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779B1 - 가습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가습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779B1
KR102541779B1 KR1020170115886A KR20170115886A KR102541779B1 KR 102541779 B1 KR102541779 B1 KR 102541779B1 KR 1020170115886 A KR1020170115886 A KR 1020170115886A KR 20170115886 A KR20170115886 A KR 20170115886A KR 102541779 B1 KR102541779 B1 KR 102541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main body
humidifying
wat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9819A (ko
Inventor
박대귀
최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
Priority to KR1020170115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779B1/ko
Publication of KR20190029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9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6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using slowly rotating discs for evapo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가습 공기청정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가습 공기청정기는: 본체와, 본체에 슬라이드 장착되어 흡입된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부와, 가습부를 본체에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습 공기청정기{AIR WASHER}
본 발명은 가습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체의 측면에서 가습부를 슬라이드 이동으로 착탈하므로 가습부의 가습필터 교체와 청소를 용이하게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가습 공기청정기는 공기 청정(정화) 기능과 가습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으로서, 흔히 '에어 워셔(Air washer)' 또는 '습식 공기정화기'라고도 부른다.
이러한 가습 공기청정기는 수조에 약간 잠겨 회전하는 디스크 조립체에 송풍팬을 통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불어넣으면, 흡입된 공기가 디스크 사이를 통과하면서 공기 중의 미세먼지, 황사, 박테리아, 곰팡이, 진드기, 꽃가루 등이 디스크 표면에 형성되는 수막에 포획된 다음 수조 안의 물 속으로 탈락하여 침전되도록 하는 한편, 디스크 조립체의 표면에 묻은 물은 송풍에 의해 자연 증발시켜 가습을 수행하는 기기이다.
기존의 가습 공기청정기는 복수의 디스크를 축방향으로 연결하여 전체 모양이 원 기둥 형태를 이루는 디스크 조립체와, 이 디스크 조립체의 상부에 송풍팬을 배치한 형태로서, 이 송풍팬의 회전에 의해 케이스의 흡입그릴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디스크 조립체의 디스크 사이로 통과 유도함으로써, 디스크 조립체의 표면에 묻어있는 수막에 포획되어 수조에 고인 물속으로 탈락하여 침전되고, 이렇게 하여 깨끗해진 공기는 디스크 조립체의 표면으로부터 증발하는 공기와 함께 케이스의 토출그릴을 통해 외부로 공급된다.
그런데, 기존의 가습 공기청정기는 디스크가 수조에 담겨져 흡입 공기를 가습하므로 장시간 사용시 수조에 잠긴 디스크에 박테리아, 세균 등이 번식하여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가습 공기청정기는 하부 전체가 수조를 구성하므로 커버를 분리하여 수조에 물 교환시 수조 이동이 번거롭고, 물 교환 후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8441호(2010.10.11, 발명의 명칭: 공기 청정 및 가습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체의 측면에서 가습부를 슬라이드 이동으로 착탈하므로 가습부의 가습필터 교체와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하는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슬라이드 장착되어 흡입된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부; 및 상기 가습부를 상기 본체에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부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구비된 개방홈부에 삽입되고, 물을 저장하는 수조; 및 상기 수조에 구비되어 물을 적셔 통과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조에는 상기 개방홈부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손잡이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커버에는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조는 상기 개방홈부를 통해 상기 본체에서 슬라이드 착탈 시 개폐조절부에 의해 상기 본체의 작동상태를 온/오프하고, 상기 개폐조절부는, 상기 수조의 진입면에 설치되는 제1개폐조절부; 및 상기 제1개폐조절부의 이동을 감지하여 접근시 작동신호를 제공하고, 이탈시 차단신호를 제공하는 제2개폐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조는 슬라이드부에 의하여 상기 개방홈부에서 슬라이드 안내되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수조의 저면에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제1슬라이드부; 및 상기 제1슬라이드부에 접촉되어 이동하도록 상기 본체의 바닥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손잡이커버를 상기 개방홈부의 입구부위에 고정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수조의 하부를 상기 본체의 하측에 고정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손잡이커버 또는 상기 개방홈부의 입구부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제1자력부재; 및 상기 손잡이커버 또는 상기 개방홈부의 입구부위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제2자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자력부재와 상기 제2자력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수조의 하부 또는 상기 개방홈부의 바닥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후크부재; 및 상기 후크부재에 결합되도록 상기 수조의 하부 또는 상기 개방홈부의 바닥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장착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는, 본체의 측면에서 가습부를 슬라이드 이동으로 착탈하므로 가습부의 가습필터 교체와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조에 손잡이커버를 구비하여 수조의 이탈을 도와주고, 고정부를 이용하여 수조를 본체에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조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프레임을 한 쌍 구비하여 가습필터를 설치하므로 가습필터의 착탈 및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에 수차부를 형성하므로 프레임의 회전시 수조에 저장된 물을 퍼올려 가습필터에 간편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 회전축을 수조의 안착부에 안착함에 있어 양측의 회전축을 다르게 형성하므로 수조에서 오조립을 방지하고, 회전축을 이종재질로 형성하므로 회전시 마찰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조의 내주면에 물결방지부를 형성하여 수조의 착탈 및 프레임 회전시 수조에서 발생되는 물결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를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부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의 "A"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의 본체 조립 상태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필터부가 수조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에서 물결방지부와 수위감지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에서 수위감지부가 물에 의해 승강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를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부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3의 "A"부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의 본체 조립 상태 측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필터부가 수조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에서 물결방지부와 수위감지부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조에서 수위감지부가 물에 의해 승강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는, 본체(100), 가습부(200) 및 고정부(5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사각형 케이스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측면(전면)에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120)와, 상측면에 배출부(130)와, 흡입부(120)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부(130)로 배출하는 송풍부(150)와, 흡입부(150)와 송풍부(150) 사이에 배치되어 흡입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부(140)를 포함한다.
이때, 필터부(140)와 송풍부(150) 사이에는 걸러진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부(200)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0)의 상측 모서리에는 가습부(20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저장부(110)가 구비된다. 저장부(110)에 저장된 물은 관로를 거쳐 이동하여 노즐(112)을 통해 후술하는 가습필터부(400)와 수조(300)로 공급된다.
가습부(200)는 본체(100)에 슬라이드 장착되어 흡입된 공기를 가습하는 구성이다.
가습부(200)는 본체(100)의 측면에 구비된 개방홈부(102)에 삽입되고, 물을 저장하는 수조(300)와, 수조(300)에 구비되어 물을 적셔 통과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필터부(400)를 포함한다..
수조(300)에는 개방홈부(102)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손잡이커버(310)가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커버(310)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320)가 구비된다. 손잡이부(320)는 손잡이커버(310)의 하측에 홈부 형태로 형성된다.
가습필터부(400)는 수조(300)의 안착부(330)에 회전축(418)이 지지되어 회전하는 프레임(410)과, 프레임(410)에 구비되어 수조(300) 또는 저장부(110)와 연결된 노즐(112)에서 공급된 물로 적셔져 통과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필터(440)를 포함한다.
가습필터(440)는 수조(300) 또는 노즐(112)에서 공급되는 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공급되는 물에 의해 가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습필터(440)는 망사 형태로 형성되므로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적셔진 물에 의해 가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노즐(112)은 본체(100)에 구비되되, 가습필터(440) 상측에 배치된다.
가습필터부(400)는 회전구동부(450)에 의해 안착부(330)에서 회전할 수 있다.
회전구동부(450)는 프레임(410)의 둘레에 형성되는 피동기어부(452)와, 피동기어부(452)에 치합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부(454)를 포함한다.
프레임(410)은 가습필터(440)를 지지하도록 상호 결합되는 제1프레임(420)과 제2프레임(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제2프레임(420)(430)은 회전축(418)이 구비되는 축지지부(412)와, 축지지부(412)의 둘레에서 격자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격자지지부(414)와, 격자지지부(414)의 단부에 원형으로 구비되는 테두리지지부(416)를 포함할 수 있다.
축지지부(412)는 원형 판으로 형성되고, 격자지지부(414)는 격자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흡입부(120)에서 흡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테두리지지부(416)는 격자지지부(414)에 구비되되, 원형의 링 형태로 구비된다.
격자지지부(414)의 내측면에는 위치유지돌기(415)가 다수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위치유지돌기(415)는 가습필터(440)의 망사 공간부위에 삽입되어 가습필터(440)의 이동을 방지하여 가습필터(440)의 조립 위치를 유지한다.
구속부(460)는 제1프레임(420) 또는 제2프레임(430)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후크(462)와, 걸림후크(462)에 결합되도록 제1프레임(420) 또는 제2프레임(430) 중 다른 하나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홈부(464)를 포함한다.
제1프레임(420)과 제2프레임(4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술한 피동기어부(452)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프레임(420)에만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프레임(410)에는 수조(300)에 저장된 물을 퍼올려 가습필터(440)로 공급하는 수차부(47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수차부(470)는 수조(300)에 저장된 물이 고수위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노즐(112)이 차단되므로 가습필터(440)를 적셔주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수차부(470)는 제1,제2프레임(420)9430)이 내측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수차부(470)는 프레임(410)에 구비된 테두리지지부(416)에 마련되고, 수조(300)의 물을 수용하도록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물수용부(472)와, 물수용부(472)에 구비되어 물수용부(472)의 저장공간에 수용된 물을 프레임(410)의 회전으로 가습필터(440)로 공급하는 배출홈부(474)를 포함한다.
물수용부(472)는 테두리지지부(416)의 내측면에서 삼면이 폐쇄되고, 일면 중 일부가 개방되어 수조(300)에 저장된 물을 수용하고 프레임(410)의 회전에 따라 퍼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배출홈부(474)는 테두리지지부(416)에서 제1,제2프레임(420)(430)의 회전방향의 진입측에 형성되므로 제1,제2프레임(420)(430)이 수조(300)에 담길 때는 물을 수용하고, 제1,제2프레임(420)(430)의 회전에 의해 수조(300)에서 벗어나면 퍼올린 물을 가습필터(440)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제2프레임(420)(430)에 구비된 테두리지지부(416)의 내측면에는 가습필터(440)를 장착하기 위한 걸림장착부(417)가 구비된다.
걸림장착부(417)는 테두리지지부(416)의 내측면에서 격자지지부(414)의 측면과 이격되는 상태로 프레임(410)의 중심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되, 가습필터(440)의 가장자리 전체를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감싸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가습필터(440)의 반경은 제1,제2프레임(420)(430)의 반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300)에 저장된 물에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한다. 그 이유는 가습필터(440)가 물에 접촉되는 경우, 가습필터(440)의 물 접촉부위에 박테리아와 세균이 번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수조(300)에 저장되는 물은 제1,제2프레임(420)(430) 중 물수용부(472)에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테두리지지부(416) 까지만 저장하고, 가습필터(440)의 가장자리에는 접촉되지 않도록 노즐(112)과 연결된 개폐밸브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한다.
회전축(418)은 분리장착부(480)에 의해 프레임(410)에 구비된 축지지부(412)에서 분리 장착될 수 있다.
분리장착부(480)는 회전축(418) 또는 축지지부(41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부(482)와, 걸림돌기부(482)에 결합되도록 회전축(418) 또는 축지지부(412)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걸림홈부(48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 걸림돌기부(482)는 회전축(418)의 단무에 다수개 형성되고, 걸림홈부(484)는 축지지부(412)에 다수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회전축(418)과 안착부(330)는 프레임(410)과 수조(300)에 한 쌍 마련된다.
회전축(418)과 안착부(330)는 각각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 프레임(410)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안착부(330)는 제1프레임(420)에 구비된 회전축(418)에 안착되도록 작은 직경의 안착부위를 갖는 제1안착부(332)와, 제2프레임(430)에 구비된 회전축(418)에 안착되도록 큰 직경의 안착부위를 갖는 제2안착부(334)를 포함한다. 제1안착부(332)와 제2안착부(334)의 안착부위의 직경은 서로 바뀔 수 있다.
회전축(418)은 이종재질로 형성하되, 회전축(418)의 외측면에 매끄러운 재질의 피복부(419)로 피복하므로 안착부(330)와의 마찰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수조(300)의 내측면에는 저장된 물의 이동에 의한 물결을 방지하는 물결방지부(34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물결방지부(340)는 수조(300)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돌기일 수 있다.
물결방지부(340)는 수조(300)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수조(300)에 저장된 물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거나 줄여줄 수 있다. 물결방지부(340)는 수조(33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협소해지도록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330) 내에 수용된 제1,제2프레임(420)(430)은 회전구동부(450)에 의해 제1,제2안착부(332)(334)에서 회전하면서, 수차부(470)가 물을 퍼올리는 과정에서 물결이 발생되지만, 이를 물결방지부(340)의 돌기가 차단하므로 물결의 높이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물결방지부(340)는 수조(300)를 본체(100)의 개방홈부(102)에서 슬라이드 착탈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물결을 방지할 수도 있으며, 이 물결방지부(340)의 돌기는 요철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수조(300)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수조(300)는 수위감지부(350)에 의해 저장된 물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수위감지부(350)는 수조(300)에 저장된 물의 저수위를 감지하는 저수위감지센서(352)와, 수조(300)에 저장된 물의 고수위를 감지하는 고수위센서(354)를 포함한다.
수조(300)에는 저수위센서(352)가 삽입 설치되는 제1설치부(356)와, 고수위센서(354)가 삽입 설치되는 제2설치부(358)가 구비된다.
제1,제2설치부(356)(358)의 상측에는 부유하여 승강하는 저수위센서(352)와 고수위센서(354)의 상측 이동을 제한하는 상승제한부(359)가 구비될 수 있다. 상승제한부(359)는 수조(300)의 측면에 삽입되어 설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재이다.
제1설치부(356)와 제2설치부(358)는 수조(300)에 저장된 물이 유입되도록 상하로 연통 형성될 수 있고, 저수위센서(352)와 고수위센서(354)는 물에 의해 설정 구간 부유하는 부유센서일 수 있다.
한편, 저수위센서(352)와 고수위센서(354)에는 하강이동을 제한하는 하강제한부(359a)가 구비될 수 있다. 하강제한부(359a)는 제1,제2설치부(356)(358)의 홈부위에 걸려 저수위센서(352)와 고수위센서(354)의 하강 이동을 제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수조(300)에서 고수위 감지 상태를 살펴보면, 노즐(112)을 통해 저장부(110)의 물이 공급되면, 가습필터(440)를 적셔준 후 수조(300)에 유입되고, 제2설치부(358)에 설치된 고수위센서(354)가 부유하여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적절한 고수위에 도달한 순간 이를 감지하여 물 공급을 정지하라는 제어신호를 보내 솔레노이드밸브인 개폐밸브가 오프되면서 저장부(110)의 물 공급을 차단한다.
한편, 수조(300)에서 고수위 감지 상태를 살펴보면, 프레임(410)을 회전시켜 가습필터(440)를 사용하면, 수조(300)에 저장된 물이 점차 감소하게 되고, 제1설치부(356)에 설치된 저수위센서(352)가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적절한 저수위에 도달한 순간 이를 감지하여 물 공급을 시작하라는 제어신호를 보내 개폐밸브가 온되면서 저장부(110)의 물 공급을 노즐(112)을 통해 시작한다.
이때, 저수위센서(352)와 고수위센서(354)가 제1설치부(356)와 제2설치부(358)에서 부유하여 상승할 때, 과도하게 상승하는 경우 상승제한부(359)에 걸리면서 상승이 제한된다.
수조(300)는 개방홈부(102)를 통해 본체(100)에서 슬라이드 착탈 시 개폐조절부(360)에 의해 본체(100)의 작동상태를 온/오프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조절부(360)는 수조(300)의 진입면에 설치되는 제1개폐조절부(362)와, 제1개폐조절부(362)의 이동을 감지하여 접근시 작동신호를 제공하고, 이탈시 차단신호를 제공하는 제2개폐조절부(36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개폐조절부(362)는 수조(300)의 진입면에 형성된 장착홈부에 설치될 수 있고, 제2개폐조절부(364)는 개방홈부(102)의 벽체 이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개폐조절부(362)는 자석이고, 제2개폐조절부(364)는 자력감지센서일 수 있다. 제2개폐조절부(364)는 수조(300)의 분리시, 수조(300)에 구비된 제1개폐조절부(362)의 자력 약화에 의한 이탈을 감지하여 본체(100)에 구비된 송풍부(150) 등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수조(300)는 슬라이드부(370)에 의하여 개방홈부(102)에서 슬라이드 안내될 수 있다.
슬라이드부(370)는 수조(300)의 저면에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제1슬라이드부(372)와, 제1슬라이드부(372)에 접촉되어 이동하도록 본체(100)의 개방홈부(102) 바닥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슬라이드부(374)를 포함한다.
제1슬라이부(372)는 수조(300)의 저면에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이고, 제2슬라이드부(374)는 제1슬라이드부(372)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개방홈부(102)의 바닥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한 쌍 형성된 가이드레일이다.
고정부(500)는 가습부(200)를 본체(100)에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구성이다.
고정부(500)는 손잡이커버(310)를 개방홈부(102)의 입구부위에 고정하는 제1고정부(510)와, 수조(300)의 하부를 본체(100)의 하측에 고정하는 제2고정부(520)를 포함한다.
제1고정부(510)는 손잡이커버(310)의 진입면 또는 개방홈부(102)의 입구부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제1자력부재(512)와, 손잡이커버(310)의 진입면 또는 개방홈부(102)의 입구부위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제2자력부재(5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자력부재(512)와 제2자력부재(51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석일 수 있다. 이럴 경우 다른 하나는 금속판으로 구성된다. 제1,제2자력부재(512)(514)는 모두 자석일 수도 있다.
제2고정부(520)는 수조(300)의 하부 또는 개방홈부(102) 바닥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후크부재(522)와, 후크부재(522)에 결합되도록 수조(300)의 하부 또는 개방홈부(102)의 바닥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장착턱부(52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1자력부재(512)는 손잡이커버(310)의 진입면에 구비하고, 제2자력부재(513)는 개방홈부(102)의 입구부위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체(100)의 개방홈부(102)에서 가습부(200)를 슬라이드 착탈하는 상태를 살펴보도록 한다.
가습부(200)의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손잡이커버(310)를 잡고서 개방홈부(102)에 수조(300)를 수납하면, 수조(300)의 하부에 형성된 제1슬라이드부(372)가 개방홈부(102)의 바닥에 돌출 형성된 제2슬라이드부(374)를 따라 이동하면서 장착이 완료된다.
이때, 손잡이커버(310)의 진입측에 구비된 제1자력부재(512)가 개방홈부(102)의 입구부위에 구비된 제2자력부재(514)에 부착되면서 가습부(200)의 상측 부위의 조립이 이루어진다.
연이어, 수조(300)의 하부에 형성된 후크부재(522)는 장착턱부(524)의 경사면을 타고 진입하면서 상측으로 젖혀지고, 진입이 완료되는 순간 탄성력을 회복하면서 장착턱부(524)에 걸려지면서 가습부(200)의 하측 부위의 장착이 이루어진다.
한편, 가습부(200)의 분리과정을 살펴보면, 상술한 가습부(200)의 조립과정의 반대 과정을 거치면서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 공기청정기는, 본체의 측면에서 가습부를 슬라이드 이동으로 착탈하므로 가습부의 가습필터 교체와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조에 손잡이커버를 구비하여 수조의 이탈을 도와주고, 고정부를 이용하여 수조를 본체에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조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프레임을 한 쌍 구비하여 가습필터를 설치하므로 가습필터의 착탈 및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에 수차부를 형성하므로 프레임의 회전시 수조에 저장된 물을 퍼올려 가습필터에 간편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 회전축을 수조의 안착부에 안착함에 있어 양측의 회전축을 다르게 형성하므로 수조에서 오조립을 방지하고, 회전축을 이종재질로 형성하므로 회전시 마찰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조의 내주면에 물결방지부를 형성하여 수조의 착탈 및 프레임 회전시 수조에서 발생되는 물결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저장부
112 : 노즐 120 : 흡입부
130 : 배출부 140 : 필터부
150 : 송풍부 200 : 가습부
300 : 수조 310 : 손잡이커버
320 : 손잡이부 330 : 안착부
332 : 제1안착부 334 : 제2안착부
340 : 물결방지부 350 : 수위감지부
352 : 저수위센서 354 : 고수위센서
356 : 제1설치부 358 : 제2설치부
360 : 개폐조절부 362 : 제1개폐조절부
364 : 제2개폐조절부 370 : 슬라이드부
372 : 제1슬라이드부 374 : 제2슬라이드부
400 : 가습필터부 410 : 프레임
412 : 축지지부 414 : 격자지지부
415 : 위치유지돌기 416 : 테두리지지부
417 : 걸림장착부 418 : 회전축
419 : 피복부 420 : 제1프레임
430 : 제2프레임 440 : 가습필터
450 : 회전구동부 452 : 피동기어부
454 : 구동기어부 460 : 구속부
462 : 걸림후크 464 : 걸림홈부
470 : 수차부 472 : 물수용부
474 : 배출홈부 480 : 분리장착부
482 : 걸림돌기부 484 : 걸림홈부
500 : 고정부 510 : 제1고정부
512 : 제1자석부재 514 : 제2자석부재
520 : 제2고정부 522 : 후크부재
524 : 장착턱부

Claims (7)

  1. 본체; 상기 본체에 슬라이드 장착되어 흡입된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부; 및 상기 가습부를 상기 본체에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부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구비된 개방홈부에 삽입되고, 물을 저장하는 수조; 및 상기 수조에 구비되어 물을 적셔 통과하는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필터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에 접하게 배치되는 필터부; 및 이에 따라 상기 본체의 측면에서 슬라이드 삽입되는 수조를 통해 유로를 형성하여 가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에는 상기 개방홈부의 측면을 커버하도록 손잡이커버가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커버에는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개방홈부를 통해 상기 본체에서 슬라이드 착탈 시 개폐조절부에 의해 상기 본체의 작동상태를 온/오프하고,
    상기 개폐조절부는,
    상기 수조의 진입면에 설치되는 제1개폐조절부; 및
    상기 제1개폐조절부의 이동을 감지하여 접근시 작동신호를 제공하고, 이탈시 차단신호를 제공하는 제2개폐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슬라이드부에 의하여 상기 개방홈부에서 슬라이드 안내되고,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수조의 저면에 하부로 돌출 형성되는 제1슬라이드부; 및
    상기 제1슬라이드부에 접촉되어 이동하도록 상기 본체의 바닥에서 돌출 형성되는 제2슬라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손잡이커버를 상기 개방홈부의 입구부위에 고정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수조의 하부를 상기 본체의 하측에 고정하는 제2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손잡이커버 또는 상기 개방홈부의 입구부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제1자력부재; 및
    상기 손잡이커버 또는 상기 개방홈부의 입구부위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제2자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자력부재와 상기 제2자력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수조의 하부 또는 상기 개방홈부의 바닥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후크부재; 및
    상기 후크부재에 결합되도록 상기 수조의 하부 또는 상기 개방홈부의 바닥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장착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공기청정기.
KR1020170115886A 2017-09-11 2017-09-11 가습 공기청정기 KR102541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886A KR102541779B1 (ko) 2017-09-11 2017-09-11 가습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886A KR102541779B1 (ko) 2017-09-11 2017-09-11 가습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819A KR20190029819A (ko) 2019-03-21
KR102541779B1 true KR102541779B1 (ko) 2023-06-13

Family

ID=66036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886A KR102541779B1 (ko) 2017-09-11 2017-09-11 가습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7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4337A (ko) 2020-05-22 2021-11-30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20210144336A (ko) 2020-05-22 2021-11-30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6070A (ja) * 2012-07-06 2014-01-30 Panasonic Corp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JP2017146031A (ja) * 2016-02-18 2017-08-24 ダイニチ工業株式会社 加湿装置および加湿機能付空気清浄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132B1 (ko) * 2008-12-02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벽걸이형 증발식 가습기
KR101100576B1 (ko) * 2009-06-02 2011-12-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수조 내 표면 잔류파 제거를 위한 파 반사장치
KR101344677B1 (ko) * 2011-08-03 201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304058B1 (ko) * 2011-08-16 2013-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16070A (ja) * 2012-07-06 2014-01-30 Panasonic Corp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JP2017146031A (ja) * 2016-02-18 2017-08-24 ダイニチ工業株式会社 加湿装置および加湿機能付空気清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9819A (ko) 201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192768A1 (en) Air clean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908474B1 (ko) 습식 공기청정기
KR20210120518A (ko) 가습기
KR102541779B1 (ko) 가습 공기청정기
JP2015145737A (ja) 加湿機能付き空気清浄機
KR20180026525A (ko) 가습 필터 및 가습기
KR101303629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1249505B1 (ko) 가습 공기청정기
JP7001886B2 (ja) 加湿装置
KR102463824B1 (ko) 가습 공기청정기
KR20090059725A (ko) 가습공기청정기의 급수장치
KR20170127604A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1307843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90029815A (ko) 가습 공기청정기
KR101801563B1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댐퍼 프레임 구조
KR102474775B1 (ko) 가습공기청정기
JP2021055862A (ja) 加湿装置
JP2006329531A (ja) 加湿装置
JP6099462B2 (ja) 加湿装置
JP7442034B2 (ja) 加湿装置
KR101852516B1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본체 구조
KR101791168B1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제습수 안내 구조
KR102669898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70044540A (ko) 가습공기 청정기
KR20170001090A (ko) 가습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