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525A - 가습 필터 및 가습기 - Google Patents

가습 필터 및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525A
KR20180026525A KR1020187003489A KR20187003489A KR20180026525A KR 20180026525 A KR20180026525 A KR 20180026525A KR 1020187003489 A KR1020187003489 A KR 1020187003489A KR 20187003489 A KR20187003489 A KR 20187003489A KR 20180026525 A KR20180026525 A KR 20180026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ying filter
water
filter
humidifier
hold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나 사사끼
히로야스 야마시따
겐이찌 이시또비
아끼노리 시미즈
히로아끼 다나까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6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5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6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using slowly rotating discs for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24Rotary wheel combined with a humid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가습 필터에 부착된 불순물을 물로 씻어 충분히 제거할 수 있는 가습 필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가습 필터(31)는, 착탈 가능하게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2매의 시트재(11, 12)로 구성되며, 상기 2매의 시트재(11, 12)를 접합한 상태에서, 당해 시트재(11, 12)를 지지하는 유지 프레임(30)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가습 필터 및 가습기
본 발명은, 가습기에 사용되는 가습 필터 및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가정용 가습 공기 청정기에서는, 사용 과정에 있어서, 가습용 물에 포함되는 미네랄 등의 불순물이 가습 필터에 부착됨으로써, 냄새의 발생원이 되거나, 가습량 저하의 요인이 되거나 한다. 이로 인해, 가습 필터 전체를 정기적으로 교환할 필요가 있어, 가습 필터의 교환 비용이 발생한다.
특허문헌 1에는, 가습 필터의 전체를 교환하지 않고, 불순물이 부착된 개소만을 교환함으로써, 가습 필터의 교환에 드는 비용을 저감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가습 필터를 교환하지 않고, 가습 필터에 부착된 불순물을 물로 씻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일본 특허공개 제2009-68732호 공보(2009년 4월 2일 공개)」
그런데, 일반적인 가습 필터는, 형태 붕괴에 의한 열화나 가습량에 대한 영향을 피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경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부직포를 주름상자 형태로 접어포개 형성하고 있다. 이로 인해, 가습 필터를 문질러 세탁할 수 없어, 당해 가습 필터에 부착된 불순물은, 물로 씻어도 충분히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가습 필터에 부착된 불순물을 물로 씻어 충분히 제거할 수 있는 가습 필터 및 이러한 가습 필터를 구비한 가습기를 실현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가습 필터는, 가습기에 탑재된 가습 필터로서, 착탈 가능하게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2매의 시트재로 구성되며, 상기 2매의 시트재를 접합한 상태에서, 당해 시트재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지지체로부터 시트재를 제거하면, 가습 필터에 부착된 불순물을 물로 씻어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따른 가습 필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가습 필터를 구비한 가습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가습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가습기의 가습 필터 유닛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가습 필터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의 사시도이며, (a)는 가습 필터 장착 전, (b)는 가습 필터 장착 후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가습기에 있어서의 가습 제어의 설명을 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 7은, 가습 필터의 회전각과 가습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가습 제어에 의한 시간과 목표 습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비교예의 가습 제어에 의한 시간과 목표 습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가습 필터의 회전 제어를 행하기 위한 가습 필터 유닛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주요부 파단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가습 필터의 개략 구성도이다.
〔실시 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가습기의 개요)
본 발명에 따른 가습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상자형의 하우징(1)의 내부에, 송풍 팬(2), 가습 필터 유닛(3) 및 수조(4)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의 내부는, 격벽(1a)에 의해 후방측의 흡입실(1b)과 전방측의 토출실(1c)로 분할되어 있다. 흡입실(1b)은, 하우징(1)의 후방면 패널(14)에 개설된 다수의 흡기구(15, 15…)를 통해 외부와 연통하고, 또한 토출실(1c)은, 하우징(1)의 천장판에 개설된 송기구(16)를 통해 외부와 연통하고 있다. 또한 흡입실(1b)과 토출실(1c)은, 격벽(1a)의 하부에 설치한 개구(1d)를 거쳐 서로 연통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면 패널(14)은 착탈 가능하고, 해당 후방면 패널(14)의 전방측에는, 탈취 필터(17) 및 집진 필터(18)가 적층 배치되어 있다. 탈취 필터(17)는, 예를 들어 부직포에 활성탄을 분산 유지시켜 이루어지고, 통기 중의 악취 성분을 흡착,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집진 필터(18)는, 예를 들어 공지된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이며, 통기 중에 포함되는 미세한 진애를 포집,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탈취 필터(17) 및 집진 필터(18)는, 후방면 패널(14)의 전방측에 설치한 필터실에 감입되어 있다.
송풍 팬(2)은, 임펠러(20)와, 해당 임펠러(20)를 구동하는 팬 모터(21)를 구비하고 있다. 팬 모터(21)는, 토출실(1c)의 외부에 고정되어 있다. 임펠러(20)는, 토출실(1c) 내로 돌출되는 팬 모터(21)의 출력단에 고정되고, 격벽(1a) 하부의 개구(1d)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송풍 팬(2)의 임펠러(20)는, 팬 모터(21)의 구동에 의해 회전한다. 임펠러(20)가 회전한 경우, 도 3 중에 백색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면 패널(14)에 설치한 흡기구(15, 15…)를 거쳐서 흡입실(1b)의 내부에 외기가 도입되고, 해당 흡입실(1b)의 내부를 전방향으로 흘러서 격벽(1a) 하부의 개구(1d)를 거쳐서 임펠러(20)에 흡입되고, 상향으로 방향을 바꿔 토출실(1c)의 내부로 도출되고, 토출실(1c)의 말단의 송기구(16)를 거쳐서 외부로 송출된다.
이와 같이 하우징(1)의 내부의 흡입실(1b) 및 토출실(1c)은, 송풍 팬(2)의 동작에 따라서 전술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는 송풍로를 구성한다. 상기 탈취 필터(17) 및 집진 필터(18)는, 이상과 같이 송풍로의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흡기구(15, 15…)를 거쳐서 흡입실(1b)에 도입되는 외기는, 탈취 필터(17)의 통과에 의해 악취 성분이 제거되고, 집진 필터(18)의 통과에 의해 진애를 제거한 청정한 공기로 되어, 토출실(1c)의 말단의 송기구(16)를 거쳐 송출된다. 도시한 가습기는, 탈취 필터(17) 및 집진 필터(18)의 배치에 의해 공기 청정기로서도 기능한다.
가습 필터 유닛(3) 및 수조(4)는, 이상과 같이 송풍로의 내부를 흐르는 공기를 가습하기 위해, 집진 필터(18)와 송풍 팬(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수조(4)는, 상부가 개방된 접시형의 용기이며, 하우징(1)의 저판에 설치한 가이드부(19)에 감입함으로써, 집진 필터(18)의 전방측 흡입실(1b)의 내부에 배치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조(4)는, 해당 수조(4) 위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되는 가습 필터 유닛(3)과 함께, 상기 가이드부(19)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하우징(1)의 일측면으로부터 외부로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조(4)의 인출측의 단부에는, 폭이 넓은 탱크받이(40)가 연속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탱크받이(40)에는, 급수 탱크(41)가 탈착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급수 탱크(41)는, 일측의 단부에 급수전(42)을 갖는 직육면체의 탱크이며, 상기 급수전(42)의 측을 아래를 향하도록 한 도립(倒立) 자세에서 탱크받이(40)에 장착된다. 급수전(42)은, 공지된 정수위 밸브를 내장하고 있다. 이 정수위 밸브는, 탱크받이(40)에 대한 급수 탱크(41)의 장착 시에, 해당 탱크받이(40)의 해당 위치에 세워 설치한 밀어올림 돌기(43)(도 4 참조)로 밀어올려서 개방하고, 급수 탱크(41) 내의 수용수를 수조(4)로 송출하고, 해당 수조(4)의 내부에 일정 수위의 물을 저류시키도록 작용한다.
가습 필터 유닛(3)은, 중공의 원반형을 이루는 유지 프레임(30)의 내부에 가습 필터(31)를 수용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유지 프레임(30)은, 횡축 주위로 회전하는 원반형이며, 가습 필터(131)를 내부에 수용 유지하고 있다. 가습 필터(31)는, 부직포 등, 높은 함수성을 가짐과 함께 통기가 가능하며, 또한 문질러 씻기 가능한 재료제의 착탈 가능한 2매의 시트로 구성되어 있다. 가습 필터(31)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4는, 가습 필터 유닛(3)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 중에는, 유지 프레임(30)만을 도시하고, 해당 유지 프레임(30)의 내부 가습 필터(31)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또한 도 4는, 수조(4)의 일측인 탱크받이(40)만을 도시하고, 해당 탱크받이(40)에 장착되는 급수 탱크(41)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습 필터 유닛(3)은, 수조(4)의 내부에 설치한 2개의 지지 롤러(6, 6)의 위에 유지 프레임(30)을 재치함으로써, 수조(4)의 위에서 수직으로 상승하는 자세로 지지되어 있다. 지지 롤러(6, 6)는, 전후 방향의 축 주위로 회전하는 롤러이며, 수조(4)의 저면 위에서 길이 방향의 양측에 할당 배치되고, 각각의 위치에서 유지 프레임(30)의 외주면에 구름 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지된 가습 필터 유닛(3)은, 지지 롤러(6, 6)의 전동에 의해 중심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된 가습 필터 유닛(3)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의 일측면으로부터 수조(4)와 함께 외부로 인출하고, 상방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그 일부를 수조(4) 내부에 삽입하고, 2개의 지지 롤러(6, 6) 위에 재치함으로써 전술한 자세로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어, 이 상태에서 수조(4)와 함께 하우징(1)의 내부에 압입되고, 해당 하우징(1)의 내부 소정 위치에 세트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습 필터 유닛(3)의 착탈은, 유지 프레임(30)의 내부에 수용된 가습 필터(31)의 보수, 교환, 나아가서는, 수조(4)의 내부 청소를 위해 실시된다.
유지 프레임(30)의 외주면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 방향의 중앙부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톱니가 형성된 적절한 폭의 링 기어부(32)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링 기어부(3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 프레임(30)의 상부 위치에 배치한 구동 유닛(5)의 전동 기어(51)에 맞물려 있다.
구동 유닛(5)은, 베이스(50)의 한 면에 부착한 전동 기어(51) 및 구동 기어(52)와, 베이스(50)의 다른 면에 부착한 구동 모터(53)를 구비하고, 베이스(50)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고정 나사(도시생략)에 의해 하우징(1)의 내부 격벽(1a)의 적절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 기어(52)는, 구동 모터(53)의 출력축에 끼워 부착되어 있으며, 구동 모터(53)의 회전은, 구동 기어(52)를 통해 전동 기어(51)에 전달되고, 해당 전동 기어(51)가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동 유닛(5)의 전동 기어(51)와 유지 프레임(30)의 링 기어부(32)는, 가습 필터 유닛(3)이 전술한 소정 위치에 세트됨으로써,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맞물린다. 이 맞물림에 의해 가습 필터 유닛(3)은, 수조(4)의 내부의 2개의 지지 롤러(6, 6)와, 구동 유닛(5)의 전동 기어(51)에 의해, 둘레 방향의 상이한 위치에서 3점 지지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지지되는 가습 필터 유닛(3)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실(1b)의 내부에 있어서 집진 필터(18)의 전방측 및 송풍 팬(2)의 후방측에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구동 모터(53)를 구동한 경우, 구동 기어(52)의 회전이, 전동 기어(51) 및 링 기어부(32)를 통해 유지 프레임(30)에 전달되고, 가습 필터 유닛(3)은, 도 3에 도시한 지지 위치를 유지하여 중심축 주위로 회전한다.
도 4에 도시한 유지 프레임(30)의 후방면(집진 필터(18)와의 대향면)과, 해당 후방면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전방면에는, 중심부에 원형의 지지(support) 환(33)이, 또한 해당 지지 환(33)을 외주부에 연락하는 복수 개(도면에 있어서는 6개)의 지지 리브(34, 34…)가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외주 근방의 한 곳을 막도록 궁형의 폐지부(35)가 설치되어 있다.
유지 프레임(30)의 내부 가습 필터(31)의 수용 공간은, 궁형의 폐지부(35)를 제외한 단면 형상, 즉, 원형의 일부를 궁형으로 절결한 단면 형상을 갖고 있으며, 이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된 가습 필터(31)는, 지지 환(33) 및 지지 리브(34, 34…)에 의해 전후 양측으로부터 지지된 상태에서 유지된다.
수조(4)의 내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정 수위의 물이 저류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하는 유지 프레임(30)의 하부는, 수조(4)의 저류수 중에 침지되고, 해당 저류수는, 유지 프레임(30)의 내부에 전후의 개구를 거쳐 침입하고, 해당 유지 프레임(30) 내에 수용 유지된 가습 필터(31)에 흡수된다.
상기 구성의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송풍 팬(2)이 구동된 경우, 하우징(1) 내의 흡입실(1b) 및 토출실(1c)에 전술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하여, 이 공기는, 가습 필터 유닛(3)의 유지 프레임(30)의 내부에 전방면의 개구를 거쳐 도입되고, 가습 필터(31)를 통기하여 후방면의 개구를 거쳐 송출된다. 구동 유닛(5)이 구동된 경우, 가습 필터 유닛(3)이 회전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수조(4)의 저류수는, 유지 프레임(30) 내의 가습 필터(31)에 흡수되고, 유지 프레임(30)의 회전에 의해 들어 올려져 가습 필터(31)의 전체에 널리 퍼진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흐르는 공기는, 물을 포함한 가습 필터(31)에 접촉하고, 기화 수분을 포함하는 습한 공기로 되어, 토출실(1c)의 말단의 송기구(16)를 거쳐 송출되고, 가습기를 설치한 실내를 가습한다.
(가습 필터)
가습 필터(31)의 상세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가습 필터(31)는, 가습기에 탑재되는 것으로서,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매의 시트재(11, 12)로 구성되어 있다. 시트재(11, 12)는, 모두 부직포 등, 높은 함수성을 가짐과 함께 통기가 가능하며, 또한 문질러 씻기 가능한 재료(레이온, PET 등)로 이루어지며,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시트재(11, 12)의 착탈은, 각각의 주연부에 설치된 착탈 부재(13a, 13b)에 의해 행해진다. 이들 착탈 부재(13a, 13b)는, 매직 테이프(등록상표), 훅 등의 원 터치로 시트재(11, 12)의 착탈이 가능한 부재이면 어떤 부재여도 된다. 또한, 도 1의 (a)는, 모두 시트재(11, 12)의 이면측을 정면으로 한 도면이다. 따라서, 시트재(11, 12)는, 이면끼리를 대향한 상태에서 착탈 부재(13a, 13b)에 의해 접합된다. 접합한 시트재(11, 12)는, 소재가 부드럽기 때문에 자립시키는 것이 어려우므로, 지지체인 유지 프레임(30) 내에 넣어 지지하고 있다.
시트재(12)는,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 형상이지만, 시트재(11)는, 단부(11a)가 절결된 구조이다. 이에 의해, 2매의 시트재(11, 12)를 접합하면,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재(11)의 단부(11a)에 의해 시트재(12)가 당해 시트재(11)측에서 일부 노출된 구성으로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습 필터(31)는, 시트재(11, 12)를 2장 겹친 구조로 되어 있지만, 일단부(31a)에 있어서 시트재(11)와 시트재(12)의 겹침 부분이 없어져 있기 때문에, 이 일단부(31a)에 손가락을 넣으면 용이하게 시트재(11)와 시트재(12)를 떼낼 수 있다.
또한, 시트재(11, 12)는, 각각 상이한 구조여도 된다.
(효과)
가습 필터(31)는, 장치로부터 제거한 후, 시트재(11, 12)로 간단하게 분리시킬 수 있고, 각각을 문질러 씻을 수 있으므로, 시트재(11, 12)에 부착된 불순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즉, 유저에 의한 가습 필터(31)의 손질이 용이하게 된다.
특히, 시트재(11, 12)는, 매직 테이프나 훅 등의 착탈 부재(13a, 13b)에 의해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표면 및 이면을 충분히 씻을 수 있다.
게다가, 시트재(11, 12)는 접합한 상태에서 지지체인 유지 프레임(30)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재(11, 12)에 두께나 강도를 그다지 필요로 하지 않아도 된다. 즉, 시트재(11, 12)에 문질러 씻기 가능한 부드러운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시트재(11, 12)를 문질러 씻음으로써, 가습 필터(31)에 부착된 불순물을 물로 씻는 것만으로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가습 필터(31)는, 상기 시트재(11)의 단부(11a)가 절결되어 있음으로써, 시트재(11, 12)를 접합했을 때, 어느 쪽의 면을 바람이 불어오는 쪽으로 할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시트재(11, 12)는, 미리 정해진 위치에 설치된 매직 테이프나 훅 등의 착탈 부재(13a, 13b)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재(11, 12)끼리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시트재(11, 12)를 접합했을 때의 위치 어긋남이나, 부착 방향의 어긋남도 없앨 수 있다.
가습 필터(31)를 구성하는 시트재(11, 12)는, 각각 흡수량이 상이해도 된다. 동일한 재료로 되어 있으면,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재(11)의 단부 (11a)를 절결함으로써, 시트재(12)와의 흡수량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시트재(11, 12)는 동일한 형상(표면적)이며, 어느 쪽도 절결이 없는 구조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시트재(11, 12)의 재료를 서로 다르게 하여, 흡수량을 상이하게 해도 된다.
또한, 시트재(11, 12)는 동일한 형상(표면적)이며, 어느 쪽도 절결이 없는 구조인 경우에는, 시트재(11, 12)의 재료를 동일하게 하고, 두께를 서로 다르게 하여, 흡수량을 상이하게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시트재(11, 12)의 흡수량을 상이하게 하면, 가습 필터에 있어서, 한쪽의 시트재의 수분이 없어져도, 다른 한쪽의 시트재 수분이 남아있기 때문에, 가습 성능의 대폭적인 저하를 없앨 수 있다.
또한, 가습 필터(31)를 가습기에 세트했을 때, 시트재(11)를 하류측, 시트재(12)를 상류측에 배치한 경우, 시트재(11)의 개구율을, 시트재(12)의 개구율보다도 작게 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개구율이란, 시트재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틈새의 성김을 나타내는 것이며, 개구율이 크면 틈새가 성기고, 개구율이 작으면 틈새가 미세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시트재(11, 12)의 개구율을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가습 필터(31)는, 가습 기능뿐만 아니라, 상류측의 시트재(12)에 의해 큰 먼지를 집진하고, 당해 시트재(12)를 통과한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를 시트재(11)에 의해 더 집진하는 집진 기능도 발휘한다.
가습 필터(31)는, 시트재(11, 12)를 접합한 상태에서, 유지 프레임(30)(지지체)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유지 프레임(30)은, 중공의 원반형을 이룬 구조이며, 내부에 가습 필터(31)를 수용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가습 필터(31)를 세정하기 위해서는, 유지 프레임(30)의 내부로부터 당해 가습 필터를 취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시트재(11, 12)를 초음파 용착 등으로 주연을 접합해도 된다. 그 경우, 시트재(11, 12)는 공동으로 된다. 시트재(11, 12)의 중앙부도 또한 초음파 용착 등으로 접합해도 된다. 또한, 시트재(11, 12) 모두에 절결이 있는 구조인 경우에, 절결부를 초음파 용착 등으로 접합해도 된다.
이하의 실시 형태 2에서는, 가습 필터(31)의 구조를 이용하여, 당해 가습 필터(31)를 유지 프레임(30)과 같이 내부에 수납하는 것이 아니라, 당해 가습 필터(31)의 내부에 프레임체를 삽입함으로써, 당해 가습 필터(31)의 자율을 재촉하도록 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기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가습 필터(31)는,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2매의 시트재(11, 12)를 접합한 상태에서, 당해 시트재(11, 12)를 지지하는 지지체(60)를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2매의 시트재(11, 12)는,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합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체(60)를 덮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60)는, 입체적인 프레임체 구조이며, 내부(60a)가 중공 구조이다. 이에 의해, 지지체(60)를 덮도록 가습 필터(31)를 씌움으로써, 당해 가습 필터(31)의 표면적을 확장할 수 있으므로, 가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게다가, 가습 필터(31)는, 지지체(60)에 씌운 상태이기 때문에, 지지체(6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가습 필터(31)를 가습기에 세트했을 때, 시트재(11)가 하류측, 시트재(12)가 상류측이 되는 경우, 시트재(11)의 개구율이 시트재(12)의 개구율보다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체(60)의 구조는, 도 5의 (a)에 도시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가습 필터(31)를 씌웠을 때 당해 가습 필터(31)를 입체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지지체(60)의 내부(60a)는, 씌운 가습 필터(31)에 포함되는 물을 기화시키기 위해서 바람을 통과시키도록 중공 구조가 바람직하지만, 중공 구조가 아니어도 된다.
또한, 지지체(60)의 내부(60a)가 중공 구조로서, 씌운 가습 필터(31)의 회전 중심(31b)을 개구하고 있어도 된다. 이 개구를 사용하여, 가습 필터(31)는 지지체 (60)와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실시 형태 3〕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기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가습 제어의 개요 설명)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실시 형태 1, 2에 있어서 설명한 가습 필터(31)와는 달리,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재를 주름상자 형상으로 접어 포개 이루어지는 가습 필터(131)를 사용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습 필터(131)를 사용하는 이외에는, 상기 실시 형태 1, 2와 동일한 구조의 가습기를 사용한다.
가습 필터(131)는, 시트재를 주름상자 형상으로 접어 포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접기선(13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습 필터(131)에서는, 접기선(131a)을 따라 흡수되기 때문에, 접기선(131a)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조(4) 내의 저류수의 수면에 평행한 방향이 이루는 각도에 의해 흡수량이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접기선(131a)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조(4) 내의 저류수의 수면에 평행한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도 6의 (a)에서는 90°, 도 6의 (b)에서는 180°, 도 6의 (c)에서는 45°를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각도이며, 가습 필터(131)의 회전을 정지시킨 경우의 시간 경과에 수반되는 가습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는, 가습 필터(131)에 닿는 바람의 풍량 6.8cmm 일정하게 한다.
도 7에 도시한 그래프로부터, 접기선(131a)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조(4) 내의 저류수의 수면에 평행한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90°인 경우가 가장 가습량이 많고, 180°인 경우가 가장 가습량이 적음을 알 수 있다.
(효과)
이상으로부터, 가습 필터(131)에 있어서의, 접기선(131a)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조(4) 내의 저류수의 수면에 평행한 방향이 이루는 각도(이하, '가습 제어각'이라고 칭함)를 조정함으로써, 가습량을 제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은, 본 실시 형태의 가습 제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9는, 도 8의 비교를 위한 종래의 가습 제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에 도시한 그래프로부터, 실내의 목표 습도에 대하여 변동이 커서, 불필요한 가습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풍량은 일정하게 한다. 이 경우, 목표 습도에 도달하면, 가습 필터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있지만, 회전을 멈춰도 가습 필터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에 의해 가습은 바로 멈추지 않는다. 또한, 목표 습도를 하회하면 가습 필터의 회전을 개시시키지만, 가습 필터에 물이 포함될 때까지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가습에 시간을 요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가습 제어에서는, 목표 습도의 설정을 행하여도, 목표 습도를 초과하거나, 목표 습도를 하회하거나 하는 시간이 있어, 습도 제어를 적절하게 행할 수 없다.
이에 반하여, 도 8에 도시한 그래프로부터, 실내의 목표 습도에 대하여, 거의 변동 없이 습도의 제어가 행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도, 풍량은 일정하게 한다. 이 경우, 가습 필터(131)를 회전시키기 위한 가습 모터의 회전을 최소로 멈출 수 있기 때문에, 가습 모터의 구동음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게다가, 가습 모터의 회전이 최소이기 때문에, 당해 가습 모터의 구동에 들어가는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가습량의 제어를 가습 필터(131)의 회전 각도를 조정하는 것만이어도 되므로, 당해 가습 필터(131)에 닿는 바람의 풍량은 일정해도 되므로, 종래와 같이, 가습량을 조정하기 위해서 풍량을 필요 이상으로 많게 하거나, 적게 하거나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송풍용 팬에 기인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가습기에 있어서의 가습 운전 시의 소음을 종래기보다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에, 가습 필터(131)의 회전 제어에 의한 가습 제어를 실현하기 위한 가습 제어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습 제어 장치)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가습기의 가습 제어를 실현하기 위한, 가습 필터 유닛의 지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가습기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습 필터(131)가 소정의 회전 위치(도 6의 (a) 내지 (c)에 도시한 회전 위치)에 있음을 검출하는 위치 검출기(7)를 구비하고 있다. 위치 검출기(7)는, 도 10 중에 이점쇄선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프레임(30)의 폐지부(35)에 중앙으로부터 둘레 방향 일측에 적정 길이 떨어져 설치된 검출자가, 유지 프레임(30)의 회전주상의 최하 위치에 있을 때 검출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위치 검출기(7)는, 예를 들어 상기 검출자로서의 마그네트와 근접 스위치의 조합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위치 검출기(7)의 검출 신호는, 운전 제어를 위한 제어부(가습 제어부)(8)에 부여되어 있다. 도 10 중에 블록으로 나타내는 제어부(8)는, CPU, ROM, RAM을 구비하는 컴퓨터이며, 사용자에 의한 운전 조작에 따라서 구동 유닛(5)에 동작 명령을 부여하고, 이들을 구동 제어하는 동작을 행한다.
구동 유닛(5)이 구동된 경우, 가습 필터 유닛(3)이 회전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수조(4)의 저류수는, 유지 프레임(30) 내의 가습 필터(131)에 흡수되고, 유지 프레임(30)의 회전에 의해 들어올려져 가습 필터(131)의 전체에 널리 퍼진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흐르는 공기는, 물을 포함한 가습 필터(131)에 접촉하고, 기화 수분을 포함하는 습한 공기로 되어, 장치 외부로 송출되고, 가습기를 설치한 실내를 가습한다. 즉, 상기 유지 프레임(30)의 일면으로부터 다른 면을 향하는 통기를, 상기 수조(4)의 저류수를 포함해서 상기 유지 프레임(30)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가습 필터(131)에 접촉시켜, 기화 수분을 포함하는 습한 공기를 다른 면측으로 송출하고, 가습기를 설치한 실내를 가습한다.
여기서, 가습 필터(131)의 접기선(131a)의 방향과, 상기 수조의 저류수의 수면 L에 평행한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도 6의 (a) 내지 (c) 중 어느 하나의 각도가 되도록, 가습 필터 유닛(3)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원하는 가습량을 얻을 수 있다. 이 가습 필터 유닛(3)의 회전각을 제어함으로써, 가습기를 설치한 실내의 가습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각은, 적절한 가습량이 되도록 제어하는 방법이면, 위치 검출기(7)를 사용한 제어뿐만 아니라, 회전 시간으로 제어해도 되고, 다른 방법에 의해 제어해도 된다.
또한, 가습기는, 가습 운전을 휴지하는 경우, 제어부(8)는, 위치 검출기(7)의 검출 신호를 참조하고, 해당 검출 신호가 입력된 타이밍에 구동 유닛(5)의 구동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가습 필터 유닛(3)은, 도 10에 도시한 회전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 회전 위치는, 유지 프레임(30)의 폐지부(35)에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한 검출자가 유지 프레임(30)의 회전주상의 최하가 되는 위치이며, 가습 필터 유닛(3)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궁형을 이루는 폐지부(35)의 현(弦)이, 그 대부분을 수조(4) 내의 저류수의 수면(내수위 L)보다도 위로 하고, 해당 수면에 대하여 기운 자세로 정지한다.
유지 프레임(30)의 내부에 수용된 가습 필터(13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궁형을 이루는 폐지부(35)의 현과 대략 평행한 접기선을 갖고 있으며, 가습 필터 유닛(3)이 정지했을 때, 가습 필터(131)의 접기선인 접기선(131a)도 또한, 저류수의 수면, 즉, 수평 방향에 대하여 기운 상태로 된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는, 유지 프레임(30)의 정지 시에 폐지부(35)의 현의 일부가 저류수의 수면보다도 아래로 되어 있지만, 폐지부(35)의 현의 전부가 저류수의 수면보다도 위로 되는 회전 위치에서 유지 프레임(30)을 정지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이와 같이 하면, 회전 정지 후의 가습 필터(131)의 물의 빨아올림이 전혀 없게 되어, 보다 효과적이다.
이하의 실시 형태 4에서는, 가습기에 있어서 가습 운전을 행하지 않을 때, 가습 필터가 저류수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4〕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기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가습 필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고, (a)는 실시 형태 3에서 사용한 가습 필터(131), (b)는 본 실시 형태의 가습 필터(231)를 나타낸다.
상기 실시 형태 3에서는,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습 필터(131)는 원의 중심이 회전 중심으로 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습 필터(231)는 원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나게 한 위치를 회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이 회전 중심은, 가습 필터(231)의 회전이 정지했을 때, 당해 회전 중심으로부터 가습 필터(231)의 단부까지의 거리가 가장 짧은 부분이 저류수의 수면에 대향하고, 또한, 당해 가습 필터(231)가 저류수에 잠기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1의 (a)의 가습 필터(131)와 같이, 원의 중심을 회전 중심으로 한 경우, 상기 실시 형태 3의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 프레임(30)의 정지 시에 폐지부(35)의 현의 일부가 저류수의 수면보다도 아래가 되도록 하면, 당해 가습 필터(131)는 저류수에 잠기는 일은 없지만, 유지 프레임(30)에 폐지부(35)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당해 가습 필터(131)는 저류수에 잠긴다. 그 경우에는, 가습 필터(131)의 일부를 커트하여, 회전 정지 후에 가습 필터(131)가 저류수에 잠기지 않도록 한다.
이에 반하여, 도 11의 (b)의 가습 필터(231)와 같이, 원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나게 한 위치를 회전 중심으로 하면, 당해 가습 필터(231)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원의 단부면까지의 거리가 가장 짧은 부분이 아래가 되도록 당해 가습 필터(231)의 회전을 정지시키면, 가습 필터(231)는 저류수에 잠기는 일이 없다.
도 11의 (a)에 도시한 가습 필터(131)의 경우, 유지 프레임(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링 기어부(32)가 구동 유닛(5)의 구동 기어(52)(도 10)에 물림으로써 회전시키고 있지만, 도 11의 (b)에 도시한 가습 필터(231)의 경우, 유지 프레임(30)의 외주면이 아니라, 회전 중심의 주위에 링 기어부(132)를 형성하고, 구동 유닛(5)의 구동 기어(52)(도 10)에 물림으로써 회전시키고 있다.
또한, 도 11의 (b)에 도시한 가습 필터(231)의 유지 프레임(30)의 외주면에 링 기어부(132)를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도 10에 도시한 구동 유닛(5) 자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가습 필터(231)의 회전에 추종시킨다.
이상과 같이, 회전 정지 후에 가습 필터(231)가 저류수에 잠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당해 가습 필터(231)의 일부를 커트하지 않고, 당해 가습 필터(231)의 회전 중심을 원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나게 하는 것만으로, 가습 필터(231)의 일부를 커트하는 데 따른 표면적의 축소를 초래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가습 성능의 저하를 초래하는 일은 없다.
게다가, 가습 필터의 회전 중심을 어긋나게 하는 것만으로, 가습 필터의 일부를 커트하는 것보다도 가습 필터를 간편하게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의 가습 필터(231)의 회전 중심을 어긋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가습 필터의 형상으로서는 원형이 아니라, 타원 형상이어도 된다.
〔정리〕
본 발명의 형태 1에 따른 가습 필터는, 가습기에 탑재된 가습 필터(31)로서, 착탈 가능하게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2매의 시트재(11, 12)로 구성되며, 상기 2매의 시트재(11, 12)를 접합한 상태에서, 당해 시트재(11, 12)를 지지하는 지지체(유지 프레임(30), 지지체(6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습 필터의 청소를 행하는 경우에, 시트재(11, 12)를 분리시켜서, 각각의 시트재의 표면 및 이면을 물로 씻을 수 있기 때문에, 가습 필터에 부착된 불순물을 물로 씻어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가습 필터가 2매의 시트재를 착탈 가능하게 접합한 구조이기 때문에, 시트재에 어느 정도의 두께나 강도가 없으면 자립시키는 것이 어렵지만, 상기와 같이 지지체를 구비함으로써, 시트재에 두께나 강도를 그다지 필요로 하지 않아도 된다. 즉, 시트재에 문질러 씻기 가능한 부드러운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시트재를 문질러 씻음으로써, 가습 필터에 부착된 불순물을 물로 씻는 것만으로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2에 따른 가습 필터는, 상기 형태 1에 있어서, 상기 2매의 시트재(11, 12)는, 접합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체(60)를 덮어도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가습 필터가 지지체를 덮도록 되어 있으므로, 가습 필터를 지지체(6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3에 따른 가습 필터는, 상기 형태 2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60)는, 입체적인 프레임체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지지체에 씌운 가습 필터의 표면적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가습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4에 따른 가습 필터는, 상기 형태 1 내지 3 중 어느 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2매의 시트재(11, 12) 중 적어도 한쪽의 시트재(11)의 단부(11a)가 절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시트재(11)와 시트재(12)를 접합한 경우에, 절결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는 것만으로, 시트재(11)가 어느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시트재(11)와 시트재(12)를 접합한 경우, 시트재(11)의 단부가 절결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재(11)를 시트재(12)로부터, 또는 시트재(12)를 시트재(11)로부터 떼내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형태 5에 따른 가습기는, 시트재를 주름상자 형상으로 접어 포개 이루어지는 가습 필터(131)와, 해당 가습 필터(131)를 내부에 수용 유지하고, 횡축 주위로 회전하는 원반형의 유지 프레임(30)과, 해당 유지 프레임(30)의 하부가 침지하도록 배치한 수조(4)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프레임(30)의 일면으로부터 다른 면을 향하는 통기를, 상기 수조(4)의 저류수를 포함해서 상기 유지 프레임(30)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가습 필터(131)에 접촉시켜, 기화 수분을 포함하는 가습 공기를 다른 면측으로 송출하도록 구성된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가습 필터(131)의 접기선(131a)의 방향과, 상기 수조(4)의 저류수의 수면 L에 평행한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조정하여 가습량을 제어하는 가습 제어부(제어부(8))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가습 필터가 주름상자 형상으로 접어 포갠 시트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가습 필터의 접기선의 방향과, 상기 저류수의 수면에 평행한 방향이 이루는 각도에 의해, 당해 가습 필터의 흡수량이 바뀐다.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가습 제어부에 의해, 가습 필터의 접기선의 방향과, 상기 수조의 저류수의 수면에 평행한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조정하면, 가습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습 필터의 회전 각도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가습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6에 따른 가습기는, 상기 형태 5에 있어서, 상기 가습 제어부(제어부(8))는, 상기 통기의 풍량을 일정하게 하여, 상기 가습량을 제어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습 제어 중에, 통기용 풍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통기용 송풍 팬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송풍 팬의 회전수가 변화하는 것에 기인하는 소비 전력의 증감이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7에 따른 가습기는, 상기 형태 5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가습 필터(231)의 형상이 원일 때, 상기 가습 필터(231)의 회전 중심은, 상기 원의 중심으로부터 어긋나게 한 위치로 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습 필터(231)의 회전을 정지시켰을 때, 당해 가습 필터(231)를 저류수에 침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8에 따른 가습기는, 상기 형태 7에 있어서, 가습 필터(231)의 회전 중심은, 당해 가습 필터(231)의 회전이 정지했을 때, 당해 회전 중심으로부터 가습 필터(231)의 단부까지의 거리가 가장 짧은 부분이 저류수의 수면에 대향하고, 또한, 당해 가습 필터(231)가 저류수에 잠기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가습 필터(231)의 회전을 정지시켰을 때, 당해 가습 필터(231)를 저류수에 확실하게 침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각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서로 다른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조합함으로써, 새로운 기술적 특징을 형성할 수 있다.
1: 하우징
1a: 격벽
1b: 흡입실
1c: 토출실
1d: 개구
2: 송풍 팬
3: 가습 필터 유닛
4: 수조
5: 구동 유닛
6: 지지 롤러
7: 위치 검출기
8: 제어부(가습 제어부)
11: 시트재
11a: 단부
12: 시트재
13a, 13b: 착탈 부재
14: 후방면 패널
15: 흡기구
16: 송기구
17: 탈취 필터
18: 집진 필터
19: 가이드부
20: 임펠러
21: 팬 모터
30: 유지 프레임
31: 가습 필터
31a: 일단부
32: 링 기어부
34: 리브
35: 폐지부
41: 급수 탱크
42: 급수전
43: 돌기
50: 기대
51: 전동 기어
52: 구동 기어
53: 구동 모터
60: 지지체
60a: 내부
131: 가습 필터
132: 링 기어부
231: 가습 필터
L: 수면

Claims (5)

  1. 가습기에 탑재된 가습 필터로서,
    착탈 가능하게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2매의 시트재로 구성되며,
    상기 2매의 시트재를 접합한 상태에서, 당해 시트재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매의 시트재는, 접합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체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필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입체적인 프레임체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필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매의 시트재 중 적어도 한쪽의 시트재의 단부가 절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필터.
  5. 시트재를 주름상자 형상으로 접어 포개 이루어지는 가습 필터와, 해당 가습 필터를 내부에 수용 유지하고, 횡축 주위로 회전하는 원반형의 유지 프레임과, 해당 유지 프레임의 하부가 침지하도록 배치한 수조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프레임의 일면으로부터 다른 면을 향하는 통기를, 상기 수조의 저류수를 포함해 상기 유지 프레임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가습 필터에 접촉시켜, 기화 수분을 포함하는 습한 공기를 다른 면측으로 송출하도록 구성된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가습 필터의 접기선 방향과, 상기 수조의 저류수의 수면에 평행한 방향이 이루는 각도를 조정하여 가습량을 제어하는 가습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기.
KR1020187003489A 2016-02-29 2016-08-01 가습 필터 및 가습기 KR201800265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37795A JP6699963B2 (ja) 2016-02-29 2016-02-29 加湿機
JPJP-P-2016-037795 2016-02-29
PCT/JP2016/072557 WO2017149798A1 (ja) 2016-02-29 2016-08-01 加湿フィルタ及び加湿機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525A true KR20180026525A (ko) 2018-03-12

Family

ID=59743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489A KR20180026525A (ko) 2016-02-29 2016-08-01 가습 필터 및 가습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425293A4 (ko)
JP (1) JP6699963B2 (ko)
KR (1) KR20180026525A (ko)
CN (1) CN108700317A (ko)
PH (1) PH12018500337A1 (ko)
SG (1) SG11201801273YA (ko)
WO (1) WO20171497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052B1 (ko) * 2019-01-03 2021-12-16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기
JP7250608B2 (ja) * 2019-05-07 2023-04-03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20200144003A (ko) * 2019-06-17 2020-12-28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청정기
JP7252867B2 (ja) * 2019-09-13 2023-04-05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2291123B1 (ko) 2020-03-03 2021-08-1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발포 폴리스티렌을 이용한 부정형 미세플라스틱 제조장치 및 방법
CN112665023A (zh) * 2020-05-11 2021-04-16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空调的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6739A (ja) * 1985-02-14 1986-08-20 Mitsubishi Electric Corp 加湿素子
US5595690A (en) * 1995-12-11 1997-01-21 Hamilton Standard Method for improving water transport and reducing shrinkage stress in membrane humidifying devices and membrane humidifying devices
US5690710A (en) * 1996-08-13 1997-11-25 Stephan; Paul F. Self-cleaning filter
JP2001174008A (ja) * 1999-12-15 2001-06-29 Japan Gore Tex Inc 加湿シート
JP4698753B2 (ja) * 2007-05-21 2011-06-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加湿装置および加湿機能付き空気清浄機
JP2009068732A (ja) 2007-09-11 2009-04-02 Daikin Ind Ltd 加湿機
JP5690997B2 (ja) * 2010-12-02 2015-04-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加湿空気清浄機
JP2013204869A (ja) * 2012-03-27 2013-10-07 Fujitsu General Ltd 加湿装置
CN102679519B (zh) * 2012-06-18 2017-10-10 海尔集团公司 一种加湿水轮及空气净化加湿器
JP2014070859A (ja) * 2012-10-01 2014-04-21 Sharp Corp 送風機
CN203401833U (zh) * 2013-08-06 2014-01-22 林清文 促销抽奖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801273YA (en) 2018-09-27
PH12018500337A1 (en) 2018-08-20
EP3425293A1 (en) 2019-01-09
JP6699963B2 (ja) 2020-05-27
CN108700317A (zh) 2018-10-23
EP3425293A4 (en) 2019-06-26
JP2017155976A (ja) 2017-09-07
WO2017149798A1 (ja) 201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6525A (ko) 가습 필터 및 가습기
JP5959334B2 (ja) 加湿装置
JP5836549B2 (ja) 空気清浄機及び空気清浄機の使用方法
JP5832214B2 (ja) 加湿装置
JP5953196B2 (ja) 加湿装置
KR20110022848A (ko) 공기청정 가습기
JP2016211849A (ja) 加湿装置及び空気清浄機
JP2013070793A (ja) 空気清浄機及び空気清浄機の使用方法
JP5861990B2 (ja) 空気調和機
JP2011047592A (ja) 送風装置及び空気清浄機
JP5261610B2 (ja) 加湿装置及び空気清浄機
JP6004554B2 (ja) 加湿装置及び空気清浄機
JP5785635B2 (ja) 加湿装置及び空気清浄機
JP5501505B2 (ja) 加湿装置及び空気清浄機
JP6099462B2 (ja) 加湿装置
JP2014070859A (ja) 送風機
JP5690997B2 (ja) 加湿空気清浄機
JP5398496B2 (ja) 加湿装置
JP6081639B2 (ja) 加湿装置
JP2011052877A (ja) 加湿機
JP6277293B2 (ja) 加湿装置
JP2016128749A5 (ko)
JP2022108952A (ja) 加湿装置
JP2016128744A (ja) 空気調和機
JP6081010B2 (ja) 加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