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3849B1 - 진공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 - Google Patents

진공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3849B1
KR101473849B1 KR20130136851A KR20130136851A KR101473849B1 KR 101473849 B1 KR101473849 B1 KR 101473849B1 KR 20130136851 A KR20130136851 A KR 20130136851A KR 20130136851 A KR20130136851 A KR 20130136851A KR 101473849 B1 KR101473849 B1 KR 101473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s
opening
door
reinforcing
vacuum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6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석천
Original Assignee
(주)바코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코마 filed Critical (주)바코마
Priority to KR20130136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3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3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3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B65D81/20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 B65D81/20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under vacuum with means for establishing or improv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압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한편, 내부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진공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VACCUM CHAMBER HAVING VACCUM GEN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진공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압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는 한편, 내부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진공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야채와 생선 등의 식품은 외부 공기와의 접촉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생물이나 산소 등과 같은 기타 유해성 물질과의 접촉으로 인해 쉽게 변질되면서 부패가 진행되며, 발효성 식품의 경우 미생물의 번식이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식품의 발효 및 숙성 속도가 급속하게 진행되어 보존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식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랩이나 비닐봉투에 식품 및 음식물을 포장하여 냉장고에 보관하고 있는 실정이나, 이러한 냉장고를 이용한 보관형태는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은 가능하나, 장기적으로는 음식물이 부패하여 보관이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391874호에는 음식물 진공 보관 용기용 진공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진공기는 진공압력에 의한 내부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해 진공챔버를 압력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원통 형태 등으로 제작하기 때문에 내부 공간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391874호(2003.07.1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진공챔버의 내부공간 활용도를 높이는 한편, 압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진공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출입구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도어를 포함하는 진공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로서, 상기 몸체부는, 전면이 개구되는 아웃케이싱; 상기 아웃케이싱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출입구가 형성되는 인케이싱; 및 상기 인케이싱의 외측면을 감싸 보강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인케이싱은, 상,하,좌,우측면 및 후면을 가지며, 종단면이 사각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인케이싱은, 상,하,좌,우측면이 일체로 연결되면서 측면모서리부를 포함하는 둘레를 이루고, 후면이 그 둘레의 후방과 일체로 연결되면서 후면모서리부를 이루되, 상기 측면모서리부 및 상기 후면모서리부는, 각각 라운딩되어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강부는, 상기 인케이싱의 둘레를 감싸는 복수의 제1리브; 상기 인케이싱의 상,하부면 및 후면을 감싸는 복수의 제2리브; 및 상기 인케이싱의 양측면 및 후면을 감싸는 복수의 제3리브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부는, 복수를 이루는 상기 제1,2,3리브 중 어느 두 개의 리브가 상호 교차되면서 격자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후면모서리부를 제외한 상,하,좌,우,후면에 각각 구비되며, 복수를 이루는 상기 제1,2,3리브 중 어느 두 개의 리브와 함께 연결되어 격자 형태를이루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측면모서리부는, 상기 복수의 제1리브가 감싸 보강하며, 상기 후면모서리부는, 상기 인케이싱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하부를 상기 복수의 제2리브가 감싸 보강하고, 양측부를 상기 복수의 제3리브가 감싸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상기 개폐도어는, 전면을 가지며, 후방이 개구되어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는 외측하우징; 및 개구된 상기 하우징의 후방을 밀폐하는 내측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외측하우징은, 사각 형태를 이루며, 전면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곡면 형태를 이루고, 전면 상측 모서리부는 모따기되어 경사면을 이루며, 상기 내측하우징은, 개구된 상기 외측하우징의 후방으로 결합되어 그 외측하우징의 후방을 밀폐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외측하우징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격자 형태를 이루는 도어보강리브; 및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출입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개폐도어의 개폐에 따라 그 출입구로 인입,인출되는 밀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밀폐부는,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아웃케이싱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둘레가 상기 출입구를 이루는 둘레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고, 그 돌출된 표면이 상기 외측하우징 방향으로 함몰되는 밀폐도어; 및 상기 밀폐도어의 표면에 복수 형성되는 보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보강돌기는, 양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서로 인접하는 보강돌기 간에 상호 이격되면서 압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내측하우징은, 상기 밀폐도어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개폐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인케이싱과 접하거나, 이격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진공챔버의 외측면에 다수의 보강리브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압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진공챔버의 내부를 사각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진공챔버의 내부공간 활용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에서 개폐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에서 아웃케이싱과 인케이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에서 인케이싱을 나타낸 측면도 및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에서 개폐도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에서 개폐도어를 나타낸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은 출입구(11)가 형성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출입구(11)를 개폐하는 개폐도어(20)를 포함하는 진공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이하 "진공챔버"라 한다)(1)로서, 상기 몸체부(10)는 전면이 개구되는 아웃케이싱(12) 및 상기 아웃케이싱(12)의 내측에 결합되며, 전면에 상기 출입구(11)가 형성되는 인케이싱(13)을 포함한다.
진공발생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펌프(110) 및 상기 진공펌프(110)를 제어하는 제어부(120)를 구비하는 일반적인 형태로 이루어지며, 별도의 식품 보관용 진공 용기(미도시)가 진공챔버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구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그 구동에 따라 상기 식품 보관용 진공 용기의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진공발생장치(100)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아웃케이싱(12)은 상기 진공챔버(1)의 외관을 이루며, 전면이 개구되는 육면체 형태를 이룬다.
즉, 상기 아웃케이싱(12)은 정면에서 바라볼 때, 사각 형태를 이루며, 금속재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아웃케이싱(1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에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통풍구(12a)가 형성된다.
상기 통풍구(12a)로는 외부의 공기가 흡인되어 상기 진공챔버(1)의 내부로 유입되거나, 상기 진공펌프(110)의 구동에 따라 상기 그 진공챔버(1)의 내부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인케이싱(13)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이 개구되는 육면체 형태를 이루며, 정면에서 바라볼 때 사각 형태를 이룬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인케이싱(13)은 전면이 개구되어 상기 출입구(11)가 형성되고, 상,하,좌,우측면 및 후면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상,하,좌,우측면 및 후면은 판 형태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케이싱(1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상기 진공펌프(110)와 연결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연결공(14) 및 외부의 공기를 흡인하기 위한 흡인공(15)이 형성되며, 내측 바닥면에는 식품 보관용 진공 용기의 인입을 유도하기 위한 복수의 가이드돌기(13a)가 형성된다.
상기 흡인공(15)에는 별도의 조절밸브(130)가 연결되면서 그 조절밸브(130)의 개폐에 따라 외부의 공기를 상기 인케이싱(13)의 내부로 흡인하거나, 그 흡인을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조절밸브(130)는 상기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인케이싱(13)은 각 면이 만나는 모서리부가 라운딩되어 곡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인케이싱(13)은 정면에서 바라볼 때, 둘레의 네 군데 코너를 포함하는 측면모서리부(16) 및 후면의 네 군데 코너를 포함하는 후면모서리부(17)가 라운딩되어 곡면을 이룬다.
여기서, 상기 측면모서리부(16)는 상기 인케이싱(13)을 이루는 상,하,좌,우측면이 일체로 연결되면서 형성되고, 상기 후면모서리부(17)는 후면이 상기 인케이싱(13)의 둘레를 이루는 상,하,좌,우측면과 일체로 연결되면서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진공펌프(110)의 구동시 진공압력이 상기 인케이싱(13)의 코너를 이루는 상기 측면모서리부(16) 및 상기 후면모서리부(17)를 따라 그 인케이싱(13)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진공챔버(1)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압력에 의한 상기 인케이싱(13)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그 인케이싱(13)의 외측면을 감싸 보강하는 보강부(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보강부(30)는 상기 인케이싱(13)의 둘레를 감싸는 복수의 제1리브(31), 상기 인케이싱(13)의 상,하부면 및 후면을 감싸는 복수의 제2리브(32) 및 상기 인케이싱(13)의 양측면 및 후면을 감싸는 복수의 제3리브(33)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1,2,3리브(31,32,33)는 각각 상기 인케이싱(13)의 외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보강부(30)는 복수를 이루는 상기 제1,2,3리브(31,32,33) 중 어느 두 개의 리브가 상기 인케이싱(13)의 상,하,좌,우,후면에서 상호 교차되면서 격자 형태를 이룬다.
상기 측면모서리부(16)는 상기 복수의 제1리브(31)가 통과되면서 감싸며, 상기 후면모서리부(17)는 상기 복수의 제2리브(32) 및 상기 복수의 제3리브(33)가 통과되면서 감싸는 형태를 이룬다.
즉, 상기 측면모서리부(16)는 상기 복수의 제1리브(31)가 감싸 보강하며, 상기 후면모서리부(17)는 상,하부를 상기 복수의 제2리브(32)가 감싸 보강하고, 양측부를 상기 복수의 제3리브(33)가 감싸 보강한다.
이때, 상기 진공챔버(1)는 상기 측,후면모서리부(16,17)를 제외한 상,하,좌,우,후면에 각각 구비되는 보강리브(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34)는 상기 인케이싱(13)의 상,하,좌,우,후면을 보강하여 진공압력에 의한 그 인케이싱(13)의 파손을 방지한다.
상기 보강리브(34)는 상기 측,후면모서리부(16,17)를 제외한 상,하,좌,우,후면에 각각 구비되며, 복수를 이루는 상기 제1,2,3리브(31,32,33) 중 어느 두 개의 리브와 함께 연결되어 격자 형태를 이룬다.
이는, 상기 인케이싱(13)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부압시, 각 면이 내측으로 수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진공발생장치는 구동시 진공압이 진공챔버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어 그 내부의 공간활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는, 진공발생장치의 구동에 따라 진공챔버 내에서 발생되는 부압에 의해 인케이싱의 표면이 내측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발생될 수 있는 파손 등을 방지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진공챔버(1)는 진공압력에 의한 상기 인케이싱(13)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측면에 상기 보강부(30)가 구비되므로 인해 상기 인케이싱(13)을 전면이 개구되는 육면체 형태로 제작할 수 있음으로써 원통 형태를 이룰 때보다 상대적으로 내부 공간활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개폐도어(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와 힌지결합이나, 경첩 등의 절첩부재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개폐도어(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을 가지며, 후방이 개구되어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는 외측하우징(21), 개구된 상기 외측하우징(21)의 후방을 밀폐하는 내측하우징(22)을 포함한다.
상기 외측하우징(21)은 정면에서 바라볼 때 사각 형태를 이루며, 전면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곡면 형태를 이루고, 전면 상측 모서리부는 모따기되어 경사면(21a)을 이룬다.
상기 내측하우징(22)은 상기 외측하우징(21)의 내주면과 동일한 형태를 이루며 둘레가 상기 외측하우징(21) 방향으로 절곡되고, 개구된 그 외측하우징(21)의 내측으로 결합되어 그 외측하우징(21)의 후방을 밀폐하는 플레이트(23), 상기 플레이트(23)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에 위치되는 상기 외측하우징(2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격자 형태의 도어보강리브(24) 및 상기 플레이트(23)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출입구(11)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개폐도어(20)의 개폐에 따라 그 출입구(11)로 인입,인출되는 밀폐부(25)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23)는 사각 형태를 이루며, 둘레가 상기 외측하우징(21) 방향으로 절곡되어 그 외측하우징(21)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하우징(22)은 나사 등의 결합구(26)에 의해 상기 외측하우징(21)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보강리브(24)는 그 외측하우징(21)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상기 밀폐부(25)는 둘레가 상기 출입구(11)를 이루는 둘레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며, 표면이 상기 외측하우징(21) 방향으로 함몰되는 밀폐도어(27), 상기 밀폐도어(27)의 표면에 복수 형성되는 보강돌기(28)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보강돌기(28)는 양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서로 인접하는 보강돌기(28) 간에 상호 이격되면서 압착공간(28a)을 형성한다.
상기 압착공간(28a)은 상기 진공펌프(110)에 의해 흡입되면서 상기 출입구(11)를 기밀하게 밀폐하는 것은 물론, 상기 복수의 보강돌기(28)에 의해 상기 밀폐도어(27)의 표면이 내측으로 수축되면서 발생되는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내측하우징(22)은 상기 밀폐도어(27)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플레이트(23)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인케이싱(13)과의 사이를 기밀하는 패킹부재(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29)는 링 형태를 이루며, 상기 개폐도어(20)가 닫힐 때 상기 인케이싱(13)과 접하면서 그 사이를 기밀한다.
상기 패킹부재(29)는 고무나,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23)의 후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패킹띠(29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29)는 상기 인케이싱(13)과 접하면서 상기 출입구(11)를 기밀하게 밀폐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상기 복수의 패킹띠(29a)에 의해 적어도 이중으로 기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진공챔버(1)는 내부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은 물론, 압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면서 상기 출입구(11)를 기밀하게 밀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진공챔버 10 : 몸체부
11 : 출입구 12 : 아웃케이싱
13 : 인케이싱 16 : 측면모서리부
17 : 후면모서리부 20 : 개폐도어
21 : 외측하우징 22 : 내측하우징
23 : 플레이트 24 : 도어보강리브
25 : 밀폐부 27 : 밀폐도어
28 : 보강돌기 29 : 패킹부재
30 : 보강부 31 : 제1리브
32 : 제2리브 33 : 제3리브
34 : 보강리브 100 : 진공발생장치
110 : 진공펌프 120 : 제어부
130 : 조절밸브

Claims (8)

  1. 출입구가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도어를 포함하는 진공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로서,
    상기 몸체부는,
    전면이 개구되는 아웃케이싱;
    상기 아웃케이싱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출입구가 형성되는 인케이싱; 및
    상기 인케이싱의 외측면을 감싸 보강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도어는,
    전면을 가지며, 후방이 개구되어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되는 외측하우징; 및
    개구된 상기 하우징의 후방을 밀폐하는 내측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외측하우징은,
    사각 형태를 이루며, 전면이 외측으로 돌출되는 곡면 형태를 이루고, 전면 상측 모서리부는 모따기되어 경사면을 이루며,
    상기 내측하우징은,
    개구된 상기 외측하우징의 후방으로 결합되어 그 외측하우징의 후방을 밀폐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외측하우징의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격자 형태를 이루는 도어보강리브; 및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출입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개폐도어의 개폐에 따라 그 출입구로 인입,인출되는 밀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케이싱은,
    상,하,좌,우측면 및 후면을 가지며, 종단면이 사각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케이싱은,
    상,하,좌,우측면이 일체로 연결되면서 측면모서리부를 포함하는 둘레를 이루고, 후면이 그 둘레의 후방과 일체로 연결되면서 후면모서리부를 이루되,
    상기 측면모서리부 및 상기 후면모서리부는,
    각각 라운딩되어 곡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인케이싱의 둘레를 감싸는 복수의 제1리브;
    상기 인케이싱의 상,하부면 및 후면을 감싸는 복수의 제2리브; 및
    상기 인케이싱의 양측면 및 후면을 감싸는 복수의 제3리브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부는,
    복수를 이루는 상기 제1,2,3리브 중 어느 두 개의 리브가 상호 교차되면서 격자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측,후면모서리부를 제외한 상,하,좌,우,후면에 각각 구비되며, 복수를 이루는 상기 제1,2,3리브 중 어느 두 개의 리브와 함께 연결되어 격자 형태를이루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측면모서리부는,
    상기 복수의 제1리브가 감싸 보강하며,
    상기 후면모서리부는,
    상기 인케이싱의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하부를 상기 복수의 제2리브가 감싸 보강하고, 양측부를 상기 복수의 제3리브가 감싸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는,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아웃케이싱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둘레가 상기 출입구를 이루는 둘레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고, 그 돌출된 표면이 상기 외측하우징 방향으로 함몰되는 밀폐도어; 및
    상기 밀폐도어의 표면에 복수 형성되는 보강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보강돌기는,
    양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서로 인접하는 보강돌기 간에 상호 이격되면서 압착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하우징은,
    상기 밀폐도어의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후면에 고정되고, 상기 개폐도어의 개폐에 따라 상기 인케이싱과 접하거나, 이격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
KR20130136851A 2013-11-12 2013-11-12 진공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 KR101473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6851A KR101473849B1 (ko) 2013-11-12 2013-11-12 진공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6851A KR101473849B1 (ko) 2013-11-12 2013-11-12 진공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3849B1 true KR101473849B1 (ko) 2014-12-17

Family

ID=52679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6851A KR101473849B1 (ko) 2013-11-12 2013-11-12 진공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38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071B1 (ko) * 2015-06-09 2016-10-21 강동수 샌드위치 구조체를 가지는 진공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874B1 (ko) * 2001-05-29 2003-07-16 장성문 음식물 진공 보관 용기용 진공기
JP2010038529A (ja) * 2008-12-15 2010-02-18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874B1 (ko) * 2001-05-29 2003-07-16 장성문 음식물 진공 보관 용기용 진공기
JP2010038529A (ja) * 2008-12-15 2010-02-18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071B1 (ko) * 2015-06-09 2016-10-21 강동수 샌드위치 구조체를 가지는 진공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8136B2 (en) Canister lid with improved evacuation and vent assembly
KR101301367B1 (ko) 잠금부를 갖는 진공밀폐용 용기 뚜껑과 이를 채용한 진공밀폐 용기
SE0203420D0 (sv) Metod vid förpackning av livsmedel
KR101473849B1 (ko) 진공발생장치에 구비되는 진공챔버
KR101679038B1 (ko) 냉장기능을 구비한 모듈화된 식품보관용 진공장치 및 진공보관용 용기
US8720468B2 (en) Pouch air valve and structure adopted on a sealed pouch and method of use
US20200039724A1 (en) Vacuum-sealed container
KR101682293B1 (ko) 이물질의 끼임 방지와 다단적층이 가능한 밀폐용기
US4198776A (en) Portable container for fish
TWM501417U (zh) 真空保鮮盒結構改良
CN111750592B (zh) 真空保鲜装置及制冷设备
KR20150109651A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KR20090059777A (ko) 진공 저장용기
CN108792296B (zh) 包装组件及包装箱
KR200394931Y1 (ko) 감압펌프 기능을 가진 병뚜껑
KR920002055Y1 (ko) 풍선에 공기를 충입시켜 상품을 포장하는 장치
KR20180050021A (ko) 밀폐 용기
KR100796295B1 (ko) 이중 가스켓 김치저장용기
KR200200997Y1 (ko) 진공 음식물 보관 용기
CN214609231U (zh) 储物装置
KR101490432B1 (ko)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성형되는 진공밀폐용기의 뚜껑
KR100464661B1 (ko) 직선형의 밀봉부재가 구비된 진공포장기
CN219468302U (zh) 一种抗压型包装盒
KR101519305B1 (ko) 밀폐용기용 압착뚜껑
KR20120046921A (ko) 표고버섯 김치의 신선도 유지용 가스배출장치가 구비된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