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071B1 - 샌드위치 구조체를 가지는 진공용기 - Google Patents

샌드위치 구조체를 가지는 진공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071B1
KR101668071B1 KR1020150081273A KR20150081273A KR101668071B1 KR 101668071 B1 KR101668071 B1 KR 101668071B1 KR 1020150081273 A KR1020150081273 A KR 1020150081273A KR 20150081273 A KR20150081273 A KR 20150081273A KR 101668071 B1 KR101668071 B1 KR 101668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vacuum
air
upper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수
고석천
양동열
이성욱
황준선
이동효
Original Assignee
강동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수 filed Critical 강동수
Priority to KR1020150081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80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0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35Swingable handles
    • B65D25/2838Swingable handles provided on a local area of the side wall(s)
    • B65D25/2841Horizontal, e.g. U-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진공용기는 외벽(11)과, 상기 외벽(11)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는 내벽(12)과, 단면이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이 되도록 주름져 형성되며 상변이 각각 상기 외벽(11)의 내측과 상기 내벽(12)의 외측에 교대로 접합되어 상기 외벽(11)과 내벽(12) 사이에 중공부(13)가 형성되도록 하는 연결부(14)로 이루어지며, 식품을 수용하는 수용부(15)가 구비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로 된 몸체(10); 상기 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상판(21)과, 상기 상판(21)으로부터 하부로 이격되는 하판(22)과, 상기 상판(21)과 하판(22)을 서로 연결하며 격자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상판(21)과 하판(22) 사이에 빈 코어부(23)가 형성되도록 하는 보강리브(24)와, 상기 하판(22)의 외곽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10)의 상단 테두리와 접하여 상기 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패킹부재(25)로 이루어지는 상부커버(20); 상기 상부커버(20)에 구비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5)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수용부(15)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는 공기 배출부(30); 상기 상부커버(20)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5) 내부로 공기를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커버(20)가 상기 몸체(10)로부터의 분리를 용이하도록 하는 공기 유입부(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샌드위치 구조체를 가지는 진공용기{Vacuum Container with Sandwich Structure}
본 발명은 샌드위치 구조체를 가지는 진공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식재료 보관 시 신선도 및 보관기간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공으로 저장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샌드위치 구조체를 가지는 진공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야채와 생선 등의 식품은 외부 공기와의 접촉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생물이나 산소 등과 같은 기타 유해성 물질과의 접촉으로 인해 쉽게 변질되면서 부패가 진행되며, 발효성 식품의 경우 미생물의 번식이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식품의 발효 및 숙성 속도가 급속하게 진행되어 보존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식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랩이나 비닐봉투에 식품 및 음식물을 포장하여 냉장고에 보관하고 있는 실정이나, 이러한 냉장고를 이용한 보관형태는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은 가능하나, 장기적으로는 음식물이 부패하여 보관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식품을 장기관 보관하기 위하여 진공을 이용하여 식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으로 시도되고 있다.
일예로는 냉장고 내부에 진공저장 공간을 설치하여 식재료의 신선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이 있으며, 이는 한국특허등록 제10-0672476호(발명의 명칭: 진공저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장치는 냉장고에 진공용기가 일체형으로 구속되어 있어 분리하기 어려운 형태이며, 상기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다른 공간에서 식재료의 장시간 보관이 어렵고 이동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는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용기를 사용하고 있는 방안이 있으며, 이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383158호(고안의 명칭: 진공 식품용기와 진공저장고)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용기는 공기를 흡입 배출하는 진공밸브가 구비되도록 하여 용기 내부의 진공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진공상태를 유지하며 용기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기의 외벽 구조에 대한 내용이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고 일반용기와 같은 단순한 일체형 용기의 외벽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고압의 진공도를 유지하며 용기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용기의 외벽이 두꺼워져야 하며, 용기의 외벽이 두꺼워짐에 따른 용기의 무게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냉장고에 기존의 플라스틱류의 진공 용기에 식재료를 담아 보관하면 플라스틱의 낮은 열전달 특성에 의해 식재료의 냉각 효과가 떨어져 신선도 향상에 크게 기여를 하지 못한다. 냉각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금속 소재를 이용할 경우, 진공압을 견디기 위하여 일정 두께 이상의 금속 소재를 이용하여야 하는데 이는 진공용기의 무게를 증가시켜 이동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그리고 경량금속인 알루미늄과 마그네슘의 경우, 식재료의 수분에 의한 부식 및 안전성 문제와 가격적인 측면에서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고압의 진공도를 유지할 수 있고, 용기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높은 열전달 특성을 가지면서, 경량화를 이룩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의 외벽구조를 갖는 진공용기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의 진공도를 유지할 수 있고, 용기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높은 열전달 특성을 가지면서, 경량화를 이룩할 수 있도록 하는 진공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공용기는 외벽(11)과, 상기 외벽(11)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는 내벽(12)과, 단면이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이 되도록 주름져 형성되며 상변이 각각 상기 외벽(11)의 내측과 상기 내벽(12)의 외측에 교대로 접합되어 상기 외벽(11)과 내벽(12) 사이에 중공부(13)가 형성되도록 하는 연결부(14)로 이루어지며, 식품을 수용하는 수용부(15)가 구비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로 된 몸체(10); 상기 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상판(21)과, 상기 상판(21)으로부터 하부로 이격되는 하판(22)과, 상기 상판(21)과 하판(22)을 서로 연결하며 격자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상판(21)과 하판(22) 사이에 빈 코어부(23)가 형성되도록 하는 보강리브(24)와, 상기 하판(22)의 외곽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10)의 상단 테두리와 접하여 상기 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패킹부재(25)로 이루어지는 상부커버(20); 상기 상부커버(20)에 구비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5)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수용부(15)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는 공기 배출부(30); 상기 상부커버(20)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5) 내부로 공기를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커버(20)가 상기 몸체(10)로부터의 분리를 용이하도록 하는 공기 유입부(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몸체(10)는 금속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몸체(10)는 상기 외벽(11)과 내벽(12)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보강테두리(16)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어부(23)는 측면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되고 상부가 잘린 삼각뿔 형상으로 되며, 하나의 코어부(23)와 이와 인접한 코어부(23)는 서로 상하 대칭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판(21)과 하판(22)은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10)를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로 되며, 각각의 측면과 하면에는 상기 몸체(10)가 노출되도록 노출공(51)이 형성되고, 일측면과 이와 대향되는 면에는 손으로 잡고 이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52)가 구비된 케이스(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케이스(50)의 상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보강테두리(16)이 삽입되어 상기 몸체(10)가 상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테(5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를 극복하기 위하여 일정 두께이상의 금속 판재를 이용하면 진공용기의 무게가 증가하여 보관 및 이동에 어려움을 가지는 종래의 진공용기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샌드위치 구조로 되고, 3차원 형상의 내부 트러스 구조를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높은 강성을 가지므로 높은 진공압을 견딜 수 있어 상기 몸체(10)가 찌그러지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경량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육류와 같은 식료품의 냉장 보관시 기존의 플라스틱 수지를 이용한 제품의 경우 단열 효과로 인하여 냉각 보관의 이점이 떨어지는 단점을 보완하여 금속재질로 되도록 함으로써 냉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샌드위치 판재를 분할하여 제작 후 접합함으로써 제작의 용이성이 뛰어나며, 외부 케이스로 플라스틱 소재(낮은 열전달 물질)를 이용함으로써 냉장고에서 꺼내 실내에서 보관 시 접촉에 의해 외부로 온도가 빠지는 속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용기에서 상부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용기에서 상부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용기에서 상부커버를 제외한 진공용기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동일한 무게의 금속 판재의 진공 상에서의 변형을 해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용기에서 몸체를 이루는 샌드위치 판재의 조립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용기에서 상부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용기에서 공기 배출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용기에서 상부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용기에서 상부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용기에서 상부커버를 제외한 진공용기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용기는 크게 몸체(10), 상부커버(20), 공기 배출부(30) 및 공기 유입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식품을 수용하는 수용부(15)가 구비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로 되며, 외벽(11)과, 내벽(12) 및 연결부(14)로 이루어지는 샌드위치 판재로 된다.
상기 외벽(11)은 상기 몸체(10)의 외형을 이루는 것으로 일반적인 직육면체 형상으로 되며, 상부가 개방된다.
상기 내벽(12)은 상기 외벽(11)과 함께 외측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벽(11)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며, 상기 외벽(11)과 동일한 형상으로 되고, 상부가 개방된다.
상기 연결부(14)는 지그재그로 상하에 교대로 골이 형성되며, 단면이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이 되고, 상변이 각각 상기 외벽(11)의 내측과 상기 내벽(12)의 외측에 교대로 접합되어 상기 내벽(12)과 외벽(11)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외벽(11)과 내벽(12)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몸체(10)는 상기 외벽(11), 내벽(12) 및 연결부(14)에 의해 샌드위치 구조로 되고, 3차원 형상의 내부 트러스 구조를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높은 진공압을 견딜 수 있어 상기 몸체(10)가 찌그러지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경량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도 5는 3차원 형상의 내부 트러스 구조를 갖는 금속 판재의 진공 상에서의 변형을 해석한 결과이다. 이때, 용기 외부의 압력은 대기압이고 용기 내부의 진공압은 700torr 로 가정하였을 때의 금속 판재의 변형을 나타낸다. 3차원 형상의 내부 트러스 구조를 갖지 않는 동일한 무게로 된 금속판재는 최대변형량이 1.69mm로 나타났으며, 3차원 형상의 내부 트러스 구조를 갖는 금속 판재의 경우에는 최대변형량이 0.12mm로 3차원 형상의 내부 트러스 구조를 갖는 금속판재의 변형량이 1/14 이하로 적게 나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6은 몸체(10)를 이루는 샌드위치 판재의 조립형상으로, 샌드위치 판재 제작의 편의성을 위하여 세 개의 분리된 파트(곡면부, 평탄부, 연결부)로 제작 후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작한다. (a)는 조립 후의 진공용기형 샌드위치 판재의 사시도 형상이며, (b)는 곡면부 샌드위치 판재 형상이며, (c)는 평탄부 샌드위치 판재 형상이며, (d)는 곡면부와 평탄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이다.
상기 외벽(11)과 내벽(12) 및 연결부(14)의 접합은 브레이징에 의해 접합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외벽(11)과 내벽(12)의 상단부, 즉, 상기 몸체(10)의 상단부는 상기 상부커버(20)와 접하는 부위로서 상기 몸체(10) 수용부(15)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상태를 이룰 때 상기 몸체(10) 수용부(15)의 진공압력이 크게 작용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외벽(11)과 내벽(12)의 상단부를 보강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외벽(11)과 내벽(12)의 상단부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외벽(11)과 내벽(12)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보강테두리(16)을 구비하도록 한다. 상기 보강테두리(16)은 강성을 갖는 재질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커버(20)는 상기 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상기 상판(21)과, 상기 상판(21)으로부터 하부로 이격되는 하판(22) 및 상기 상판(21)과 상기 하판(22)을 연결하는 보강리브(24)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리브(24)는 도 7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상판(21)과 하판(22)을 서로 연결하며, (a)에서와 같이 격자형태로 배치되고, (c)에서와 같이 상기 상판(21)과 하판(22) 사이에 빈 코어부(23)가 형성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상부커버(20)의 상기 하판(22) 외곽 하부에는 상기 몸체(10)의 상단 테두리와 접하여 상기 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패킹부재(25)가 구비된다.
상기 공기 배출부(30)는 상기 상부커버(20)에 구비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펌프(미도시됨)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5)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수용부(15)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기 배출부(30)는 한국실용공개 제20-2010-0004618호(고안의 명칭: 진공 포장팩용 체크밸브)에 개시된 체크밸브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이를 도 8에 도시하였다.
상기 공기 배출부(30)는 도 8에서와 같이 상부커버(20)에 구비된 공기 배출구(31)와 상기 공기 배출구(31) 외부에 설치되어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공기 배출구(31)를 통해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흡입관(32)과, 진공펌프와 흡입관(32) 연결시 상부로 이동되어 공기의 배출을 위한 개방 또는 하부로 이동되어 진공용기 내부의 진공압을 유지시키도록 하기 위한 폐쇄를 하는 승강로드(33)와, 상기 흡입관(32)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로드(33)가 안착되어 진공용기를 폐쇄시키도록 하는 브라켓(34)과, 상기 브라켓(34)에 탄지되어 승강로드(33)를 하강시켜 공기 배출구(31)를 폐쇄시키는 스프링(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기 배출부(30)의 승강로드(33)는 스프링(35)이 탄지되어 진공펌프와 흡입관()을 연결하여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5)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게 될 때 상승하여 공기 배출구(31)를 개방시키고, 진공펌프와 분리시키면 스프링(35)의 탄성력에 의해 하강되어 공기 배출구(31)를 폐쇄되도록 한다.
상기 공기 배출부(30)는 한국등록특허 제10-1114434호(발명의 명칭: 진공 패킹이 설치된 진공 용기)에 개시된 진공패킹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이를 도 9에 도시하였다.
진공패킹 형태로 된 상기 공기 배출부(30)는 상기 공기 배출구(31)의 바깥 방향에 위치하고 있고, 중앙에 상기 상부커버(20)의 안쪽 방향으로 굽힘홈(36a)을 가지는 패킹 몸체(36), 상기 패킹 몸체(36)의 일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커버(20)에 접촉되는 용기 접촉면을 가지고, 상기 공기 배출구(31)의 바깥 둘레에 접촉되어 있는 용기 실링체(37), 상기 용기 실링체(37)의 일측에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배출구(31)에 삽입되어 있는 밀폐 실링체(38), 그리고 상기 밀폐 실링체(38)의 일측 끝에 공기가 유통되는 공기 유통 공간이 형성되도록 떨어져 복수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커버(20)의 안쪽에 위치하여 상기 공기 배출구(31)의 크기보다 큰 이탈 방지 돌기(39)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커버(20)의 안쪽과 바깥의 압력 차이에 따라 상기 밀폐 실링체(38)가 상기 공기 배출구(31)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용기 실링체()와 상기 밀폐 실링체(38)가 이동되면서 상기 공기 배출구(31)를 개방 및 차단시킬 수 있고, 상기 이탈 방지 돌기(39)는 압력 차이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밀폐 실링체(38)가 상기 상부커버(20)의 안쪽에서 걸림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바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체크밸브는 공지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5)가 진공상태가 되면 상기 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는 상기 상부커버(20)를 상기 몸체(10)로부터 분리하기 어렵게 되므로,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5)로 공기를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5) 외부와 내부의 압력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상기 상부커버(20)를 상기 몸체(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기 유입부(미도시됨)는 상기 상부커버(20)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5) 내부로 공기를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커버(20)가 상기 몸체(10)로부터의 분리를 용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기 유입부(미도시됨) 또한 상기 공기 배출부(30)와 마찬가지로 스프링이 탄지되어 누름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5)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며 누름을 해제하면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폐쇄되어 공기 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이렇게 공기의 유입을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몸체(10)에 상기 상부커버(20)를 결합시키고 상기 공기 배출부(30)를 통해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몸체(10) 수용부(15) 내부의 진공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몸체(10)는 금속재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를 냉장고, 냉동고 등에 넣어 냉각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몸체(10)를 열전달이 우수한 금속재로 되도록 하여 저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코어부(23)는 도 7의 (c)에서와 같이 측면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되고 상부가 잘린 삼각뿔 형상으로 되며, 하나의 코어부(23)와 이와 인접한 코어부(23)는 서로 상하 대칭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부커버(20)는 상판(21), 하판(22) 및 보강리브(24)에 의해 샌드위치 구조되고, 상기 보강리브(24)에 의해 형성된 다면체의 코어부(23)를 구비하여 3차원 형상의 내부 트러스 구조를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높은 진공압을 견딜 수 있어 상기 몸체(10)가 찌그러지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경량화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상판(21)과 하판(22)은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판(21)과 하판(22)이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되게 되면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5) 내부에 보관되는 식재료의 종류를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몸체(10)의 이동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케이스(50)를 채택한다.
상기 케이스(50)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10)를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로 되며, 각각의 측면과 하면에는 상기 몸체(10)가 노출되도록 노출공(5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50)는 일측면과 이와 대향되는 면에는 손으로 잡고 이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52)가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50)는 합성수지재로 된다.
상기 케이스(50)의 손잡이부(52)를 잡고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5)에 수용된 식재료를 쏟을 경우에는 상기 몸체(10)가 상기 케이스(5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가 상기 케이스(5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50)의 상단부와 결합되며 상기 보강테두리(16)이 삽입되어 상기 몸체(10)가 상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결합테(53)가 더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테(53)의 상단부에는 상기 패킹부재(25)가 결합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샌드위치 구조체를 가지는 진공용기를 진공상태에서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커버(20)를 상기 몸체(10)에 고정 및 상기 상부커버(20)를 상기 몸체(10)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몸체(10) 또는 상기 케이스(50)에 구비되는 공지된 클립(미도시됨)이 구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샌드위치 구조체를 가지는 진공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몸체 11: 외벽
12: 내벽 13: 중공부
14: 연결부 15: 수용부
16: 보강테두리 20: 상부커버
21: 상판 22: 하판
23: 코어부 24: 보강리브
25: 패킹부재 30: 공기 배출부
50: 케이스
51: 노출공 52: 손잡이부
53: 결합테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외벽(11)과, 상기 외벽(11)으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는 내벽(12)과, 단면이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이 되도록 주름져 형성되며 상변이 각각 상기 외벽(11)의 내측과 상기 내벽(12)의 외측에 교대로 접합되어 상기 외벽(11)과 내벽(12) 사이에 중공부(13)가 형성되도록 하는 연결부(14)로 이루어지는 샌드위치 판재로 되며, 식품을 수용하는 수용부(15)가 구비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로 된 몸체(10);
    상기 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으며, 상판(21)과, 상기 상판(21)으로부터 하부로 이격되는 하판(22)과, 상기 상판(21)과 하판(22)을 서로 연결하며 격자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상판(21)과 하판(22) 사이에 빈 코어부(23)가 형성되도록 하는 보강리브(24)와, 상기 하판(22)의 외곽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몸체(10)의 상단 테두리와 접하여 상기 몸체(1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패킹부재(25)로 이루어지는 상부커버(20);
    상기 상부커버(20)에 구비되며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5)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수용부(15)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도록 하는 공기 배출부(30);
    상기 상부커버(20)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10)의 수용부(15) 내부로 공기를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커버(20)가 상기 몸체(10)로부터의 분리를 용이하도록 하는 공기 유입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10)는 금속재로 되고,
    상기 몸체(10)는 상기 외벽(11)과 내벽(12)의 상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보강테두리(16)가 더 구비되며,
    상기 코어부(23)는 측면 모서리가 둥글게 형성되고 상부가 잘린 삼각뿔 형상으로 되며, 하나의 코어부(23)와 이와 인접한 코어부(23)는 서로 상하 대칭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21)과 하판(22)은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를 수용하도록 상부가 개방된 함체로 되며, 각각의 측면과 하면에는 상기 몸체(10)가 노출되도록 노출공(51)이 형성되고, 일측면과 이와 대향되는 면에는 손으로 잡고 이동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52)가 구비된 케이스(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50)의 상단부와 결합되고 상기 보강테두리(16)이 삽입되어 상기 몸체(10)가 상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단부에는 상기 패킹부재(25)가 결합되는 결합테(5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용기.
KR1020150081273A 2015-06-09 2015-06-09 샌드위치 구조체를 가지는 진공용기 KR1016680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273A KR101668071B1 (ko) 2015-06-09 2015-06-09 샌드위치 구조체를 가지는 진공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273A KR101668071B1 (ko) 2015-06-09 2015-06-09 샌드위치 구조체를 가지는 진공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8071B1 true KR101668071B1 (ko) 2016-10-21

Family

ID=57257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273A KR101668071B1 (ko) 2015-06-09 2015-06-09 샌드위치 구조체를 가지는 진공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80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5697A (zh) * 2017-11-25 2018-05-18 钟贵洪 一种物品放置框
KR102125639B1 (ko) 2019-01-25 2020-06-22 박민석 진공용기
KR20210142343A (ko) 2020-05-18 2021-11-25 주식회사 메이데이 진공보관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0193A (ja) * 2006-03-14 2009-08-27 ザ・グラッド・プロダクツ・カンパニー 真空貯蔵容器
KR101473849B1 (ko) * 2013-11-12 2014-12-17 (주)바코마 진공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0193A (ja) * 2006-03-14 2009-08-27 ザ・グラッド・プロダクツ・カンパニー 真空貯蔵容器
KR101473849B1 (ko) * 2013-11-12 2014-12-17 (주)바코마 진공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5697A (zh) * 2017-11-25 2018-05-18 钟贵洪 一种物品放置框
KR102125639B1 (ko) 2019-01-25 2020-06-22 박민석 진공용기
KR20210142343A (ko) 2020-05-18 2021-11-25 주식회사 메이데이 진공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62773B2 (ja) 掛止部を有する真空密閉用容器蓋及びこれを採用した真空密閉容器
KR100402039B1 (ko) 농산물용 통기 용기
KR101668071B1 (ko) 샌드위치 구조체를 가지는 진공용기
US20050082305A1 (en) Container with selectively vented lid
US8740591B2 (en) Food storage bag vacuum pump
JP5033877B2 (ja) 真空容器用の多用途閉鎖装置
US9668510B2 (en) Cooler with vacuum pump
WO2010121295A1 (en) Sealable container
KR20140064716A (ko) 냄비, 플레이트, 주발 등을 위한 덮개
KR101679038B1 (ko) 냉장기능을 구비한 모듈화된 식품보관용 진공장치 및 진공보관용 용기
CN216409483U (zh) 储物盒、真空储物装置及冰箱
US8011171B2 (en) Portable storage apparatus
KR20160143966A (ko) 샌드위치 구조체를 가지는 진공용기
US20230080132A1 (en) Box for preservation under vacuum and vacuum-application system comprising such a box
KR100556608B1 (ko) 용량가변 밀폐용기
US9701452B2 (en) Vented storage container
KR102352535B1 (ko) 덮개 및 이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
WO1984000745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acuum containers
CN215206411U (zh) 一种真空硅胶袋
KR20150120912A (ko) 개폐가 용이한 식품보관용 밀폐용기
JP5824422B2 (ja) 食品保存容器
KR101091747B1 (ko) 식품보관용기
CN211372915U (zh) 保鲜盒及制冷设备
KR200258608Y1 (ko) 다단식 밀폐형 용기
JP3696840B2 (ja) 液体貯蔵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