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2050B1 - 진공보관함 - Google Patents

진공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2050B1
KR102372050B1 KR1020200059051A KR20200059051A KR102372050B1 KR 102372050 B1 KR102372050 B1 KR 102372050B1 KR 1020200059051 A KR1020200059051 A KR 1020200059051A KR 20200059051 A KR20200059051 A KR 20200059051A KR 102372050 B1 KR102372050 B1 KR 102372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storage box
vacuum
box body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2343A (ko
Inventor
박민석
손주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이데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이데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이데이
Priority to KR1020200059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2050B1/ko
Publication of KR20210142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in an at least partially rigi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쉽게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겨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원할 때에는 공기가 유입되게 하여 쉽게 개방할 수 있게 한 진공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함체 형상을 이루는 함본체의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개폐커버를 구비한 보관함본체; 상기 보관함본체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된 진공장치; 상기 보관함본체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된 배기마개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마개조립체는, 상기 보관함본체의 일부에 형성된 구멍에 고정되고, 보관홈본체의 안쪽으로 길게 형성된 배기관부에 배기홀가 형성된 본체고정판; 상기 본체고정판의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관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배기버튼; 상기 배기버튼의 안쪽에 설치된 이동로드; 상기 이동로드의 배기버튼과 대향되는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홀을 개폐하는 패킹; 상기 배기버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공보관함{Vacuum storage boxes}
본 발명은 진공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보다 쉽게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원할 때에는 공기가 유입되게 하여 쉽게 개방할 수 있게 한 진공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진공보관함(또는 진공용기)는 일반적으로 음료수, 약물 등을 저장하는 포장 용기로,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내용물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주둥이부에 마개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용기는 단순하게 용기를 밀폐시키는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거나 밀폐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용기들 중에는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하는 진공용기가 있으며, 진공용기와 관련된 기술에는 특허문헌 1내지 4가 있다.
특허문헌 1은 진공용기용 고무밀봉재에 있어서,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빈 공간의 측면 둘레를 둘러싸는 몸통부; 몸통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몸통부 둘레를 따라 설치된 탄성밀폐 날개부; 및 탄성밀폐 날개부 위쪽의 몸통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몸통부 둘레를 따라 설치된 다기능 날개부를 포함하고, 탄성밀폐 날개부에는 탄성밀폐 날개부와 다기능 날개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외부공간과 항상 연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통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진공용기 밀봉재이고,
특허문헌 2는 통기공과 밸브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뚜껑에 결합되어 통기공을 통한 공기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한 체크밸브에 있어서, 탄성재질로 되고, 저면에 가장자리보다 높은 빈 공간을 제공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며, 상하로 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밸브몸체부; 통공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이격한 위치의 통공의 내벽면을 따라 브몸체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밸브몸체부의 두께보다 얇게 그리고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뚜껑과 밸브몸체부 사이의 공간에 부압이 걸리면 뚜껑을 향해 함몰되는 진공표시부; 및 밸브결합부에 결합되어 밸브몸체부를 밸브결합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고, 밸브몸체부의 가장자리 상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링모양을하고 있고, 상방으로 돌출된 가장자리돌기를 구비한 진용공기용 체크밸브이고,
특허문헌 3은 외벽과, 외벽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는 내벽과, 단면이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이 되도록 주름져 형성되며 상변이 각각 외벽의 내측과 내벽의 외측에 교대로 접합되어 외벽과 내벽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샌드위치 판재로 되며, 식품을 수용하는 수용부가 구비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로 된 몸체; 몸체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상판과, 상판으로부터 하부로 이격되는 하판과, 상판과 하판을 서로 연결하며 격자형태로 배치되고 상판과 하판 사이에 빈 코어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보강리브와, 하판의 외곽 하부에 위치하며 몸체의 상단 테두리와 접하여 몸체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패킹부재로 이루어지는 상부커버; 상부커버에 구비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몸체의 수용부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수용부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는 공기 배출부; 상부커버에 구비되며 몸체의 수용부 내부로 공기를 유입되도록 하여 상부커버가 몸체로부터의 분리를 용이하도록 하는 공기 유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몸체는 금속재로 되고, 몸체는 외벽과 내벽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보강테두리가 더 구비되며, 코어부는 측면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되고 상부가 잘린 삼각뿔 형상으로 되며, 하나의 코어부와 이와 인접한 코어부는 서로 상하 대칭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이며,
특허문헌 4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본체의 개방면을 완전히 밀봉되도록 덮을 수 있는 주 덮개 및 주 덮개에 형성되어 본체내부와 연통되는 통기공에 삽입 결합되어 본체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공기통로가 형성되는 진공형성부와 통기공에 삽입되어 진공해제 후에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흐름방지부가 형성된 보조 덮개를 포함하는 휴대용 진공보관용기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진공용기와 관련된 기술이 개발되어 있고, 이러한 마개들 중에 일부는 쉽게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것, 일부는 용기를 밀폐시키는 것 등이 있으나, 종래의 밀폐용 마개의 경우 밀폐하는 기능만이 있을 뿐 내부의 공기를 쉽게 배출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진공용기는 보관 대상 물건을 직접 용기 내부에 보관할 수 있어 다양한 물품을 보관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9762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8809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807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2858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쉽게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원할 때에는 공기가 유입되게 하여 쉽게 개방할 수 있게 한 진공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단의 수납 공간을 구비하여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이 고관된 상자나 그릇을 보관하여 저장할 수 있는 진공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보관함은 용기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도 및 유지하기 위한 진공보관함에 있어서, 함체 형상을 이루는 함본체의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개폐커버를 구비한 보관함본체; 상기 보관함본체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된 진공장치; 상기 보관함본체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된 배기마개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마개조립체는, 상기 보관함본체의 일부에 형성된 구멍에 고정되고, 보관홈본체의 안쪽으로 길게 형성된 배기관부에 배기홀가 형성된 본체고정판; 상기 본체고정판의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관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배기버튼; 상기 배기버튼의 안쪽에 설치된 이동로드; 상기 이동로드의 배기버튼과 대향되는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홀을 개폐하는 패킹; 상기 배기버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기마개조립체의 본체고정판의 내측에는 관체부가 형성되고, 배기마개조립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는 이 관체부에 설치되며, 관체부의 단부에는 커버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마개조립체에는 보관함본체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진공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압력측정수단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보관함은 보다 쉽게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원할 때에는 공기가 유입되게 하여 쉽게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관홈본체의 내부에 다단으로 선박을 설치할 수 있게 수납 공간을 구비하여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이 고관된 상자나 그릇을 보관하여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보관함의 일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보관함의 일부를 개방한 상태에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보관함의 일예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보관함을 구성하는 개폐마개의 분해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보관함을 구성하는 개폐마개의 작동상태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보다 쉽게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원할 때에는 공기가 유입되게 하여 쉽게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진공보관함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체 형상을 이루는 함본체(11)의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개폐커버(12)를 구비한 보관함본체(10); 상기 보관함본체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된 진공장치(20); 상기 보관함본체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된 배기마개조립체(30)를 포함한다.
상기 보관함본체(10)는 내부에 다양한 종류의 보관 대상물을 보관하기 위한 공간을 갖는 상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의 양측벽에는 선반지지턱(11d)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양의 선반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렇게 다단으로 선박을 설치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수나 종류에 맞는 보관 대상물을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보관함본체는 도 2에 도시한 도시와 같이 함본체(11)의 일면에 개폐가능하게 개폐커버(12)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개폐커버는 함본체의 가장자리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고정수단들 사이의 간격을 촘촘하게 설치함에 의해 내부가 진공이 된 상태에서 개폐커버가 압력을 받아 변형되어도 개폐커버의 가장자리와 함본체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게 하였다.
상기 진공장치(20)는 통상의 진공펌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진공펌프는 다양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배기마개조립체(30)는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꺼내기 위해 진공을 해제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관함본체의 일부에 형성된 구멍에 고정되고, 보관홈본체의 안쪽으로 길게 형성된 배기관부(31p)에 배기홀(31h)가 형성된 본체고정판(31); 상기 본체고정판의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관부(31g)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배기버튼(32); 상기 배기버튼의 안쪽에 설치된 이동로드(33); 상기 이동로드의 배기버튼과 대향되는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홀을 개폐하는 패킹(34); 상기 배기버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고정판(31)은 배기마개조립체를 함본체에 고정시키고,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함본체의 내부를 향한 내측에는 관체부가 형성되고, 배기마개조립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는 이 관체부에 설치된다.
물론 상기 관체부는 본체고정판의 중앙에 형성되고, 관체부의 단부에는 커버(36)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커버(36)은 관체부의 내부에 배기마개조립체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설치하기 위해 개방된 관체부 단부를 막아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배기마개조립체 구성 요소들을 설치한 후 장시간 사용할 때 구성 요소 중 일부가 관체부로부터 분리되어 함본체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체고정판(31)의 외면에는 나팔 형상으로 가이드관부(31g)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관부에 상기한 배기버튼(32)이 설치된다.
물론 상기 가이드관부(31g)의 단부는 배기버튼의 외경과 유사한 지름을 갖는 부분이 일정거리 연장되어 있어 배기버튼이 용이하게 작동되게 하였다.
상기 배기버튼(32)은 패킹(34)이 배기관부(31p)에 형성된 배기홀(31h)로부터 이탈되도록 눌러주기 위한 것으로, 그 일면에 상기 이동로드(33)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로드(33)에 상기 패킹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기홀(31h)이 형성된 부분은 도시한 바와 같이 위쪽으로 가면서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되는 패킹(34) 또한 외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기버튼(32)은 스프링(35)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보관함의 내부에 내용물이 저장된 상태에서는 패킹이 배기홀 측으로 밀려 배기홀이 막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도 5 (a) 참조), 배기버튼이 눌려지면 이동로드와 패킹이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 배기홀이 개방되어(도 5 (b)참조) 보관함 내부로 공기가 유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진공보관함은 상기 배기마개조립체에 보관함본체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진공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압력측정수단(40)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압력측정수단(40)은 진공보관함내부의 공기압을 측정하여 공기압이 설정된 압력 이상일 경우 진공장치를 작동시켜 보관함 내부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진공보관함은 상기 함본체(11)의 내부의 양측벽에는 다단으로 선반지지턱(11d)이 형성되어 다수의 선반을 탈착 가능하게 더 설치할 수 있게 하였다.
10: 보관함본체
11: 함본체 11d: 선반지지턱
12: 개폐커버
20: 진공장치
30: 배기마개조립체
31: 본체고정판 31g: 가이드관부
31p: 배기관부 31h: 배기홀
32: 배기버튼
33: 이동로드
34: 패킹
35: 스프링
36: 커버
40: 압력측정수단

Claims (3)

  1. 용기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도 및 유지하기 위한 진공보관함으로,
    함체 형상을 이루는 함본체(11)의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개폐커버(12)를 구비한 보관함본체(10); 상기 보관함본체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된 진공장치(20); 상기 보관함본체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된 배기마개조립체(30); 상기 보관함본체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진공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압력측정수단(40)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마개조립체(30)는, 상기 보관함본체의 일부에 형성된 구멍에 고정되고, 보관홈본체의 안쪽으로 길게 형성된 배기관부(31p)에 배기홀(31h)가 형성된 본체고정판(31); 상기 본체고정판의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관부(31g)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배기버튼(32); 상기 배기버튼의 안쪽에 설치된 이동로드(33); 상기 이동로드의 배기버튼과 대향되는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홀을 개폐하는 패킹(34); 상기 배기버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35); 상기 배기마개조립체의 본체고정판의 내측에 형성된 관체부의 단부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커버(36)를 포함하는 진공보관함에 있어서,
    상기 함본체(11)의 내부의 양측벽에는 다단으로 선반지지턱(11d)이 형성되어 다수의 선반을 탈착 가능하게 더 설치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보관함.
  2. 삭제
  3. 삭제
KR1020200059051A 2020-05-18 2020-05-18 진공보관함 KR102372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051A KR102372050B1 (ko) 2020-05-18 2020-05-18 진공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051A KR102372050B1 (ko) 2020-05-18 2020-05-18 진공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343A KR20210142343A (ko) 2021-11-25
KR102372050B1 true KR102372050B1 (ko) 2022-03-10

Family

ID=78745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051A KR102372050B1 (ko) 2020-05-18 2020-05-18 진공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20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75291B (zh) * 2022-01-07 2023-06-20 深圳奥凯普电容器有限公司 一种提高产品质量的电容器半成品抽真空保存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138B1 (ko) * 2015-11-19 2016-03-08 이정철 진공 음식물쓰레기통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9069B1 (ko) * 2003-02-11 2004-04-29 권만현 식품 보존용 진공 용기
KR101395317B1 (ko) 2012-07-31 2014-05-16 주식회사 보루인터내셔날 진공용기용 고무밀봉재 및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KR101388092B1 (ko) 2013-02-22 2014-04-22 박소규 진공용기용 체크밸브와 이를 이용한 진공용기 뚜껑
KR101668071B1 (ko) 2015-06-09 2016-10-21 강동수 샌드위치 구조체를 가지는 진공용기
KR101932492B1 (ko) * 2016-08-16 2018-12-26 박수민 밀폐용기용 진공펌프 및 이를 구비한 밀폐용기
KR102015281B1 (ko) 2017-05-24 2019-08-28 씨티엠(주) 휴대용 진공보관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138B1 (ko) * 2015-11-19 2016-03-08 이정철 진공 음식물쓰레기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343A (ko)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3048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US6789690B2 (en) Hose direct canister lid
KR20090004924A (ko) 진공 저장 용기
KR20150110035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102372050B1 (ko) 진공보관함
US10589905B2 (en) Airtight container
KR20150111213A (ko)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20150110037A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KR20200000714U (ko) 도시락 용기
US11844412B2 (en) Cosmetic container
KR101114434B1 (ko) 진공 패킹이 설치된 진공 용기
KR102297218B1 (ko) 화장품 용기
KR102349294B1 (ko) 화장품 용기
EP3964452A1 (en) Sealing packing coupled to container lid
US20230080132A1 (en) Box for preservation under vacuum and vacuum-application system comprising such a box
KR102245650B1 (ko) 화장품 용기
KR101213047B1 (ko) 에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EP2904931A9 (en) Cream type cosmetic container
KR102125639B1 (ko) 진공용기
JP5962433B2 (ja) 加圧注出式液体容器
KR101780035B1 (ko) 밀폐용기
KR102245542B1 (ko) 화장품 용기
KR101845361B1 (ko) 트레이 용기 구조체
KR101751982B1 (ko)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CN210870265U (zh) 化妆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