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9898B1 - 가습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가습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9898B1
KR102669898B1 KR1020160177119A KR20160177119A KR102669898B1 KR 102669898 B1 KR102669898 B1 KR 102669898B1 KR 1020160177119 A KR1020160177119 A KR 1020160177119A KR 20160177119 A KR20160177119 A KR 20160177119A KR 102669898 B1 KR102669898 B1 KR 102669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midifying
water tank
water
hous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3364A (ko
Inventor
배준형
강상우
백인규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7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9898B1/ko
Publication of KR20180073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9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9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6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using slowly rotating discs for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Abstract

본 발명은 가습부의 실제 가습동작을 장치의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습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는 흡입구를 구비하는 원심팬; 상기 원심팬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구에 대향하는 면에 장착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장착개구와 흡입구 사이에 구비되는 가습수조; 상기 가습수조에 하단 일부가 침지된 상태로 둘레방향으로 회전하는 가습필터; 상기 가습수조에 장착되어 상기 장착개구를 덮도록 구성된 가습물통; 및 상기 가습필터에 회전거동이 일치하게 체결되고 하단 일부가 상기 가습수조에 침지되어 회전시 상기 가습수조에 저장된 물이 표면에 흐르고, 상기 가습물통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는 낙수가이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습공기청정기{AIR CLEANER WITH HUMIDIFICATION}
본 발명은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습필터의 분리가 용이하고, 가습동작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가습동작을 가시화할 수 있는 가습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습공기청정기는 장치본체의 공기흡입부와 송풍팬 사이의 공기유로 상에 공기정화필터와 가습필터가 공기의 유동방향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배치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습공기청정기는 가습필터가 공기정화필터와 송풍팬 사이에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가습필터의 실제로 가습을 구현하는 동작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가습필터가 물을 흡수하는 모습 또는 가습필터의 가습동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장치의 작동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가습필터의 이상여부를 빠르게 판단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3-127331호 및 제2014-202387호에는 가습필터가 공기정화필터와 송풍팬 사이에 배치되어 가습필터의 실제 가습동작이 장치본체의 외부로 가시적으로 표시되지 않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가습공기청정기가 개시되어 있다.
JP 2013-127331 A JP 2014-202387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으로서, 가습부의 실제 가습동작을 장치의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가습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 중 적어도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흡입구를 구비하는 원심팬; 상기 원심팬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구에 대향하는 면에 장착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장착개구와 흡입구 사이에 구비되는 가습수조; 상기 가습수조에 하단 일부가 침지된 상태로 둘레방향으로 회전하는 가습필터; 상기 가습수조에 장착되어 상기 장착개구를 덮도록 구성된 가습물통; 및 상기 가습필터에 회전거동이 일치하게 체결되고 하단 일부가 상기 가습수조에 침지되어 회전시 상기 가습수조에 저장된 물이 표면에 흐르고, 상기 가습물통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는 낙수가이드;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낙수가이드는, 전면이 상기 가습물통을 향하고 후면이 상기 흡입구를 향하는 원판형태의 원판부; 및 상기 원판부의 외곽을 따라 간격을 가지고 구비되며 일측에 물출입구가 형성된 복수의 버킷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장치의 가습동작을 장치의 외부에서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공기청정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습공기청정기의 도어형 프레임이 열린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공기청정기의 가습 운전시의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공기청정기의 비가습 운전시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가습공기청정기에 포함되는 도어형 프레임, 가습수조 및 가습물통이 조립된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가습공기청정기에 포함되는 가습필터 및 환형필터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가습공기청정기에 포함되는 도어형 프레임과 가습수조가 분해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가습공기청정기에 포함되는 가습물통과 도어형 프레임이 분해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가습공기청정기에 포함되는 도어형 프레임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에 포함되는 낙수가이드와 가습필터가 조립된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낙수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의 평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100)는 하우징(110), 원심팬(120), 공기정화필터(131,132), 가습부(200) 및 가습유로전환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100)의 외관을 구성하며,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박스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10)에는 외부 공기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흡입부(111,112)와,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토출부(113)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흡입부(111,112)는 하우징(110)의 좌측면에 형성된 제1 공기흡입부(111)와, 하우징(110)의 우측면에 형성된 제2 공기흡입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토출부(113)는 하우징(110)의 상단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관통구멍 형태의 장착개구(1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장착개구(115)에는 후술할 가습부(200)의 도어형 프레임(26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원심팬(12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심팬(120)은 양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양흡입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측으로만 공기를 흡입하는 단흡입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심팬(120)은 팬케이싱(122)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축이 하우징(110)의 전후 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하우징(11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형성된 제1 공기흡입부(111)와 제2 공기흡입부(112)는 원심팬(120)의 원주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팬케이싱(122)은 원심팬(120)의 원주방향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원심팬(120)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공기토출부(113)로 가이드할 수 있다.
여기서, 팬케이싱(122)의 전면에는 하우징(110)의 전면을 향하는 전면 흡입구(124)가 형성될 수 있고, 팬케이싱(122)의 후면에는 하우징(110)의 후면을 향하는 후면 흡입구(126)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원심팬(120)이 양흡입으로 구성된 경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공기가 원심팬(120)으로 유동하는 제1 유로(116), 제2 유로(117), 제3 유로(118) 및 제4 유로(11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116)는 제1 공기흡입부(111)에서 팬케이싱(122)의 전면 흡입구(124)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117)는 제2 공기흡입부(112)에서 팬케이싱(122)의 전면 흡입구(124)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 유로(118)는 제1 공기흡입부(111)에서 팬케이싱(122)의 후면 흡입구(126)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4 유로(119)는 제2 공기흡입부(112)에서 팬케이싱(122)의 후면 흡입구(126)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기정화필터(131,132)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여과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공기정화필터(131,132)는 원심팬(120)의 원주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기정화필터(131,132)는 제1 공기흡입부(111)에 배치되는 제1 공기정화필터(131)와, 제2 공기흡입부(112)에 배치되는 제2 공기정화필터(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공기흡입부(111)로 유입된 공기는 제1 공기정화필터(131)를 통과하면서 여과될 수 있고, 제2 공기흡입부(112)로 유입된 공기를 제2 공기정화필터(132)를 통과하면서 여과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공기정화필터(131)와 제2 공기정화필터(132)는 서로 다른 정화성능(예를 들어, 탈취, 먼지제거 및 살균 등)을 가지는 필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동일한 정화성능을 가지는 필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습부(200)는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가습하는 장치로서,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원심팬(120)의 축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가습부(200)는 제1 공기정화필터(131) 및 제2 공기정화필터(132)와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습부(200)는 가습필터(210), 가습수조(230), 가습물통(250) 및 도어형 프레임(2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습필터(210)는 가습수조(230)에 저장된 물을 흡수하고 몸체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습하는 부재로서, 제1 공기흡입부(111) 및 제2 공기흡입부(112)에서 팬케이싱(122)의 전면 흡입구(124)로 연결된 제1 유로(116) 및 제2 유로(117)로 유동하는 공기를 가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가습필터(210)는 몸체의 일부가 제1 유로(116)에 배치되고 몸체의 다른 일부가 제2 유로(117)에 배치되도록 팬케이싱(122)의 전면 흡입구(124)의 둘레를 둘러싸는 환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습필터(210)가 환형으로 구성된 경우, 가습필터(210)의 몸체 중에서 좌측에 위치한 부분이 제1 유로(116)에 배치될 수 있고 우측에 위치한 부분이 제2 유로(117)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가습필터(2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환형으로 구성된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제1 유로(116) 및 제2 유로(117)에 각각 배치되는 판상의 필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습수조(230)는 가습용 물을 저장하는 부재로서, 저장한 물을 가습필터(210)에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습수조(230)는 하우징(110)의 전면에 형성된 장착개구(115)에 장착되며 가습수조(230)에는 가습필터(210)의 하단 일부가 침지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습수조(230)는 도어형 프레임(260)에 결합되어, 도어형 프레임(260)이 열리는 경우 하우징(110)에서 인출될 수 있고, 도어형 프레임(260)이 닫히는 경우 하우징(110)에 인입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필터(210)는 가습동작 수행시 가습수조(230)에 하단 일부가 침지된 상태로 둘레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습필터(210)는 회전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강성을 가지는 환형필터프레임(220)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환형필터프레임(2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필터(210)의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으로 이루어진 환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환형필터프레임(220)은 구동유닛의 회전력에 의해 가습필터(2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수조(230)의 내측에는 환형필터프레임(2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부재(23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필터프레임(220)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유닛은 모터부재(미도시)와 모터부재의 회전축에 결합된 동력전달기어(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환평필터프레임에는 동력전달기어(240)의 회전력을 안정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도록 피동기어(2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도어형 프레임(260)이 닫혀서 가습수조(230)가 하우징(110)의 정위치에 인입되면, 가습수조(230)에 안착된 환형필터프레임(220)이 하우징(110)의 내부에 정위치하여 환형필터프레임(220)에 형성된 피동기어(222)가 구동유닛의 동력전달기어(240)에 맞물릴 수 있다. 그리고, 구동유닛이 가동되면 동력전달기어(240)의 회전에 따라 환형필터프레임(220)이 회전하게 되고 환형필터프레임(220)에 회전 거동이 일치하게 장착된 가습필터(210)가 회전하게 된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가습수조(230)의 일측에는 도어형 프레임(260)의 수조연결부(266)에 결합되기 위해 돌출된 물유입부(231)가 구비될 수 있다.
물유입부(231)는 도어형 프레임(260)의 수조연결부(266)에 연결되어 공급유로(267)를 통해 가습수조(230)로 공급되는 물이 가습수조(230)로 유입되는 경로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가습수조(230)의 내부에는 가습수조(230)의 수위를 측정하는 플로트부재(234)가 구비될 수 있다. 플로트부재(234)는 가습수조(230)의 최저수위 및 만수위를 측정할 수 있고, 플로트부재(234)의 수위 측정값에 따라 후술할 밸브부재(268)가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플로트부재(234)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수조(230)의 물유입부(231)에 구비될 수 있고, 플로트부재(234)의 수위 측정 신호를 감지하는 제어부(미도시)는 가습수조(230)의 수위가 물유입부(231)의 바닥까지 하강한 경우 밸브부재(268)를 작동시켜 공급유로(267)가 개방되도록 하여 가습물통(250)에 저장된 물이 가습수조(23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습물통(250)은 가습용 물을 저장하는 부재로서, 도어형 프레임(260)을 매개로 수조에 연결되어 수조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습물통(250)은 도어형 프레임(260)에 결합되어 도어형 프레임(260)과 협력하여 하우징(110)의 장착개구(115)를 개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습물통(250)은 하단에 도어형 프레임(260)이 물통연결부(265)에 장착되면 열리는 노즐부(252)를 구비하고 상단에 개폐 가능한 개구형태의 물공급부(25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공급부(254)는 사용자가 가습물통(250)이 도어형 프레임(260)에 장착된 상태에서 가습물통(250)에 물을 보충할 수 있기 위해 마련된 물 주입 통로이다. 이러한 물공급부(254)는 도어형태의 뚜껑(미도시)을 구비하여 개폐 가능하며, 폐쇄시 공기가 가습물통(250)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기밀하게 폐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가습물통(250)은 도어형 프레임(260)에서 분리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부(256)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가습물통(250)은 가시광선이 투과할 수 있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가습물통(250)을 통해 하우징(110) 내부의 가습필터(210) 및 원심팬(120)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어형 프레임(260)은 가습수조(230) 및 가습물통(250)이 결합되고 하우징(110)의 전면에 형성된 장착개구(115)를 개폐하도록 하우징(110)의 외부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어형 프레임(260)은 가습수조(230)에 저장된 물이 쏟아지지 않도록 하우징(110)의 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도어형 프레임(260)의 일측에는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결합부(261)가 구비될 수 있고, 도어형 프레임(260)의 타측에는 도어형 프레임(260)이 닫힌 경우 닫힌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록킹부(26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도어형 프레임(260)은 가습수조(230), 가습물통(250) 및 하우징(110) 내부의 청소 및 수리 그리고 가습필터(210)의 교체 등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우징(110)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형 프레임(260)은 열린 상태에서 힌지결합부(261)가 하우징(110)에서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도어형 프레임(260)의 상단에는 가습물통(250)의 노즐부(252)가 결합되는 물통연결부(265)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도어형 프레임(260)의 측부에는 가습수조(230)의 물유입부(231)가 결합되는 수조연결부(266)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물통연결부(265)에는 가습물통(250)의 노즐부(252)가 결합된 경우 노즐부(252)를 개방시킬 수 있는 구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어형 프레임(260)의 내부에는 물통연결부(265)와 수조연결부(266) 간에 물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공급유로(267)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가습물통(250)에 저장된 물은 물통연결부(265)를 통해 수조연결부(266)로 유동할 수 있고, 수조연결부(266)로 유동한 물은 가습수조(230)의 물유입부(231)를 통해 가습수조(23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습물통(250)이 도어형 프레임(260)의 물통연결부(265)에 연결되면 노즐부(252)가 상시 개방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가습물통(250)에 물을 보충하기 위해 가습물통(250)의 물공급부(254)를 개방하는 경우 물공급부(254)를 통해 가습물통(25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물의 자중에 의해 가습물통(250)에 저장된 물이 가습수조(230)로 과량 공급되어 가습수조(230)에서 물이 넘칠 수 있다.
따라서, 가습물통(250)을 도어형 프레임(260)에서 분리하지 않고 가습물통(250)에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습물통(250)의 물공급부(254)를 개방하는 경우 가습물통(250)에서 가습수조(230)로 물 공급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도어형 프레임(260)에는 공급유로(267)를 개폐하는 밸브부재(268)가 구비될 수 있다.
밸브부재(268)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급유로(267)를 개폐하여 물통연결부(265)에서 수조연결부(266)로 유동하는 물의 공급을 허용하거나 물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밸브부재(268)는 가습물통(250)이 물통연결부(265)에 장착된 상태에서 가습물통(250)의 물공급부(254)가 개방되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급유로(267)를 폐쇄할 수 있고, 물공급부(254)가 폐쇄된 경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공급유로(267)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가습유로전환부(140)는 가습필터(210)가 배치된 제1 유로(116) 및 제2 유로(117)를 개폐하도록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습유로전환부(140)는 제1 유로(116) 및 제2 유로(117)로 공기가 유동하지 않도록 제1 유로(116) 및 제2 유로(117)를 기밀하게 차폐할 수 있는 차폐판과, 차폐판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100)는, 가습청정 운전모드시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유로전환부(140)가 제1 유로(116) 및 제2 유로(117)를 개방하여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가습할 수 있고, 청정 운전모드시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습유로전환부(140)가 제1 유로(116) 및 제2 유로(117)를 차폐하여 제1 유로(116) 및 제2 유로(117)로 유동하는 공기를 제3 유로(118) 및 제4 유로(119)로 안내함으로써 실내가습 기능이 정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100)는, 공기정화필터(131,132)와 가습필터(210)가 중첩된 위치에 배치되지 않고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므로 하우징(110)에서 가습필터(210)를 분리하기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100)는, 가습물통(250), 가습수조(230) 및 가습필터(210)가 하우징(110)에 도어 형태로 구비된 도어형 프레임(26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도어형 프레임(260)을 여는 동작만으로 가습물통(250), 가습수조(230) 및 가습필터(210)를 하우징(110)에서 인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100)는 투명재질의 가습물통(250)을 통해 가습필터(210) 및 원심팬(120)의 동작을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가습기능 수행에 대한 신뢰성을 제공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공기청정기(100)는 낙수가이드(15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낙수가이드(150)는 가습필터(210)에 회전거동이 일치하게 체결되고 회전시 가습수조(230)에 저장된 물이 표면에 흐르는 부재이다.
또한, 낙수가이드(150)는 가습물통(250)을 통해 하우징(110)의 외부에 가시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러한 낙수가이드(150)는 가습공기청정기(100)의 가습운전시 물이 흐르는 모습을 하우징(110)의 외부에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실제 가습동작을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여 장치의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가습공기청정기(100)의 심미적 기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서, 낙수가이드(150)는 원판부(152), 버킷부(154), 물유동홈(156) 및 가이드 방벽(15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판부(152)는 원판형태의 부재로서 전면이 가습물통(250)을 향하고 후면이 팬케이싱(122)의 전면 흡입구(124)를 향하도록 가습필터(2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판부(152)는 환형으로 구성된 가습필터(210)의 내경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원판부(152)는 후술할 버킷부(154)와 물유동홈(156)의 구조를 통해 물이 전면으로만 흐르고 후면으로는 흐르지 않도록 구성되어 버킷부(154)에서 배출되는 물이 가습필터(210)의 내측 공간을 통해 원심팬(12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원판부(152)는 투명재질로 구성되어 가습필터(210) 및 원심팬(120)을 하우징(110)의 외부에 가시적으로 노출시킬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불투명 재질로 구성될 수동 있다.
단, 원판부(152)가 투명재질로 구성된 경우는 사용자가 투명재질의 가습물통(250)과 원판부(152)를 통해 가습필터(210) 및 원심팬(120)의 동작을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원판부(152)는 빛을 확산시키는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원판부(152)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원판부(152)가 렌즈로 구성된 경우에는 원판부(152) 및 원판부(152)의 표면에 흐르는 물방울이 발광장치의 빛을 하우징(110)의 외부로 확산시켜서, 가습공기청정기(100)의 심미감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버킷부(154)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부(152)의 외곽을 따라 간격을 가지고 구비되며 원판부(152)의 회전시 가습수조(230)에 저장된 물을 내측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버킷부(154)는 원판부(152)의 회전방향을 향하는 측에 물출입구(154a)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낙수가이드(150)가 회전하는 경우 복수의 버킷부(154) 각각은 가습수조(230)에 침지될 때 물출입구(154a)를 통해 내측에 물을 수용하고 원판부(152)의 상부로 이동하면서 수용한 물을 물출입구(154a)를 통해 원판부(152)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배출된 물은 원판부(152)의 표면을 따라 유하하게 된다.
여기서, 버킷부(154)의 물출입구(154a)는 원판부(152)의 전면으로 물을 배출시키도록 원판부(152)의 전면을 향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유동홈(156)은 버킷부(154)에서 배출된 물이 유동하는 유동경로로서, 원판부(152)의 전면에 후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버킷부(154)의 물출입구(154a)에서 원판부(152)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 및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방벽(158)은 버킷부(154)의 일측에 연장되어 물출입구(154a)에서 유출되는 물을 물유동홈(156)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물출입구(154a)에서 유출되는 물이 원판부(152)의 후면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방벽(158)은 전술한 바와 같이 물이 원판부(152)의 전면으로만 흐르고 후면으로는 흐르지 않도록 하는 동작을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낙수가이드(150)는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필터프레임(220)과 가습필터(210) 사이에 결합되어, 가습물통(250)과 가습필터(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100: 가습공기청정기
110: 하우징 111: 제1 공기흡입부
112: 제2 공기흡입부 113: 공기토출부
115: 장착개구 116: 제1 유로
117: 제2 유로 118: 제3 유로
119: 제4 유로 120: 원심팬
122: 팬케이싱 124: 전면 흡입구
126: 후면 흡입구 131: 제1 공기정화필터
132: 제2 공기정화필터 140: 가습유로전환부
150: 낙수가이드 152: 원판부
154: 버킷부 154a: 물출입구
156: 물유동홈 158: 가이드 방벽
200: 가습부 210: 가습필터
220: 환형필터프레임 222: 피동기어
230: 가습수조 231: 물유입부
232: 롤러부재 234: 플로트부재
240: 동력전달기어 250: 가습물통
252: 노즐부 254: 물공급부
256: 손잡이부 260: 도어형 프레임
261: 힌지결합부 262: 록킹부
265: 물통연결부 266: 수조연결부
267: 공급유로 268: 밸브부재

Claims (12)

  1. 흡입구를 구비하는 원심팬;
    상기 원심팬이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흡입구에 대향하는 면에 장착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원심팬의 축방향에 배치되는 가습부;
    를 포함하며,
    상기 가습부는
    상기 장착개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힌지 결합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형 프레임;
    상기 도어형 프레임에 구비되는 물통 연결부에 설치되는 가습물통;
    상기 도어형 프레임에 구비되는 수조 연결부에 설치되며 상기 장착개구와 흡입구 사이에 배치되는 가습수조;
    상기 가습물통에 하단 일부가 침지되며 환형으로 이루어지는 가습필터; 및
    상기 가습필터에 회전거동이 일치하게 체결되고 하단 일부가 상기 가습수조에 침지되어 회전시 상기 가습수조에 저장된 물이 표면에 흐르고, 상기 가습물통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노출되는 낙수가이드;
    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형 프레임에는 상기 물통연결부와 상기 수조연결부 간에 물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된 공급유로가 구비되는 가습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낙수가이드는,
    전면이 상기 가습물통을 향하고 후면이 상기 흡입구를 향하는 원판형태의 원판부; 및
    상기 원판부의 외곽을 따라 간격을 가지고 구비되며 일측에 물출입구가 형성된 복수의 버킷부;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낙수가이드는 상기 물출입구가 상기 원판부의 전면으로 물을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가습공기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낙수가이드는,
    상기 원판부의 전면에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물출입구에서 상기 원판부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된 물유동홈; 및
    상기 버킷부의 일측에 연장되어 상기 물출입구에서 유출되는 물을 상기 물유동홈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방벽;을 더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물통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가습공기청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향하는 전면 흡입구와, 상기 하우징의 후면을 향하는 후면 흡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개구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형성된 가습공기청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좌측면에 제1 공기흡입부를 구비하고 우측면에 제2 공기흡입부를 구비하며, 상단에 공기토출부를 구비하는 가습공기청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흡입부에 배치되는 제1 공기정화필터; 및
    상기 제2 공기흡입부에 배치되는 제2 공기정화필터;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제1 공기흡입부에서 상기 전면 흡입구로 연결되는 제1 유로;
    상기 제2 공기흡입부에서 상기 전면 흡입구로 연결되는 제2 유로;
    상기 제1 공기흡입부에서 상기 후면 흡입구로 연결되는 제3 유로; 및
    상기 제2 공기흡입부에서 상기 후면 흡입구로 연결되는 제4 유로;가 형성된 가습공기청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필터는 몸체의 일부가 상기 제1 유로에 배치되고 몸체의 다른 일부가 상기 제2 유로에 배치되도록 상기 전면 흡입구의 둘레를 둘러싸는 환형으로 구성된 가습공기청정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필터가 장착되는 환형필터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습수조의 내측에는 상기 환형필터프레임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환형필터프레임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이 구비된 가습공기청정기.
  12. 삭제
KR1020160177119A 2016-12-22 가습공기청정기 KR102669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119A KR102669898B1 (ko) 2016-12-22 가습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119A KR102669898B1 (ko) 2016-12-22 가습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364A KR20180073364A (ko) 2018-07-02
KR102669898B1 true KR102669898B1 (ko) 2024-05-29

Family

I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0397A (ja) * 2007-01-23 2008-08-07 Mitsubishi Electric Corp 加湿装置
JP2009121752A (ja) * 2007-11-15 2009-06-04 Panasonic Corp 加湿装置
JP2009250504A (ja) * 2008-04-04 2009-10-29 Panasonic Corp 加湿機能付空気清浄機
JP2011033303A (ja) * 2009-08-05 2011-02-17 Panasonic Corp 加湿装置および加湿機能付空気清浄装置
CN103712286A (zh) * 2013-12-31 2014-04-09 安徽桑乐金股份有限公司 一种木质空气净化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80397A (ja) * 2007-01-23 2008-08-07 Mitsubishi Electric Corp 加湿装置
JP2009121752A (ja) * 2007-11-15 2009-06-04 Panasonic Corp 加湿装置
JP2009250504A (ja) * 2008-04-04 2009-10-29 Panasonic Corp 加湿機能付空気清浄機
JP2011033303A (ja) * 2009-08-05 2011-02-17 Panasonic Corp 加湿装置および加湿機能付空気清浄装置
CN103712286A (zh) * 2013-12-31 2014-04-09 安徽桑乐金股份有限公司 一种木质空气净化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5299B1 (ko) 에어 워셔
KR101225982B1 (ko) 공기청정기
KR102560978B1 (ko) 가습겸용 공기청정기
KR20140078939A (ko) 기화식 가습기
KR20160149871A (ko) 기화식 가습기
JP5953196B2 (ja) 加湿装置
KR101212682B1 (ko) 공기청정기
KR101303629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2313301B1 (ko) 에어 워셔
KR101225981B1 (ko) 공기청정기
KR102669898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2666234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090059725A (ko) 가습공기청정기의 급수장치
KR20120069023A (ko) 가습 공기청정기
KR102541779B1 (ko) 가습 공기청정기
KR102323338B1 (ko) 가습공기 청정기의 제어장치
KR20180073364A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180073363A (ko) 가습공기청정기
KR101801563B1 (ko) 가습 제습 복합기의 댐퍼 프레임 구조
JP6081639B2 (ja) 加湿装置
JP2021055862A (ja) 加湿装置
KR101707838B1 (ko) 토출구 이물질 차단구조를 갖는 가습기
JP7442034B2 (ja) 加湿装置
JP2019174030A (ja) 加湿装置
KR20130019096A (ko) 가습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