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599B1 - 진공 쌀통 - Google Patents

진공 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599B1
KR102266599B1 KR1020200180021A KR20200180021A KR102266599B1 KR 102266599 B1 KR102266599 B1 KR 102266599B1 KR 1020200180021 A KR1020200180021 A KR 1020200180021A KR 20200180021 A KR20200180021 A KR 20200180021A KR 102266599 B1 KR102266599 B1 KR 102266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vacuum
cover
storage container
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균
한강룡
Original Assignee
에스지하이텍 주식회사
주식회사 다온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지하이텍 주식회사, 주식회사 다온시스 filed Critical 에스지하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0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5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 A47J47/06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with arrangements for keeping fre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곡물의 장기간 보관 및 저장을 위해 이용되는 진공 쌀통에 있어서, 진공 쌀통의 외장을 이루며, 상부에 개방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로 하여 하우징의 내부에서 삽탈되며, 곡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마련된 저장용기;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를 덮도록 면적을 가지는 형상으로 구비되되, 일측이 하우징의 상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고, 힌지 결합되는 반대측에는 진공 쌀통을 밀폐시키는 트리거 손잡이가 구비된 덮개 및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구비되며, 덮개로 밀폐된 상태의 하우징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진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외부까지 길이를 가지는 호스형상의 파이프로 구비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석션라인 및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석션라인을 따라 외부로 토출시키는 진공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 쌀통 {Vacuum rice container}
본 발명은 진공 쌀통에 관한 것으로서, 저장공간을 일정 압력의 진공상태로 유지하여 쌀을 포함한 곡물의 과도한 수분증발을 억제하고, 보관 중 곰팡이나 쌀벌레가 생기지 않으며, 곡물이 공기중에 노출되어 산화되는 것을 억제하여 장기간 원상태로 신선하게 저장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가 간단한 진공 쌀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쌀과 같은 곡물을 장기간 보관하기 위해서는 그늘지고 바람이 잘 통하는 선선한 곳에서 보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쌀통은 쌀을 보관하는 용기로 사용되는 것이나, 쌀을 쌀통에서 장기간 보관하게 될 경우에 쌀벌레가 생기고, 습기로 인해서 변질되는 문제가 발생되면서 쌀을 먹지 못하고 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쌀통을 쌀벌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면서 습기를 차단하는 황토나 흙을 구워서 만든 토기로 이루어진 항아리와 같은 저장용기 또는 플라스틱 통을 이용하고 있으나, 황토나 흙을 구워서 만든 항아리는 가격이 매우 비쌀 뿐만 아니라 무게가 무겁고 충격에도 매우 약하여 쉽게 깨지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플라스틱 통의 경우, 장기간 보관시 쌀의 품질이 하락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편, 구내식당이나 음식점과 같이 대량으로 쌀을 소비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저장창고가 구비되어 있거나 짧은 시간 내에 쌀을 소비하기 때문에 쌀통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나, 규모가 작은 식당이나 대부분의 일반 가정에서는 쌀을 쌀통에 넣어 보관하고 있는데,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는 쌀통은 합성수지 재질이나 도자기로 만든 쌀통에 쌀을 보관하고 있다.
정미한 쌀의 보존기간은 계절에 따라 다른데, 쌀이 수확되는 가을부터 이듬해 3월경까지는 쌀 자체가 햅쌀이기 때문에 신선하고 기온도 낮기 때문에 2개월 정도 보존할 수 있지만, 봄이 되면 수확기로부터 반년 정도 지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쌀은 점차 묵은쌀이 되고 기온도 올라가 보존환경이 나빠져서 4-5월경의 보존 기간은 1개월 정도이고, 시간이 더 지나 고온 다습한 여름철이 되면 보존기간은 더 줄어든다.
무더운 여름철을 예로 들어, 기온이 30℃를 넘을 경우, 쌀이 산화되면서 쌀의 질은 뚝 떨어지고 흰 가루가 생기고 맛도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최근에는, 쌀의 산화를 방지하고 신선한 품질을 보존하기 위하여 쌀을 밀폐용기에 보존관하고 있으나,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경우 실내가 항상 따뜻하기 때문에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쌀통은 쌀을 저장하더라도 장기간 보관이 어렵고 조금만 지나면 쌀통에 보관된 쌀이 변색이 된다든가 쌀통에 습기가 차게 되면서 쌀벌레 또는 곰팡이가 발생하게 되므로, 일반 가정에서는 쌀벌레 발생 방지를 위해 쌀통에 마늘을 넣어 둔다든가 다른 여러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등록 제883776호 "진공쌀통", 실용신안등록 제460867호 "진공쌀통", 실용신안공개 제1994-7088호 "진공펌프를 이용한 흡입식 쌀통" 등과 같은 기술들이 출현하였으나, 이들 기술은 모두 구성 자체가 복잡하여 고장 발생이 많고, 저장공간에 비하여 진공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들이 차지하는 부피가 너무 크며, 저장공간을 진공상태로 계속 유지하기가 어렵다는 등 많은 문제가 있어서 실용화되지 못하여, 사용이 용이하고, 저장하고 있는 쌀의 품질을 떨어뜨리지 않기 위해 효과적으로 쌀을 저장하기 위한 진공 쌀통에 관한 기술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은, 저장공간을 일정 압력의 진공상태로 유지하여 쌀을 포함한 곡물의 과도한 수분증발을 억제하고, 보관 중 곰팡이나 쌀벌레가 생기지 않으며, 곡물이 공기중에 노출되어 산화되는 것을 억제하여 장기간 원상태로 신선하게 저장할 수 있으면서도 구조가 간단한 진공 쌀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곡물의 장기간 보관 및 저장을 위해 이용되는 진공 쌀통에 있어서, 진공 쌀통의 외장을 이루며, 상부에 개방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로 하여 하우징의 내부에서 삽탈되며, 곡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마련된 저장용기;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를 덮도록 면적을 가지는 형상으로 구비되되, 일측이 하우징의 상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고, 힌지 결합되는 반대측에는 진공 쌀통을 밀폐시키는 트리거 손잡이가 구비된 덮개 및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구비되며, 덮개로 밀폐된 상태의 하우징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진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외부까지 길이를 가지는 호스형상의 파이프로 구비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석션라인 및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석션라인을 따라 외부로 토출시키는 진공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또는 덮개의 일측에는, 저장용기에 저장된 곡물의 양을 확인하는 확인창 및 진공 쌀통 내부의 상태를 표시하는 LED 안내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리거 손잡이는, 하우징의 상부에서 회동하는 덮개를 하우징의 일측에 락(lock) 시키는 고정 클립 및 진공 상태의 진공 쌀통 덮개 개방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하여 하우징 내부로 진공 쌀통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스프링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가 삽입되는 하우징의 내부 하단에는, 하우징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기 위해 동작하는 진공부와 연동되어, 진공부의 동작시, 저장용기의 하부와 소정 면적 맞닿은 상태에서 진동하여 저장용기에 진동을 인가함으로서 저장용기의 내부 벽면에 달라붙은 곡물 낱알을 떨어뜨리는 진동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는, 곡물의 종류에 따라 곡물을 분리 저장하도록 저장용기의 저장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는, 저장용기의 내측면을 따라 수직하게 형성되며, 저장용기의 일측과 타측에 한쌍으로 구비되되, 저장용기의 상부 모서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에서 삽탈되는 구획 칸막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는, 하우징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조절부는,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와 대면되는 면에 구비되어,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장치 및 상기 덮개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온도 조절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 조절 장치 제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 쌀통은, 하우징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습도 조절부는, 하우징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감지 센서; 하우징 내부의 습도 증가를 위해 사용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 탱크와, 상기 물 저장 탱크에 저장된 물을 전달받아 하우징 내부에 분사하는 물 분사 수단의 조합으로 구비되는 가습 장치; 하우징 내부의 습도 감소를 위해 하우징 내부에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 장치 및 상기 습도 감지 센서를 통해 도출되는 하우징 내부의 습도 정보를 토대로 상기 가습 장치와 제습 장치를 제어하는 습도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 쌀통은, 덮개로부터 하우징에 삽입된 저장용기의 방향으로 인출되어 블레이드의 회전으로 저장용기에 저장된 곡물을 분쇄하는 블레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덮개의 하방 중심에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의 단부와 결합되는 제 1 블레이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중공과 맞물리도록 상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제 1 연장 프레임의 단부와 결합되는 제 2 블레이드 및 상기 제 1 연장 프레임의 중공과 맞물리도록 상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 2 연장 프레임의 단부와 결합되는 제 3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덮개 또는 하우징에 구비되는 블레이드부 조절 스위치에 의해 인출 및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덮개와 맞닿는 저장용기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밀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 부재와 덮개가 맞닿는 테두리의 각각에는, 덮개와 밀폐부재의 밀착 상태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센서가 덮개와 밀폐 부재의 이격을 감지할 경우, 상기 내역을 LED 안내창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 쌀통은, 하우징의 내부에서 부화한 쌀벌레를 감지하는 쌀벌레 감지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쌀벌레 감지 모듈은, 저장용기의 상부 측면 또는 하우징의 상방 또는 덮개의 하방에 구비되어, 날벌레가 비행하며 발생되는 동작 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내역을 LED 안내창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 쌀통은, 저장용기에 저장된 곡물에 향미 조성물을 도포하는 향미유 분사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향미유 분사 장치는, 항미 조성물을 저장하는 향미 조성물 저장 탱크; 상기 향미 조성물 저장 탱크의 내부에 구비되어, 향미 조성물의 분사 압력을 제공하는 향미 조성물 공급 펌프 및 저장용기와 마주보는 덮개의 면 또는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저장용기에 저장된 곡물에 향미 조성물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 쌀통은, 저장용기에 저장된 곡물을 하방 또는 측방으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 쌀통은,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되되, 외부 전원이 차단될 경우, 진공 쌀통에 구비되는 축전지를 통해 동작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은, 저장공간을 일정 압력의 진공상태로 유지하여 쌀을 포함한 곡물의 과도한 수분증발을 억제하고, 보관 중 곰팡이나 쌀벌레가 생기지 않으며, 곡물이 공기중에 노출되어 산화되는 것을 억제하여 장기간 원상태로 신선하게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은, 저장공간 하부에 구비되는 진동모듈로 하여, 저장공간의 벽면에 달라붙은 곡물의 낱알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저장공간을 최대 9 개로 구획하는 칸막이를 구비하여, 각기 다른 곡물을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은, 내부에 구비되는 블레이드로 하여, 곡물을 가루내어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은, 저장공간 내부에서 발생되는 쌀벌레의 동작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서, 곡물을 저장하고 관리하는데 있어 보다 청결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은, 진공 상태를 유지하고 해제하는데 있어 간편하게 사용 가능한 구조로 설계되어,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본 발명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의 예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의 분해도이다.
도 3 은 진공부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부분 투영도이다.
도 4 의 (a) 내지 (c)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리거 손잡이의 자세한 구성과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리거 손잡이의 자세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동작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듈이 구비된 진공 쌀통의 예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기에 구비되는 구획부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조절부가 구비된 진공 쌀통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8 에 도시된 온도 조절부가 구비된 덮개의 저면도와 덮개가 생략된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습도 조절부가 구비된 진공 쌀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부가 구비된 덮개의 사시도이다.
도 12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부가 동작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3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폐 부재에 구비되는 제 1 접촉센서와 덮개에 구비되는 제 2 접촉 센서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쌀벌레 감지 모듈이 구비된 진공 쌀통의 예시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축전지가 구비된 진공 쌀통의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1)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 1 내지 15 를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구체적인 실시 예를 함께 살펴본다.
먼저, 도 1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의 예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의 분해도이며, 도 3 은 진공부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부분 투영도이고, 도 4 의 (a) 내지 (c)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리거 손잡이의 자세한 구성과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5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리거 손잡이의 자세한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동작도이다.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1)은, 하우징(100), 저장용기(200), 덮개(300) 및 진공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하우징(100)은, 진공 쌀통(1)의 전체적인 외장을 이루며,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박스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사각 박스 형상의 하우징(100)은 하나의 예시일 뿐, 원통형 혹은 다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곡물이 담기는 저장용기(200)가 하우징(100)의 내부로 삽탈될 수 있도록 개방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저장용기(20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저장용기(200)의 하방이 하우징(100)에 형성된 개방부(110)의 형상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상기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에 형성된 개방부(110)의 형상이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경우, 상기 저장용기(200) 역시 이에 끼워 맞춤 될 수 있도록 사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에 형성된 개방부(110)의 형상이 원통형과 원형을 가질 경우, 상기 저장용기(200) 역시 이에 끼워 맞춤 될 수 있도록 상, 하방이 원형의 면적을 갖는 원통형의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200)의 내부에는, 저장용기(200)의 구획 공간을 가로지르는 격벽(20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저장용기(200)에는, 상기 격벽(201)이 삽입될 수 있는 격벽 홈(202)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격벽(201)은, 도 1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넓은 면적을 가지는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기(200)는 한번에 두 종류의 곡물, 예를 들어 쌀과 보리를 나눠 담을 수 있어, 한번에 다양한 종류의 곡물을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덮개(300)는,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부(110)를 덮을 수 있는 형상과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300)는, 하우징(100)의 일측과 힌지(H) 결합되어, 힌지(H) 결합되는 위치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H) 결합되는 덮개(300)의 대향되는 위치, 즉, 힌지(H)가 구비되는 덮개(300)의 반대편에는, 하우징(100)의 상부를 덮은 상태를 유지시키고, 하우징(1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킨 후, 밀폐시, 하우징(100)의 내부를 밀폐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트리거 손잡이(31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여, 상기 트리거 손잡이(3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트리거 손잡이(310)는, 고정 클립(311) 및 스프링 샤프트(31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고정 클립(311)은, 하우징(100)과 덮개(300)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도록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동하여 하우징(100)과 덮개(300)를 락(lock)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클립(311)은,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회동하여 하우징(100)에 마련된 수용홈(311c)과 맞물리는 결합돌기(311a)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돌기(311a)의 회동을 조절하기 위해, 고정 클립(311)이 덮개(300)와 결합되는 단부에는 탄성 스프링(311b)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 의 (a) 및 (b) 를 자세히 살펴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 클립(311)의 사용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사용자가 덮개(300)를 하우징(100)의 상부로 덮어 진공 쌀통(1)의 내부를 밀폐 상태로 만들고자 할 경우, 고정 클립(311)의 결합돌기(311a)를 하우징(100)에 마련된 수용홈(311c)에 끼워 넣어 체결함으로서, 진공 쌀통(1)을 밀폐시킬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덮개(300)를 하우징(100)의 상부로 개방시키고자 할 경우, 고정 클립(311)의 탄성 스프링(311b)이 구비되는 위치를 가압하여, 결합돌기(311a)를 수용홈(311c)에서 해제하여, 덮개(300)를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프링 샤프트(312)는, 진공 상태의 진공 쌀통(1)의 덮개(300)를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하여 하우징(100) 내부에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 샤프트(312)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 몸체(312a), 샤프트 몸체(312a)를 복귀 시키는 탄성 스프링(312b), 상기 샤프트 몸체(312a)를 가압하는 샤프트 덮개(312c) 및 진공상태의 저장용기(200)를 외기로 개방시키는 차폐 부재(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의 (a) 및 (b) 를 자세히 살펴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프링 샤프트(312)의 사용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사용자가 진공상태의 진공 쌀통(1)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 스프링 샤프트(312)의 샤프트 몸체(312a)의 상방을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된 샤프트 덮개(312c)를 가압하여, 샤프트 몸체(312a)를 하방으로 내림으로서, 샤프트 몸체(312a)에 체결되어 진공 쌀통(1)을 밀폐시키고 있던 차폐 부재(C)를 하방으로 내려, 외기를 통하게 만듦으로서, 진공 쌀통(1)의 진공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샤프트 덮개(312c)에서 손을 뗄 경우, 상기 샤프트 몸체(312a)는, 샤프트 몸체(312a)의 소정 길이에 형성된 탄성 스프링(312b)에 의해, 샤프트 몸체(312a)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차폐 부재(C)역시 상방으로 이동하여, 다시금 진공 쌀통(1)을 밀폐 상태로 만드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1)은, 고정 클립(311)과 스프링 샤프트(312)가 마련된 트리거 손잡이(310)에 의해 간단한 조작으로 진공 쌀통(1)의 내부를 밀폐 및 진공 상태를 유지하고, 이를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진공부(400)는, 덮개(300)로 덮여 외부 공기로부터 밀폐된 하우징(10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진공부(400)는, 석션라인(410) 및 진공모터(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공부(400)는, 상술된 하우징(100)과 저장공간(20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석션라인(41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외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용기(200)는, 길이를 가지는 석션라인(410)으로 공기를 빨아들이기 위한 석션라인(410)의 단부가 저장용기(200)의 일측에서 끼워 맞춤되거나, 꿰뚫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석션라인(401)의 단부, 즉, 공기 유입구(401)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석션라인(410)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를 가지는 호스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과 저장용기(200)의 사이 공간에서 S 자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모터(420)는, 상기 석션라인(410)의 중단에 구비되어, 석션라인(410) 공기 유입구(401)의 방향, 즉, 저장용기(2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석션라인(410)의 출구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석션라인(410)의 출구로 토출되는 저장용기(200) 내부의 공기는, 저장용기(200)와 하우징(100)의 사이 공간 혹은 진공 쌀통(1)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모터(420)는, 진공 쌀통(1)의 외부에 구비되는 스위치 또는 덮개(300)에 구비되는 제어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진공모터(420)를 동작시키거나, 진공 쌀통(1)의 덮개(300)로 하우징(100)을 밀폐시켰을 때, 자동으로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모터(420)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기설정값에 따라 작동하여, 진공 쌀통(1) 내부의 진공 상태를 꾸준히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 또는 덮개(300)의 일측에는, 저장용기(200)에 저장된 곡물의 양을 사용자의 육안으로 파악하기 위한 확인창(W)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확인창(W)은,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형성될 수 있으며, 투명한 재질 즉, 아크릴 또는 유리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용기(200)의 재질 역시, 사용자가 육안으로 곡물의 양을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유리 또는 아크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저장용기(200)의 높이 방향으로, 저장용기(200)에 담긴 곡물의 용량을 알 수 있는 표기(ml, L)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 또는 덮개(300)의 일방향에는, 진공 쌀통(1) 내부의 상태를 표시하는 LED 안내창(L)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LED 안내창(L)은, 상기 덮개(300) 및 진공부(400) 연동되어, 덮개(300)와 진공부(400)의 동작에 따라 진공 쌀통(1)의 상태를 사용자에게 도시할 수 있다.
사용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덮개(300)가 젖혀져 하우징(100)이 개방된 상태일 경우, 상기 LED 안내창(L)은, 빨간색 불빛 또는 “덮개 개방”이라는 안내 문구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고, 사용자가 덮개(300)를 닫아 하우징(100)을 밀폐 시켰을 경우에는 노란색 불빛 또는 “진공 준비”라는 문구를 출력하고, 진공부(400)가 작동되어 진공 쌀통(1)의 내부가 진공되었을 경우, 파란색 불빛 또는 “진공 완료”라는 문구를 출력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진공 쌀통(1)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진공 쌀통(1)의 진공 및 현재 상태를 안내해주기 위한 모든 알림수단(소리, 진동)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1)은, 저장용기(200)에 저장된 곡물을 진공 쌀통(1)의 하방 또는 측방으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1)은, 사용자가 덮개(300)를 개방시켜 저장용기(200)의 곡물을 퍼내는 것이 아닌, 진공 쌀통(1)의 하방으로 곡물을 배출시킬 수 있어, 보다 사용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듈이 구비된 진공 쌀통의 예시도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1)은, 진동 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동 모듈(150)은, 상기 저장용기(200)가 삽입되는 하우징(100)의 내부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진동 모듈(150)의 위치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저장용기(200)가 삽입되는 하우징(100)의 내부 벽면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진동 모듈(15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기 위해 동작하는 진공부(400)와 연동되어, 진공부(400)의 동작시, 진공 모터(420)의 동작과 함께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 모듈(150)은, 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된 저장용기(200)의 하부와 소정 면적 맞닿은 상태에서 진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진동 모듈(150)이 저장용기(200)와 직접 맞닿아 동작하는 것이 아닌, 진동 모듈(150)에서 연장되는 진동 전달 수단(스프링)에 저장용기(200)를 안착시켜, 저장용기(200)에 진동을 부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동 모듈(150)이 구비된 진공 쌀통(1)은, 저장용기(200)에 진동을 인가함으로서, 저장용기(200)의 내부 벽면에 달라붙은 곡물의 낱알을 떨어뜨려, 보다 위생적인 이용이 가능하며, 저장용기(200)의 표면에 달라붙었던 곡물의 낱알이 하우징(100)과 저장용기(200)의 사이로 낙하하여 진공 쌀통(1)이 오작동 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기에 구비되는 구획부의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저장용기(200)는, 곡물의 종류에 따라 곡물을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저장용기(200)의 저장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획부(210)는, 삽입홈(211)과, 구획 칸막이(21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삽입홈(211)은, 상기 저장용기(200)의 내측면을 따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211)은, 상기 저장용기(200)의 일측과 타측에 한쌍으로 구비되되, 저장용기(200)의 상부 모서리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즉,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 칸막이(212)는, 평평한 판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 칸막이(212)는, 삽입홈(211)의 간격에 맞는 두께와 저장용기(200)의 수평 길이와 상응하는 길이 및 저장용기(200)의 높이와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 칸막이(212) 역시, 상기 복수로 구비된 삽입홈(211)에 끼워 맞춰질 수 있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획 칸막이(212)가 복수로 구비될 경우, 상기 복수의 구획 칸막이(212a, 212b)에는 서로 끼워 맞춰질 수 있는 결합 홈이 마련될 수 있다.
도 7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획부(210)를 자세히 설명하자면, 저장용기(200)에 복수의 삽입홈(211a, 211b)이 마련될 경우, 상기 구획 칸막이(212a)를 상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삽입홈(211a)에 꽂아넣은 후, 구획 칸막이(212a)에 마련된 결합 홈과, 대응되는 위치의 삽입홈(211b)에 다른 구획 칸막이(212b)를 결합하여, 저장용기(200)의 저장 공간을 구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1)의 저장용기(200)는, 보다 가변적으로 저장 공간을 구획할 수 있어, 2 종류 이상의 곡물을 저장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에 맞춰 가변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도 조절부가 구비된 진공 쌀통의 사시도이고, 도 9 는 도 8 에 도시된 온도 조절부가 구비된 덮개의 저면도와 덮개가 생략된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덮개(300)는, 하우징(100)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도 조절부(320)는, 온도 조절 장치(321) 및 온도 조절 장치(321)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 조절 장치 제어 수단(322)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온도 조절 장치(321)는,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부(110)와 대향되는 면에 구비되어, 하우징(100)의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조절 장치(321)로, 펠티어 소자(열전소자)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조절 장치(321)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300)의 하방에 구비되되, 저장용기(200)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조절부(320)는, 온도 감지 센서(3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온도 감지 센서(323)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용기(200)의 내부 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나, 진공 쌀통(1)의 내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라면 가리지 않고 그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조절 장치 제어 수단(322)은, 상기 덮개(30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도 조절 장치 제어 수단(322)은, 상기 온도 조절 장치(321)와 연동되어, 사용자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온도 조절 장치(321)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온도 감지 센서(323)와 연동되어, 자동으로 진공 쌀통(1)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1)은, 진공 쌀통(1) 내부의 온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저장된 곡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습도 조절부가 구비된 진공 쌀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1)은, 하우징(100)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 조절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습도 조절부(500)는, 습도 감지 센서(510), 가습 장치(520) 및 제습 장치(530)를 포함하고, 가습 장치(520)와 제습 장치(530)를 제어하는 습도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습도 감지 센서(510)는, 하우징(100)의 내부 혹은 저장용기(200)의 외부 표면에 구비되어, 진공 쌀통(1)의 밀폐시 내부의 습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습 장치(520)는, 물 저장 탱크(521)와, 물 분사 수단(522)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물 저장 탱크(521)는, 하우징(100)의 내부의 습도 증가를 위해 사용되는 물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분사 수단(522)은, 상기 물 저장 탱크(521)에 저장된 물을 전달받아 하우징(100)의 내부에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습 장치(530)는, 하우징(100) 내부의 습도 감소를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도 저감을 위한 팬(fan)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물 저장 탱크(521)와 물 분사 수단(522)의 조합으로 구비되는 가습 장치(520)와 팬(fan)으로 구비되는 제습 장치(530)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진공 쌀통(1) 내부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열 방식 또는 송풍 방식의 장치가 모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도 제어 모듈은, 상기 습도 감지 센서(510)를 통해 도출되는 진공 쌀통(1) 내부의 습도 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토대로 상기 가습 장치(520)와 제습 장치(5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1)은, 진공 쌀통(1) 내부의 습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저장된 곡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부가 구비된 덮개의 사시도이며, 도 12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블레이드부가 동작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1)은, 덮개(300)로부터 하우징(100)에 삽입된 저장용기(200)의 방향으로 인출되어 블레이드의 회전으로 저장용기(200)에 저장된 곡물을 분쇄하는 블레이드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레이드부(600)는 제 1 블레이드(611)가 구비된 메인 프레임(610), 제 2 블레이드(621)가 구비된 제 1 연장 프레임(620) 및 제 3 블레이드(631)가 구비된 제 2 연장 프레임(63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메인 프레임(61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덮개(300)의 하방 중심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장 프레임(620)은, 상기 메인 프레임(610)의 중공과 맞물리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장 프레임(620)에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연장 프레임(620)의 외곽에는 제 2 블레이드(62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연장 프레임(630)은, 상기 제 2 연장 프레임(620)의 중공과 맞물리도록 상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3 연장 프레임(630)의 단부에는 제 3 블레이드(63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부(600)는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지며, 이때, 상기 블레이드부(600)는 하우징(100) 또는 덮개(300)에 구비되는 블레이드부 조절 스위치(640)에 의해 인출되고,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 조절 스위치(640)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버튼이 구비될 수 있으며, 버튼이 눌림에 의해 블레이드부(600)를 동작 및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부(600)의 동작을 위해, 상기 메인 프레임(610)이 결합된 덮개(200)의 중심에는 모터(M)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1)은, 저장용기(200) 내부에 저장된 곡물을 가루내어, 곡물을 보다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13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폐 부재에 구비되는 제 1 접촉센서와 덮개에 구비되는 제 2 접촉 센서를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1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하우징(100)은, 힌지(H) 결합되어 회동하는 덮개(300)와 맞닿는 저장용기(200)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밀폐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밀폐 부재(120)는, 유체를 이송하는 수도관 또는 파이프간의 빈틈없는 밀폐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오(O)링과 같은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 부재(120)는, 도 2 및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용기(200)의 테두리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 예일 뿐, 하우징(100)의 개방부(110)를 따라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밀폐 부재(120)의 테두리에는, 밀폐 부재(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1 접촉 센서(13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 부재(120)와 맞닿게 되는 덮개(300)에는, 그의 상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제 2 접촉 센서(14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접촉 센서(130)와 제 2 접촉 센서(140)가 맞닿을 경우, 이를 LED 안내창(L)으로 안내하고, 제 1 접촉 센서(130)와 제 2 접촉 센서(140) 간의 이격이 발생할 경우, 상기 내역을 LED 안내창(L)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1)은, 트리거 손잡이(310)로 하여 덮개(300)가 하우징(100)에 완전히 밀착되었는지 알 수 있어, 진공 쌀통(1)의 사용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도 1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쌀벌레 감지 모듈이 구비된 진공 쌀통의 예시도이다.
도 1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1)은, 하우징(100)의 내부에서 부화한 쌀벌레를 감지하는 쌀벌레 감지 모듈(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쌀벌레 감지 모듈(700)은, 도 1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용기(200)의 상부 모서리 또는 하우징(100)의 상방 또는 덮개(300)의 하방에 구비되어, 날벌레가 비행하며 발생되는 동작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쌀벌레 감지 모듈(700)은, 초음파 센서 및 동작 감지 센서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쌀벌레 감지 모듈(700)은, LED 안내창(L)과 연동되어, 쌀벌레의 동작이 감지될 경우, 상기 내역을 LED 안내창(L)으로 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1)은, 저장된 곡물에서 발생되는 쌀벌레 발생 문제에 조치를 취할 수 있어, 위생적인 곡물 관리에 있어 효과적인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1)은, 하우징(100)의 내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장용기(200)에 저장된 곡물에 향미 조성물을 도포하는 향미유 분사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술하기에 앞서, 상기 향미유 분사 장치는, 앞서 상술되었던 물 저장 탱크(521)와, 물 분사 수단(522)의 조합으로 구비되었던 가습 장치(520)와 동일한 구성 요소를 가지고 있으므로, 종래 참조되었던 도 10 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향미유 분사 장치는, 향미 조성물 저장 탱크, 향미 조성물 공급 펌프 및 분사 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향미 조성물 저장 탱크는, 액체 또는 기체 상태의 향미 조성물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향미 조성물 공급 펌프는, 상기 향미 조성물 저장 탱크의 내부 혹은 외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저장된 액체 또는 기체 상태의 향미 조성물에 분사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 노즐은, 저장용기(200)와 마주보는 덮개(300)의 면, 혹은 하우징(100)의 측면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향미 조성물 공급 펌프를 통해 분사 압력을 제공받아 곡물에 향미 조성물을 분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1)은 다양한 소비자의 취향에 맞게 진공 쌀통(1)에 저장된 곡물에 향을 부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된 장점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도 1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축전지가 구비된 진공 쌀통의 예시도이다.
도 1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1)은 축전지(E)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진공 쌀통(1)은 외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진공 쌀통(1)의 외부 전원이 차단될 경우, 진공 쌀통(1)에 구비되는 축전지(E)를 통해 동작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1)은, 외부 전력을 통해 전원을 인가받되, 외부 전원으로부터 가동 전력을 인가받지 못하는 경우에도, 축전지(E)를 이용하여 진공부(40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진공 쌀통(1)의 내부를 꾸준히 진공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 1 내지 도 1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공 쌀통(1)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진공 쌀통
100 : 하우징
110 : 개방부
120 : 밀폐 부재
130 : 제 1 접촉센서
140 : 제 2 접촉센서
150 : 진동 모듈
200 : 저장용기
210 : 구획부
211 : 삽입홈
212 : 구획 칸막이
300 : 덮개
310 : 트리거 손잡이
311 : 고정 클립
312 : 스프링 샤프트
320 : 온도 조절부
321 : 온도 조절 장치
322 : 온도 조절 장치 제어 수단
400 : 진공부
410 : 석션라인
420 : 진공모터
500 : 습도 조절부
510 : 습도 감지 센서
520 : 가습 장치
521 : 물 저장 탱크
522 : 물 분사 수단
530 : 제습 장치
600 : 블레이드부
610 : 메인 프레임
611 : 제 1 블레이드
620 : 제 1 연장 프레임
621 : 제 2 블레이드
630 : 제 2 연장 프레임
631 : 제 3 블레이드
640 : 블레이드부 조절 스위치
700 : 쌀벌레 감지 모듈
H : 힌지
W : 확인창
L : LED 안내창
E : 축전지

Claims (12)

  1. 곡물의 장기간 보관 및 저장을 위해 이용되는 진공 쌀통에 있어서,
    진공 쌀통의 외장을 이루며, 상부에 개방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로 하여 하우징의 내부에서 삽탈되며, 곡물이 저장되는 공간이 마련된 저장용기;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를 덮도록 면적을 가지는 형상으로 구비되되, 일측이 하우징의 상부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고, 힌지 결합되는 반대측에는 진공 쌀통을 밀폐시키는 트리거 손잡이가 구비된 덮개 및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구비되며, 덮개로 밀폐된 상태의 하우징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드는 진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공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외부까지 길이를 가지는 호스형상의 파이프로 구비되어 공기가 유동하는 석션라인 및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기를 석션라인을 따라 외부로 토출시키는 진공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트리거 손잡이는,
    하우징의 상부에서 회동하는 덮개를 하우징의 일측에 락(lock) 시키는 고정 클립 및
    진공 상태의 진공 쌀통 덮개 개방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동작하여 하우징 내부로 진공 쌀통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는 스프링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클립은,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회동하여 하우징에 마련된 수용홈과 맞물리는 결합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돌기의 회동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고정 클립이 덮개와 결합되는 단부에는 탄성 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 샤프트는
    샤프트 몸체, 상기 샤프트 몸체를 복귀 시키는 탄성 스프링, 상기 샤프트 몸체를 가압하는 샤프트 덮개 및 진공상태의 저장용기를 외기로 개방시키는 차폐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진공 상태의 진공 쌀통 덮개를 개방하고자 할 경우, 상기 스프링 샤프트의 상기 샤프트 몸체의 상방을 가압할 수 있도록 마련된 상기 샤프트 덮개를 가압하여, 상기 샤프트 몸체를 하방으로 내림으로서, 상기 샤프트 몸체에 체결되어 상기 진공 쌀통을 밀폐시키고 있던 상기 차폐 부재를 하방으로 내려, 외기를 통하게 만듦으로서, 상기 진공 쌀통의 진공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쌀통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가 삽입되는 하우징의 내부 하단에는,
    하우징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기 위해 동작하는 진공부와 연동되어, 진공부의 동작시, 저장용기의 하부와 소정 면적 맞닿은 상태에서 진동하여 저장용기에 진동을 인가함으로서 저장용기의 내부 벽면에 달라붙은 곡물 낱알을 떨어뜨리는 진동 모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쌀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는,
    곡물의 종류에 따라 곡물을 분리 저장하도록 저장용기의 저장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부는,
    저장용기의 내측면을 따라 수직하게 형성되며, 저장용기의 일측과 타측에 한쌍으로 구비되되, 저장용기의 상부 모서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삽입홈 및
    상기 삽입홈에서 삽탈되는 구획 칸막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쌀통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하우징의 내부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조절부는,
    상기 하우징의 개방부와 대면되는 면에 구비되어, 하우징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 장치 및
    상기 덮개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온도 조절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 조절 장치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쌀통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쌀통은,
    하우징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습도 조절부는,
    하우징 내부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 감지 센서;
    하우징 내부의 습도 증가를 위해 사용되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 탱크와, 상기 물 저장 탱크에 저장된 물을 전달받아 하우징 내부에 분사하는 물 분사 수단의 조합으로 구비되는 가습 장치;
    하우징 내부의 습도 감소를 위해 하우징 내부에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 장치 및
    상기 습도 감지 센서를 통해 도출되는 하우징 내부의 습도 정보를 토대로 상기 가습 장치와 제습 장치를 제어하는 습도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쌀통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쌀통은,
    덮개로부터 하우징에 삽입된 저장용기의 방향으로 인출되어 블레이드의 회전으로 저장용기에 저장된 곡물을 분쇄하는 블레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부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덮개의 하방 중심에 결합되는 메인 프레임의 단부와 결합되는 제 1 블레이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중공과 맞물리도록 상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제 1 연장 프레임의 단부와 결합되는 제 2 블레이드 및
    상기 제 1 연장 프레임의 중공과 맞물리도록 상응하는 직경으로 형성되는 제 2 연장 프레임의 단부와 결합되는 제 3 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부는,
    상기 덮개 또는 하우징에 구비되는 블레이드부 조절 스위치에 의해 인출 및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쌀통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힌지 결합되어 회동하는 덮개와 맞닿는 저장용기의 테두리에 구비되는 밀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 부재와 덮개가 맞닿는 테두리의 각각에는,
    덮개와 밀폐부재의 밀착 상태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센서가 덮개와 밀폐 부재의 이격을 감지할 경우, 상기 감지된 이격 상태를 LED 안내창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쌀통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쌀통은,
    하우징의 내부에서 부화한 쌀벌레를 감지하는 쌀벌레 감지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쌀벌레 감지 모듈은,
    저장용기의 상부 측면 또는 하우징의 상방 또는 덮개의 하방에 구비되어, 날벌레가 비행하며 발생되는 동작 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동작 정보를 LED 안내창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쌀통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쌀통은,
    저장용기에 저장된 곡물에 향미 조성물을 도포하는 향미유 분사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향미유 분사 장치는,
    항미 조성물을 저장하는 향미 조성물 저장 탱크;
    상기 향미 조성물 저장 탱크의 내부에 구비되어, 향미 조성물의 분사 압력을 제공하는 향미 조성물 공급 펌프 및
    저장용기와 마주보는 덮개의 면 또는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저장용기에 저장된 곡물에 향미 조성물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쌀통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쌀통은,
    저장용기에 저장된 곡물을 하방 또는 측방으로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쌀통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쌀통은,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동작되되, 외부 전원이 차단될 경우, 진공 쌀통에 구비되는 축전지를 통해 동작 전원을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쌀통
KR1020200180021A 2020-12-21 2020-12-21 진공 쌀통 KR102266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021A KR102266599B1 (ko) 2020-12-21 2020-12-21 진공 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021A KR102266599B1 (ko) 2020-12-21 2020-12-21 진공 쌀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599B1 true KR102266599B1 (ko) 2021-06-18

Family

ID=76623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021A KR102266599B1 (ko) 2020-12-21 2020-12-21 진공 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5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792B1 (ko) 2022-09-14 2023-02-08 주식회사 비스비바 선입선출 토출 및 토출량 조절이 가능한 진공 곡물 저장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2398A (ja) * 1995-06-07 1996-12-17 Teizo Sato 穀物の磨ぎ洗い機
KR200335890Y1 (ko) * 2003-09-09 2003-12-11 이동광 음식물분쇄기
KR200423881Y1 (ko) * 2006-05-19 2006-08-11 양우연 지시봉
KR100878558B1 (ko) * 2007-06-27 2009-01-15 이준항 질소가스를 이용한 음식물 신선 보관장치
KR101632186B1 (ko) * 2015-11-26 2016-06-22 이정만 음식물 탈취장치
KR101878304B1 (ko) * 2017-04-26 2018-07-16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소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블렌더
KR102147530B1 (ko) * 2019-08-16 2020-08-24 (주)서흥메가텍 진공쌀통
KR20200113123A (ko) * 2019-03-22 2020-10-06 이동희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한 서방형 아염소산 또는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2398A (ja) * 1995-06-07 1996-12-17 Teizo Sato 穀物の磨ぎ洗い機
KR200335890Y1 (ko) * 2003-09-09 2003-12-11 이동광 음식물분쇄기
KR200423881Y1 (ko) * 2006-05-19 2006-08-11 양우연 지시봉
KR100878558B1 (ko) * 2007-06-27 2009-01-15 이준항 질소가스를 이용한 음식물 신선 보관장치
KR101632186B1 (ko) * 2015-11-26 2016-06-22 이정만 음식물 탈취장치
KR101878304B1 (ko) * 2017-04-26 2018-07-16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소음 차단 장치를 포함하는 블렌더
KR20200113123A (ko) * 2019-03-22 2020-10-06 이동희 식품의 신선도를 장기간 유지하기 위한 서방형 아염소산 또는 이산화탄소 방출 키트
KR102147530B1 (ko) * 2019-08-16 2020-08-24 (주)서흥메가텍 진공쌀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792B1 (ko) 2022-09-14 2023-02-08 주식회사 비스비바 선입선출 토출 및 토출량 조절이 가능한 진공 곡물 저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530B1 (ko) 진공쌀통
AU2015210418A1 (en) Bread storage container
US7931052B2 (en) Vacuum storage container
KR102266599B1 (ko) 진공 쌀통
US10034452B2 (en) Pet food dispenser
JP7459255B2 (ja) 引出しの蓋、ならびに引出し内室を監視する方法
JP7328708B2 (ja) 加湿器
KR101381948B1 (ko) 가습기
US10527343B2 (en) Storage container suitable to be used in a refrigerator
US20070056971A1 (en) Vacuum type food container
CN111493706A (zh) 储米装置
JP2010063595A (ja) 飲料供給装置
KR101957387B1 (ko) 자동 배기기능을 갖는 진공 저장용기
KR101575947B1 (ko) 리프팅그릴을 갖는 천장형 먼지집진기
JP2009100890A (ja) 炊飯器
KR101283687B1 (ko) 쌀통
KR20090059777A (ko) 진공 저장용기
CN212424106U (zh) 储米装置
CN111498314A (zh) 储米装置
CN111493707A (zh) 储米装置
JP2879211B2 (ja) 穀類保存容器
KR20220029220A (ko) 장기간 신선하게 저장 가능한 진공쌀통
CN212048806U (zh) 储米装置
JP4123414B2 (ja) 薬剤拡散装置
CN212355068U (zh) 储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