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2149B1 - 실내공기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실내공기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149B1
KR102242149B1 KR1020190132430A KR20190132430A KR102242149B1 KR 102242149 B1 KR102242149 B1 KR 102242149B1 KR 1020190132430 A KR1020190132430 A KR 1020190132430A KR 20190132430 A KR20190132430 A KR 20190132430A KR 102242149 B1 KR102242149 B1 KR 102242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door air
air
water supply
in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의준
변혜성
황혜성
Original Assignee
국토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토건설(주) filed Critical 국토건설(주)
Priority to KR1020190132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5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subsequent heating, i.e. with the air, given the required humidity in the central station, passing a heating element to achieve the required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4Heater, e.g. gas burner, electric air he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처리함과 동시에 그 정화처리된 공기를 가습하여 실내에 다시 공급함으로써, 실내공기를 항상 청정하고 쾌적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실내공기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태의 본체와, 실내공기를 정화처리는 정화수단과,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실내공기흡입수단과, 흡입된 실내공기를 살균하는 살균수단과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과, 상기 정화수단, 실내공기흡입수단, 살균수단, 물공급수단을 제어함과 동시에 실내의 공기 질과 습도를 측정하는 각각의 센서와 연결 설치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실내공기 관리장치{Management System of Air In The Room}
본 발명은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처리함과 동시에 그 정화처리된 공기를 가습하여 실내에 다시 공급함으로써, 실내공기를 항상 청정하고 쾌적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실내공기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기환경이 악화 되면서 실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공기정화기를 이용한다. 이와 같은 공기정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장치로서, 다양한 필터를 구성하여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방식, 전기적인 방전 원리를 이용한 전기집진 방식, 물을 이용하여 공기 내의 불순물을 걸러주는 물을 이용한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필터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가습기능이 가능한 공기정화기 제안되고 있는데, 그 예를 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9634호, '가습기능이 구비된 도자기형 공기정화기'에서는 습식필터를 이용하여 실내의 공기를 흡입한 후 배출함으로써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제거하고, 외부로 클리닝된 공기를 발산함으로써 상쾌한 실내를 조성할 수 있는 가습기능이 구비된 도자기형 공기정화기를 제안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28542,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정화기'는 공기 중의 먼지를 물의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흡착하고 유해가스는 물에 잘 용해되는 점과 함께 전기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간단한 구조로 공기정화와 가습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여 저렴한 비용으로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정화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공기정화기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기정화기는 실제 가습기능을 갖는다고는 하나 실제 가습능력이 부족할 뿐 아니라 공기정화능력 또한 일정 이상의 공간에서는 그 기능을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8-0083296호 : 가습기능을 구비하는 습식 공기청정기가 있으면 그 구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외기가 유입되는 입구(15)를 구비하는 메인케이싱;
상기 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에어플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메인케이싱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
상기 송풍팬에 의하여 메인케이싱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메인케이싱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부의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공기가 내부에서 선회류를 형성하는 입구(35)와, 상기 입구를 통하여 들어온 공기가 내부에서 선회한 후 실내로 토출될 수 있도록 상부 중앙의 출구(38)를 구비하며, 적어도 일부가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로 성형되는 싸이클론 바디;
그리고 상기 싸이클론 바디에 담겨 있는 물을, 물방울 또는 작은 입자 형태로 싸이클론 바디의 내부로 비산시키는 물비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물비산수단에 의하여 싸이클론 바디 내부에서 비산되는 물이 싸이클론 바디의 내부에서 형성된 선회류에 의하여 선회하면서 공기와 접촉하여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포집하고, 싸이클론 바디의 내부에서 비산되는 물의 일부는 선회류와 같이 선회하면서 기화되고;
상기 싸이클론 바디(30) 내부에서 형성된 선회류 중에서 이물질을 포함하는 상대적으로 무거운 물 입자는, 싸이클론 바디(30) 내부의 선회류 중에서 하방으로 가라앉고, 상대적으로 가벼운 물 입자는 상승하여 싸이클론 바디(30) 상부의 중앙부분 출구(38)을 통하여 실내로 배출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가습기능을 구비하는 습식 공기청정기는 구조적으로 너무 복잡하고, 또 싸이클론 등으로 인한 소음이 심하여 실내에 설치하여 사용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99634호: 가습기능이 구비된 공기정화기.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328542호: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정화기.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8-0083296호: 가습기능을 구비하는 습식공기청정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첫째, 상기 종래 문제점을 제기되던 공기정화기능을 포함하는 가습 기능이 실내 공간의 크기에 관계없이 발휘할 수 있음은 물론, 살균능력과 유해물질 제거기능이 탁월하고,
둘째, 실내의 벽에 설치하여 실내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실내공기의 질을 높이고 실내의 습도를 적정한 습도로 유지시키며, 실내온도를 적정하게 유지시켜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한 실내공기 관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전면 일 측에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0)가 형성되고, 전면 타 측에는 정화된 공기가 가습되어 실내로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공간(130)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벽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수단(140)을 설치하여 된 박스 형태의 본체(100)와, 상기 공간에 상기 유입구와 통하는 흡입부(210)가 형성되고, 그 흡입부에는 흡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프리필터(220)와 공기 중의 미립자를 제거하는 헤파필터(230) 및 정화된 공기에 가습 력을 부여하는 가습필터(240)를 설치하여 된 정화수단(200)과, 상기 정화수단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정화수단을 통하여 유입구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310)을 설치하여 된 실내공기흡입수단(300)과, 상기 실내공기흡입수단의 정화공기 토출구에 연결설치되어 실내공기흡입수단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살균수단(400)과, 상기 가습필터의 하부 물을 가습필터의 상부로 펌핑 함과 동시에 상기 가습필터의 물이 부족할 때에 외부 물을 공급받아 보충하도록 하는 물공급수단(500)과, 상기 정화수단, 실내공기흡입수단, 살균수단, 물공급수단을 제어함과 동시에 실내의 공기 질과 습도를 측정하는 각각의 센서와 연결 설치되는 제어부(600)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습필터(240)는, 상기 물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하부로 배수되도록 바닥면(241a)에 미세공(241b)이 형성된 챔버(241)가 마련되고, 그 챔버의 하부에는 양측패널(243c)을 밀폐되고 전면패널(243a) 및 후면패널(243b)에는 공기가 통하는 구멍이 형성을 형성시켜 된 낙수유도영역(243)이 마련되며, 그 낙수유도영역에는 배수공이 형성된 복수 개의 낙수유도판(242)이 상호 이격되며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낙수유도영역의 하부에는 물수위감지수단(245)이 설치된 물받이(244)를 설치하여 된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낙수유도판(242)은, 미세공이 형성된 경사면(242a)과, 그 경사면의 끝 부분에 배수공이 형성된 "∪"자형의 집수부(242b)로 구성되며, 이와 같은 구성의 낙수유도판(242)은 경사면의 상단부이 상기 전/후면패널 중 일 측의 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집수부의 끝 부분은 타 측의 패널에 설치하되, 상기 경사면이 집수부 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공기 관리장치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정화기능을 포함하는 가습 기능이 실내 공간의 크기에 관계없이 발휘할 수 있음은 물론, 살균능력과 유해물질 제거기능이 탁월하고, 또 실내의 벽에 설치하여 실내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실내공기의 질을 높이고 실내의 습도를 적정한 습도로 유지시키며, 실내온도를 적정하게 유지시켜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정화기능을 포함하는 가습기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내공기 관리장치에서 뚜껑을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내공기 관리장치에서 가습필터 발췌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내공기 관리장치에서 가습필터 발췌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내공기 관리장치에서 낙수유도판 발췌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내공기 관리장치에서 물공급수단 발췌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내공기 관리장치 제어블록도.
본 발명은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정화처리함과 동시에 그 정화처리된 공기에 가습하여 실내에 다시 공급함으로써, 실내공기를 청정하고 쾌적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실내공기 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본 발명의 실내공기 관리장치는, 도 2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면 일 측에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0)가 형성되고, 전면 타 측에는 정화된 공기가 가습되어 실내로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공간(130)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벽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수단(140)을 설치하여 된 박스 형태의 본체(100)와, 상기 공간에 상기 유입구와 통하는 흡입부(210)가 형성되고, 그 흡입부에는 흡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프리필터(220)와 공기 중의 미립자를 제거하는 헤파필터(230) 및 정화된 공기에 가습 력을 부여하는 가습필터(240)를 설치하여 된 정화수단(200)과, 상기 정화수단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정화수단을 통하여 유입구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310)을 설치하여 된 실내공기흡입수단(300)과, 상기 실내공기흡입수단의 정화공기 토출구에 연결설치되어 실내공기흡입수단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살균수단(400)과, 상기 가습필터의 하부 물을 가습필터의 상부로 펌핑 함과 동시에 상기 가습필터의 물이 부족할 때에 외부 물을 공급받아 보충하도록 하는 물공급수단(500)과, 상기 정화수단, 실내공기흡입수단, 살균수단, 물공급수단을 제어함과 동시에 실내의 공기 질과 습도를 측정하는 각각의 센서와 연결 설치되는 제어부(600)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습필터(240)는, 상기 물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하부로 배수되도록 바닥면(241a)에 미세공(241b)이 형성된 챔버(241)가 마련되고, 그 챔버의 하부에는 양측패널(243c)을 밀폐되고 전면패널(243a) 및 후면패널(243b)에는 공기가 통하는 구멍이 형성을 형성시켜 된 낙수유도영역(243)이 마련되며, 그 낙수유도영역에는 배수공이 형성된 복수 개의 낙수유도판(242)이 상호 이격되며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낙수유도영역의 하부에는 물수위감지수단(245)이 설치된 물받이(244)를 설치하여 된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낙수유도판(242)은, 미세공이 형성된 경사면(242a)과, 그 경사면의 끝 부분에 배수공이 형성된 "∪"자형의 집수부(242b)로 구성되며, 이와 같은 구성의 낙수유도판(242)은 경사면의 상단부이 상기 전/후면패널 중 일 측의 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집수부의 끝 부분은 타 측의 패널에 설치하되, 상기 경사면이 집수부 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정화수단(200)이 설치되는 정화수단설치영역(A)과, 실내공기흡입수단(300)이 설치되는 실내공기흡입수단설치영역(B)과, 살균수단(400)이 설치되는 살균수단설치영역(C)과, 제어부(600)가 설치되는 제어부설치영역(D)이 각각 구분 형성되고, 상기 물공급수단(500)이 설치되는 물공급수단설치영역(E)은 상기 본체(100)의 외부 일 측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각 영역(A,B,C,D,E)은, 격벽을 이용하여 분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각 영역(A,B,C,D,E)의 처리 전 공기가 타 영역으로 유지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본체(100) 후면에는 실내의 선택된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수단이 설치되는데, 그 고정수단의 구성은 벽면에 고정부재(도면 미도시)를 설치하고 그 고정부재에 고정할 수 있는 구성이면 모두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정화수단(200)은, 상기 유입구(110)를 통하여 유입돼 들어오는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그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에 가습하여 가습공기를 만드는 곳으로, 상기 공간(130)에 상기 유입구(110)와 통하는 흡입부(210)가 형성되고, 그 흡입부(120)에는 흡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프리필터(220)와 공기중의 미립자를 제거하는 헤파필터(230) 및 정화된 공기에 가습 력을 부여하는 가습필터(240)가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리필터(220)는, 상기 유입구(110)로부터 유입되는 실내공기의 이물질인 큰 먼지 및 불순물 등을 걸러주는 필터로써 물 세척이 가능하고, 정화수단설치영역(A)으로부터 분리결합 가능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프리필터(220)에 이물질이 많이 붙어 있는 경우에 정화수단설치영역(A)으로부터 분리하여 물로 세척한 후 결합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헤파필터(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 HEPA)(230)는, 공기 중의 미립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헤파필터는 이미 널리 알려진 필터로써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습필터(24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리필터(220)와, 헤파필터(230)에서 정화된 공기를 가습하여 가습공기를 만드는 곳으로, 그 일실시 예의 구성은, 물공급수단(50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하부로 배수되도록 바닥면(241a)에 미세공(241b)이 형성된 챔버(241)가 마련되고, 그 챔버의 하부에는 양측패널(243c)을 밀폐되고 전면패널(243a) 및 후면패널(243b)에는 공기가 통하는 구멍이 형성을 형성시켜 된 낙수유도영역(243)이 마련되며, 그 낙수유도영역에는 배수공이 형성된 복수 개의 낙수유도판(242)이 상호 이격되며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낙수유도영역의 하부에는 물수위감지수단(245)이 설치된 물받이(244)를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가습필터(240)에서 물받이(244)의 상부에는 물 배수공이 형성된 바닥판이 설치되어 상기 낙수유도판(242)을 통과한 물이 상기 물받이(244)에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낙수유도판(242)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세공이 형성된 경사면(242a)과, 그 경사면의 끝 부분에 배수공이 형성된 "∪"자형의 집수부(242b)로 구성되며, 상기 낙수유도판(242)은 경사면의 상단부이 상기 전/후면패널(243a,243b) 중 일 측의 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집수부의 끝 부분은 타 측의 패널에 설치하되, 상기 경사면이 집수부 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낙수유도판(242)으로 낙수되는 물이 경사면(242a)을 따라 흘러내리면서 미세공으로 배수되고, 그 배수가 다 이루어지지 못하는 물은 집수부(242b)로 모아지면서 배수공으로 배수되게 하여 전면패널(243a)의 미세구멍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가습 효율을 높이고 후면패널(243b)의 미세구멍을 통하여 배출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낙수유도판(242)은, 경사면(242a)의 상단부분이 집수부(242b)의 하단부분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으로써 물의 흘러내림이 용이함은 물론, 낙수의 소리가 발생하지 않아 본 발명에 따른 실내공기 관리장치의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낙수유도영역(243)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낙수유도판(242) 배열구조는, 최상부에 위치한 제1낙수유도판(242)은 경사면(242a)이 집수부(242b)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하향 기울어지게 설치되고, 상기 최상부에 설치된 제1낙수유도판(242)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낙수유도판(242)은 경사면(242a)의 상단부분이 상기 제1낙수유도판(242)의 집수부(242b)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하향 기울어지게 설치되며, 상기 제2낙수유도판(242)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3낙수유도판(242)은 경사면(242a)의 상단부분이 상기 제2낙수유도판(242)의 집수부(242b)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하향 기울어지게 설치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제1 내지 제3낙수유도판(242)은 동일한 구조의 낙수유도판으로써, 상기 낙수유도영역(243)의 최상부에 설치된 낙수유도판이 제1낙수유도판(242)고, 그 하부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낙수유도판이 제2 내지 제3 낙수유도판으로써, 설명의 편의상 명명하였다.
상기와 같은 낙수유도판(242)의 배열구조를 갖도록 하는 이유는, 상부에서 하부로 낙수되는 물을 연속적으로 받으며 흘러내리게 하여 가습면적 및 공간을 극대화 시킴으로써 가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의 낙수유도판(242) 배열구성은 하나의 실시 예이고, 그 외에도 복수 개의 낙수유도판(242)이 일측 방향으로 동일하게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물수위감지수단(245)은 물받이(244)의 물 하한점을 감지하는 제1센서와 물받이(244)의 물 상한점을 감지하는 제2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제1센서에서 물받이(244)의 물 하한점을 감지하면 물공급수단(500)에서 외부의 물을 공급하여 물을 보충하고 제2센서에서 물받이(244)의 물 상한점을 감지하면 상기 외부의 물 공급을 중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살균수단(400)이 설치되는 상기 살균수단설치영역(C)에는, 공기를 살균하는 자외선살균램프(410)가 설치되어 실내공기흡입수단(300)인 팬(310)에 의해 토출되는 가습공기를 살균수단설치영역(C)에서 살균하여 배출구(120)를 통하여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그 실내로 공급되는 가습공기는 청정한 가습공기가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살균수단설치영역(C)에는, 가습공기를 가열하거나 또는 냉각하는 가열수단(420)과 냉각수단(43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설치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살균수단설치영역(C)에 가열수단(420)과 냉각수단(430)을 설치하는 이유는, 동절기에는 가습공기를 가열하여 실내를 난방하고 하절기에는 가습공기를 냉각시켜 실내를 냉방하는 효과를 얻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물받이(244)에도 상기 살균수단설치영역(C)에 설치되는 가열수단(420)과 냉각수단(43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설치하여 물을 가열하거나 냉각함으로써 동절기에는 실내를 난방하고 하절기에는 실내를 냉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물공급수단(50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습필터(240)의 하부 즉 물받이(244)의 물을 펌프(540)로 펌핑하여 챔버(241)로 공급함으로써 물을 재사용 하도록 하는 것으로, 그 일실시 예의 구성은, 물받이(244)의 일 측에 설치되는 드레인관(510)과, 챔버(241)의 일측에 설치되는 물공급관(520)과. 상기 드레인관(510)과 물공급관(520)을 연결하는 연결관(530)과, 상기 연결관과 연결 설치되는 펌프(540)와, 상기 펌프와 연결설치되는 외부물공급관(550)으로 아루어진다.
상기 펌프(540)에 외부물공급관(550)을 설치하는 이유는, 물받이(244)의 물이 부족할 때 외부의 물을 외부물공급관(550)을 통하여 공급받아 챔버(241)로 공급함으로써 물받이(244)의 물을 적정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물받이(244)에는 물받이의 물 수위를 측정하는 물수위감지수단(245)인 센서가 설치되어 물받이(244)의 물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제어부(600)는, 상기 정화수단(200), 실내공기흡입수단(300), 살균수단(400), 물공급수단(500)을 제어함과 동시에 실내의 공기 질과 습도를 측정하는 각각의 센서와 연결 설치되어 실내의 습도가 낮거나 또는 실내의 공기질이 나쁘게 되면 제어부(600)에서 상기의 정화수단(200), 실내공기흡입수단(300), 살균수단(400), 물공급수단(500)을 작동시켜 실내를 항상 쾌적하게 유지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내공기 관리장치는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기정화기능을 포함하는 가습 기능이 실내 공간의 크기에 관계없이 발휘할 수 있음은 물론, 살균능력과 유해물질 제거기능이 탁월하고, 또 실내의 벽에 설치하여 실내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 실내공기의 질을 높이고 실내의 습도를 적정한 습도로 유지시키며, 실내온도를 적정하게 유지시켜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본체 110 : 유입구
120 : 배출구 130 : 공간
140 : 고정수단 200 : 정화수단
210 : 흡입부 220 : 프리필터
230 : 헤파필터 240 : 가습필터
241 : 챔버 241a : 바닥면
241b : 미세공 242 : 낙수유도판
242a : 경사면 242b : 집수부
243 : 낙수유도영역 243a : 전면패널
243b : 후면패널 243c : 양측패널
244 : 물받이 245 : 물수위감지수단
300 : 실내공기흡입수단 310 : 팬
400 : 살균수단 410 : 자외선살균램프
420 : 가열수단 430 : 냉각수단
500 : 물공급수단 510 : 드레인관
520 : 물공급관 530 : 연결관
540 : 펌프 550 : 외부물공급관
600 : 제어부

Claims (8)

  1. 전면 일 측에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0)가 형성되고, 전면 타 측에는 정화된 공기가 가습되어 실내로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공간(130)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벽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수단(140)을 설치하여 된 박스 형태의 본체(100)와, 상기 공간에 상기 유입구와 통하는 흡입부(210)가 형성되고, 그 흡입부에는 흡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프리필터(220)와 공기 중의 미립자를 제거하는 헤파필터(230) 및 정화된 공기에 가습 력을 부여하는 가습필터(240)를 설치하여 된 정화수단(200)과, 상기 정화수단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정화수단을 통하여 유입구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310)을 설치하여 된 실내공기흡입수단(300)과, 상기 실내공기흡입수단의 정화공기 토출구에 연결설치되어 실내공기흡입수단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배출구로 배출시키는 살균수단(400)과, 상기 가습필터의 하부 물을 가습필터의 상부로 펌핑 함과 동시에 상기 가습필터의 물이 부족할 때에 외부 물을 공급받아 보충하도록 하는 물공급수단(500)과, 상기 정화수단, 실내공기흡입수단, 살균수단, 물공급수단을 제어함과 동시에 실내의 공기 질과 습도를 측정하는 각각의 센서와 연결 설치되는 제어부(600)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습필터(240)는, 상기 물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하부로 배수되도록 바닥면(241a)에 미세공(241b)이 형성된 챔버(241)가 마련되고, 그 챔버의 하부에는 양측패널(243c)을 밀폐되고 전면패널(243a) 및 후면패널(243b)에는 공기가 통하는 구멍이 형성을 형성시켜 된 낙수유도영역(243)이 마련되며, 그 낙수유도영역에는 배수공이 형성된 복수 개의 낙수유도판(242)이 상호 이격되며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되고, 상기 낙수유도영역의 하부에는 물수위감지수단(245)이 설치된 물받이(244)를 설치하여 된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낙수유도판(242)은, 미세공이 형성된 경사면(242a)과, 그 경사면의 끝 부분에 배수공이 형성된 "∪"자형의 집수부(242b)로 구성되며, 이와 같은 구성의 낙수유도판(242)은 경사면의 상단부이 상기 전/후면패널 중 일 측의 패널에 설치되고, 상기 집수부의 끝 부분은 타 측의 패널에 설치하되, 상기 경사면이 집수부 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는 정화수단이 설치되는 정화수단설치영역(A)과, 실내공기흡입수단이 설치되는 실내공기흡입수단설치영역(B)과, 살균수단이 설치되는 살균수단설치영역(C)과, 제어부가 설치되는 제어부설치영역(D)이 각각 구분 형성되고, 상기 물공급수단이 설치되는 물공급수단설치영역(E)은 상기 본체의 외부 일 측에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수유도영역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낙수유도판(242) 배열구조는, 최상부에 위치한 제1낙수유도판은 경사면이 집수부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하향 기울어지게 설치되고, 상기 최상부에 설치된 제1낙수유도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낙수유도판은 경사면의 상단부분이 상기 제1낙수유도판의 집수부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하향 기울어지게 설치되며, 상기 제2낙수유도판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3낙수유도판은 경사면의 상단부분이 상기 제2낙수유도판의 집수부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하향 기울어지게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단이 설치되는 살균수단설치영역에는, 공기를 살균하는 자외선살균램프(410)와 가습공기를 가열하거나 또는 냉각하는 가열수단(420) 또는 냉각수단(43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단의 물받이에는 물을 가열 또는 냉각하는 가열수단(420) 또는 냉각수단(430)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수단(500)은, 물받이의 일 측에 설치되는 드레인관(510)과, 챔버의 일측에 설치되는 물공급관(520)과. 상기 드레인관과 물공급관을 연결하는 연결관(530)과, 상기 연결관과 연결 설치되는 펌프(540)와, 상기 펌프와 연결설치되는 외부물공급관(5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공기 관리장치.
KR1020190132430A 2019-10-23 2019-10-23 실내공기 관리장치 KR102242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430A KR102242149B1 (ko) 2019-10-23 2019-10-23 실내공기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430A KR102242149B1 (ko) 2019-10-23 2019-10-23 실내공기 관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2149B1 true KR102242149B1 (ko) 2021-04-20

Family

ID=75742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430A KR102242149B1 (ko) 2019-10-23 2019-10-23 실내공기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214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542B1 (en) 1999-03-16 2002-03-14 N C Co Ltd Air purifier using ionizer with function of humidifier
KR100682524B1 (ko) * 2005-12-02 2007-02-15 양회성 웰빙 홈 케어 다기능 장치
KR100990679B1 (ko) * 2010-03-29 2010-10-29 주식회사 지구 천장매립형 기화식 가습기
KR20110001355A (ko) * 2009-06-30 2011-01-0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기능 가변식 공기 청정기
KR101599634B1 (ko) 2014-10-08 2016-03-04 유제빈 가습기능이 구비된 도자기형 공기정화기
KR20180083296A (ko) 2018-07-13 2018-07-20 주식회사 스타리온 가습기능을 구비하는 습식 공기청정기
KR20190069202A (ko) *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에스티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
KR101998337B1 (ko) * 2018-12-28 2019-10-01 공현우 습식 실내공기 청정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8542B1 (en) 1999-03-16 2002-03-14 N C Co Ltd Air purifier using ionizer with function of humidifier
KR100682524B1 (ko) * 2005-12-02 2007-02-15 양회성 웰빙 홈 케어 다기능 장치
KR20110001355A (ko) * 2009-06-30 2011-01-0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기능 가변식 공기 청정기
KR100990679B1 (ko) * 2010-03-29 2010-10-29 주식회사 지구 천장매립형 기화식 가습기
KR101599634B1 (ko) 2014-10-08 2016-03-04 유제빈 가습기능이 구비된 도자기형 공기정화기
KR20190069202A (ko) *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에스티 천장 매립형 기화식 가습기
KR20180083296A (ko) 2018-07-13 2018-07-20 주식회사 스타리온 가습기능을 구비하는 습식 공기청정기
KR101998337B1 (ko) * 2018-12-28 2019-10-01 공현우 습식 실내공기 청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559B1 (ko) 습식 공기정화 장치
US20060102000A1 (en) Wet type air cleaner
US20070181000A1 (en) Air quality device
US7591885B2 (en) Wet type air cleaner
US20060102001A1 (en) Wet type air cleaner
KR101895120B1 (ko) 가습 기능을 갖는 공기정화기
JP6367445B2 (ja) 加湿空気清浄機
KR101028519B1 (ko) 습식 공기정화 장치
KR20160024507A (ko) 공기청정시스템
KR20080104482A (ko) 물 세척 공기청정기
KR101817092B1 (ko) 공기청정기
KR20190001334A (ko) 선택적으로 가습 기능과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가습 공기 청정기
KR20190122357A (ko) 가습기
KR102242149B1 (ko) 실내공기 관리장치
KR101999794B1 (ko) 실내공기 환기시스템
KR20120101787A (ko) 공기청정기
KR20140051203A (ko) 소음기를 구비한 공기청정기
KR100640733B1 (ko) 흡입형 습식 공기청정기
KR102106596B1 (ko) 실내공기 청정기
KR200429518Y1 (ko) 습식 공기정화장치가 구비된 환기유닛
KR102129081B1 (ko) 친환경 실내외 청정공기 환기시스템
KR100878009B1 (ko) 액체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KR20080028610A (ko) 습식 공기청정기
KR101743236B1 (ko)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한 불가마
KR102262223B1 (ko) 수세식 변기수를 이용한 공기 세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