 가습모드 수행에 적정하지 않으면 혼합탱크(141) 내부에 물과 고압가스를 공급하게 된다.
먼저, 만수위 센서(142)를 통하여 혼합탱크(141)의 수위가 만수위인지 판단하고(S131), 만수위가 아니라면 저수위 센서(143)를 통하여 저수위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S135). 만약, 저수위가 감지되지 않으면 원수인입밸브(132)를 개방하여 혼합탱크(141) 내부에 물을 공급하고(S136), 가스배출밸브(145)를 개방하여 혼합탱크(141)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배출한다(S137). 이러한 물공급 과정과 가스배출과정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저수위가 감지되면 수위가 저수위와 만수위의 중간수위이므로 물공급과 가스배출이 계속된다.
그리고, 만수위 센서(142)를 통하여 혼합탱크(141)의 수위가 만수위라고 감지되면(S131), 원수인입밸브(132)를 차단하여 물공급을 정지시키고(S132), 가스배출밸브(145)를 차단하고 가스인입밸브(148)를 개방하여 혼합탱크(141) 내부에 고압가스를 일정시간 동안 또는 혼합탱크(141) 내부의 압력이 설정압력이 될 때까지 인입시킨다(S133).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혼합탱크(141) 내부에 고압상태의 물이 수용되면 다시 가습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S140).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기화식 가습기 110... 하우징
120... 필터부 130... 물공급부
131... 연결포트 132... 원수인입밸브
133... 개폐밸브 135... 분무노즐
140... 고압수공급부 141... 혼합탱크
142... 만수위 센서 143... 저수위 센서
144... 배출관 145... 가스배출밸브
146... 가스공급부 147... 압력조절밸브
148... 가스인입밸브 150... 가습필터
160... 물받이 165... 낙수센서
170... 송풍팬 180... 제어부
120... 필터부 130... 물공급부
131... 연결포트 132... 원수인입밸브
133... 개폐밸브 135... 분무노즐
140... 고압수공급부 141... 혼합탱크
142... 만수위 센서 143... 저수위 센서
144... 배출관 145... 가스배출밸브
146... 가스공급부 147... 압력조절밸브
148... 가스인입밸브 150... 가습필터
160... 물받이 165... 낙수센서
170... 송풍팬 180... 제어부
Claims (7)
- 물에 침지되지 않은 상태로 설치되는 가습필터;
원수제공수단으로부터 제공된 물을 상기 가습필터에 입자형태로 분무하는 물공급부;
상기 가습필터에 공급된 물을 기화시키는 송풍팬; 및
상기 물공급부 및 송풍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기화식 가습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의 고압수를 생성하는 고압수 생성부와, 상기 고압수 생성부에서 생성된 고압수를 입자형태로 분무하는 분무노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가습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수 생성부는,
대기압보다 높은 고압가스를 수용하는 가스공급부와,
상기 가스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고압가스를 통하여 상기 원수제공수단으로부터 물을 고압상태로 수용하는 혼합탱크와, 상기 혼합탱크에 수용된 고압수를 상기 분무노즐에 공급하는 배출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가습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수 생성부는 상기 혼합탱크 내의 저수위와 만수위를 각각 감지하는 저수위 센서와 만수위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수위 센서와 만수위 센서에서 받은 수위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원수제공수단과 연결된 원수인입밸브와, 상기 가스공급부와 연결된 가스인입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가습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수 생성부는 상기 혼합탱크 내부의 가스를 외부를 배출하는 가스배출밸브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수위 센서에서 저수위가 감지되지 않을 때 상기 원수인입밸브와 가스배출밸브를 개방시키고, 상기 만수위 센서에서 만수위가 감지되면 원수인입밸브와 가스배출밸브를 차단하고 가스인입밸브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가습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필터에 분무된 물이 상기 송풍팬의 회전에 의해 기화되지 않고 상기 가습필터 아래로 낙하할 때 낙수를 받는 물받이; 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물받이에는 상기 가습필터로부터 낙수가 유입될 때 이를 감지하는 낙수센서가 구비되며,
싱기 제어부는 상기 낙수센서를 통하여 낙수가 감지되면 상기 물공급부의 작동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가습기.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필터, 물공급부 및 송풍팬은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원수제공수단은 상기 하우징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공급부에 구비된 연결포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식 가습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40346A KR20120078139A (ko) | 2010-12-31 | 2010-12-31 | 기화식 가습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40346A KR20120078139A (ko) | 2010-12-31 | 2010-12-31 | 기화식 가습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78139A true KR20120078139A (ko) | 2012-07-10 |
Family
ID=46711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40346A KR20120078139A (ko) | 2010-12-31 | 2010-12-31 | 기화식 가습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78139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321600A1 (en) * | 2016-09-14 | 2018-05-16 |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water shortage for humidifier;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EP3647671A1 (en) * | 2018-11-02 | 2020-05-06 | Koninklijke Philips N.V. | Water supply system and method of supplying water |
EP3913291A1 (en) * | 2020-05-22 | 2021-11-24 | Coway Co., Ltd. | Air purifier |
KR102336749B1 (ko) * | 2020-11-09 | 2021-12-07 | 이승현 |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
-
2010
- 2010-12-31 KR KR1020100140346A patent/KR2012007813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321600A1 (en) * | 2016-09-14 | 2018-05-16 |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water shortage for humidifier;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US10663081B2 (en) | 2016-09-14 | 2020-05-26 |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water shortage for humidifier and storage medium |
EP3647671A1 (en) * | 2018-11-02 | 2020-05-06 | Koninklijke Philips N.V. | Water supply system and method of supplying water |
EP3913291A1 (en) * | 2020-05-22 | 2021-11-24 | Coway Co., Ltd. | Air purifier |
KR102336749B1 (ko) * | 2020-11-09 | 2021-12-07 | 이승현 | 미산성 차아염소산수 제조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30093557A1 (en) | Humidifier | |
KR101926373B1 (ko) | 물보충알림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 및 상기 가습기의 물 보충 알림 방법 | |
CN102226614B (zh) | 冰箱 | |
KR20160042864A (ko) | 공기조화 시스템을 위한 가습 유닛 | |
KR20140000629A (ko) |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 |
KR20120078139A (ko) | 기화식 가습기 | |
KR101433289B1 (ko) | 세척기능을 갖는 천장 매립 형 기화식가습기 | |
CN109973972B (zh) | 蒸汽发生装置、控制方法及空气调节装置 | |
KR20130092093A (ko) | 자동 건조기능을 갖는 가습기 및 습도 제어 방법 | |
KR20120068639A (ko) | 기화식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415220B1 (ko) | 벽걸이형 기화식가습기 | |
JP6649374B2 (ja) | 空気加湿のための水滴を生成する装置およびこの種の装置を有する加湿システム | |
KR20190069202A (ko) |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 | |
JP5366744B2 (ja) | 室外機用冷却装置 | |
WO2020136986A1 (ja) | 加湿装置 | |
KR101731976B1 (ko) | 직수 연결형 가습기 | |
KR101957703B1 (ko) | 기체 필터링 장치 | |
KR101018930B1 (ko) | 천장 부착형 복합식 공기청정기 | |
KR101369874B1 (ko) | 초음파 발진자를 이용한 정수기 | |
CN109974251A (zh) | 一种空调室内机及控制方法 | |
CN210123153U (zh) | 蒸汽发生装置以及空气调节装置 | |
JP7194880B2 (ja) | 液体微細化装置 | |
KR100953675B1 (ko) | 천장 부착형 복합 가습 장치 | |
JPH07293952A (ja) | 蒸気吹出し式加湿ユニット | |
CN113915702B (zh) | 加湿装置的控制方法及加湿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