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9777A - 진공 저장용기 - Google Patents

진공 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9777A
KR20090059777A KR1020070126816A KR20070126816A KR20090059777A KR 20090059777 A KR20090059777 A KR 20090059777A KR 1020070126816 A KR1020070126816 A KR 1020070126816A KR 20070126816 A KR20070126816 A KR 20070126816A KR 20090059777 A KR20090059777 A KR 20090059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cover
vacuum
housing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중
Original Assignee
윤성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중 filed Critical 윤성중
Priority to KR1020070126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9777A/ko
Publication of KR20090059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97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되는 식품, 곡물, 약재 등 보관물의 부패를 억제하기 위한 진공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저장용기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수용부가 구비되며, 내용물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개구부가 구비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저장용기의 밀폐를 가능하게 하는 덮개와; 상기 저장용기의 어느 일 위치에 구비되며, 저장용기의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저장용기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밸브와; 상기 덮개의 어느 일 위치에 구비되며, 저장용기의 진공상태를 해제하여 덮개의 개방을 가능하도록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유입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저장용기의 내부에 보관되는 저장물들의 보관이 장기간 이루어질 수 있고, 저장용기의 내부에 오염된 공기를 배출 및/또는 공기의 순환(통풍) 작용이 가능하며, 설치와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진공, 저장용기, 배출밸브, 유입밸브, 부패

Description

진공 저장용기{VACUUM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은 내부의 공간이 진공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진공 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 곡물, 약재 등을 판매, 진열 또는 보관을 위하여 각종 식자재 판매/가공 분야, 약재 류 또는 및 일상적인 업소나 가정에서 사용되는 식품류 및 곡물류 등과 같은 보관 용기들은 공기 중에 포함된 각종 곰팡이 균을 포함한 세균 등에 의해 보관물들이 오염되어 부패하기 때문에 장기간의 보관에 취약한 문제점을 갖는다.
특히, 저장 또는 보관물들의 진열시 수요자들에 의해 미관상 또는 보관물이 외부에서 인식하기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저장용기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외부의 복사열로 인하여 호기성 세균의 번식을 돕기 때문에 보관물들의 부패는 더욱 촉진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저장용기는 통풍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로 내부에 곰팡이 등과 같은 세균에 의해 오염이 발생하는 경우 그 번식은 더욱 촉진되기 때문에 저장용기에 저장되는 보관물들은 저장기간 보관을 위해서는 저장용기로부터 꺼내서 환풍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다시 저장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수반하여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저장용기의 내부에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여 보관이 장기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용기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저장용기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저장용기의 내부에 보관되는 저장물들의 보관이 장기간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저장용기의 내부에 세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저장용기의 내부에 오염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내부의 오염도로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투명한 재질의 저장용기의 경우에도 저장용기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하여 세균의 번식이 억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저장용기의 설치와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저장을 위하여 덮개를 닫는 것으로 용기의 내부에 진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덮개를 열지 않고서도 내부의 공기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진공 저장용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저장용기의 내부가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진공 저장용기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수용부가 구비되며, 내용물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개구부가 구비되는 저장용기와; 저장용기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저장용기의 밀폐를 가능하게 하는 덮개와; 저장용기의 어느 일 위치에 구비되며, 저장용기의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저장용기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밸브와; 덮개의 어느 일 위치에 구비되며, 저장용기의 진공상태를 해제하여 덮개의 개방을 가능하도록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유입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밸브는 덮개의 착탈에 의해 공기의 배출을 위한 유로가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덮개는 저장용기의 수용부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구비되고, 삽입부는 배출밸브를 개방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덮개는 삽입부의 외 측으로 밀봉부재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배출밸브는 저장용기의 일 측에 형성되는 배출구에 결합되어 유로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저장용기의 배출구를 통해 저장용기의 내부로 일단부가 돌출되고, 다른 일 단부는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저장용기의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작동부와;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작동부를 저장용기의 배출구 측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작동부는 저장용기의 내부로 돌출되는 일 단부가 덮개의 결합에 의 해 하우징의 내부로 밀려 유로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유입밸브는 저장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유로는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차단되거나, 진공상태를 해제하도록 연결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유입밸브는 덮개에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며, 나사결합에 의한 회전으로 상부와 하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몸체와; 몸체의 일 단부에 구비되어 저장용기 내측으로 돌출되는 밀봉부와; 몸체의 다른 일 단부에 구비되어 저장용기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몸체와 노브에는 일 단부가 저장용기의 내부로 노출되고, 다른 일 단부가 저장용기의 외부로 노출되는 유로가 형성되며, 밀봉부는 유로의 폐쇄시 덮개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유입밸브는 덮개의 외부에 결합되며, 공기의 유입을 위한 유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우징의 외측으로 배치되어 회전 작동을 위한 노브가 구비되고, 하우징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경사진 하부면으로 구성되는 캠부가 구비되는 작동체와; 덮개의 장착구멍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우징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작동체의 캠부와 접하는 캠부가 구비되고, 덮개의 하부로 돌출되어 덮개의 장착구멍을 개폐하는 밀봉부가 구비되는 종동체와; 종동체와 덮개의 사이에 배치되어 종동체가 덮개의 장착구멍을 밀봉하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밀봉부는 자체가 밀봉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거나, 별도의 밀봉부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진공 저장용기는 배출밸브에 연결되는 배출관과; 배출관에 연결되는 진공펌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출밸브는 덮개의 착탈에 의해 공기의 배출을 위한 유로가 개폐되고, 동시에 공기의 배출을 위한 진공펌프의 작동을 온/오프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용기의 내부에 보관되는 저장물들의 보관이 장기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용기의 내부에 세균의 번식이 억제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용기의 내부에 오염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여 내부의 오염도로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한 재질의 저장용기의 경우에도 저장용기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하여 세균의 번식이 억제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용기의 설치와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을 위하여 덮개를 닫는 것으로 용기의 내부에 진공이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해질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를 열지 않고서도 내부의 공기 순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보관 기간이 장기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진공 저장용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발명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저장용기의 내부가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저장용기(1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용물이 저장 가능하도록 수용부가 구비되는 저장용기(100)와 상기 저장용기(100)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저장용기(100)의 개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덮기(200)가 구비된다.
상기 저장용기(100)의 어느 일 측면에는 저장용기(100)의 내부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밸브(3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밸브(300)는 연결관(500)에 의해 진공펌프(700)와 연결되어 내부 공기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덮개(200)의 어느 일 위치에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유입밸브(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덮개(200)가 상기 저장용기(100)에 덮인 상태에서 배출밸브(300)에 의해 저장용기(100)의 내부에 진공이 이루어진 후에, 상기 저장용기(100)의 내부에 저장된 보관물을 꺼내거나 다시 보관물을 넣으려는 경우, 덮개(200)를 열기 위해서는 저장용기(100) 내부의 진공상태를 해제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공기를 저장용기(100)의 내부로 충진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 유입밸브(400)는 저장용기(100)의 내부 진공상태를 해제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배출밸브(300)의 구성에 대한 일 예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저장용기(100)의 어느 일 측면에 형성되는 배출구(120)와 연결되어 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용기(100)는 덮개(200)가 덮인 상태에서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 배출구(12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배출구(120)의 주위에는 배출밸브(300)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부(1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밸브(300)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결합부(121)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구(120)와 연통되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배출밸브(300)의 다른 일 단부에는 연결관(50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배출구(120)와 배출밸브(300) 및 연결관(500)은 연통되는 상태로 이루어져 저장용기(10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배출밸브(300)는 상기 배출구(120) 주위에 구비되는 결합부(121)에 결합되는 하우징(310)과 상기 하우징(310)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120)와 연통되는 유로를 개폐하는 작동부(3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320)는 탄성부재(34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배출구(120)를 밀폐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배출밸브(300)를 구성하는 하우징(310)은 내부에 상기 작동부(320)와 탄성부재(340)가 구비되는 수용부(311)가 구비되고, 일 측 단부가 상기 결합부(121)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다른 일 단부에는 상기 배출구(120)와 연통되어 유로를 형성하도록 배출구(3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10)의 배출구(312) 주위에는 연결관(500)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312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용기(100)의 배출구(120)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를 밀폐하는 작동부(320)는 상기 탄성부재(340)에 의해 지지되어 배출구(120)로 밀착되는 지지부(322)와 상기 지지부(322)에서 연장되어 상기 배출구(120)를 통해 저장용기(100)의 내부로 일 단부가 돌출되는 로드(3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유로의 밀폐는 상기 작동부(320)의 지지부(322)가 저장용기(100)의 배출구(120)를 밀폐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장용기(10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로드(321)의 일 단부는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덮개(200)에 의해 작동부(320)가 상기 밸출밸브(300)의 수용부(311) 내부로 밀려 들어가도록 하여 배출구(120)(또는 유로)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덮개(20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부 위치에 저장 용기(100)의 개구측에 삽입되어 덮인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삽입부(21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삽입부(210)에 의해 작동부(320)의 로드(321)가 밀려 들어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부(210)와 접촉하게 되는 로드(321)의 단부를 경사면이 형성되어 삽입부(210)와 마찰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배출밸브(300)는 덮개(200)가 덮여지는 것만으로 배출밸브(300)의 개방과 함께 진공을 위한 공기의 배출을 위한 진공펌프(700)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일 예는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동부(320) 및 하우징(310)에 스위치(330)를 구성하는 접점단자(331,332)를 구성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작동부(320)가 덮개(200)에 의해 하우징(310)의 내부로 밀려들어가는 경우, 상기 작동부(320)에 구비되는 접점단자(331)가 하우징(310)에 구비되는 접점단자(332)와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해 진공펌프(700)가 작동되어 배출구(120)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300)의 배출구(312) 측에 구비되는 결합부(312a)에는 상기 하우징(3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접점단자(332)와 연결되는 다른 접점단자(351)가 구비되고, 상기 접점단자(351)는 연결관(500)에 구비되는 접점단자(352)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350)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500)에 구비되는 접점단자(352)는 연결돤(500)을 통해 배선되는 전선을 통해 진공펌프(700)를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커넥너(350)를 구성하지 않고, 하우징(310)의 접점단자(332)로부터 외부로 연결되는 전선을 구비하여 진공펌프(700)를 작동하도록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진공펌프(700)를 작동시키기 위한 다른 구성의 스위치(350a)에 관한 일 예는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동부(320)의 지지부(322)에 자력부재(331a)를 구비하고, 하우징(310)의 어느 일 위치에 상기 자력부재(331a)에 의해 반응하는 홀센서(332a)를 배치하여 스위치(350a)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3a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홀센서(332a)와 연결되는 접점단자(332)를 상기 하우징(300)의 배출구(312) 측에 구비되는 결합부(312a)에 구비하고, 상기 접점단자(332)와 연결되는 다른 접점단자(351)를 상기 연결관(500)에 구비하여 커넥너(35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연결관(500)에 구비되는 접점단자(352)는 연결돤(500)을 통해 배선되는 전선을 통해 진공펌프(700)를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 경우에도, 상기 커넥너(350)를 구성하지 않고, 하우징(310)의 홀센서(332a)로부터 외부로 연결되는 전선을 구비하여 진공펌프(700)를 작동하도록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 덮개(20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저장용기(100)의 개구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단부의 위치에 저장용기(100)의 개구부에 끼워지는 삽입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210)의 외측으로 상기 덮개(200)의 단부 위치에는 밀봉부재(22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밀봉부재(220)는 상기 설명된 배출밸브(300)의 실시예들에 의해 저장용기(100)의 내부가 진공상태로 될 때,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밀봉부재(220)는 삽입부(210)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저장용기(100)의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밀봉부재(11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저장용기(100) 또는 덮개(200)에 구비되는 밀봉부재(110,220)는 밀봉상태의 유지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각 밀봉부재(110,220)는 어느 일 위치에만 형성되거나, 모든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덮개(200)에는 상기 언급된 것과 같이, 진공상태의 해제를 위하여 외부로부터 공기의 유입을 위한 유입밸브(4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유입밸브(400)에 관한 구성의 일 예는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순히 노브(420)의 회전만으로 유로가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입밸브(400)는 덮개(200)를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몸체(4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410)의 일 단부에 노브(420)가 구비되고, 다른 일 단부에는 유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밀봉부(430)가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몸체(410)는 상기 덮개(200)와 나사 결합을 이루도록 하여 나사구조에 의한 회전으로 상부 또는 하부(즉, 덮개의 상부 또는 하부 방향)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410)의 내부에는 측면으로 노출되는 유로(411)와 상기 측면으로 노출되는 유로(411)와 연결되어 몸체(4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41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브(420)는 덮개(2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몸체(4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유로(412)와 연결되어 노브(420)의 외부로 노출되는 유로(4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밸브(400)의 몸체(410)가 덮개(200)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될 때, 상기 각 유로(411,412,421)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는 덮개(200)의 상부와 하부를 연통하도록 하거나, 차단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도 4a의 상태는 유로가 차단된 상태이고, 도 4b는 유로가 개방된 상태이다.
한편, 몸체(410)가 덮개(200)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될 때, 상기 몸체(410)의 일 단부에 구비되는 밀봉부(430)는 덮개(200)의 하부면에 밀착되거나 떨어지게 되어 상기 유입밸브(400)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와 몸체(410)와 덮개(200)의 결합영역 모두가 개방 또는 밀폐되도록 작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밀봉부(430)는 그 자체가 밀봉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거나, 또는 덮개(200)와 접하는 영역에 별도의 밀봉부재(233)를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유입밸브(400)가 결합되는 덮개(200)의 장착부(230)에는 덮개(200)의 하부로 돌출되는 돌부(231)가 더 구비되고, 상기 돌부(231)에 상기 몸체(410)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유로(411)와 연결되는 유로(232)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몸체(410)가 하부로 이동할 때, 상기 몸체(410)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유로(411)는 상기 돌부(231)의 유로(232)와 연결되고, 밀봉부(430)는 덮개(200)의 하부면과 떨어지면서, 상기 돌부(231)의 유로(232)를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덮개의 개방시, 상기 유입밸브(400)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진공상태를 해제하도록 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배출밸브(300)를 통해 저장용기(100)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면서, 상기 유입밸브(400)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오염된 내부 공기를 배출 및/또는 환풍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른 일 예에 따른 유입밸브(400)의 구성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덮개(200)에 결합되는 하우징(4100)과 상기 하우징(4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체(4200) 및 상기 작동체(4200)에 의해 종동되어 상, 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덮개(200)에 결합되는 종동체(4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4100)이 결합되는 상기 덮개(200)에는 하우징(4100)의 결합을 위하여 결합부(2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덮개(200)에 구비되는 결합부(250)는 상기 하우징(410))에 구비되는 결합부(4101)와 결합되어 하우징(4100)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구조는 일반적인 결합구조, 예를 들어 나사 결합 또는 나사 등을 이용한 결합 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다른 알려진 일반적인 결합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4100)에는 공기의 유입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입구(4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작동체(4200)는 도시된 것과 같이 하우징(4100)의 어느 일 위치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42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4210)의 일 단부에는 상기 작동체(4200)의 회전 구동을 위해 하우징(4100)의 외부로 돌출되는 노브(4220)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4210)의 다른 일 단부에는 종동체(4300)의 수직 방향의 작동을 유발하도록 하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캠부(4230)가 하우징(4100)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체(4200)는 노브(4220)의 회전 구동으로 캠부(4230)의 경사면의 위치가 이동되 어 상기 종동체(4300)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작동체(4200)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종동체(4300)는 덮개(200)의 장착구멍(240)을 통해 덮개(200)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는 몸체(4310)와 상기 몸체(4310)의 일 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작동체(420)의 캠부(4230)와 접하게 되는 캠부(432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4310)의 다른 일 단부에는 상기 덮개(200)의 장착구멍(240)을 개폐하는 밀봉부(433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200)의 장착구멍(240)은 상기 몸체(4310)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공기의 유입을 위한 유로를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장착구멍(240)은 몸체(4310)와 밀착되어 밀폐되는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하고, 장착구멍(240)과 인접한 위치에 별도의 유로(미도시)를 형성하여 상기 밀봉부(4330)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밀봉부(4330)는 그 자체가 밀봉 가능한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도시된 것과 같이 별도의 밀봉부재(4331)가 구비되어 밀봉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종동체(4300)는 밀봉부(4330)가 덮개(200)의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탄성부재(440)에 의해 지지되어 장착구멍(240)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 또는 별도로 구비되는 유로를 밀폐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400)는 상기 덮개(200)와 종동체(4300)의 어느 일 위치 사이에 배치되어 종동체(4300)가 상부 방향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종동체(4300)는 상부 위치에 지지부(4320)가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4320)와 덮개(200)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4400)가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유입밸브(400)의 작동체(4200)가 회전을 하여 작동체(4200)의 캠부(4321) 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유입구(4120)와 장착구멍(240)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가 개폐될 수 있다. 도 5a의 상태는 유로가 차단된 상태이고, 도 5b는 유로가 개방된 상태이다.
상기 설명된 도 4a 내지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은 각 실시예에 따른 유입밸브(400)의 구성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저장용기(100)의 내부로 유입되어 배출밸브(300)의 구성에 의해 형성된 진공상태를 해제할 수도 있다. 다른 한편, 배출밸브(300)에 의해 저장용기(100)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면서 상기 유입밸브(400)의 구성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저장용기(10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배출밸브(300)에 의해 저장용기(100)의 내부 공기 배출과 상기 유입밸브(400)에 의해 저장용기(100)의 내부로 외부 공기 유입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통풍 작용이 일어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진공 저장용기(10)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로 구비되고, 각 진공 저장용기(10)는 연결관(500)에 의하여 진공펌프(700)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별도의 어댑터(600)에 의해 상기 각 진공 저장용기(10)의 연결관(500)이 함께 연결되어 진공펌프(700)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진공펌프(700)는 압력계(710)가 구비되는 압력 제어장치가 구비되어 설정된 압력 범위에서 상기 진공 저장용기(10)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여 진공상태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압력계(710)가 구비되는 압력 제어장치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진공펌프(700)에 구비되는 압력 제어장치로 구성되어 공기의 배 출압을 조절하도록 구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원발명은 상기와 같이 설명된 진공 저장용기의 각 실시예들에 따른 구성에 의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진공 저장용기에 관한 각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각의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저장용기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저장용기에 구비되는 배출밸브가 저장용기에 장착된 상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저장용기에 구비되는 배출밸브가 저장용기에 장착된 상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저장용기에 구비되는 배출밸브가 저장용기에 장착된 상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저장용기에 구비되는 유입밸브가 덮개에 장착된 상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유입밸브에 의해 유로가 개방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저장용기에 구비되는 유입밸브가 덮개에 장착된 상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유입밸브에 의해 유로가 개방되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복수의 진공 저장용기가 하나의 진공펌프에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진공 저장용기 100 ... 저장용기
110 ... 밀봉부재 120 ... 배출구
121 ... 결합부 200 ... 덮개
210 ... 삽입부 230 ... 장착부
240 ... 장착구멍 300 ... 배출밸브
310 ... 하우징 320 ... 작동부
340,4400 ... 탄성부재 400 ... 유입밸브
410 ... 몸체 420 ... 노브
430 ... 밀봉부 410 ... 하우징
4200 ... 작동체 4300 ... 종동체
500 ... 연결관 600 ... 어댑터
700 ... 진공펌프

Claims (12)

  1. 내용물이 저장되는 수용부가 구비되며, 내용물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개구부가 구비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저장용기의 밀폐를 가능하게 하는 덮개와;
    상기 저장용기의 어느 일 위치에 구비되며, 저장용기의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저장용기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밸브와;
    상기 덮개의 어느 일 위치에 구비되며, 저장용기의 진공상태를 해제하여 덮개의 개방을 가능하도록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는 유입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저장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밸브는 덮개의 착탈에 의해 공기의 배출을 위한 유로가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저장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저장용기의 수용부로 삽입되는 삽입부가 구비되고, 상기 삽입부는 배출밸브를 개방하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저장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삽입부의 외 측으로 밀봉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저장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밸브는 저장용기의 일 측에 형성되는 배출구에 결합되어 유로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저장용기의 배출구를 통해 저장용기의 내부로 일단부가 돌출되고, 다른 일 단부는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저장용기의 배출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작동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부를 저장용기의 배출구 측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저장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저장용기의 내부로 돌출되는 일 단부가 덮개의 결합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로 밀려 유로가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저장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밸브는 저장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유로는 진공상태를 유지하도록 차단되거나, 진공상태를 해제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저장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밸브는
    덮개에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나사결합되며, 나사결합에 의한 회전으로 상부 와 하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 단부에 구비되어 저장용기 내측으로 돌출되는 밀봉부와;
    상기 몸체의 다른 일 단부에 구비되어 저장용기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몸체와 노브에는 일 단부가 저장용기의 내부로 노출되고, 다른 일 단부가 저장용기의 외부로 노출되는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밀봉부는 유로의 폐쇄시 덮개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저장용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밸브는
    덮개의 외부에 결합되며, 공기의 유입을 위한 유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우징의 외측으로 배치되어 회전 작동을 위한 노브가 구비되고, 하우징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경사진 하부면으로 구성되는 캠부가 구비되는 작동체와;
    상기 덮개의 장착구멍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우징의 내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작동체의 캠부와 접하는 캠부가 구비되고, 덮개의 하부로 돌출되어 덮개의 장착구멍을 개폐하는 밀봉부가 구비되는 종동체와;
    상기 종동체와 덮개의 사이에 배치되어 종동체가 덮개의 장착구멍을 밀봉하도록 지지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저장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는 자체가 밀봉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거나, 별도의 밀봉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저장용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밸브에 연결되는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는 진공펌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저장용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밸브는 덮개의 착탈에 의해 공기의 배출을 위한 유로가 개폐되고, 동시에 공기의 배출을 위한 진공펌프의 작동을 온/오프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저장용기.
KR1020070126816A 2007-12-07 2007-12-07 진공 저장용기 KR200900597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816A KR20090059777A (ko) 2007-12-07 2007-12-07 진공 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816A KR20090059777A (ko) 2007-12-07 2007-12-07 진공 저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9777A true KR20090059777A (ko) 2009-06-11

Family

ID=40989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816A KR20090059777A (ko) 2007-12-07 2007-12-07 진공 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977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6934A (zh) * 2017-11-17 2018-06-29 莫业进 一种家用真空收纳装置
CN108216935A (zh) * 2017-11-17 2018-06-29 莫业进 一种真空储物收纳装置
KR20210123162A (ko) * 2020-04-02 2021-10-13 최지혜 진공 약 보관용기 및 이를 갖는 진공 약 보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16934A (zh) * 2017-11-17 2018-06-29 莫业进 一种家用真空收纳装置
CN108216935A (zh) * 2017-11-17 2018-06-29 莫业进 一种真空储物收纳装置
KR20210123162A (ko) * 2020-04-02 2021-10-13 최지혜 진공 약 보관용기 및 이를 갖는 진공 약 보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1744B2 (en) Water-conducting domestic appliance comprising a detergent dosing system and cartridge therefor
WO2008012513A3 (en) System for transferring bulk material to and from containers
WO2016110118A1 (zh) 无水保活装置及具有该无水保活装置的制冷家电
KR20090059777A (ko) 진공 저장용기
CN111493706A (zh) 储米装置
KR102266599B1 (ko) 진공 쌀통
KR20070062383A (ko)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
KR101957387B1 (ko) 자동 배기기능을 갖는 진공 저장용기
US20210316023A1 (en) Dual-purpose sterilization box
KR102372050B1 (ko) 진공보관함
CN212591802U (zh) 储米装置
CN111498314A (zh) 储米装置
CN213371626U (zh) 储米装置
CN111493705A (zh) 储米装置
CN111493707A (zh) 储米装置
CN212355068U (zh) 储米装置
KR101170429B1 (ko) 납골 단지
CN212720461U (zh) 家电杀菌模块、冰箱
CN212048807U (zh) 储米装置
CN212048806U (zh) 储米装置
CN212048808U (zh) 储米装置
CN212048809U (zh) 储米装置
CN212619615U (zh) 用于家电杀菌模块的安装结构、家电杀菌模块、冰箱
CN212870418U (zh) 具有浊度传感器的底盖结构、家电杀菌模块、冰箱
KR200255232Y1 (ko) 진공보존용기의 공기유출입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