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6869B1 - 캡-부레 일체형 구조의 물통을 포함하는 가습 장치 - Google Patents

캡-부레 일체형 구조의 물통을 포함하는 가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6869B1
KR101826869B1 KR1020110043041A KR20110043041A KR101826869B1 KR 101826869 B1 KR101826869 B1 KR 101826869B1 KR 1020110043041 A KR1020110043041 A KR 1020110043041A KR 20110043041 A KR20110043041 A KR 20110043041A KR 101826869 B1 KR101826869 B1 KR 101826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ap
water tank
guid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5018A (ko
Inventor
배준형
김진민
최경돈
송규완
김봉석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3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6869B1/ko
Publication of KR20120125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5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6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6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3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3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using rotatable arms or other pivotable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agnet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확하면서도 즉각적인 물부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가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캡을 가지는 물통 및 상기 물통으로부터의 물이 상기 캡을 통하여 유입되는 수조를 가지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수조의 물을 통하여 공기 중에 수분을 공급하는 가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캡은 물통에 장착가능하도록 구성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연결되며 수위에 따라서 이동되는 수위 감지부 및 상기 수위 감지부와 일체로 움직이는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자석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가습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캡-부레 일체형 구조의 물통을 포함하는 가습 장치{HUMIDIFICATION DEVICE COMPRISING WATER CONTAINER HAVING CAP}
본 발명은 물통을 포함하는 가습 장치에 대한 것으로, 물통의 캡과 부레가 일체로 형성되어, 즉각적이고 정확한 물 양의 감지 및 부레 구조를 수조에서 제거하고 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체택하여 청소가 용이한 가습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습도를 높이기 위해 인공적으로 습기를 생성 분무하는 가습기는 습기의 생성 방법이 수조에 저장된 물을 소정 온도로 가열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수증기를 실내로 자연 분무시키는 방식인 가열식 가습기와, 수조에 저장된 물을 초음파 진동시켜 미세화된 물 입자를 실내로 분무시키는 방식인 초음파식 가습기와, 가열식 가습방식과 초음파식 가습방식이 동시에 구비된 복합식 가습기로 나뉜다.
최근에는, 수조에 가습필터를 침지시킨 후 가습필터 상부 측으로 이동한 물을 송풍에 의하여 기화시키거나, 다수의 디스크의 일부분을 수조에 침지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킴으로써 디스크 표면에 부착된 물을 송풍에 의하여 기화시키는 등의 방식을 사용하는 자연식(송풍식) 가습기도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연식 가습기의 경우, 송풍팬이 외부 공기를 흡인함으로써, 송풍팬에 의해 흡인된 공기가 가습필터를 통과하면서 무화(霧化)된다. 무화된 공기는 가습기 토출구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어, 건조한 실내를 가습 한다.
자연식 가습 장치의 경우, 가습 장치능을 위하여 내부에 물을 수용하는 구조를 가져야 하는 점에서 주로 스탠드형 구조를 가지나, 가습 장치의 외관은 다양한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가습 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를 포함하며,이러한 수조(1)에는 물통(미도시)이 장착되며, 수조(1)의 누름부(11)가 물통의 캡의 로드를 밀어, 물통(미도시)으로부터의 물이 수조로 유입되게 된다.
수조(1)에는 부레(20)가 형성되며, 부레(20)는 수조(1)의 물이 찼을 때, 수명을 따라서 뜰 수 있도록 스티로폼등의 부구(21)와 부구(21)의 상승 위치를 가이드 하는 가이드봉(23) 및 부구(21)의 상승을 제한하는 스토퍼(22)를 포함한다. 이러한, 부레(20)는 수조에 물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며, 그에 따라서, 사용자에게 물통의 물을 충전하라는 물부족 표시를 보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가습 장치에서 물통(미도시)의 물이 수조(1)에 유입되어 부레(20)의 부구(21)가 상승하기 때문에, 물통(미도시)에 물을 충전하여 수조에 장착한 후에도 물통의 물이 수조를 채울 때까지 물부족 신호를 발하게 되며, 반대로 물통의 물이 모두 나온 후에도 수조의 물이 떨어지기 전까지는 물부족 신호를 발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통 혹은 부레(20)는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하므로, 설계 제약사항이 될 뿐만 아니라, 부레(20)가 물통과의 갑섭을 피하기 위하여 수조의 가장자리로 치우치게 되는 경우에 가습 장치의 경사에 의해서 오판을 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정확하면서도 즉각적인 물부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가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계 제약 사항을 제거함으로써, 가습 장치의 기울어짐과 같은 외적 요건에도 정확한 물부족 판단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구성을 정리하여, 수조의 청소가 용이한 가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캡을 가지는 물통 및 상기 물통으로부터의 물이 상기 캡을 통하여 유입되는 수조를 가지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수조의 물을 통하여 공기 중에 수분을 공급하는 가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캡은 수위에 따라서 이동되는 수위 감지부 및 상기 수위 감지부와 일체로 움직이는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자석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가습 장치를 제공한다.
또, 상기 수위 감지부는 부구; 상기 부구를 수용하여 상기 부구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며, 상기 물통의 물이 유입되도록 구성된 유입홀을 포함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구에 상기 자석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은 상기 수조로 물을 공급하는 유로와 상기 수용부로 물이 유입되는 유로가 별도로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유입홀은 부구로 물이 유입되도록 구성된 제 1 유입홀과 수조로 공급되도록 유입되는 제 2 유입홀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 1 유입홀과 제 2 유입홀이 서로 다른 공간과 물통 내부를 연통하도록 상기 부구가 수용되는 제 1 영역과 유출로와 연결된 제 2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용부는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가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부구는 상측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부재는 상기 가이드 돌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홀 또는 상기 가이드 돌출부에는 상기 가이드 홀과 상기 가이드 돌출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출로는 캡 본체에 형성된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수용부 측에 배치되며, 유출로를 개폐하는 실링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상기 실링부와 연결된 로드; 상기 지지부와 로드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로드를 물통 외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가 상기 수조의 누름부에 의해 눌리면서 상기 실링부가 유출로를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부구와 접촉하는 하면은 돌출부 혹은 요철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가습 장치에서 상기 센서는 리드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서 상기 수용부는 구획면에 의해서 제 1 및 제 2 영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구획면은 상기 로드의 움직임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획면의 하방에는 상기 실링부와의 밀착을 막도록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정확하면서도 즉각적인 물부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가습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계 제약 사항을 제거함으로써, 가습 장치의 기울어짐과 같은 외적 요건에도 정확한 물부족 판단 신호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구성을 정리하여, 수조의 청소가 용이한 가습 장치를 제공한다.
도 1 은 종래의 가습 장치에 들어가는 수조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캡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캡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물의 흐름이 도시된 본 발명의 캡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캡의 수용부의 저면을 보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캡을 포함하는 물통이 장착된 가습 장치의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에는 본 발명의 캡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에는 본 ㅂ발명의 캡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보이듯이, 물통(180; 도 6 참조)에 장착되는 캡(100)에는 상부 부재(110)와 하부 부재(130)로 부레(120)를 수용하는 수용부가 형성되며, 수용부의 하부 부재(130)는 캡 본체(140)에 장착된다.
상부 부재(110)는 부레(120)의 가이드 돌출부(121)와 함께 부구(120)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홀(114) 및 상기 가이드 홀(114)에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돌출부와의 접촉 면적을 줄이는 돌출부(115)를 포함하며, 가이드 홀(114)을 둘러싸며, 상면(111)에 형성된 복수의 연통홀(112)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부재(110)는 상기 하부 부재(130)에 안착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안착부(116)를 포함한다.
상부 부재(110)와 하부 부재(130) 사이에 배치되며, 수위 감지부로서 동작하는 부레(120)는 물보다 밀도가 낮은 부구(125)를 수용하는 부구 수용부(122)와 상기 부구(125)에 의해서 상승 혹은 하강되는 부레(120)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도록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 돌출부(121)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돌출부(121)에는 자석(M)을 고정하도록 고정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부구(125)는 상기 자석(M)의 무게와 부레의 전체 무게에도 물에 뜰 수 있는 부재로 선택되며, 스티로폼과 같이 밀도가 낮은 부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부레(120)는 상기 부구(125)를 부구 수용부(122)에 삽입 혹은 장탈할 수 있도록 부구 수용부(122)의 측면에 형성된 고정편(123)을 포함한다.
하부 부재(130)는 부구(120)가 수용되는 제 1 영역(165; 도 3 참조)을 형성하며, 제 1 유입홀(131)이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부재(134);와 캡 본체(140)의 유출로(143)와 연통하는 제 2 영역을 형성하며, 제 2 유입홀(132)이 형성되어 있는 확장부(135);를 포함한다.
상기 확장부(135)와 캡 본체(140) 사이에는 캡 본체(140)에 형성되어 있는 유출로(143)를 개방 혹은 폐쇄하는 실링부(151)가 배치된다. 실링부(151)는 수밀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무와 같은 연질의 탄성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물통(180; 도 6 참조)에 장착되는 캡 본체(140)는 물통(180)에 장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물통 결합면(141), 그 반경방향 내측으로 상기 하부 부재(130)이 장착되도록 구성된 장착부(142) 및 중앙에 물통 내부의 물이 유출되는 통로인 유출로(143)을 포함하며, 유출로(143)에는 유출로(143)의 일부를 막으며 형성되는 지지부(145)가 구비된다.
지지부(145)는 유출로(143)에 연결되어 있으며, 스프링(152)와 같은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스프링(152)은 로드(153)에 끼워지며, 로드(153)의 헤드와 지지부(145)사이에 위치된다.
로드(153)의 헤드 반대측은 상기 스프링(152), 지지부(145)를 통과하여 상기 실링부(151)에 삽입되며, 로드(153)의 움직임에 의해서 상기 실링부(151)가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로드(153)는 상기 스프링(152)에 의해서 실링부(151)가 유출로(143)을 밀봉하도록 가압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힘이 없다면, 캡(100)의 유출로(143)을 통하여 물통(180)의 물이 유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로드(153)는 수조(181; 도 6 참조)에 장착될 때, 수조(181)의 누름부(182; 도 6 참조)에 의해 가압되며, 유출로(143)을 개방한다. 캡의 동작에 대하여는 도 6 과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도 3 에서 보이듯이, 본 발명의 캡(100)은 캡 본체(140)의 장착부(142)와 하부 부재(130)의 확장부(135) 및 하부 부재(130)의 나사면(134a)와 상부 부재(110)의 안착부(116)는 각 부재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하여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캡(100)은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며, 내부의 청소등에 유리하다.
부레(120)는 부구(125)가 부구 수용부(122)의 홈(124)에 끼워지며, 부레(120)의 가이드 돌출부(121)가 상부 부재(110)의 가이드 홀(114)에 삽입되면서 위치 조정된다. 또한, 가이드 홀(114)에서 내부로 돌출된 돌출부(115)에 의해서 가이드 돌출부(121)는 돌출부(115)에만 접촉하므로, 접촉면의 물로 인한 부레(120)의 오작동은 회피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하부 부재(130)는 부레(120)로 유입되는 물의 유로와 유출로(143)로 유출되는 물의 유로가 별도로 형성되어 있다. 즉, 부레(120)는 하부 부재의 원통형 부재(134)와 상부 부재(110) 사이의 제 1 영역(165)에 수용되며, 유출로(143)은 하부 부재(130)의 확장부(135)와 캡 본체(140) 사이의 제 2 영역(166)에 위치하며, 구획면(139)이 두 영역을 구분한다. 각 영역(165, 166)으로 물통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홀(131, 132)이 구비된다.
즉, 부레(120)가 수용된 제 1 영역(165)으로 물이 유입되는 제 1 유입홀(131)은 상기 원통형 부재(134)에 형성되며, 유출로(143)가 위치하는 제 2 영역으로 물이 유입되는 제 2 유입홀(132)은 상기 확장부(135)에 형성된다. 따라서, 몰통의 물이 서로 다른 유입홀을 통하여 다른 영역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각 영역은 서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제 1 영역(165)의 경우 물의 유입에 의해서 부레(120)가 상승되어야 하는데, 유출로(143)가 위치하는 제 2 영역(166)의 경우, 유출로(143)를 통하여 물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물의 유입으로 인하여 상승하려는 부레(120)가 유출로(143)로 빠져나가는 물에 의해서 하방으로 잡아당겨질 수 있다. 이는 부레(120)의 정확한 동작에 악영향을 주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악영향을 막기 위하여, 유로를 별도로 구비하며, 서로 다른 영역에 유출로(143)과 부레(120)를 배치하였다.
이는 도 4 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캡(100)의 사시도인 도 4 에서 보이듯이, 부레(120)를 상승시키기 위한 유로(F2)와 유출로(143)으로 빠져나가기 위한 유로(F1)가 서로 다른 연통홀(131, 132)을 통하여 형성되며, 따라서, 각각의 유로(F1, F2)는 별도로 구비되어, 서로의 유로(F1, F2)에 간섭을 주지 않는다.
다시, 도 3 으로 돌아와서, 제 1 영역(165)으로 유입되는 물은 부레(120)를 상승시키며, 상부 부재(110)에 도달하며, 상부 부재(110)의 상면에 형성된 연통홀(112)을 통하여 빠져나간다.
한편, 제 1 영역(165)의 하면, 즉, 부레(120)가 수용되는 영역의 하면, 즉 구획면(139)의 상면은 부레(120)와 접촉되는 면적을 줄이기 위하여, 돌기부 혹은 요철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초기 동작 시에, 부레(120)와 구획면(139)사이의 물 혹은 마찰로 인하여, 초기에 부레(120)의 상승 움직임이 방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 에 도시되어 있듯이, 유출로(143)에서 로드(153)에 연결되는 실링부(151)는 로드(153)의 실링부 고정홈(151a)에 삽입됨으로써 로드(153)와 일체로 움직인다. 로드(153)가 상승되는 경우에 구획면(139)과 로드(153)가 충돌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구획면(139)은 로드(153)의 상승 위치에 대응되는 부분이 상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볼록부(137)을 포함한다.
상기 로드(153)가 구획면(139)의 볼록부(137)와 충돌되지 않기 때문에, 로드(153)에 연결된 실링부(151)가 구획면(139)와 충돌하게 된다. 실링부(151)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고무와 같이 연질의 탄성 부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충돌이 있더라도 오작동의 문제는 없으나, 실링부(151)가 구획면(139)에 밀착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면(139)의 하면에는 실링부(151)의 밀착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부(138)가 형성되며, 이 돌기부(138)는 실링부(151)가 구획면(139)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출로(143)의 개폐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의 본 발명의 캡(100)을 포함하는 가습 장치(190)의 구조로부터 본 발명의 캡을 포함하는 가습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 에서 보이듯이, 본 발명의 캡(100)은 물통(180)에 장착되며, 물통이 가습 장치(190)의 본체, 구체적으로는, 수조(181)에 장착된다.. 이러한 물통(180)은 물의 충전을 위하여 가습 장치(190)로부터 제거된 후 다시 가습 장치(190)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널리 알려진 구조이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가습 장치(190)에 장착된 물통(180)은 수조(181)의 누름부(182)에 의해서 캡(100)의 로드(153)이 가압되며, 로드(153)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실링부(151)가 막고 있던, 유출로(143)가 개방된다. 그에 따라서, 물통(180)에 차있던 물은 제 2 유입홀(132; 도 3 참조) 및 유출로(143)를 통하여 수조(181)로 유입된다.
한편, 물통(180)은 물을 충전할 때와 수조(181)에 장착할 때, 캡(100)의 위치가 상하방향 반대로 위치하게 되는데, 충전 후 물통(180)이 뒤집히면, 제 1 유입홀(131)을 통하여 제 1 영역(165)으로 물이 유입되며, 유입되는 물은 부레(120)를 상승시킨다. 이와 같이 부레(120)가 상승되면, 부레(120)의 가이드 돌출부(121)에 장착된 자석(M)이 함께 상승된다.
가습 장치(190)는 물통(180)을 기준으로 수조 반대 측의 본체에 리드 센서와 같은 자석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170)가 캡(100)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하며, 따라서, 물통(180)을 수조(181)에 장착하였을 때, 캡(100)의 자석(M)이 상승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가습 장치(190)의 사용으로 수조(181)의 물을 공기 중으로 제공함에 따라서, 물통(180)의 물이 소진되는 경우에, 부레(120)는 물통(180)의 물의 수위에 따라서 하강되게 되며, 그에 따라서 센서(170)와 자석(M)의 간격을 멀어지게 된다.
이렇게 센서(170)와 자석(M)의 간격이 멀어지면, 센서(170)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71)로 신호를 보내게 되고, 제어부(171)는 표시부(172)에 물 부족 신호를 보내어, 사용자에게 물통(180)의 재충전이 필요함을 알리게 된다. 특히, 재충전이 필요한 물통(180)의 물량을 측정하는 것이어서, 수조(181)에 물이 차있는 지 여부 및 수조(181)의 충전을 위한 딜레이가 없다. 이는, 사용자에게 정확한 충전 시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딜레이로 인한 사용자의 오해를 막을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증대시킨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수조에 부레를 설치하였던 것을 물통(180)의 캡(100)에 부레를 일체화시킴으로써, 수조(181)의 구성을 간단하게 할 뿐만 아니라, 물부족 신호를 정확하게 알릴 수 있다. 또한, 부레(120)의 동작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돌출부(115) 및 구획면(139)를 통하여 유출부(143)로의 유로(F1)와 부레(120) 측으로의 유로(F2)를 별도로 구비하여, 물의 유출로 인한 부레의 오작동을 막는다.
나아가, 수조(181)의 구성을 간단히 함으로써, 수조(181)에 위치되는 캡(100)의 위치를 중앙부에 형성되게 하며, 이로 인하여 가습 장치(190)가 기울어지는 경우에도 부레(120)의 오작동을 막을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종래에 널리 알려진 가습 장치(190)의 구체적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였으나,본 발명은 수조(181)와 물통(180)을 사용하는 종래의 어떤 가습 장치(190)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0: 캡 110: 상부 부재
112: 연통홀 114: 가이드 홀
115: 돌출부 116: 안착부
120: 부레 121: 가이드 돌출부
122: 부구 수용부 124: 고정부
125: 부구 130: 하부 부재
131: 제 1 유입홀 132: 제 2 유입홀
134: 원통형 부재 135: 확장부
137: 볼록부 139: 구획면
140: 캡 본체 141: 물통 결합면
142: 장착부 143: 유출로
145: 지지부 151: 실링부
152: 스프링 153: 로드
165: 제 1 영역 166: 제 2 영역
170: 센서 171: 제어부
172: 표시부 180: 물통
181: 수조 182: 누름부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캡을 가지는 물통 및 상기 물통으로부터의 물이 상기 캡을 통하여 유입되는 수조를 가지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수조의 물을 통하여 공기 중에 수분을 공급하는 가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캡은 물통에 장착가능하도록 구성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연결되며 수위에 따라서 이동되는 수위 감지부 및 상기 수위 감지부와 일체로 움직이는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수위 감지부는
    부구;
    상기 부구를 수용하여 상기 부구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며, 상기 물통의 물이 유입되도록 구성된 유입홀을 포함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구에 상기 자석이 장착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자석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수조로 물을 공급하는 유로와 상기 수용부로 물이 유입되는 유로가 별도로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은 부구로 물이 유입되도록 구성된 제 1 유입홀과 수조로 공급되도록 유입되는 제 2 유입홀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 1 유입홀과 제 2 유입홀이 서로 다른 공간과 물통 내부를 연통하도록 상기 부구가 수용되는 제 1 영역과 유출로와 연결된 제 2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장치.
  5. 캡을 가지는 물통 및 상기 물통으로부터의 물이 상기 캡을 통하여 유입되는 수조를 가지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수조의 물을 통하여 공기 중에 수분을 공급하는 가습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캡은 물통에 장착가능하도록 구성된 캡 본체와 상기 캡 본체에 연결되며 수위에 따라서 이동되는 수위 감지부 및 상기 수위 감지부와 일체로 움직이는 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수위 감지부는
    부구;
    상기 부구를 수용하여 상기 부구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며, 상기 물통의 물이 유입되도록 구성된 유입홀을 포함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구에 상기 자석이 장착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자석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부 부재와 하부 부재가 결합되어 구성되며,
    상기 부구는 상측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부재는 상기 가이드 돌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홀 또는 상기 가이드 돌출부에는 상기 가이드 홀과 상기 가이드 돌출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로는 캡 본체에 형성된 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수용부 측에 배치되며, 유출로를 개폐하는 실링부; 상기 지지부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상기 실링부와 연결된 로드; 상기 지지부와 로드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로드를 물통 외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로드가 상기 수조의 누름부에 의해 눌리면서 상기 실링부가 유출로를 개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에서 상기 부구와 접촉하는 하면은 돌출부 혹은 요철 형상을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장치.
  8.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리드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구획면에 의해서 제 1 및 제 2 영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구획면은 상기 로드의 움직임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획면의 하방에는 상기 실링부와의 밀착을 막도록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습 장치.
KR1020110043041A 2011-05-06 2011-05-06 캡-부레 일체형 구조의 물통을 포함하는 가습 장치 KR101826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041A KR101826869B1 (ko) 2011-05-06 2011-05-06 캡-부레 일체형 구조의 물통을 포함하는 가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041A KR101826869B1 (ko) 2011-05-06 2011-05-06 캡-부레 일체형 구조의 물통을 포함하는 가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018A KR20120125018A (ko) 2012-11-14
KR101826869B1 true KR101826869B1 (ko) 2018-02-08

Family

ID=47510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041A KR101826869B1 (ko) 2011-05-06 2011-05-06 캡-부레 일체형 구조의 물통을 포함하는 가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68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13291A1 (en) * 2020-05-22 2021-11-24 Coway Co., Ltd. Air purifi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051B1 (ko) * 2014-12-04 2021-12-17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6369A (ja) 1999-03-16 2000-09-29 Aiwa Co Ltd 加湿器
KR200393257Y1 (ko) 2005-06-08 2005-08-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개폐가 용이한 가습기 물통 캡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6369A (ja) 1999-03-16 2000-09-29 Aiwa Co Ltd 加湿器
KR200393257Y1 (ko) 2005-06-08 2005-08-22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개폐가 용이한 가습기 물통 캡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13291A1 (en) * 2020-05-22 2021-11-24 Coway Co., Ltd. Air pur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5018A (ko)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6476B1 (ko) 누수 방지가 가능한 가습 장치
KR20160123624A (ko) 가습기 및 가전기기
JP7328708B2 (ja) 加湿器
KR20170051229A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1826869B1 (ko) 캡-부레 일체형 구조의 물통을 포함하는 가습 장치
KR20130003437A (ko) 물보충알림 기능을 구비한 가습기 및 상기 가습기의 물 보충 알림 방법
JP2012013361A (ja) 小型加湿機および静電霧化手段搭載の小型加湿機
US11359826B2 (en) Humidifier with flow control arrangement
JP6282995B2 (ja) 加湿装置
JP2013050290A (ja)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CN111033132B (zh) 加湿装置
JP2013032867A (ja)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KR20180072236A (ko) 수조통과 가습조가 일체형 구조를 갖는 가습기
KR20130023559A (ko) 하방향 수증기 배출 방식의 초음파 가습기
JP5824655B2 (ja) 加湿機およびそれを備えた加湿温風機
JP6706753B2 (ja) 空気調和装置
RU183064U1 (ru) Увлажнитель воздуха
JP7379337B2 (ja) 加湿器
KR20120113026A (ko) 가습장치
JP5590563B2 (ja) 加煙試験器
JP2012198755A (ja) 加煙試験器
KR102313639B1 (ko) 가습장치
KR102499719B1 (ko)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센서 실링용 에어 댐퍼 및 이를 구비하는 미세입자 발생장치의 센서 실링 구조
JP2015019798A (ja) 水加熱容器
CN220083213U (zh) 除湿加湿一体机用分箱式储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