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202A -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 - Google Patents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69202A KR20190069202A KR1020170169672A KR20170169672A KR20190069202A KR 20190069202 A KR20190069202 A KR 20190069202A KR 1020170169672 A KR1020170169672 A KR 1020170169672A KR 20170169672 A KR20170169672 A KR 20170169672A KR 20190069202 A KR20190069202 A KR 2019006920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humidifying
- humidification
- humidifier
- water leve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4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a water pu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에 매립하여 사용하는 기화식 가습기로서, 천장에 매립 설치되는 가습기본체(100); 가습유도부(200); 물받이(300); 수위제어부(400); 펌프수단(500); 블로워(600); 제어부(700);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기본체(100)의 내부 일측 공간에는 상기 가습유도부의 양측을 결속지지하기 위한 가습유도부 지지판(130)이 설치되고, 상기 가습유도부 지지판(130)의 내측면에는 가습유도부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안내편(13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가습유도부 지지판(130)의 내측면 하부에는 상기 안내편(131)에 안내되어 인입된 가습유도부(200)의 하부를 결속하면서 받쳐주도록 받침편(132)이 설치되고, 상기 물받이(300)는, 상기 가습유도부(200)의 하부에 위치되어 가습여재를 따라 흘러내리는 가습용수를 받기 위한 가습용수 받이부(310)와, 상기 가습용수 받이부(310)의 일측에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펌프수단(500)이 설치되는 가습용수 저장부(320)로 구성되며, 상기 가습용수 받이부(310)의 바닥면은 가습여재에서 흘러내린 가습용수를 일측으로 유도시켜 상기 가습용수 저장부(320)로 이동시키도록 일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면서도 상기 가습용수 저장부(320)의 형성위치로 갈수록 경사지게 가습용수 유도면(311)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장에 매립하여 사용하는 기화식 가습기로서, 블로워의 송풍공기가 가습유도부를 통해서만 배출되도록 유도함으로써 가습공기의 생성량을 높이도록 하고, 가습여재를 따라 흘러내리는 물을 유도하여 가습용수 저장부로 효과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건조한 실내공기는 사람의 기관지를 손상시키거나 불쾌감을 가중시키는 원인 이 되기 때문에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거나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가습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가습기는 그 용도 및 작동방법 등에 따라 증기식, 수분무식, 기화식 등 여러 가지 형태의 것들이 개발되어 있다.
상기 기화식가습기는 물에 젖은 충전물이 공기와 접촉하여 열 교환할 때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식으로, 회전식, 모세관식, 직하식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직하식은 충전재에 물을 공급하여 그 물을 흡수시킨 후 공기를 통과시켜 증발에 의해 가습공기를 발생시키는 기술이다.
종래의 기화식가습기는 특허등록 제106578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가습기본체의 내부를 양분하도록 설치된 격벽과, 상기 격벽을 중심으로 가습기본체의 내부 일측공간에 설치된 에어공급수단과, 상기 가습기본체의 내부 타측공간에 물을 흡수하도록 설치된 가습필터와, 그 가습필터의 상부에 설치되어 가습필터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과, 상기 가습필터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습필터에서 배출되는 물을 받는 물받이와, 그 물받이의 일측에 설치되어 물받이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가습기본체의 입구에 필터가 설치된 그릴 및 기화된 습기가 에어와 함께 토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커버로 구성되는 천장매립형 기화식가습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화식가습기는 물공급수단을 통해 물을 공급하면, 공급된 물은 물 공급필터를 통하여 가습필터의 상부가습필터와 하부가습필터로 순차적으로 스며들어 공급되고, 에어공급수단인 팬에 의해 배출되는 에어가 격벽과 가습필터를 통과하여 커버의 토출구로 토출되어 실내를 가습하게 된다. 즉, 상기 에어가 에어분출구로 배출되면서 가습필터를 통과할 때에는 가습필터에 스며있는 수분을 증발시키며 배출되기 때문에 실내를 가습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습필터의 하부에는 물받이가 설치되어 있어 가습필터의 하부로 배출되는 물을 물받이로 받게 되고, 그 물은 펌프를 통해 가습필터로 재공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기화식가습기는 가습기본체의 내부 일측공간에 설치된 에어공급수단의 송풍공기가 가습기본체의 타측공간에 설치된 가습필터를 통과하여 실내로 배출되기는 하나, 가습필터가 격벽에 부착된 상태임에 따라 송풍공기가 가습필터의 중앙부분에 집중되어 통과하게 됨으로써 가습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습필터를 물받이의 상부에 안착되게 한 상태로 격벽에 결합함에 따라 결합작업이 쉽지 않고, 제품마다 가습필터의 위치가 다를 수 있어 제품에 하자가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받이의 내부 바닥면이 평평함에 따라 장기간 사용시 수축 및 뒤틀림 등으로 인해 펌프가 구비된 부분에 비해 다른 부분이 낮아질 경우에는 가습필터를 통과하여 물받이에 저수되는 물이 펌프가 구비된 일측으로 이동되지 않게 됨으로써 펌프에 의한 펌핑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음은 물론, 펌프의 파손을 가져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특허등록 제1102006호에는 가습용수의 제어를 통해 가습용수를 공급하거나 저수된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수위감지부가 물받이 내부에 구비되어 물과 접촉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수위감지부의 부식 등으로 인해 오동작이 자주 발생하여 물받이의 물이 부족하거나 넘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습유도부의 양측으로 가습유도부 지지판이 설치됨에 따라 블로워의 송풍공기가 가습유도부를 통해서만 배출되어 짐으로써 가습공기의 생성량을 높일 수 있고, 또한 가습유도부 지지판에 형성된 안내편과 받침편에 의해 가습유도부의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유지보수시 취급이 용이한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받이의 가습용수 받이부 바닥면을 가습용수 저장부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가습여재를 따라 흘러내리는 물을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가습용수 저장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접촉 수위센서를 사용함에 따라 물받이에 저장된 물의 오염은 물론 센서의 변질 및 수명단축을 해소할 수 있는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챔버 내부에 형성된 가습용수 공급홀을 블로워가 구비된 방향으로 편향되게 설치하여 가습여재에 적셔지면서 낙하되는 가습용수가 블로워에 의한 송풍공기에 의해 반대쪽으로 이동되면서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가습여재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가습공기의 생성량을 높이도록 한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공급관에 유로조절밸브를 구비함으로써 사용환경에 따라 수압 조절은 물론 가습용수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천장에 매립 설치된 상태에서 실내로 노출되는 일면에는 실내공기흡입부와 가습공기배출부가 각각 형성된 커버(120)가 결합되고, 내부가 송풍홀(111)이 형성된 구획판(110)에 의해 양분되어진 가습기본체(100); 상기 구획판(110)을 중심으로 가습기본체의 내부 일측 공간에 설치되고 볼 형으로 된 가습여재(211)가 담겨진 가습유도부(200); 상기 가습유도부(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습여재(211)를 따라 흘러내리는 가습용수를 받도록 마련된 물받이(300); 상기 물받이(300)의 가습용수 수위를 감지하여 적정수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수위제어부(400); 상기 물받이(300)의 가습용수를 상기 가습유도부로 공급 또는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펌프수단(500); 상기 가습기본체(100)의 내부 타측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홀(111)을 통해 공기를 송풍시키는 블로워(600); 상기 펌프수단(400)과 블로워(6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00);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기본체(100)의 내부 일측 공간에는 상기 가습유도부의 양측을 결속지지함은 물론 가습유도부와 상기 구획판(110)과의 사이에 송풍공간을 형성시키도록 가습유도부 지지판(130)이 설치되고, 상기 가습유도부 지지판(130)의 내측면에는 가습유도부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안내편(13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가습유도부 지지판(130)의 내측면 하부에는 상기 안내편(131)에 안내되어 인입된 가습유도부(200)의 하부를 결속하면서 받쳐주도록 받침편(132)이 설치되고, 상기 물받이(300)는, 상기 가습유도부(200)의 하부에 위치되어 가습여재를 따라 흘러내리는 가습용수를 받기 위한 가습용수 받이부(310)와, 상기 가습용수 받이부(310)의 일측에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펌프수단(500)이 설치되는 가습용수 저장부(320)로 구성되며, 상기 가습용수 받이부(310)의 바닥면은 가습여재에서 흘러내린 가습용수를 일측으로 유도시켜 상기 가습용수 저장부(320)로 이동시키도록 일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면서도 상기 가습용수 저장부(320)의 형성위치로 갈수록 경사지게 가습용수 유도면(31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위제어부(400)는, 상기 물받이(300)의 가습용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410)과, 물받이의 물이 부족하면 보충하는 볼탑밸브(420)로 구성되고, 상기 수위감지수단(410)은, 상기 가습용수 저장부(32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수위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통해 가습용수 저장부(320)의 보충수위, 적정수위, 넘침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3개의 비접촉 수위센서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습기본체(100)에는 수도시설로부터 공급되는 가습용수를 물받이(300)에 공급하도록 단부에 상기 볼탑밸브가 구비된 물공급관(140)이 설치되며, 상기 물공급관(140)에는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유로개폐밸브(141)와, 그 유로개폐밸브보다 앞쪽에 위치되어 물공급관(140)의 유로 개방량을 조절하여 수압 조절 및 가습용수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로조절밸브(14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습유도부(200)는, 상기 가습여재(211)가 내부에 담겨지고, 상부가 개방되며 전후면이 망체로 형성되고, 하부에 배수공(212)이 형성된 필터본체(210); 상기 필터본체(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펌프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가습여재로 공급하는 챔버(220)로 구성되고, 상기 챔버(220)의 하면에는 상기 블로워(600)가 설치된 방향으로 편향되게 복수개의 가습용수 공급홀(221)이 형성되고, 상기 챔버(220)의 내부에는 상기 가습용수 공급홀(221)의 상측에 위치되게 챔버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하부에는 가습용수를 가습용수 공급홀(221)로 분사하도록 복수개의 분사구멍(231)이 형성된 가습용수 공급튜브(23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가습기본체(100)의 내부 상면에는 상기 챔버(220)의 상부 외면과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가습기본체의 내부 상면과 챔버의 사이 틈새를 없애 블로워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가습여재를 통해서만 배출되게 틈새차단패드(150)가 설치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에 따르면, 블로워의 송풍공기가 가습유도부를 통해서만 실내로 배출됨으로써 가습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고, 특히 가습유도부의 설치위치를 정위치에 셋팅시킬 수 있음은 물론 끼움결속방식임에 따라 설치가 용이함은 물론 유지보수관리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가습여재를 흘러내리는 물을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가습용수 저장부로 이동시킬 수 있음으로써 펌프수단에 의한 가습용수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물받이에 저수된 가습용수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라도 효과적인 공급이 가능하며, 물받이에 저수된 가습용수의 배수시 남아있는 가습용수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저수된 물의 오염으로 인한 악취발생 등 여러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접촉 수위센서를 사용함으로써 물의 오염을 방지하면서도 부식으로 인한 센서의 변질 및 수명단축을 해소할 수 있게 되며, 종래에 부식 등 센서의 손상으로 발생된 가습용수의 부족 및 넘침으로 인한 2차문제를 예방할 수 있게 되고, 가습용수의 양을 안정적으로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관리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습여재를 따라 흘러내리는 가습용수가 블로워의 송풍공기에 의해 블로워가 구비된 일측에서 타측인 반대쪽으로 이동되면서 흘러내리게 됨으로써 가습여재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다량의 가습공기를 생성할 수 있어 효과적인 실내가습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에서 가습기본체의 일부분을 절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에서 가습기본체의 가습유도부 지지판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인입출되게 끼움결합되는 가습유도부를 보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감지수단의 설치상태를 보인 물받이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유도부의 챔버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유도부의 단면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에서 가습기본체의 일부분을 절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에서 가습기본체의 가습유도부 지지판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인입출되게 끼움결합되는 가습유도부를 보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물받이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위감지수단의 설치상태를 보인 물받이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습유도부의 챔버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습유도부의 단면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의 설치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는 천장에 매립 설치되는 가습기본체(100)와, 상기 가습기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습유도부(200)와, 가습유도부(200)의 하부에 설치되는 물받이(300)와, 상기 물받이(300)에 설치되는 수위제어부(400) 및 펌프수단(500)과, 상기 가습유도부(200)의 가습여재에 송풍공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블로워(600)와, 상기 펌프수단(400)과 블로워(6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습기본체(100)는 천장에 매립하여 설치하기 위해, 가습기본체의 외측면 모서리부분에는 고정브라켓(101)이 설치되어 있고,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금속봉체에 상기 고정브라켓을 결속하여 너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하면 된다.
상기 가습기본체(100)는 중간부분에 송풍홀(111)이 형성된 구획판(110)에 의해 내부가 양분되어지도록 형성되고, 실내로 노출되는 일면 즉, 가습기본체의 하면에는 커버(12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커버(120)에는 일측에 실내공기의 흡입을 위한 실내공기흡입부(12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실내공기흡입부(121)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가습공기로 변환되어 배출되도록 가습공기배출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내공기흡입부(121)와 가습공기배출부(122)는 공기의 흡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커버(1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멍을 복수개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고, 커버(120)의 일측과 타측 일부분에 공기통로를 형성함으로써 공기의 흡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실내공기흡입부(121)에는 흡입되어 들어오는 실내공기 중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해 별도로 필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습기본체(100)의 내부 일측 공간에는 상기 가습유도부의 양측을 결속지지하도록 하면서도, 블로워의 송풍공기가 다른 곳으로 배출되지 않고 가습유도부를 통해서만 송풍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가습유도부 지지판(130)이 설치된다.
상기 가습유도부 지지판(130)의 설치로 인해, 블로워(60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대부분 가습유도부(200)의 가습여재를 통해서만 배출됨에 따라 가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가습유도부 지지판(130)의 내측면에는 가습유도부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안내편(131)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습유도부 지지판(130)의 내측면 하부에는 상기 안내편(131)에 안내되어 인입된 가습유도부(200)의 하부를 결속하면서 받쳐주도록 받침편(132)이 설치된다.
상기 안내편(131)의 형성으로 인해 가습유도부의 설치가 용이하고, 또 상기 받침편(132)에 의해 안내편을 따라 인입된 가습유도부를 효과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저수조의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띄워놓을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종래 가습유도부의 설치를 위해 물받이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해야만 했던 지지구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안내편에 끼워 결속하는 것만으로 가습유도부를 정위치에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어 별도로 정위치 세팅이 필요없게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가습유도부(200)는 상기 구획판(110)을 중심으로 가습기본체의 내부 일측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습공기를 생성하기 위해 가습용수가 흘러내리면서 적셔지는 볼 형으로 된 가습여재(211)가 담겨져 있다.
이러한 가습유도부(200)는 상기 구획판(110)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그 사이에 송풍공간이 형성되게 설치되어 상기 블로워의 송풍공기가 송풍공간에 머문 후 가습유도부의 가습여재 전체부분을 골고루 통과하면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가습유도부(200)는 일실시예로서, 상기 가습여재(211)가 내부에 담겨진 필터본체(210)와, 상기 필터본체(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제1펌프(51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가습여재로 공급하는 챔버(220)로 구성된 공지의 가습유도수단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필터본체(210)는 상부가 개방되며 전후면이 망체로 형성되고, 하부에 배수공(2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물받이(300)는 상기 가습유도부(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가습여재(211)를 따라 흘러내리는 가습용수를 받도록 마련되는 것이며, 물공급관(140)을 통해 수도시설로부터 가습용수를 직접 공급받게 된다.
상기 물받이(300)의 일실시예로서, 상기 가습유도부의 하부로 배수되는 가습용수를 받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사각통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가습유도부(200)의 하부에 위치되어 가습여재를 따라 흘러내리는 가습용수를 받기 위한 가습용수 받이부(310)와, 상기 가습용수 받이부(310)의 일측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가습용수 받이부(310)로 배수된 가습용수가 흘러 저장되고 상기 펌프수단(500)이 설치된 가습용수 저장부(3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습용수 받이부(310)와 가습용수 저장부(320)는 상기 가습유도부 지지판(130)에 의해 서로 나뉘어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가습유도부 지지판(130)은 상기 물받이(300)의 바닥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게 구비되어 그 사이 틈새로 가습용수가 유통될 수 있도록 구비한다.
상기 가습유도부 지지판(130)에 의해 상기 가습용수 받이부와 가습용수 저장부가 서로 분리되어 있게 됨으로써 상기 가습용수 저장부에 저장된 가습용수는 블로워의 송풍공기 영향을 받지 않거나 최소화시킬 수 있어 후술되는 수위감지수단(410)에 의한 정확한 수위감지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물받이(300)의 가습용수 받이부(310) 바닥면은 가습여재에서 흘러내린 가습용수를 일측으로 유도시켜 상기 가습용수 저장부(320)로 이동시키도록 가습용수 받이부의 어느 일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면서도 상기 가습용수 저장부(320)의 형성위치로 갈수록 경사지게 가습용수 유도면(311)이 형성된다.
첨부 도면에서는 가습용수 받이부(310)의 중앙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하면서 상기 가습용수 저장부(320)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하였다.
상기 수위제어부(400)는 상기 물받이(300)에 저장되는 가습용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감지수단(410)과, 물받이의 물이 부족하면 수도시설로부터 물공급관(140)을 통해 물을 보충하는 볼탑밸브(420)로 구성된다.
상기 수위감지수단(410)은 물받이(300)의 가습용수 수위를 측정하여 물받이의 물이 부족하면 보충하고, 가습용수가 물받이를 넘칠 염려가 있을 때에는 드레인 시켜 물받이의 수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가습용수의 보충수위, 적정수위, 넘침수위를 각각 감지하기 위해 3개의 센서가 설치된다.
상기 물받이 수위조절은, 3개의 센서만을 이용하여 수위조절할 수 있으나, 각 센서의 고장이나 오동작으로 인하여 물받이의 물이 부족하거나 넘침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볼탑밸브(420)가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펌프수단(500)은 상기 물받이(300)의 가습용수를 상기 가습유도부로 공급하거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가습유도부로 공급하기 위한 제1펌프(510)와,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2펌프(520)로 구성된다.
상기 제2펌프(520)가 작동될 때에는 넘침수위가 감지될 경우와 기화식가습기의 사용을 중지한 경우에 물받이의 물을 외부로 배수시키기고자 하는 경우이며, 상기 가습기본체(100)에는 제2펌프(520)와 연결되게 배수관(16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블로워(600)는 상기 가습기본체(100)의 내부 타측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홀(111)을 통해 가습여재 사이로 공기를 강제 통과시키면서 가습여재의 수분을 기화시켜 가습공기를 생성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블로워(600)가 작동되면 실내공기흡입부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흡입되고, 그 흡입된 공기는 블로워→가습여재→ 가습공기배출부를 통하여 실내에 공급되어 진다.
상기 제어부(700)는 펌프수단(400)과 블로워(600)를 제어하게 되고, 펌프수단 중 제1펌프는 가습동작시에 작동시키고, 제2펌프는 가습용수의 교환이나 더이상 가습을 하지 않을 경우 물받이에 저장된 가습용수를 외부로 배수시키고자 할 때 작동시키게 된다.
물론, 가습여재의 세척시에는 제1펌프를 사용하여 가습여재를 세척하게 되고, 세척후에는 블로워를 작동시켜 가습여재를 건조시킴과 동시에 제2펌프를 이용하여 물받이에 저장된 가습용수를 모두 외부로 배수시키게 된다.
상기 제어부(700)에는 기본적으로 전원공급스위치(710)와 세척스위치(720)가 구비되어 있고, 이외에도 타이머 설정 등의 기능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별도로 실내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된 습도센서(730)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습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습도에 따라 가습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가습용수의 공급을 통해 가습동작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져 있음은 물론, 물받이의 물이 오염되거나 가습여재가 오염되었을 때 가습여재의 세척과 함께 물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가습유도부 지지판이 설치됨에 따라 가습유도부(200)를 흔들림없이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쉽게 끼워 결합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고, 가습여재에서 가습용수 받이부(310)로 흘러내리는 가습용수를 가습용수 저장부(320)로 원활히 이동시켜 저장할 수 있으므로 가습용수 저장부에서 수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가습용수의 양이 적은 경우라도 가습용수를 펌핑시켜 가습여재에 공급할 수 있고, 오염 등으로 인해 외부로 배수하는 경우에는 남아있는 가습용수가 거의 없을 정도로 배수시킬 수 있어 가습용수 교환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수위감지수단(410)은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가습용수 저장부(32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수위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통해 가습용수 저장부(320)의 보충수위, 적정수위, 넘침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3개의 비접촉 수위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위감지수단은 가습용수 저장부(320)에 설치됨에 따라 정확한 수위측정이 가능하게 되고, 특히 가습용수와 접촉되지 않게 비접촉식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부식 등으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어 유지비용 절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가습용수의 오염이나 변질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물받이에 수도시설에서 공급되는 물을 공급하기 위해 설치되는 물공급관(140)에는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유로개폐밸브(141)가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물공급관(140)은 수도시설과 연결되는 물공급호스와 연결되어야 함에 따라 가습기본체(100)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부로 노출된 물공급관(140)에는 유로조절밸브(142)가 설치된다.
상기 유로조절밸브(142)를 설치하는 이유는, 기화식가습기의 설치장소마다 수압이 다르고, 해당장소에서도 설치위치가 상이함에 따라 설치현장에 적합하게 현장에서 유로의 개방량을 작업자가 조절하도록 함으로써 수압조절은 물론, 가습용수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상기 챔버(220)의 하면에는 가습용수의 공급을 위해 형성되는 가습용수 공급홀(221)이 복수개 형성되는데, 이 가습용수 공급홀(221)은 상기 블로워(600)가 설치된 방향으로 편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챔버(220)의 내부에는 상기 가습용수 공급홀(221)의 상측에 위치되게 챔버의 길이방향으로 가습용수 공급튜브(230)가 설치되고, 가습용수 공급튜브(230)의 하부에는 가습용수를 가습용수 공급홀(221)로 분사하도록 복수개의 분사구멍(231)이 형성된다.
상기 가습용수 공급홀(221)을 블로워(600)의 설치방향으로 편향되게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가습용수 공급튜브(230)의 가습용수 공급홀(221)을 통해 분사되는 가습용수가 가습여재를 따라 흘러내리게 되는데, 이렇게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블로워의 송풍공기에 의해 반대쪽으로 이동되면서 흐르도록 하여 가습여재 전체에 골고루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써 가습여재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생성되는 가습공기의 양을 높이기 위함이다.
따라서, 가습공기의 생성량이 많아져 실내의 가습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블로워(600)의 송풍공기가 틈새를 통해 배출되지 않고 가습여재를 통해서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가습기본체(100)의 내부 상면에는 상기 챔버(220)의 상부 외면과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가습기본체의 내부 상면과 챔버의 사이 틈새를 없애도록 틈새차단패드(15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구획판(110)의 하부 일측에도 상기 물받이(300)와의 사이 틈새를 없애도록 하기 위해 상기 틈새차단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100: 가습기본체
101: 고정브라켓
110: 구획판 111: 송풍홀
120: 커버 121: 실내공기흡입부
122: 가습공기배출부 130: 가습유도부 지지판
131: 안내편 132: 받침편
140: 물공급관 141: 유로개폐밸브
142: 유로조절밸브 150: 틈새차단패드
160: 배수관 200: 가습유도부
210: 필터본체 211: 가습여재
212: 배수공 220: 챔버
221: 가습용수 공급홀 230: 가습용수 공급튜브
231: 분사구멍 300: 물받이
310: 가습용수 받이부 311: 가습용수 유도면
320: 가습용수 저장부 400: 수위제어부
410: 수위감지수단 420: 볼탑밸브
500: 펌프수단 510: 제1펌프
520: 제2펌프 600: 블로워
700: 제어부 710: 전원공급스위치
720: 세척스위치 730: 습도센서
110: 구획판 111: 송풍홀
120: 커버 121: 실내공기흡입부
122: 가습공기배출부 130: 가습유도부 지지판
131: 안내편 132: 받침편
140: 물공급관 141: 유로개폐밸브
142: 유로조절밸브 150: 틈새차단패드
160: 배수관 200: 가습유도부
210: 필터본체 211: 가습여재
212: 배수공 220: 챔버
221: 가습용수 공급홀 230: 가습용수 공급튜브
231: 분사구멍 300: 물받이
310: 가습용수 받이부 311: 가습용수 유도면
320: 가습용수 저장부 400: 수위제어부
410: 수위감지수단 420: 볼탑밸브
500: 펌프수단 510: 제1펌프
520: 제2펌프 600: 블로워
700: 제어부 710: 전원공급스위치
720: 세척스위치 730: 습도센서
Claims (5)
- 천장에 매립 설치된 상태에서 실내로 노출되는 일면에는 실내공기흡입부와 가습공기배출부가 각각 형성된 커버(120)가 결합되고, 내부가 송풍홀(111)이 형성된 구획판(110)에 의해 양분되어진 가습기본체(100); 상기 구획판(110)을 중심으로 가습기본체의 내부 일측 공간에 설치되고 볼 형으로 된 가습여재(211)가 담겨진 가습유도부(200); 상기 가습유도부(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가습여재(211)를 따라 흘러내리는 가습용수를 받도록 마련된 물받이(300); 상기 물받이(300)의 가습용수 수위를 감지하여 적정수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수위제어부(400); 상기 물받이(300)의 가습용수를 상기 가습유도부로 공급 또는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펌프수단(500); 상기 가습기본체(100)의 내부 타측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홀(111)을 통해 공기를 송풍시키는 블로워(600); 상기 펌프수단(400)과 블로워(6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00);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기본체(100)의 내부 일측 공간에는 상기 가습유도부의 양측을 결속지지함은 물론 가습유도부와 상기 구획판(110)과의 사이에 송풍공간을 형성시키도록 가습유도부 지지판(130)이 설치되고, 상기 가습유도부 지지판(130)의 내측면에는 가습유도부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인입 및 인출되도록 안내편(13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가습유도부 지지판(130)의 내측면 하부에는 상기 안내편(131)에 안내되어 인입된 가습유도부(200)의 하부를 결속하면서 받쳐주도록 받침편(132)이 설치되고,
상기 물받이(300)는, 상기 가습유도부(200)의 하부에 위치되어 가습여재를 따라 흘러내리는 가습용수를 받기 위한 가습용수 받이부(310)와, 상기 가습용수 받이부(310)의 일측에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펌프수단(500)이 설치되는 가습용수 저장부(320)로 구성되며, 상기 가습용수 받이부(310)의 바닥면은 가습여재에서 흘러내린 가습용수를 일측으로 유도시켜 상기 가습용수 저장부(320)로 이동시키도록 일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되면서도 상기 가습용수 저장부(320)의 형성위치로 갈수록 경사지게 가습용수 유도면(3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제어부(400)는, 상기 물받이(300)의 가습용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수단(410)과, 물받이의 물이 부족하면 보충하는 볼탑밸브(420)로 구성되고,
상기 수위감지수단(410)은, 상기 가습용수 저장부(320)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수위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통해 가습용수 저장부(320)의 보충수위, 적정수위, 넘침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3개의 비접촉 수위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본체(100)에는 수도시설로부터 공급되는 가습용수를 물받이(300)에 공급하도록 단부에 상기 볼탑밸브가 구비된 물공급관(140)이 설치되며, 상기 물공급관(140)에는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유로개폐밸브(141)가 설치되고, 상기 가습기본체(100)의 외측면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물공급관(140)에는 물공급관(140)의 유로 개방량을 조절하여 수압 조절 및 가습용수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로조절밸브(14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유도부(200)는, 상기 가습여재(211)가 내부에 담겨지고, 상부가 개방되며 전후면이 망체로 형성되고, 하부에 배수공(212)이 형성된 필터본체(210);
상기 필터본체(2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펌프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가습여재로 공급하는 챔버(220)로 구성되고,
상기 챔버(220)의 하면에는 상기 블로워(600)가 설치된 방향으로 편향되게 복수개의 가습용수 공급홀(221)이 형성되고, 상기 챔버(220)의 내부에는 상기 가습용수 공급홀(221)의 상측에 위치되게 챔버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하부에는 가습용수를 가습용수 공급홀(221)로 분사하도록 복수개의 분사구멍(231)이 형성된 가습용수 공급튜브(2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기본체(100)의 내부 상면에는 상기 챔버(220)의 상부 외면과 접촉되도록 구비되어 가습기본체의 내부 상면과 챔버의 사이 틈새를 없애 블로워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가습여재를 통해서만 배출되게 틈새차단패드(1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9672A KR20190069202A (ko) | 2017-12-11 | 2017-12-11 |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9672A KR20190069202A (ko) | 2017-12-11 | 2017-12-11 |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9202A true KR20190069202A (ko) | 2019-06-19 |
Family
ID=67104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9672A KR20190069202A (ko) | 2017-12-11 | 2017-12-11 |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90069202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17221A1 (zh) * | 2019-07-30 | 2021-02-04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加湿装置和具有其的空调器 |
KR102242149B1 (ko) * | 2019-10-23 | 2021-04-20 | 국토건설(주) | 실내공기 관리장치 |
EP4113023A1 (fr) * | 2021-07-01 | 2023-01-04 | Devatec | Système d'humidification et de refroidissement d'un flux d'air et procédé de nettoyage d'un panneau d'évaporation d'un tel systèm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5783B1 (ko) | 2011-07-21 | 2011-09-19 | 주식회사 에스티 | 천정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 |
KR101102006B1 (ko) | 2011-09-09 | 2012-01-04 | 주식회사 에스티 | 천장매립형 기화식 가습기의 가습용수 제어시스템 |
KR101433289B1 (ko) | 2013-05-15 | 2014-08-25 | 주식회사 에스티 | 세척기능을 갖는 천장 매립 형 기화식가습기 |
-
2017
- 2017-12-11 KR KR1020170169672A patent/KR20190069202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5783B1 (ko) | 2011-07-21 | 2011-09-19 | 주식회사 에스티 | 천정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 |
KR101102006B1 (ko) | 2011-09-09 | 2012-01-04 | 주식회사 에스티 | 천장매립형 기화식 가습기의 가습용수 제어시스템 |
KR101433289B1 (ko) | 2013-05-15 | 2014-08-25 | 주식회사 에스티 | 세척기능을 갖는 천장 매립 형 기화식가습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017221A1 (zh) * | 2019-07-30 | 2021-02-04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加湿装置和具有其的空调器 |
KR102242149B1 (ko) * | 2019-10-23 | 2021-04-20 | 국토건설(주) | 실내공기 관리장치 |
EP4113023A1 (fr) * | 2021-07-01 | 2023-01-04 | Devatec | Système d'humidification et de refroidissement d'un flux d'air et procédé de nettoyage d'un panneau d'évaporation d'un tel systè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3288B1 (ko) | 가습기능을 갖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 |
KR101433289B1 (ko) | 세척기능을 갖는 천장 매립 형 기화식가습기 | |
KR101339079B1 (ko) |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 | |
KR20190069202A (ko) |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 | |
KR20160042864A (ko) | 공기조화 시스템을 위한 가습 유닛 | |
KR102261898B1 (ko) | 공기 조화 장치 | |
KR101415220B1 (ko) | 벽걸이형 기화식가습기 | |
TWI727375B (zh) | 除濕機 | |
KR101073637B1 (ko) | 공기조화기 | |
KR100937646B1 (ko) | 결로수를 응축기로 분사하여 기화시키는 엘리베이터용 에어컨 장치 | |
JP6061526B2 (ja) | 環境試験装置 | |
KR100708554B1 (ko) | 공기조화기 | |
KR20130065262A (ko) | 제가습 장치 | |
KR20120078139A (ko) | 기화식 가습기 | |
KR20120068639A (ko) | 기화식 가습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018930B1 (ko) | 천장 부착형 복합식 공기청정기 | |
JP2008138982A (ja) | 加湿装置 | |
JP7194880B2 (ja) | 液体微細化装置 | |
KR100953675B1 (ko) | 천장 부착형 복합 가습 장치 | |
KR101509009B1 (ko) |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 | |
KR100708553B1 (ko) | 실내 습도조절장치 | |
JP7203299B2 (ja) | 熱交換形換気装置 | |
JP3193671B2 (ja) | 湿度調整用の水回路 | |
KR20160144767A (ko) | 벽걸이형 가습기 | |
KR101548636B1 (ko) | 직접분무식 수가습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