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4336A -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4336A
KR20210144336A KR1020200061550A KR20200061550A KR20210144336A KR 20210144336 A KR20210144336 A KR 20210144336A KR 1020200061550 A KR1020200061550 A KR 1020200061550A KR 20200061550 A KR20200061550 A KR 20200061550A KR 20210144336 A KR20210144336 A KR 20210144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housing
air
unit
installation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1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현진
김봉석
조안호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61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44336A/ko
Priority to JP2020214770A priority patent/JP7064564B2/ja
Priority to CN202120892614.0U priority patent/CN215765632U/zh
Priority to EP21171308.6A priority patent/EP3913291A1/en
Publication of KR20210144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43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24F6/043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with self-sucking action, e.g. w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human errors during the installation, use or maintenance, e.g. goofy proof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된 상기 외부 공기를 여과하여 여과 공기로 만드는 필터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상기 여과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부는, 장착부가 형성된 수조와, 상기 장착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수조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여과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는 가습부재와, 상기 장착부의 타측에 장착되어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물통을 포함하고, 상기 수조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설치 위치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탈착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물통이 장착되는 상기 장착부의 타측 주위에 상부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수조가 상기 설치 위치로부터 소정 범위 이탈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물통이 상기 장착부 주위로 진입할 경우 상기 물통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물통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가이드부에 제공되는 가압력에 의해서 상기 수조는 상기 설치 위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청정기{AIR PURIFIER}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조의 탈착이 가능한 가습 공기 청정기로서 수조를 장착할 때 정상적인 설치 위치로부터 이탈되게 잘못 위치시킨 경우에도 수조에 물통을 장착하는 과정에서 수조가 정상적인 설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수조의 오장착의 방지가 가능한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외부 공기를 강제로 내부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여과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근래에는 공기 청정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공기 정화 기능 외에 추가적인 다른 기능이 부가된 공기 청정기들이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예로서 가습 기능이 부가된 가습 공기 청정기를 들 수 있다.
가습 공기 청정기는 가습 기능의 수행을 위한 수조의 세척 등의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수조는 착탈 가능한 형태로 구비된다.
가습 공기 청정기가 수조의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할 경우 사용자가 사용 과정에서 수조를 탈거했다가 다시 장착하는 과정에서 하우징 내 정상적인 설치 위치에서 다소 어긋나게 위치시킬 개연성이 있다. 이처럼 수조가 잘못 위치되면, 수조와 물통의 체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가습 기능의 수행이 불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습 기능의 불능은 사용자가 수조의 위치를 바로잡음으로써 쉽게 해결될 수 있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이를 고장으로 인식할 경우 불필요한 수리 요청 및 제품에 대한 부당한 이미지 저하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개선이 요구된다.
한편, 종래 선보이고 있는 가습 공기 청정기는 일반적으로 수조와 물통 등의 구성이 공기 청정기의 측면 방향으로 탈착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주식회사 대유위니아의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29819호 "가습 공기청정기"는 수조(300)가 공기 청정기의 본체(100)의 측면을 통해 착탈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코웨이 주식회사의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73361호 "가습형 공기 청정기"는 수조(130)가 프레임(120)의 일측면 방향으로 착탈가능한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공기 청정기가 실내에 배치되어 사용될 때, 다른 가구, 인테리어, 벽체 등으로 인하여 그 측면으로는 수조 착탈을 위한 공간의 확보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어떤 경우에는 수조(130)의 착탈을 위해서 공기 청정기를 설치 위치로부터 이동시켜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29819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73361호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수조의 착탈이 가능하되, 수조가 설치 위치로부터 이탈되어 배치된 경우에도 물통을 수조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물통에 의해 가압되는 가이드부에 의해 수조가 정위치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수조의 오장착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수조가 설치 위치로부터 이탈되어 배치된 경우에도 물통을 수조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물통에 의해 가압되어 수조가 정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해주는 가이드부가 이중적으로 구성되어 수조의 오장착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수조의 전방 탈착 및 물통의 상방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통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된 상기 외부 공기를 여과하여 여과 공기로 만드는 필터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상기 여과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부는, 장착부가 형성된 수조와, 상기 장착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수조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여과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는 가습부재와, 상기 장착부의 타측에 장착되어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물통을 포함하고, 상기 수조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설치 위치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탈착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물통이 장착되는 상기 장착부의 타측 주위에 상부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수조가 상기 설치 위치로부터 소정 범위 이탈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물통이 상기 장착부 주위로 진입할 경우 상기 물통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물통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가이드부에 제공되는 가압력에 의해서 상기 수조는 상기 설치 위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설치 위치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탈착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수조가 상기 설치 위치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소정 범위 이탈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물통이 상기 장착부 주위로 진입할 경우 상기 물통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가압력에 의해서 상기 수조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면에 물통 삽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물통은, 상기 물통 삽입구를 통해 하측 방향으로 상기 장착부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수조의 후방 측벽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벽체로 형성된 제 1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부재는, 상면에 전방 단부에서 후방 측으로 상방향 경사진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장착부 주위에 구비된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부재는, 상기 수조가 상기 설치 위치로부터 소정 범위 이탈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물통이 상기 장착부 주위로 진입할 경우 상기 물통에 의해 가압되는 헤드부를 상단에 구비하며, 상기 제2 가이드 부재는, 눌러진 상태에서 상기 물통과 상기 수조 사이의 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물통 내의 물을 상기 수조로 공급하고,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물통과 상기 수조 사이의 유로를 폐쇄하는 유로 스위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설치 위치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탈착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부재의 상기 헤드부는, 상기 수조가 상기 설치 위치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소정 범위 이탈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물통이 상기 장착부 주위로 진입할 경우 상기 물통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가압력에 의해서 상기 수조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부재의 상기 헤드부는, 내측에서 상기 장착부를 향해 외측으로 하방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부재의 상기 헤드부는, 상기 물통이 장착되는 장착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설치 위치를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벽 및 타측벽의 내면에는 소정의 위치에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수조의 일측벽 및 타측벽의 외면에는 상기 설치 위치에서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 또는 상기 돌기에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수조의 착탈이 가능하되, 수조가 설치 위치로부터 이탈되어 배치된 경우에도 물통을 수조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물통에 의해 가압되는 가이드부에 의해 수조가 정위치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수조의 오장착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수조가 설치 위치로부터 이탈되어 배치된 경우에도 물통을 수조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물통에 의해 가압되어 수조가 정위치로 이동될 수 있게 해주는 가이드부가 이중적으로 구성되어 수조의 오장착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수조의 전방 탈착 및 물통의 상방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통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도시한 것으로, 하측 부분은 중앙부의 종단면도, 상측 부분은 물통을 부분적으로 제거한 상태에서의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가습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가습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서 수조가 설치 위치에서 이탈되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서 물통이 수조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제 1 가이드부재 및 제 2 가이드부재를 가압하여 수조를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제 2 가이드부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서 물통을 부분적으로 제거한 후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유로 설정부의 사시도.
도 11은 도 3의 B 부분에 대하여 청정모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3의 B 부분에 대하여 가습모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도 3의 B 부분에 대하여 건조모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를 도시한 것으로, 하측 부분은 중앙부의 종단면도, 상측 부분은 물통의 몸체 부분을 제거한 상태에서의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는 필터부(30)의 상부에 가습부(40)가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청정기(1)는 공기 청정과 더불어 가습기로서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외부 공기(A1)는 공기 청정기(1)의 하우징(10)의 전면 하측 부분에 형성된 흡기구(121)로 유입되어 필터부(30)에 의해 여과되며, 공기 청정기(100) 내부의 유로 설정에 따라 가습부(40)를 거치지 않고 하우징(10) 상부에 형성되는 제 1 토출구(111)를 통해 여과 공기(A2)로 토출되거나 또는 여과 후 가습부(40)를 거쳐 하우징(10)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는 제 2 토출구(122)를 통해 여과 가습 공기(A3)로 토출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는, 하우징(10), 송풍부(20), 필터부(30), 가습부(40), 가이드부(50) 및 유로 설정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의 각 구성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우징(10)은 공기 청정기(1)의 외형을 형성한다. 하우징(10)은 내부에 송풍부(20), 필터부(30), 가습부(40), 가이드부(50) 및 유로 설정부(6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하우징(10)의 외면에는 외부 공기(A1)가 유입되는 흡기구(121), 여과 공기(A2)가 토출되는 제 1 토출구(111), 여과 가습 공기(A3)가 토출되는 제 2 토출구(122), 후술되는 물통(43)의 삽입을 위한 물통 삽입구(112) 등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0)은 하우징 본체(11)와 전방 커버(1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본체(11)는 전방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송풍부(20), 필터부(30), 가습부(40), 가이드부(50) 및 유로 설정부(6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전방 커버(12)는 하우징 본체(11)의 전방면을 커버하며 배치된다.
하우징 본체(11)의 상면에는 제 1 토출구(111)와 물통 삽입구(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0)의 상면에 물통 삽입구(112)가 구비될 경우 가습부(40)의 물통(43)은 물통 삽입구(112)를 통해 하측 방향으로 진입하여 가습부(40)의 수조(41)에 장착될 수 있으며, 반대로 수조(41)에서 분리될 때 공기 청정기(1)의 상측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전방 커버(12)의 하측 부분에는 외부 공기(A1)의 유입을 위한 흡기구(121)가 형성되고, 전방 커버(12)의 상측 부분에는 제 2 토출구(122)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토출구(111)는 그릴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흡기구(121) 및 제 2 토출구(122)는 전방 커버(12)를 관통하며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전방 커버(12)의 양측은 후방(도면에서 하우징 본체(11)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그 상측 부분에 전방으로 함입 형성된 함입부(123)를 포함한다. 함입부(123)는 배출되는 여과 가습 공기(A3)가 제 2 토출구(122)에서 지나친 유로 저항을 받아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일부 여과 가습 공기(A3)가 배출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함으로써 공기 청정기(1)의 사용 과정에서 소음을 저감시켜 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0)은 하우징 본체(11)와 전방 커버(12)가 결합된 상태에서 사각통 형상을 이룬다. 물론, 하우징(10)의 형상이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또한, 흡기구(121), 제 1 토출구(111) 및 제 2 토출구(122)의 위치 및 형상 역시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기구(121)는 여러 방향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전후좌우면 중 복수의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토출구(111) 및 제 2 토출구(122)의 위치 및 형상 등도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송풍부(20)는 하우징(10) 내로 외부 공기(A1)가 유입되도록 송풍력을 제공한다. 또한, 송풍부(20)는 하우징(10) 내부에서 여과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동력을 제공한다. 더욱 상세하게, 송풍부(20)는 흡기구(121)로 유입된 외부 공기(A1)가 필터부(30)의 필터부재(31)를 거쳐 여과 공기(A2)가 된 후 제 1 토출구(111) 또는 제 2 토출구(122)를 향해 유동하도록 송풍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송풍부(20)는 모터와 임펠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송풍부(20)는 하우징(10) 내부의 하부측에서 필터부(30)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물론, 송풍부(20)의 위치 및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상 필요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다.
필터부(30)는 하우징(10) 내부의 하부측에 배치되고, 외부 공기(A1)를 여과하여 여과 공기(A2)로 만든다. 필터부(30)는 외부 공기(A1)가 통과하며 여과되는 필터부재(31)를 포함한다. 또한, 필터부재(31)의 전방과 전방 커버(12)의 후방 사이에는 외부 공기(A1)가 통과되는 복수개의 유입공(32a)을 구비하고 배치되는 프리 필터(32)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부재(31)는 공기에 포함된 0.1~0.3㎛의 초미세먼지 또는 0.3㎛ 이상의 미세먼지를 집진하여 여과하는 ULPA(Ultra-Low Penetration Air) 필터,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ir) 필터, 미디윰 필터와 같은 집진 필터 또는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세균이나 미생물을 걸러내는 기능성 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리 필터(32)는 사각 격자형으로 형성된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프리 필터(32)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집진 효율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습부(40)는 필터부(30)를 통과한 여과 공기(A2)를 가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에서, 가습부(40)는 필터부(30)의 상부측에 배치된다. 여과 후 가습이 이루어지도록 유로가 형성된 경우, 필터부(30)의 필터부재(31)를 통해 여과된 여과 공기(A2)가 가습부(40)로 유동하며, 가습부(40)는 여과 공기(A2)에 수분을 공급하여 여과 가습 공기(A3)를 형성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의 가습부(40)는 수조(41), 가습부재(42) 및 물통(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조(41)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는 장착부(411, 412)를 포함한다. 장착부(411, 412)는 가습부재(42)가 장착되는 제 1 장착부(411), 가습부재(42)에 제공될 물을 수조(41)에 공급하기 위한 물통(43)이 장착되는 제 2 장착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장착부(411) 및 제 2 장착부(412)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장착부(411)가 수조(41)의 일측 부분에 형성되고, 제 2 장착부(412)가 제 1 장착부(411)에 인접하여 수조(41)의 타측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조(41)는 하우징(10) 내부의 설치 위치로부터 하우징(10)의 외부로 탈착가능하게 형성된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수조(41)는 하우징(10)의 전방으로 탈착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경우, 공기 청정기(1)의 측면에 다른 물건들이 존재하여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공기 청정기(1)의 사용 위치에서 전방 커버(12)만을 분리한 후 수조(41)를 탈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수조(41)의 탈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수조(41)는 수조(41)에서 넘친 물을 저장하는 물받이부(413)를 구비하고 있다. 물받이부(413)는 수조(41)의 착탈 시 또는 공기 청정기(1)의 사용 과정에서 외력이 가해진 경우 수조(41) 내부의 물이 흘러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물받이부(413)는 수조(41)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받이부(413)는 수조(41)의 장착부(411, 412)의 전방 측벽(41a)이 물받이부(413)의 후방 측벽이 되도록 수조(41)의 전방에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물받이부(413)의 전방 측벽(413a)의 높이는, 수조(41)의 장착부(411, 412)의 전방 측벽(41a)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장착부(411, 412)의 전방 측벽(41a)의 높이는 중앙부가 양 측부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물받이부(413)의 전방 측벽(413a)의 높이는, 중앙부가 양 측부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가습부재(42)를 통과한 여과 가습 공기(A3)에 가해지는 유로 저항을 최소화하면서도 물받이 용량을 최대화 할 수 있게 만들어 준다.
또 한편, 도 2에 가장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치 위치를 형성하는 하우징(10)의 일측벽 및 타측벽의 내면에는 소정의 위치에 홈(113)이 형성되고, 수조(41)의 일측벽 및 타측벽의 외면에는 설치 위치에서 홈(113)에 삽입되도록 형성된 돌기(4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113)과 돌기(414)를 통해 사용자는 수조(41)의 삽입 시 수조(41)가 설정된 설치 위치에 정위치 되었는지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물론, 홈(113)과 돌기(414)는 서로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하우징(10)의 일측벽 및 타측벽의 내면에는 소정의 위치에 돌기가 형성되고, 수조(41)의 일측벽 및 타측벽의 외면에는 홈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습부재(42)는 제 1 장착부(411)에 장착되어 수조(41)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여과 공기(A2)에 수분을 공급한다. 가습부재(42)는 수조(41)의 제 1 장착부(411)에 공급된 물을 이용하여 기화식(송풍식)으로 가습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가습부재(42)는 제 2 토출구(122)의 후방에 하우징(10)의 전방면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가습부재(42)는 공기 유동 경로상 송풍부(20)의 후단에 배치된다. 가습부재(42)가 공기 유동 경로상 송풍부(20)의 전단에 위치하는 경우, 가습부재(42)를 통과하여 습도가 높아진 공기가 송풍부(20)를 통과하게 되어, 송풍부(20) 고장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후술되는 유로 설정부(60)에 의하여 유로가 가습모드로 형성된 경우, 송풍부(20)의 작동에 의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A1)는 필터부(30)의 필터부재(31)를 거쳐 여과 공기(A2)가 된 후, 가습부재(42)를 거쳐 제 2 토출구(122)를 통해 여과 가습 공기(A3)로 토출된다.
한편, 공기 유동 경로상 송풍부(20)의 전단에 필터부(30)가 배치되고 송풍부(20)의 후단에 가습부재(42)가 배치되므로, 유로 설정부(180)의 유로 설정에 따라 공기 청정 기능만 수행될 경우 필터부(30)에서 여과된 공기가 가습부재(42)로 유동하는 것이 제한되어 공기청정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송풍부(20)에 구비되는 임펠러를 상대적으로 낮은 RPM, 저전력으로 구동하더라도 충분한 토출량 확보가 가능하며 소음도 저감될 수 있다.
가습부재(42)는 수조(41) 에 수용된 물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흡습성이 우수한 재질이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습부재(42)는 수조(41)에 수용된 물에 침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가습부재(42)는 전술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화식 가습이 가능하다면 회전 구동하는 디스크 형태등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기화식 가습구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물통(43)은 제 2 장착부(412)에 장착되어 수조(41)에 물을 공급한다. 물통(43)에 의해 공급되는 물은 수조(41)의 제 1 장착부(411)로 공급되어 가습부재(42)를 침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물통(43)은 가습을 위한 물을 수용하는 물통 몸체(431)와, 물통 몸체(431)에 수용된 물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개폐되는 밸브 부재(4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통(43)은 물통 몸체(431) 내부에 물을 용이하게 채울 수 있도록 공기 청정기(1)에서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밸브 부재(432)는 물통 몸체(431)의 입구(주입구)에 나사결합되는 캡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밸브 부재(432)는 탄성수단(예를 들면, 스프링)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개폐부(432a)를 구비하며 개폐부(432a)가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개폐부(432a)가 가압된 상태에서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기계식 밸브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개폐부(432a)의 가압을 통한 개방 및 가압 상태 해제에 따른 폐쇄와 관련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가이드부(50)는 물통(43)이 장착되는 수조(41)의 제 2 장착부(412)의 주위에 상부로 돌출 형성된다. 가이드부(50)는 수조(41)가 설치 위치로부터 소정 범위 이탈되어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물통(43)이 제 2 장착부(412) 주위로 진입할 경우 물통(43)에 의해 가압된다. 가이드부(50)가 물통(43)에 의해 가압될 때, 가이드부(50)에 제공되는 가압력에 의해서 수조(41)는 설치 위치 방향으로 이동된다.
수조(41)가 삽입되는 공기 청정기(1)의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가이드부(50)는 제 2 장착부(412)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조(41)가 정상적인 설치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범위 이탈되어 하우징(10) 내부에 잘못 배치된 경우, 물통(43)이 제 2 장착부(412) 주위로 진입할 때, 수조(41)는 가이드부(50)에 접촉되는 물통(43)에 의해 가압되어 후방의 정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부(50)는 제 1 가이드부재(51) 및 제 2 가이드부재(52)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이드부재(51)는 장착부(411, 412)의 후방 측벽(41b)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벽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가이드부재(51)는 수조(41)의 제 2 장착부(412)의 후방 측벽(41b)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벽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부재(51)는 상면에 전방 단부에서 후방 측으로 상방향 경사진 경사부(51a)를 구비할 수 있다. 이처럼 제 1 가이드부재(51)가 전방 단부에서 후방 측으로 상방향 경사진 경사부(51a)를 포함할 경우 물통(43)이 수조(41)의 제 2 장착부(412)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물통(43)의 밸브 부재(432) 부분이 경사부(51a)를 타고 내려오며 수조(41)에 후방측으로의 이동력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 2 가이드부재(52)는 제 2 장착부(412) 주위에 구비되며, 눌러진 상태에서 물통(43)과 수조(41) 사이의 유로를 개방하여 물통(43) 내의 물을 수조(41)로 공급하고,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물통(43)과 수조(41) 사이의 유로를 폐쇄하는 유로 스위치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부재(52)는 수조(41)가 설치 위치로부터 소정 범위 이탈되어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물통(43)이 제 2 장착부(412) 주위로 진입할 경우 물통에 의해 가압되는 헤드부(521)를 상단에 구비한다. 이때, 제 2 가이드부재(52)의 헤드부(521)는 물통(43)이 장착되는 제 2 장착부(41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가이드부재(52)의 헤드부(521)는 수조(41)가 설치 위치로부터 하우징(10)의 전방으로 소정 범위 이탈되어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물통(43)이 제 2 장착부(412) 주위로 진입하면 물통(43)에 의해 가압되고, 가압력에 의해서 수조(41)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제 2 가이드부재(52)의 헤드부(521)는 내측에서 제 2 장착부(412)를 향해 외측으로 하방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521a)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가이드부재(52)의 헤드부(521)가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방향 경사진 경사부(521a)를 구비할 경우 물통(43)이 수조(41)의 제 2 장착부(412)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물통(43)의 밸브 부재(432) 부분이 경사부(521a)를 타고 내려오며 수조(41)에 후방측으로의 이동력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 1 가이드부재(51) 및 제 2 가이드부재(52)의 헤드부(521)는 제 2 장착부(412)의 후방에 각각 배치되되,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부(50)가 제 1 가이드부재(51)와 제 2 가이드부재(52)를 모두 구비할 경우 수조(41)의 오장착 상태에서 물통(43) 진입 시 물통(43)에 의한 가압력의 전달이 더욱 확실하고 안정적으로 수조(41)에 전달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수조(41)의 설치 위치로의 이동이 더욱 확실히 보장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서 수조가 설치 위치에서 이탈되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서 물통이 수조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제 1 가이드부재 및 제 2 가이드부재를 가압하여 수조를 설치 위치로 이동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살펴보면, 수조(41)가 공기 청정기(10)의 전방에서 삽입될 때, 정위치까지 충분히 밀어지지 못하여 잘못 위치한 상태이며, 제 1 장착부(411)의 후방 정위치 기준선(P1) 및 제 2 장착부(412)의 정위치 기준선(P2)으로부터 제 1 장착부(411) 및 제 2 장착부(412)가 각각 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수조(41)가 원래 설정된 설치 위치로 이동하지 않고 물통(43)의 장착이 이루어질 경우 물통(43)이 정위치에 장착되지 못하여 가습 기능의 정상적인 수행이 이루어질 수 없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경우, 하우징(10)의 상면에 형성된 물통 삽입구(112)를 통해 물통(43)이 하측 방향으로 진입할 때, 가이드부(50) 즉, 제 1 가이드부재(51) 및 제 2 가이드부재(52)는 물통(43)의 밸브 부재(432)와 접촉하게 된다. 가이드부(50)의 제 1 가이드부재(51) 및 제 2 가이드부재(52)는 물통(43)의 하중 또는 사용자의 압박에 의한 힘을 받아 가압되며, 이에 따라 수조(41)에 후방측으로의 이동력(F)이 전달된다. 그 결과 수조(41)는 후방으로 이동하여, 정위치에 배치되며, 물통(43)은 제 2 장착부(412)에 정상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수조(41)가 잘못 체결되더라도 물통(43) 장착 시 수조(41)의 정위치 배치 및 물통(43)의 정상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가습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가이드부재(52)는 제 2 장착부(412) 주위에 구비되며, 눌러진 상태에서 물통(43)과 수조(41) 사이의 유로를 개방하여 물통(43) 내의 물을 수조(41)로 공급하고,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물통(43)과 수조(41) 사이의 유로를 폐쇄하는 유로 스위치로 형성된다. 제 2 가이드부재(52)의 유로 스위치로서의 구성 및 기능에 관하여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 2 가이드부재(52)는 제 2 장착부(412)의 주위로 노출되며, 가습모드에서 후술되는 유로 설정부(60)에 의해 가압되도록 형성된 헤드부(521)를 일측에 구비하고, 타측에는 헤드부(521)의 가압 시 밸브 부재(432)의 개폐부(432a)를 가압하도록 배치된 누름부(522)를 구비한다. 또한, 가이드부(50)는 헤드부(521)와 누름부(522) 사이를 연결하며 배치되는 몸체부(523)를 구비하고, 몸체부(523)와 헤드부(521) 사이에 형성되어 헤드부(521)의 가압 시 누름부(522)가 개폐부(432a)를 가압하도록 제 2 가이드부재(52)를 회전거동시키는 회전축부(524)를 함께 구비한다.
즉, 제 2 가이드부재(52)는 유로 스위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헤드부(521)의 가압 시 회전축부(524)를 중심으로 시소 운동을 하여 누름부(522)를 상승시켜 개폐부(432a)를 가압하여 개방하고, 헤드부(521)의 가압이 해제된 경우 제 2 가이드부재(52)의 자중 또는 탄성부재(미도시)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부(522)가 하강하여 개폐부(432a)의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유로 설정부(60)는 하우징(10) 내부의 공기 유로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토출구(111, 122)로의 공기 유동을 조절한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로 설정부(60)는 필터부(30)를 통과하여 여과된 공기가 제 1 토출구(111)와 제 2 토출구(122)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토출될 수 있게 유로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유로 설정부(60)는 공기 유로의 적어도 일부를 개폐하도록 공기 유로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몸체부(61)와, 몸체부(61)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회전축부(62)와, 몸체부(61)가 회전축부(62)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가이드부(50)의 헤드부(51)를 가압하는 가압부(63)를 구비한다.
또한, 유로 설정부(60)는 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구동부(M)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C)를 통해 구동부(M)를 제어함으로써 유로 설정부(6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은 공기 유로를 구획하는 내벽(114)을 내부에 구비하는데, 제 2 가이드부재(52)는 내벽(114)의 외측에 위치한다. 이때, 유로 설정부(60)의 몸체부(61)는 내벽(114)의 내측의 공기 유로 상에 위치하고, 유로 설정부(60)의 가압부(63)는 제 2 가이드부재(52)의 헤드부(521)를 가압할 수 있도록 내벽(114)을 관통하여 공기 유로의 외부에 배치된다.
이하에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의 청정모드, 가습모드 및 건조모드에서의 작동을 설명한다.
우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정모드에서, 유로 설정부(60)는 여과 공기(A2)를 하우징(10)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토출구(111) 방향으로 유동시키도록 상하 방향으로 위치된다. 이와 같이, 유로 설정부(60)의 몸체부(61)가 상하방향으로 위치할 경우 송풍부(20)에서 송풍되는 여과 공기(A2)는 가습부재(42)의 유로저항으로 인해 하우징(10)의 상부에 형성된 제 1 토출구(111)를 통해 토출되도록 유도된다.
이때, 유로 설정부(60)의 가압부(63)가 제 2 가이드부재(52)의 헤드부(521)와 이격된 상태가 되므로 제 2 가이드부재(52)의 누름부(522)가 밸브 부재(432)의 개폐부(432a)를 가압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개폐부(432a)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고, 물통(43)으로부터 수조(4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모드에서, 유로 설정부(60)는 하우징(10)의 하부에서 상승하는 여과 공기(A2)가 가습부(40) 측으로 유도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제 1 토출구(111) 측으로의 공기 유동을 차단한다.
이 경우, 유로 설정부(60)의 몸체부(61) 상단은 하우징(10) 공기 유로를 구획하는 내부의 격벽(W)과 인접하게 되고 하단은 격벽(W) 반대측과 인접하게 되므로 공기의 상승이 차단되고, 유동하는 공기는 격벽(W)에 형성된 관통홀(WH)을 통해 가습부(40)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송풍부(2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가습부(40)의 가습부재(42)를 통해 가습된 여과 가습 공기(A3)가 되어 제 2 토출구(122)를 통해 하우징(10)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때, 유로 설정부(60)의 가압부(63)가 제 2 가이드부재(52)의 헤드부(521)와 접촉하여 헤드부(521)를 가압하는 상태가 되므로 제 2 가이드부재(52)의 헤드부(521)는 회전축부(523)을 기준으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누름부(522)는 회전축부(523)을 기준으로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2 가이드부재(52)의 누름부(522)가 밸브 부재(432)의 개폐부(432a)를 상측으로 가압하여 개폐부(432a)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개폐부(432a)가 개방된 상태가 되어 물통(43)으로부터 수조(4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 설정부(60)는 청정모드 위치와 가습모드 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위치(건조모드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가습부재(42) 및/또는 수조(41)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로 설정부(60)의 상단은 상단은 공기 유로를 구획하는 격벽(W)과 약간 이격된 상태가 되고 하단은 격벽(W) 반대측과 약간 이격된 상태가 되므로 일부 공기는 상측으로 유동하고, 일부 공기는 격벽(W)에 형성된 관통홀(WH)을 통해 가습부(40)로 유입된다. 이에 따라 가습부재(42)를 통과하는 공기는 가습부재(42)의 건조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습부재(42)는 수조(41)에 수용된 물의 흡습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가습부재(42)의 건조에 따라 수조(41)에 수용된 물의 건조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유로 설정부(60)가 가습모드 위치에서 건조모드로 회전하는 경우 유로 설정부(60)의 가압부(63)와 제 2 가이드부재(52)의 헤드부(521) 사이의 접촉이 해제되므로, 밸브 부재(432)에 구비되는 개폐부(432a)는 폐쇄된 상태가 되고, 물통(43)으로부터 수조(41)로의 물 공급이 차단된다.
이때, 건조 효율 상승을 위하여, 건조모드에서의 유로 설정부(60)의 위치는 가습부(40)로의 송풍량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조모드에서의 유로 설정부(60)의 위치는 가압부(63)와 제 2 가이드부재(52)의 헤드부(521) 사이의 접촉이 해제되어 개폐부(432a)가 폐쇄될 수 있도록 가습모드 위치에서 약간 회전한 정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하우징 20: 송풍부
30: 필터부 40: 가습부
50: 가이드부 60: 유로 설정부

Claims (10)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송풍력을 제공하는 송풍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로 유입된 상기 외부 공기를 여과하여 여과 공기로 만드는 필터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상기 여과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부는, 장착부가 형성된 수조와, 상기 장착부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수조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여과 공기에 수분을 공급하는 가습부재와, 상기 장착부의 타측에 장착되어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물통을 포함하고,
    상기 수조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설치 위치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탈착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물통이 장착되는 상기 장착부의 타측 주위에 상부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수조가 상기 설치 위치로부터 소정 범위 이탈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물통이 상기 장착부 주위로 진입할 경우 상기 물통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물통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가이드부에 제공되는 가압력에 의해서 상기 수조는 상기 설치 위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설치 위치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탈착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수조가 상기 설치 위치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소정 범위 이탈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물통이 상기 장착부 주위로 진입할 경우 상기 물통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가압력에 의해서 상기 수조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면에 물통 삽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물통은, 상기 물통 삽입구를 통해 하측 방향으로 상기 장착부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수조의 후방 측벽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벽체로 형성된 제 1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부재는, 상면에 전방 단부에서 후방 측으로 상방향 경사진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장착부 주위에 구비된 제2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부재는, 상기 수조가 상기 설치 위치로부터 소정 범위 이탈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물통이 상기 장착부 주위로 진입할 경우 상기 물통에 의해 가압되는 헤드부를 상단에 구비하며,
    상기 제2 가이드 부재는, 눌러진 상태에서 상기 물통과 상기 수조 사이의 유로를 개방하여 상기 물통 내의 물을 상기 수조로 공급하고, 눌러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물통과 상기 수조 사이의 유로를 폐쇄하는 유로 스위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설치 위치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탈착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부재의 상기 헤드부는, 상기 수조가 상기 설치 위치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 소정 범위 이탈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물통이 상기 장착부 주위로 진입할 경우 상기 물통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가압력에 의해서 상기 수조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부재의 상기 헤드부는, 내측에서 상기 장착부를 향해 외측으로 하방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부재의 상기 헤드부는, 상기 물통이 장착되는 장착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위치를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벽 및 타측벽의 내면에는 소정의 위치에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수조의 일측벽 및 타측벽의 외면에는 상기 설치 위치에서 상기 홈에 삽입되는 돌기 또는 상기 돌기에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KR1020200061550A 2020-05-22 2020-05-22 공기 청정기 KR2021014433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550A KR20210144336A (ko) 2020-05-22 2020-05-22 공기 청정기
JP2020214770A JP7064564B2 (ja) 2020-05-22 2020-12-24 空気清浄器
CN202120892614.0U CN215765632U (zh) 2020-05-22 2021-04-27 空气净化器
EP21171308.6A EP3913291A1 (en) 2020-05-22 2021-04-29 Air pur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1550A KR20210144336A (ko) 2020-05-22 2020-05-22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4336A true KR20210144336A (ko) 2021-11-30

Family

ID=75746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1550A KR20210144336A (ko) 2020-05-22 2020-05-22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913291A1 (ko)
JP (1) JP7064564B2 (ko)
KR (1) KR20210144336A (ko)
CN (1) CN215765632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052B1 (ko) * 2019-01-03 2021-12-16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기
KR20200144003A (ko) * 2019-06-17 2020-12-28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청정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3361A (ko) 2016-12-22 2018-07-02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형 공기청정기
KR20190029819A (ko) 2017-09-11 2019-03-21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가습 공기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8139A (ko) * 2010-12-31 2012-07-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기화식 가습기
KR20120113026A (ko) * 2011-04-04 2012-10-1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가습장치
KR101826869B1 (ko) * 2011-05-06 2018-02-08 코웨이 주식회사 캡-부레 일체형 구조의 물통을 포함하는 가습 장치
JP2013096585A (ja) * 2011-10-28 2013-05-20 Daikin Industries Ltd 加湿機
JP6032994B2 (ja) * 2012-08-03 2016-11-30 シャープ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加湿装置及び容器
CN204084790U (zh) * 2014-08-26 2015-01-07 Tcl空调器(中山)有限公司 除湿机
KR20180038155A (ko) * 2016-10-06 2018-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3361A (ko) 2016-12-22 2018-07-02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형 공기청정기
KR20190029819A (ko) 2017-09-11 2019-03-21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가습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5765632U (zh) 2022-02-08
JP7064564B2 (ja) 2022-05-10
JP2021183897A (ja) 2021-12-02
EP3913291A1 (en) 2021-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994153B (zh) 加湿净化器
US20060102000A1 (en) Wet type air cleaner
US7387664B2 (en) Wet type air cleaner
US20060102001A1 (en) Wet type air cleaner
KR20210144336A (ko) 공기 청정기
CN101532712B (zh) 加湿器及空气净化器
CN113272592B (zh) 加湿器
CN108139110A (zh) 用于空气处理设备的加湿模块
JP6367445B2 (ja) 加湿空気清浄機
KR100848535B1 (ko) 자연증발식 가습기
KR20190001334A (ko) 선택적으로 가습 기능과 공기 청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가습 공기 청정기
KR20210144337A (ko) 공기 청정기
KR0122400Y1 (ko)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자연증발식 가습기
CN111735128B (zh) 一种加湿净化器
JP6323404B2 (ja) 空気清浄機
JP2019023545A (ja) 加湿装置
JP4660032B2 (ja) 加湿機
KR101873593B1 (ko) 잔수회수부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KR20120026943A (ko) 가습 공기 청정기
KR101403010B1 (ko) 가습 제습 복합기
KR101801563B1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댐퍼 프레임 구조
KR101852516B1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본체 구조
KR101791168B1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제습수 안내 구조
KR20210132900A (ko) 공기 청정기
KR101403012B1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유로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