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0021A - 밀폐 용기 - Google Patents

밀폐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0021A
KR20180050021A KR1020160146670A KR20160146670A KR20180050021A KR 20180050021 A KR20180050021 A KR 20180050021A KR 1020160146670 A KR1020160146670 A KR 1020160146670A KR 20160146670 A KR20160146670 A KR 20160146670A KR 20180050021 A KR20180050021 A KR 20180050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upled
lid
container body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백현
Original Assignee
이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백현 filed Critical 이백현
Priority to KR1020160146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0021A/ko
Publication of KR20180050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0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67Handles with respective ends fixed to local areas of two opposite sides or wall-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 B65D7/06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tins, boxes

Abstract

밀폐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밀폐 용기는,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용기 본체; 용기 본체에 결합 되며, 비 금속재질로 마련되는 중간 결합부; 중간 결합부와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 영역을 밀폐하며,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뚜껑; 및 일측부는 중간 결합부에 결합 되고 타측부는 뚜껑에 결합 되어 뚜껑을 중간 결합부에 밀착 결합시키는 복수의 결합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밀폐 용기{HER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밀폐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작된 용기의 단점을 보완함과 아울러 음식이 보관되는 밀폐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이나 급식소 또는 가정에서 반찬 등의 식품을 밀폐 보관하기위한 밀폐 용기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밀폐 용기들은 대부분이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며, 뚜껑의 테두리 부분에 이중사출 방식으로 잠금날개를 제작하고, 잠금날개를 용기 몸체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고정돌기 등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압입하여 고정하거나, 용기몸체의 외측 플랜지부에 잠금날개를 걸어 고정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된 밀폐용기들은 자체적으로 환경호르몬을 배출하기 때문에 내부에 저장되는 음식을 섭취하는 경우 환경호르몬도 함께 섭취하게 되어 인체에 해로운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인체에 유해한 환경호르몬을 포함하지 않는 비합성수지재, 특히,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구성된 식품 용기의 사용이 적극 권장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식품보관용 용기는 특히, 스테인레스 재질로 구성되되, 상부는 개구되고 내부에 식품을 보관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용기몸체와, 상부로부터 용기몸체의 개구부를 덮는 뚜껑과, 뚜껑을 용기몸체에 결합시키는 뚜껑 결합구를 포함한다. 뚜껑의 중앙부에는 뚜껑을 열고 닫기 위한 개폐손잡이가 구비되고, 그 외측으로는 다수의 용기를 수직으로 적층할 수 있도록 다른 용기몸체의 저면부가 놓여지는 요부가 구비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구성되는 식품보관용 용기는 뚜껑 결합구 등의 결합을 위해 스팟 용접 등이 필요하고, 이로 인한 금속 가공에 의해 제품의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뚜껑 결합구 등의 결합 영역에 스팟 용접으로 인해 미관상으로도 좋지 못하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특허등록공보 제10-0452886호(하나코비 주식회사) 2004. 10. 05.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작된 용기의 단점을 보완함과 아울러 음식이 보관되는 밀폐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 되며, 비 금속재질로 마련되는 중간 결합부; 상기 중간 결합부와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 영역을 밀폐하며,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뚜껑; 및 일측부는 상기 중간 결합부에 결합 되고 타측부는 상기 뚜껑에 결합 되어 상기 뚜껑을 상기 중간 결합부에 밀착 결합시키는 복수의 결합구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중간 결합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부에 결합 되는 중간 결합 바디; 상기 중간 결합 바디의 외벽에 마련되어 상기 중간 결합 바디를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 되는 영역과 상기 뚜껑이 결합 되는 영역으로 구획하는 플랜지; 및 상기 중간 결합 바디의 외벽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결합구가 결합 되는 복수의 결합구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구 고정부재는 고리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결합구가 탈착 가능하게 걸림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구는, 결합 바디; 상기 결합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뚜껑에 체결 되는 체결 부재; 및 상기 결합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결합구 고정부재에 결합 되는 복수의 결합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바디는 납작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결합 로드가 마련된 영역의 상기 결합 바디에는 결합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뚜껑에 마련된 걸림 턱부에 걸림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결합 로드는 상기 복수의 결합구 고정부재에 걸림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중간 결합부에 결합 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의 양단부에는 손잡이 결합로드가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 결합로드는 상기 중간 결합부에 마련된 손잡이 고정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걸림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뚜껑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용기 본체와 뚜껑을 금속 재질로 제작하고 중간 결합부와 결합구를 비금속 재질로 제작함과 아울러 비금속 재질인 복수의 결합구로 뚜껑을 중간 결합부에 결합시킬 수 있어 각 구성간의 결합에 스팟 용접이 필요 없어 스팟 용접 등 금속 가공의 필요에 의한 원가 상승을 감소시킬 수 있고 미감상 유용한 효과를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중간 결합부와 복수의 결합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중간 결합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결합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중간 결합부와 손잡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서 손잡이가 생략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중간 결합부와 복수의 결합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중간 결합부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결합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중간 결합부와 손잡이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서 손잡이가 생략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밀폐 용기(1)는,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용기 본체(100)와, 용기 본체(100)에 결합 되며 비 금속재질로 마련되는 중간 결합부(200)와, 중간 결합부(200)와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용기 본체(100)의 개방된 상부 영역을 밀폐하며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뚜껑(300)과, 일측부는 중간 결합부(200)에 결합 되고 타측부는 뚜껑(300)에 결합 되어 뚜껑(300)을 중간 결합부(200)에 밀착 결합시키는 복수의 결합구(400)와, 중간 결합부(200)에 결합 되는 손잡이(500)를 구비한다.
용기 본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막힌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용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김치 등의 음식물이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용기 본체(100)는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용기 본체(100)의 상측부에는 결합 된 중간 결합부(200)가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이 마련될 수 있다.
중간 결합부(200)는, 용기 본체(100)의 개방된 상측부에 결합 되어 용기 본체(100)를 실링함과 아울러 뚜껑(300)을 복수의 결합구(400)와 함께 고정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중간 결합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00)의 상부에 결합 되는 중간 결합 바디(210)와, 중간 결합 바디(210)의 외벽에 마련되어 중간 결합 바디(210)를 용기 본체(100)에 결합 되는 영역과 뚜껑(300)이 결합 되는 영역으로 구획하는 플랜지(220)와, 중간 결합 바디(210)의 외벽에 마련되며 복수의 결합구(400)가 결합 되는 복수의 결합구 고정부재(230)와, 손잡이(500)가 결합 되는 복수의 손잡이 고정부재(240)를 포함한다.
중간 결합부(200)의 중간 결합 바디(210)는, 용기 본체(100)의 개방된 상부 영역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중간 결합 바디(210)는 비금속 재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이는 플랜지(220)와 결합구 고정부재(230)와 손잡이 고정부재(24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중간 결합부(200)의 플랜지(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결합 바디(210)의 중간 높이에 중간 결합 바디(210)를 연속적으로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중간 결합부(200)의 복수의 결합구 고정부재(2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결합 바디(210)의 네개의 외벽 모두에 각각 한 쌍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결합구 고정부재(230)는 일측부가 고리 형상을 가져 결합구(400)의 결합 로드(430)가 회전 가능하게 걸림 결합 될 수 있고, 결합구(400)는 결합구 고정부재(23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중간 결합부(200)의 복수의 손잡이 고정부재(24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결합 바디(210)의 대각선 방향 모서리에 한 쌍이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손잡이 고정부재(240)에는 손잡이(500)의 손잡이 결합로드(520)가 착탈 가능하게 걸림 결합 될 수 있다.
뚜껑(3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결합구(400)에 의해 용기 본체(100)와 중간 결합부(200)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뚜껑(300)은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뚜껑(300)의 가장자리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턱부(310)가 마련되고, 이 걸림 턱부(310)에는 결합부의 체결 부재(420)가 걸림 결합 될 수 있다.
결합구(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부는 복수의 결합구 고정부재(230)에 결합 되고 상측부는 뚜껑(300)에 결합(도 7 참고)되어 뚜껑(300)을 중간 결합부(20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결합구(40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바디(410)와, 결합 바디(410)에 마련되어 뚜껑(300)에 체결 되는 체결 부재(420)와, 결합 바디(410)에 마련되어 복수의 결합구 고정부재(230)에 결합 되는 복수의 결합 로드(43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결합구(400)는 비금속 재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구(400)의 결합 바디(4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상단부는 미감을 고려하여 반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결합 로드(430)가 마련된 영역의 결합 바디(41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홀(411)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결합 바디(410)는 결합홀(411)에 의해 결합구 고정부재(2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결합구(400)의 결합 로드(4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구 고정부재(230)에 걸림 결합 또는 끼워 맞춤 결합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결합 로드(430)가 마련된 영역은 절개 되어 있어 결합 로드(430)는 용이하게 결합구 고정부재(230)에 결합 및 회전될 수 있다.
손잡이(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접이 고정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손잡이(500)의 양단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 결합홀(510)과 손잡이 결합로드(520)가 마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손잡이 결합홀(510)은 손잡이 결합로드(520)가 손잡이 고정부재(240)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공간을 마련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손잡이 결합로드(520)는 중간 결합부(200)에 마련된 손잡이 고정부재(240)에 탈착 가능하게 걸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손잡이(500)는 비금속 재질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500) 없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 예는 용기 본체와 뚜껑을 금속 재질로 제작하고 중간 결합부와 결합구를 비금속 재질로 제작함과 아울러 비금속 재질인 복수의 결합구로 뚜껑을 중간 결합부에 결합시킬 수 있어 각 구성간의 결합에 스팟 용접이 필요 없어 스팟 용접 등 금속 가공의 필요에 의한 원가 상승을 감소시킬 수 있고 미감상 유용한 효과를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밀폐 용기
100 : 용기 본체 200 : 중간 결합부
210 : 중간 결합 바디 220 : 플랜지
230 : 결합구 고정부재 240 : 손잡이 고정부재
300 : 뚜껑 310 : 걸림 턱부
400 : 결합구 410 : 결합 바디
411 : 결합홀 420 : 체결 부재
430 : 결합 로드 500 : 손잡이
510 : 손잡이 결합홀 520 : 손잡이 결합로드

Claims (10)

  1.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 되며, 비 금속재질로 마련되는 중간 결합부;
    상기 중간 결합부와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개방된 상부 영역을 밀폐하며, 금속 재질로 마련되는 뚜껑; 및
    일측부는 상기 중간 결합부에 결합 되고 타측부는 상기 뚜껑에 결합 되어 상기 뚜껑을 상기 중간 결합부에 밀착 결합시키는 복수의 결합구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결합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단부에 결합 되는 중간 결합 바디;
    상기 중간 결합 바디의 외벽에 마련되어 상기 중간 결합 바디를 상기 용기 본체에 결합 되는 영역과 상기 뚜껑이 결합 되는 영역으로 구획하는 플랜지; 및
    상기 중간 결합 바디의 외벽에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결합구가 결합 되는 복수의 결합구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구 고정부재는 고리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결합구가 탈착 가능하게 걸림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구는,
    결합 바디;
    상기 결합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뚜껑에 체결 되는 체결 부재; 및
    상기 결합 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결합구 고정부재에 결합 되는 복수의 결합 로드를 포함하는 밀폐 용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결합 바디는 납작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결합 로드가 마련된 영역의 상기 결합 바디에는 결합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뚜껑에 마련된 걸림 턱부에 걸림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합 로드는 상기 복수의 결합구 고정부재에 걸림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결합부에 결합 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밀폐 용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양단부에는 손잡이 결합로드가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 결합로드는 상기 중간 결합부에 마련된 손잡이 고정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걸림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와 상기 뚜껑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KR1020160146670A 2016-11-04 2016-11-04 밀폐 용기 KR201800500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670A KR20180050021A (ko) 2016-11-04 2016-11-04 밀폐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670A KR20180050021A (ko) 2016-11-04 2016-11-04 밀폐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021A true KR20180050021A (ko) 2018-05-14

Family

ID=62188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670A KR20180050021A (ko) 2016-11-04 2016-11-04 밀폐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002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1800A (zh) * 2021-09-24 2021-12-31 东莞新能安科技有限公司 连接件、电池组及用电设备
KR20230116328A (ko) * 2022-01-28 2023-08-04 오동하 음식 포장 용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9757A (ja) * 1990-11-20 1992-07-08 Ishizuka Glass Co Ltd 密封容器蓋体
JPH0540131U (ja) * 1991-10-29 1993-05-28 伯昭 中西 多目的密閉容器
KR20050081751A (ko) * 2004-02-16 200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밀폐용기
KR20090096058A (ko) * 2008-03-07 2009-09-10 주식회사 락앤락 적층형 보관용기
KR20100007747U (ko) * 2009-01-23 2010-08-02 문기원 락수단이 형성된 스텐레스용기의 스텐뚜껑
KR20110009967A (ko) * 2009-07-23 2011-01-31 대한민국(관리부서 : 농림수산식품부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소해면상뇌증의 변형프리온을 감별 및 검출할 수 있는 단클론항체, 이를 생산하는 융합세포주 및 그 용도
KR101183798B1 (ko) * 2009-04-10 2012-09-1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밀폐용기
KR20150003684U (ko) * 2014-03-31 2015-10-08 주식회사 코멕스산업 원터치형 물통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9757A (ja) * 1990-11-20 1992-07-08 Ishizuka Glass Co Ltd 密封容器蓋体
JPH0540131U (ja) * 1991-10-29 1993-05-28 伯昭 中西 多目的密閉容器
KR20050081751A (ko) * 2004-02-16 200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밀폐용기
KR20090096058A (ko) * 2008-03-07 2009-09-10 주식회사 락앤락 적층형 보관용기
KR20100007747U (ko) * 2009-01-23 2010-08-02 문기원 락수단이 형성된 스텐레스용기의 스텐뚜껑
KR101183798B1 (ko) * 2009-04-10 2012-09-1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밀폐용기
KR20110009967A (ko) * 2009-07-23 2011-01-31 대한민국(관리부서 : 농림수산식품부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소해면상뇌증의 변형프리온을 감별 및 검출할 수 있는 단클론항체, 이를 생산하는 융합세포주 및 그 용도
KR20150003684U (ko) * 2014-03-31 2015-10-08 주식회사 코멕스산업 원터치형 물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71800A (zh) * 2021-09-24 2021-12-31 东莞新能安科技有限公司 连接件、电池组及用电设备
KR20230116328A (ko) * 2022-01-28 2023-08-04 오동하 음식 포장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482B1 (ko) 밀폐용기
CN106163938B (zh) 具有套圈和盖的可重新密封容器
KR200301897Y1 (ko) 밀폐용기
CA2202119C (en) Five-piece open container with locking arrangement
US8387821B2 (en) Food container
KR20180050021A (ko) 밀폐 용기
KR101786163B1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KR100673992B1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100673997B1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20160115336A (ko) 반찬국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구획판이 구비되는 스테인레스 도시락 용기
KR20160033400A (ko) 식품 저장 및 보존용 밀폐 용기(100)
KR101892713B1 (ko) 도시락 용기
JP7054175B2 (ja) 包装用内嵌合容器
KR20170000489U (ko) 접이식 음식 보관 용기
KR100935641B1 (ko) 밀폐 용기의 손잡이 조립체
KR101859941B1 (ko) 밀폐용기
KR200334767Y1 (ko) 음식물용 밀폐용기의 뚜껑구조
KR20080043932A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KR200483094Y1 (ko) 밀폐형 찬바트
KR101993264B1 (ko) 사각용기 뚜껑
KR200440149Y1 (ko) 식품 보관용기의 밀폐구조
KR20080073893A (ko) 용기
KR200407097Y1 (ko) 밀폐용기의 밀착구조
KR101927703B1 (ko) 뚜껑의 개폐 구조
KR200385400Y1 (ko) 밀폐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