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593B1 - 잔수회수부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잔수회수부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593B1
KR101873593B1 KR1020110133099A KR20110133099A KR101873593B1 KR 101873593 B1 KR101873593 B1 KR 101873593B1 KR 1020110133099 A KR1020110133099 A KR 1020110133099A KR 20110133099 A KR20110133099 A KR 20110133099A KR 101873593 B1 KR101873593 B1 KR 101873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unit
humidifying
water re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3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6316A (ko
Inventor
임태규
이철구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3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593B1/ko
Publication of KR20130066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01D46/004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by using v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with water trea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를 흡입하도록 양흡팬을 구비한 송풍부; 상기 송풍부에 의해 흡입된 상기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링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히터부; 상기 송풍부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링된 공기 유입을 제어하도록 개폐가 가능한 셔터; 상기 필터링된 공기가 유입되어 가습공기를 형성하는 가습부; 및 잔수회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습부와 연동하는 수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가 폐쇄될 경우 상기 필터링된 공기는 가습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며, 상기 가습부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는 상기 히터부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수회수부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스케일축적을 막도록 잔수를 제거하며, 히터를 통해 온풍을 제공함과 동시에 가습량을 증대시키고,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가습량의 조절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잔수회수부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Air cleaner with humidification comprising portion of collecting residual water}
본 발명은 잔수회수부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셔터를 포함하여 가습량의 조절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히터와 원통형의 가습필터를 포함할 수 있어, 저풍량에서도 가습량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잔수회수부를 포함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공기청정기의 경우 가습이 진행됨에 따라, 물에 존재하는 스케일의 함량은 증가하게 된다. 이는 초음파식 가습기보다 자연증발식 가습기에서 더욱 문제가 된다. 그 이유는 자연증발식 가습기에서 방출되는 가습입자의 크기는 초음파식 가습기에서 방출되는 입자의 크기와 달라 물속에 농축되어 있는 스케일성분(Ca, Mg 등)등을 토출시키지 못하며, 물 입자만을 실내로 방출키기 때문이다. 이로 인하여 가습량이 증가할수록 수조부에 쌓이는 스케일성분은 농축되는데, 상기 스케일 성분이 마르게 될 경우 아이보리색의 결정이 수조부에 쌓여 청소가 어렵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양이온수지모듈을 별도 사용해 수조부 및 물통의 스케일 성분을 제거하는 방식을 사용한 자연증발식 가습기도 있으나, 수도수의 경우 잔류염소성분(산성수)이 있어 상기 양이온수지가 산화되어 양이온수지모듈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스케일을 걸러내는 장치를 채택한 청정기가 존재하나, 이 경우 스케일 회수로 인해 발생하는 공기(즉, 스케일 회수부 내측의 공기)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키지 못하여 그 효과가 미비하였다.
한편, 종래의 가습공기청정기는 가습모드와 일반모드로 구분되어 운전될 수 있었다. 그러나 가습모드로 운전할 경우 유로의 전환이 용이하지 않아 가습량이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송풍팬의 출력을 높일 수 있으나 소음 발생으로 만족할 만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케일축적을 막도록 잔수를 제거하며,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가습량의 조절이 가능하고, 히터와 원통형의 가습필터는 저풍량에서도 가습량의 극대화를 갖는 가습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기를 흡입하도록 양흡팬을 구비한 송풍부; 상기 송풍부에 의해 흡입된 상기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링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히터부; 상기 송풍부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링된 공기 유입을 제어하도록 개폐가 가능한 셔터; 상기 필터링된 공기가 유입되어 가습공기를 형성하는 가습부; 및 잔수회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습부와 연동하는 수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가 폐쇄될 경우 상기 필터링된 공기는 가습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며, 상기 가습부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는 상기 히터부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수회수부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상기 수조부는 급수물통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급수물통의 하부면에 급수입구가 위치하고, 상기 잔수회수부의 하단에 잔수회수입구가 위치하며, 상기 급수입구를 통해 상기 가습부에 물이 공급되고, 상기 잔수회수입구를 통해 상기 잔수회수부에 잔수가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잔수회수부는 외부와 연통하는 공기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잔수회수부 입구를 통해 상기 잔수회수부 내의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잔수회수입구가 상기 공기배출부에 상응하도록 상기 급수물통의 하부면에 상기 잔수회수부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잔수회수입구 개방시 상기 공기배출구가 개방되어, 상기 잔수의 회수시 상기 잔수회수부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급수물통의 일측면에 공기배출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배출부는 상기 공기배출유로와 연통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셔터가 폐쇄될 경우, 상기 가습부를 통과하는 공기 중 상기 히터부를 통과하는 상기 일부는 상기 필터링된 공기 양의 3/4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가습부는 회전 가능한 원통형 가습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필터링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히터부, 송풍부의 전단에 설치되어 필터링된 공기 유입을 제어하도록 개폐가 가능한 셔터, 필터링된 공기가 유입되어 가습공기를 형성하는 가습부 및 잔수회수부를 포함하며 가습부와 연동하는 수조부를 포함하며, 셔터가 폐쇄될 경우 필터링된 공기는 가습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며, 가습부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는 히터부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수회수부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를 통하여 스케일축적을 막도록 잔수를 제거하며,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가습량의 조절이 가능하고, 히터를 통해 온풍을 제공한다.
가습부는 회전 가능한 원통형 가습필터를 포함하도록 하고, 히터는 온풍을 제공하여, 모세관원리에 의한 자연증발 방식의 필터와 비교하여 가습량 증대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잔수회수부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셔터, 셔터가이드, 유입홀 및 스텝핑모터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3은 가습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수조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잔수회수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수조부가 가습부의 수조부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의 정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7a는 셔터가 개방된 상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b는 셔터가 폐쇄된 상태의 공기의 흐름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일반적인 가습공기청정기와 증발량의 차이를 비교하여 도시한 꺾은선 그래프 및
도 9는 잔수의 회수여부에 따른 스케일의 농축 결과를 비교하여 도시한 꺾은선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잔수"는 무기물 등의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방치하는 경우 빈번한 청소가 요구된다는 문제점을 갖는 가습과정 중 또는 가습과정의 완료 후 가습필터수용부(330)에 잔존하는 물로 정의한다.
잔수회수부를 포함하는 자연증발식 가습공기청정기의 구조의 설명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잔수회수부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는 공기를 흡입하도록 양흡팬을 구비한 송풍부(200), 송풍부(200)에 의해 흡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100), 송풍부(200)의 전단에 설치되어 필터링된 공기 유입을 제어하도록 개폐가 가능한 셔터(500) 및 필터링된 공기가 유입되어 가습공기를 형성하는 가습부(300)를 포함한다.
송풍부(200)는 상기의 가습공기청정기가 설치된 공간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 및 가습, 바람직하게는 가열된 공기를 토출구(700)를 통하여 방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송풍부(200)는 필터부(100)의 후단에 배치되며, 팬은 일례로서 양흡이 가능한 양흡팬일 수 있으나, 공기를 흡입하는 것이 가능한 어떠한 종류의 팬도 가능하다.
필터부(100)는 실내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배치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일례는 다음과 같다. 프리필터(110), 전처리필터(120), 기능성필터(130), 탈취필터(140) 및 해파필터(150)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일례로서 상기의 구성이 바람직하나, 공기 중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어떠한 하나 또는 다수의 필터의 조합도 가능하다.
셔터(500)는 셔터가이드(510) 후단에 장착되며, 일정 구간만큼 상하이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하이동에 따라 셔터가이드(510) 상의 유입홀(520)의 선택적 개폐가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일례로서, 셔터(500) 일측에는 렉기어(미도시)가 위치하며, 셔터(500)를 동작시키기 위해 피니언기어(미도시)를 장작한 스텝핑모터(550)가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필터부(100)와 셔터(500) 간의 거리(도 7에 도시된 d1)는 다수의 실험을 통해 15mm이상인 경우 후술할 가습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도 7a는 셔터(500)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7b는 셔터(500)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며,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가습부(300)에서는 수조부(400)에 의해 물을 공급받아 자연증발 방식으로 가습이 발생한다. 도 3에 도시된 일례로서, 가습부(300)는 칸막이(미도시)로 수조부수용부(320)와 가습필터수용부(330)로 나뉘며, 칸막이 하단에는 가습필터수용부(330)로 급수가 될 수 있도록 물통수용부(320) 내의 수위보다 낮은 급수통로(340)와 가습필터수용부(330)의 잔수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통로(350)가 위치한다. 바람직하게 급수통로(340)와 회수통로(350)는 공급수와 회수되는 잔수가 섞이지 않도록 가능한 멀리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통수용부(320)에는 2개의 원통형돌기(360)가 위치하여 수조부(400)의 원통형축(440)과 대응하여 급수 및 잔수회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가습부(300)와 필터부(100) 사이의 간격(도 7b의 d2)은 15mm 이상이다. 상기한 간격이 15mm이하로 너무 가까운 경우 부분압이 커져 필터의 필터링 효율이 낮아짐을 다수의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가습부(300)는 가습필터(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습필터(310)는 원통형으로서 가습필터수용부(330)에 수용되어 물에 일부 침지되어 회전한다.
한편, 가습필터(310)는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한 플라스틱 소재로 표면에 물방물이 맺히지 않도록 친수성코팅 또는 부식(etching) 처리하여 물이 표면에 골고루 퍼지도록할 수 있다. 물이 퍼진 가습필터(310)에 필터링된 공기가 통과하며 열교환(에너지교환)이 발생하여 가습이 진행된다. 위와 같은 처리를 한 원통형의 가습필터(310)의 경우 모세관현상을 이용하는 흡습필터와 비교하여 현저히 높은 정도의 가습량 확보가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잔수회수부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는 흡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히터부(600)는 필터부(100)와 가습부(3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필터부(100)를 지난 필터링된 공기는 히터부(600)에 의해 가열되며, 가열된 공기는 가습부(300)를 지나며 히터부(600)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더 많은 열에너지를 공급하기 때문에 가습량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다.
바람직하게 히터부(600)는 셔터(500)가 폐쇄된 상태에서만 연동되어 동작될 수 있다.
도 8은 일반적인 10평형 가습공기청정기와 본 발명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풍량에 따른 증발량을 비교한 꺾은선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셔터(500)의 구조상, 더하여 히터부(600)의 가열에 의해 일반적인 제품에 비해여 저풍량일 때 증발량이 확연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는 수조부(400)를 더 포함하며, 수조부(400)는 잔수회수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조부(400)는 가습부(300)에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수조부(400)는 급수물통(410)을 포함하며, 잔수회수부(420)는 급수물통(4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잔수회수부(420)는 도 5에 도시되며, 낙수방지부(430)와 잔수회수뚜껑부(460)를 포함한다.
수조부(400)의 바닥에는 급수입구(470)와 잔수회수입구(480)가 동축선상에 이격되어 도출되어 있다. 급수입구(470)와 잔수회수입구(480)에는 급수 및 잔수회수를 차단할 수 있는 급수뚜껑부(450)와 잔수회수뚜껑부(460)가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급수와 잔수회수를 차단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각의 뚜껑부(450, 460)에 탄성체를 가져 상하이동이 가능하고 상부에 밀폐고무(490)를 갖는 원통형축(440)이 설치된다.
도 6는 수조부(400)를 가습부(300)의 수조부수용부(320)에 수용시킨 상태의 수조부(400) 및 수조부수용부(320)의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상기 수조부수용부(320)에 물을 채운 수조부(400)를 수용시키는 경우, 급수뚜껑부(450) 및 잔수회수뚜껑부(460)에 장착한 원통형축(440)은 수조부수용부(320)의 원통형돌기(360)에 대응하여 올라가게 된다.
이때 급수입구(470)를 통해 가습부(300)의 급수통로(340)로 급수되고 가습필터수용부(330)로 물이 공급된다. 또한, 회수통로(350)를 통해 경도성물질이 가장 많이 존재하는 가습필터수용부(330)의 물이 잔수회수입구(480)를 통해 잔수회수부(420)로 회수되며, 잔수회수부(420)의 내부의 공기는 잔수회수부(420) 상부의 공기배출구(4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공기배출구(421)는 공기배출유로(411)를 통해 급수물통(410)의 외부로 공기를 배출하여(도 6의 A), 공기를 급수물통(410) 내부로 배출하는 것에 비하여 회수되는 잔수의 효율을 상승시켰다.
공기배출구(421) 측에는 수조부(400)의 이동시 낙수가 없도록 하기 위해 단차지게 형성된 낙수방지부(430)가 위치하며 상기 낙수방지부(430)는 탄성체를 가져 상하 이동이 가능하고 상부에 밀폐고무(490)를 갖는 원통형축(440)의 구조를 갖는다.
공기배출이 원활히 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기배출유로(411)를 가져야 하며, 본 발명에서는 수조부(400) 측면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상기 회수의 원리는 공급되는 급수물통(410)의 수위와 잔수회수부(420)의 수위 차에 의한 것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급수물통(410) 및 잔수회수부(420)가 가습부(300)의 수조부수용부(320)에 수용된 이후 물, 잔수 및 공기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수조부(400)가 수조부수용부(340)에 삽입된 후, 가습필터수용부(330)에 잔존하는 잔수는 공급된 물에 밀려 회수통로(350)를 통과하여 잔수회수부(420)에 유입된다. 이 때, 잔수회수부(420) 내측의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되어야 잔수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조부(400) 삽입에 따른 밀폐고무(490)의 상하 이동에 의해 잔수회수부(420) 내의 공기가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어, 잔수회수부(420) 내의 공기가 외부로 직접 배출될 수 있어 공기의 배출이 원활해지므로 잔수의 유입이 더욱 원활해진다.
작동 방법의 설명
잔수회수부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는 송풍부(200)의 팬이 회전을 시작함에 따라 운전이 시작된다.
송풍부(200)의 팬이 회전함에 따라, 가습공기청정기가 설치된 공간의 공기가 상기 가습공기청정기 내로 흡입되며, 흡입된 공기는 필터부(100)에 의해 이물질이 필터링된다.
필터부(100)를 지난 필터링된 공기는 셔터(500) 전방에 도착한다.
이하는 도 7a를 참고하여 셔터(50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다. 공기의 흐름 F1은 개방된 유입홀(520)을 통해 대부분 송풍부(200)를 통과한다(F2). 그러나 일부는 가습부(300)를 통과한다(F2'). 송풍부(200)를 통과한 공기와 가습부(300)를 통과한 공기는 토출구(700) 전단에서 만나(F3), 토출구(700)로 방출된다.
이하는 도 7b를 참고하여 셔터(500)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다. 공기의 흡입은 A부와 B부 모두에서 발생하며, 상기한 A부와 B부의 구분은 히터부(600)를 경계로 한다. A부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 A1은 A2를 거쳐 히터부(600)를 통과한다(A3). B부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 B1은 A3와 가습부(300) 전단에서 만나 가습부(300)를 통과한다(AB4). 가습부(300)를 통과한 가습공기는 양흡팬의 후단을 지나(AB5), 토출구(700)로 배출된다(AB6). 상기한 A1과 B1의 비는 약 3:1정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잔수회수부(420)에 의한 잔수회수를 설명한다. 급수물통(410)에 물이 채워진 수조부(400)는 가습부(300)의 수조부수용부(320)에 수용된다. 수용된 수조부(400)의 급수물통(410)은 급수입구(470)를 통해 수조부수용부(320)에 물을 공급한다. 수조부수용부(320)에 공급된 물은 급수통로(340)를 통해 가습필터수용부(330)로 공급되며, 공급된 물에 일부가 침지된 상태로 원통형의 가습필터(310)는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회전의 과정에서 또는 회전의 종료 후 잔수는 회수통로(350)를 통해 물통수용부(320)로 다시 회수되며, 회수된 물은 수위 차에 의해 잔수회수입구(480)를 통해 잔수회수부(420)로 회수된다.
도 9은 잔수를 회수하는 경우와 회수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하여 증발량에 따른 수조부 경도변화를 나타내는 꺾은선 그래프이다. 도 9를 통해 잔수를 회수하는 경우의 스케일 감소의 효과를 확인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필터부
110 : 프리필터
120 : 전처리필터
130 : 기능성필터
140 : 탈취필터
150 : 해파필터
200 : 송풍부
300 : 가습부
310 : 가슬필터
320 : 수조부수용부
330 : 가습필터수용부
340 : 급수통로
350 : 회수통로
360 : 원통형돌기
400 : 수조부
410 : 급수물통
411 : 공기배출유로
420 : 잔수회수부
421 : 공기배출구
430 : 낙수방지부
440 : 원통형축
450 : 급수뚜껑부
460 : 잔수회수뚜껑부
470 : 급수입구
480 : 잔수회수입구
490 : 밀폐고무
500 : 셔터
510 : 셔터가이드
520 : 유입홀
550 : 스텝핑모터
600 : 히터부
700 : 토출구

Claims (8)

  1. 공기를 흡입하도록 양흡팬을 구비한 송풍부;
    상기 송풍부에 의해 흡입된 상기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링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는 히터부;
    상기 송풍부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링된 공기 유입을 제어하도록 개폐가 가능한 셔터;
    상기 필터링된 공기가 유입되어 가습공기를 형성하는 가습부; 및
    급수물통 및 상기 급수물통의 일 측에 위치하는 잔수회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습부와 연동하는 수조부를 포함하며,
    상기 셔터가 폐쇄될 경우 상기 필터링된 공기는 가습부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며, 상기 가습부를 통과하는 공기 중 일부는 상기 히터부를 통과하고,
    상기 급수물통의 하부면에 급수입구가 위치하고, 상기 잔수회수부의 하단에 잔수회수입구가 위치하며,
    상기 급수입구를 통해 상기 가습부에 물이 공급되고,
    상기 잔수회수입구를 통해 상기 잔수회수부에 잔수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수회수부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회수부는 외부와 연통하는 공기배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잔수회수부 입구를 통해 상기 잔수회수부 내의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수회수부를 구비한 가습공기청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회수입구가 상기 공기배출부에 상응하도록 상기 급수물통의 하부면에 상기 잔수회수부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수회수부를 구비한 가습공기청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잔수회수입구 개방시 상기 공기배출부가 개방되어, 상기 잔수의 회수시 상기 잔수회수부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수회수부를 구비한 가습공기청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물통의 일측면에 공기배출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배출부는 상기 공기배출유로와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수회수부를 구비한 가습공기청정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가 폐쇄될 경우, 상기 가습부를 통과하는 공기 중 상기 히터부를 통과하는 상기 일부는 상기 필터링된 공기 양의 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수회수부를 구비한 가습공기청정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부는,
    회전 가능한 원통형 가습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수회수부를 구비한 가습공기청정기.
KR1020110133099A 2011-12-12 2011-12-12 잔수회수부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KR101873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099A KR101873593B1 (ko) 2011-12-12 2011-12-12 잔수회수부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099A KR101873593B1 (ko) 2011-12-12 2011-12-12 잔수회수부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316A KR20130066316A (ko) 2013-06-20
KR101873593B1 true KR101873593B1 (ko) 2018-08-01

Family

ID=48862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3099A KR101873593B1 (ko) 2011-12-12 2011-12-12 잔수회수부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5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4148B1 (ko) * 2016-12-22 2024-05-10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형 공기청정기
JP6996665B1 (ja) * 2021-02-02 2022-01-17 三菱電機株式会社 加湿装置
CN114738880A (zh) * 2022-04-19 2022-07-12 浙江岭工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节能防水型无线取暖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8780A (ja) 2003-12-24 2005-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加湿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2007278633A (ja) 2006-04-10 2007-10-25 Tiger Vacuum Bottle Co Ltd 除加湿機
JP2008039327A (ja) 2006-08-09 2008-02-21 Sharp Corp 加湿装置
JP2009250448A (ja) 2008-04-01 2009-10-29 Panasonic Corp 空気調和装置
JP2010164240A (ja) 2009-01-15 2010-07-29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清浄加湿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8780A (ja) 2003-12-24 2005-07-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加湿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2007278633A (ja) 2006-04-10 2007-10-25 Tiger Vacuum Bottle Co Ltd 除加湿機
JP2008039327A (ja) 2006-08-09 2008-02-21 Sharp Corp 加湿装置
JP2009250448A (ja) 2008-04-01 2009-10-29 Panasonic Corp 空気調和装置
JP2010164240A (ja) 2009-01-15 2010-07-29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清浄加湿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316A (ko)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49821B (zh) 加湿器
KR101594340B1 (ko) 가습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100908464B1 (ko) 실내공기 청정기
CN108139096B (zh) 加湿器
JP6367445B2 (ja) 加湿空気清浄機
KR101873593B1 (ko) 잔수회수부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KR102595218B1 (ko) 공기 처리 장치
JP2012167899A (ja) 加湿装置
CN101737853B (zh) 空调机
JP7001886B2 (ja) 加湿装置
CN101749820A (zh) 加湿器
CN101737854B (zh) 空调机
KR102595234B1 (ko) 공기 처리 장치
WO2014162799A1 (ja) 加湿装置
JP2009085581A (ja) 調湿装置
KR20190033789A (ko) 가습공기 청정기의 제어장치
KR102213126B1 (ko) 에어워셔의 수위 감지방법
KR101801563B1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댐퍼 프레임 구조
JP4660032B2 (ja) 加湿機
KR101403010B1 (ko) 가습 제습 복합기
KR20170031934A (ko) 공기청정기
KR101852516B1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본체 구조
KR20210144336A (ko) 공기 청정기
KR101791168B1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제습수 안내 구조
KR101403012B1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유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