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400Y1 - 밀폐 용기 - Google Patents

밀폐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400Y1
KR200385400Y1 KR20-2005-0006080U KR20050006080U KR200385400Y1 KR 200385400 Y1 KR200385400 Y1 KR 200385400Y1 KR 20050006080 U KR20050006080 U KR 20050006080U KR 200385400 Y1 KR200385400 Y1 KR 2003854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flange
close contact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0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광수
유우선
Original Assignee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60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4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4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4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04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comprising U-shaped or bifurcated members coacting with containers these members remaining connected with the closure and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pivoted b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953Sealing means
    • B65D2543/00962Sealing means inserted
    • B65D2543/0097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7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 B65D51/168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manual actuation of the closure or other element by actuating a separate element in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밀폐 용기는, 상측 테두리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플랜지부 내측과 외측 부분에 밀착되는 밀봉부가 형성되어 용기를 밀봉하는 뚜껑이 포함된 것으로서, 상기 용기의 플랜지부는 내측 부분이 평면부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평면부의 하측에 단턱부가 형성되고, 외측 부분에 오목한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뚜껑의 밀봉부는 내측 부분에 상기 플랜지부의 평면부와 단턱부에 접촉되도록 립부가 각각 형성되고, 외측 부분에 상기 플랜지부의 홈부에 밀착되는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3 중 밀봉 구조를 갖게 되어 용기의 밀폐 기능이 향상되면서 개폐가 용이하고, 전체적인 강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밀폐 용기{Container capable of seal}
본 고안은 식품 등을 보관하는 밀폐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3 중 밀봉 구조를 갖도록 하여 밀폐 성능이 향상되고 강성이 보강되면서도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한 밀폐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밀폐 용기는 내부를 밀폐시킨 상태에서 음식물이나 식품 등을 위생적이면서 신선도를 유지하면서 보관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용기로서, 냉장고용, 전자렌지용, 야외용, 도시락용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밀폐 용기가 음식물이나 식품을 보관하는 사용 목적에서 벗어나 의류나 다른 물건을 보관하는 수납용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밀폐 용기는 뚜껑과 용기 사이의 밀폐 부분이 중요한 바, 이 부분의 결착력 및 밀폐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밀폐 용기의 밀폐 부분이 도시된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밀폐 용기는 용기(1)의 상단에 플랜지부(1a)가 형성되고, 이 용기(1)를 밀봉하는 뚜껑(2)에 상기 플랜지부(1a)에 밀착되는 밀봉부(3a)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플랜지부(1a)와 밀봉부(3a)의 내측 부분에는 뚜껑(3)이 용기(1)에 닫힌 상태에서 기밀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대측으로 돌출되어 접촉되는 립부(3b) 또는 돌출부(1b)가 각각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밀폐 용기는, 용기(1)와 뚜껑(3)의 내측 부분에서 상기 돌출부(1b) 또는 립부(3b)가 상대 부분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이와 같이 내측에만 형성된 기밀 유지 부분으로는 용기의 밀폐 성능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고, 특히, 상기 용기(1)의 플랜지부(1a) 내측 상단에 돌출부(1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뚜껑(3) 개폐시에 립부(3b)가 돌출부(1b)에 걸리게 되어 뚜껑(3)의 개폐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뚜껑(3)의 저면(3c)과 용기(1)의 단턱부(1c) 사이가 서로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밀이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1)의 플랜지부(1a)와 뚜껑(3)의 밀봉부(3a) 사이에서 모세관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 때 용기(1)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용기(1) 밖으로 누출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도 2는 다른 종래 기술의 밀폐 용기의 밀폐 부분이 도시된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밀폐 용기는 용기(5)의 플랜지부(5a) 상부에 양쪽으로 돌출부(5b)가 형성되고, 뚜껑(7)의 밀봉부(7a)에 상기 플랜지부(5a)의 내측면과 외측면에 밀착되는 립부(7b)가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밀폐 용기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밀폐 용기와 마찬가지로 내부 쪽에 돌출부(5b)와 립부(7b)가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7)의 개폐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고, 뚜껑(7)의 저면(7c)과 용기(5)의 단턱부(5c) 사이가 접촉하지 않고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내용물이 용기(5) 밖으로 새어나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3은 상기와 같은 밀폐 용기에서 뚜껑 부분에 형성되는 종래 탭부분이 도시된 사시도로서, 탭부(9a)는 통상 뚜껑(9)의 모서리 부분에서 돌출되어 용기(8)에 닫힌 뚜껑(9)을 개폐할 때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 탭부(9a)는 뚜껑(9) 개폐시 충분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복수개의 리브(9b)가 형성되는 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부(9a)의 돌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3개의 리브(9b)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길이 방향으로의 강성은 향상되나, 탭부(9a)의 폭방향으로는 강성을 향상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가 통상 뚜껑(9)을 열 때는 손가락으로 탭부(9a)의 밑부분을 들어 올리면서 열게 되나, 이 때 손가락이 탭부(9a)의 날카로운 끝단부에 직접 접촉된 상태에서 힘을 가하여 열게 되므로, 뚜껑(9)을 열 때 느낌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용기와 뚜껑에 3중 밀봉 구조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용기의 밀폐 기능이 향상되면서 개폐가 용이하고, 전체적인 강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밀폐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밀폐 용기는, 상측 테두리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플랜지부 내측과 외측 부분에 밀착되는 밀봉부가 형성되어 용기를 밀봉하는 뚜껑이 포함된 밀폐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플랜지부는 내측 부분이 평면부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평면부의 하측에 단턱부가 형성되고, 외측 부분에 오목한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뚜껑의 밀봉부는 내측 부분에 상기 플랜지부의 평면부와 단턱부에 접촉되도록 립부가 각각 형성되고, 외측 부분에 상기 플랜지부의 홈부에 밀착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의 홈부와 뚜껑의 돌출부는‘V'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호 밀착되게 구성된다.
상기 뚜껑에는 일측에서 대략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탭부가 형성되고, 상기 탭부에는 상기 탭부의 길이 방향과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속된 리브가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탭부의 리브는 ‘ㄷ' 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용기는 그 둘레면을 형성하는 부분 중 일부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보강부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강부는 용기의 바닥부분으로부터 외곽선이 캡(cap) 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는 평면 형상이 대략 다각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용기의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각 면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용기는 상기 보강부와 상기 보강부 외의 부분 중 적어도 어느 일부분의 표면이 엠보싱(embossing) 구조로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고안에서 용기에 뚜껑이 닫힌 상태의 밀폐 용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밀폐 용기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대략 사각 통체 모양의 용기(10)와, 이 용기(10)의 상부에 결합되는 대략 사각 모양의 뚜껑(20)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용기(10)와 뚜껑(20)에는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밀폐 부분이 형성되는데, 상기 용기(10)에는 용기 본체부(11)의 상측 테두리 부분에 플랜지부(15)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20)에는 둘레 부분에 상기 용기(10)의 플랜지부(15)에 밀착되어 결합 또는 분리되는 밀봉부(25)가 형성된다.
먼저, 상기 용기(10)의 플랜지부(15)는 그 절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캡(cap)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플랜지부(15)는 용기(10)의 안쪽 부분을 이루는 내측 부분이 평면부(15a)로 형성되고, 이 평면부(15a)의 하측 부분에서 용기 본체부(11)로 연결되는 부분은 계단 모양의 단턱부(15b)가 형성된다.
상기 평면부(15a)의 상측 부분은 용기(10)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상면부(15c)가 형성되는데, 상기 평면부(15a)와 상면부(15c) 연결하는 부분은 뚜껑(20) 개폐시에 걸리는 부분이 없도록 모따기 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면부(15c)에서 바깥쪽 하측으로는 외측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이 부분에 오목한 ‘V'자 형상의 홈부(15d)가 형성된다.
다음, 상기 뚜껑(20)의 밀봉부(25)는 상기 용기(10)의 플랜지부(15)의 상부에 씌워진 상태로 결합되어 용기(10) 내부를 밀봉할 수 있도록 그 절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캡(cap)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밀봉부(25)는 내측 부분에 상기 플랜지부(15)의 평면부(15a)와 단턱부(15b)에 접촉되는 립부(25a)(25b)가 각각 형성되고, 이 내측 부분과 상면부(25c)를 통해 연결되는 외측 부분에는 상기 플랜지부(15)의 홈부(15d)에 밀착되는 돌출부(25d)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25d)는 뚜껑(20)의 개폐가 용이하면서 밀폐 부분을 형성하도록 상기 홈부(15d)의 형상과 동일하게 ‘V'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용기(10)와 뚜껑(20)의 밀폐 부분은 내측 부분에서 평면부(15a)와 립부(25a), 단턱부(15b)와 립부(25b)가 상호 접촉되고, 외측 부분에서 홈부(15d)와 돌출부(25d)가 상호 밀착되어, 도 4의 확대도에서와 같이 'X','Y','Z'의 세 부분에서 밀봉 구조를 확보하여 용기(10) 내부를 보다 확실하게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턱부(15b)와 립부(25b)가 상호 밀착되어 밀폐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플랜지부(15)와 밀봉부(25)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세관 현상을 방지하여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이 밖으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외측 부분에 홈부(15d)와 돌출부(25d)가 ‘V'자형 구조로 상호 밀착되므로 상대적으로 넓은 접촉 면적으로 안정된 밀봉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뚜껑(20) 개폐시에 절도감을 형성하여 여닫힘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고, 뚜껑(20) 닫힘시에 닫힌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하여 뚜껑 여닫힘 상태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홈부(15d)와 돌출부(25d)의 ‘V'자 구조를 통해 큰 걸림감 없이 부드럽게 뚜껑(20)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한 뚜껑의 다른 부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이 도시된 도면으로서, 도 5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 선 방향의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 부분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20)은 대략 사각 모양으로 형성되고, 일측 모서리 부분에는 뚜껑(20)을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밀봉부(25)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삼각 모양에 가깝게 돌출되는 탭부(21)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탭부(21)에는 뚜껑(20) 개방시에 충분한 강성이 유지되도록 탭부(21)를 이루는 평면(21a)보다 하측으로 돌출되는 리브(22)가 형성되는데, 이 리브(22)는 상기 탭부(21)의 길이 방향과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속된 모양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리브(22)는 도 5와 도 7에서와 같이 뚜껑을 향하여 개방된 구조의 ‘ㄷ' 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리브(22)가 ‘ㄷ'자 모양으로 형성될 경우에 탭부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리브(22a)는 탭부(21)의 길이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게 되고,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리브(22b)는 탭부(21)의 폭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한 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탭부(21)에 어느 쪽으로 힘을 가하더라도 쉽게 굽혀지지 않게 되는 강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리브(22)가 ‘ㄷ'자 모양으로 형성됨에 따라 리브(22) 안쪽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간 상태 즉, 안착된 상태에서 힘을 가할 수 있으므로, 뚜껑 개방시에 보다 부드러운 접촉감을 갖으면서도 미끄러지지 않고 뚜껑(20)을 편리하게 개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뚜껑(20)의 밀봉부(25)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밀폐 용기를 상호 적층할 때 안정감 있게 적층시킬 수 있도록 도 4에서 용기(10)의 밑부분에 형성된 홈부(17)와 볼록부(18)가 안착되어 위치되는 볼록부(27)와 홈부(2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볼록부(27)에는 상표 등을 부착하거나 인쇄할 수 있도록 라벨 부착부(29)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이 결합되는 용기의 여러 실시예를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C-C 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상기 용기(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 본체부(11)의 상부에 플랜지부(15)가 형성되고, 특히 용기 본체부(11)의 둘레면을 형성하는 부분 중 일부가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보강부(13)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13)는 상기 용기(10)의 모서리 부분(11a)을 제외한 각면 부분에 형성되고, 용기(10)의 바닥부분으로부터 외곽선이 캡(cap) 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13)는 상측에서 바닥 부분으로 이어지는 부분이 용기(10)의 외곽면과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소멸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에서 용기(10)는 사각 구조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원형 또는 오각 등으로 그 모양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보강부(13)는 상기 용기(10)의 내측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실시 조건에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보강부(13)는 용기(10)의 내외 방향, 상하 방향, 좌우 방향으로의 강도를 높이는 기능 외에, 용기의 외형을 미려하게 함과 아울러 용기를 들어 올릴 때 걸림 작용을 하여 용기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용기(10)의 바닥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뚜껑(20)의 볼록부(27)와 홈부(28)에 안착되는 홈부(17)와 볼록부(18)가 형성된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D-D 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의 용기(10‘)는 전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나, 용기(10)의 보강부(13)를 제외한 모서리 부분(11a') 쪽의 외측 표면이 미세하게 엠보싱(embossing) 가공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용기(10)의 일부분이 엠보싱 가공되어 형성됨에 따라 용기(10)의 외관이 미려해짐과 아울러 사용자가 용기(10)를 잡을 때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제 3 실시예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E-E 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의 용기(10")는 전술한 제 2 실시예와 반대로 보강부(13')에 외측 표면에 미세하게 엠보싱 가공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용기(10)의 모서리 부분이나 보강부(13) 중 어느 한 쪽 부분에 엠보싱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모서리 부분(11a)과 보강부(13)에 모두 엠보싱이 형성된 구조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 용기는, 용기와 뚜껑의 내측 부분에서 평면부와 립부, 단턱부와 립부가 상호 접촉됨과 아울러 외측 부분에서 홈부와 돌출부가 상호 밀착되어 용기를 밀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3 부분의 밀봉 구조에 의해 보다 확실한 밀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의 밀폐 용기는 용기와 뚜껑의 단턱부와 립부가 상호 밀착되어 용기의 내측으로부터 밀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와 뚜껑의 밀폐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세관 현상을 예방하여, 내부의 내용물이 밖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므로 보다 신뢰성 있는 밀폐 구조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밀폐 용기는 상기 용기의 홈부와 뚜껑의 돌출부가 ‘V'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호 밀착되게 구성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넓은 접촉 면적으로 안정된 밀봉 기능을 수행함과 아울러 뚜껑 개폐시에 절도감을 형성하여 여닫힘 상태를 사용자에게 확실하게 알려줄 수 있고, 뚜껑이 닫혀 있는 위치도 정확하게 결정하여 뚜껑 닫힘 상태의 신뢰성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V'자 구조를 통해 큰 걸림감 없이 부드럽게 뚜껑을 개폐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밀폐 용기는 뚜껑의 탭부에 ‘ㄷ' 자 모양의 리브가 형성되기 때문에 탭부의 길이 방향과 함께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도 강성을 보강하여 뚜껑 개방시에 상기 탭부의 어느 쪽으로 힘을 가하더라도 쉽게 굽혀지지 않게 되는 강성을 보유하게 되고, 또한 뚜껑 개방시에 ‘ㄷ'자 모양의 리브 안쪽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간 상태에서 힘을 가하여 뚜껑을 개방할 수 있으므로 보다 부드러운 접촉감을 제공하면서 미끄러지지 않고 뚜껑을 보다 편리하게 개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밀폐 용기는 용기의 둘레면에 보강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의 내외 방향은 물론, 상하, 좌우 방향으로의 강성이 증대됨과 아울러 용기의 외형이 미려하고, 용기를 들어 올릴 때 걸림 작용을 하여 용기가 미끄러지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밀폐 용기는 용기의 표면에 엠보싱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의 외관이 미려해지고 사용자가 용기를 잡을 때 쉽게 미끄러지지 않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밀폐 용기의 주요부가 도시된 단면도,
도 2는 또 다른 종래 밀폐 용기의 주요부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종래 밀폐 용기의 탭부가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 용기가 도시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 용기의 뚜껑이 도시된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A 선 방향의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평면도,
도 9는 도 8의 C-C 선 방향의 단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D-D 선 방향의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의 제 3 실시예가 도시된 평면도,
도 13은 도 12의 E-E 선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 11 : 용기 본체부
11a : 모서리 부분 13 : 보강부
15 : 플랜지부 15a : 평면부
15b : 단턱부 15c : 상면부
15d : 홈부 17 : 홈부
18 : 볼록부 20 : 뚜껑
21 : 탭부 21a : 평면
22 : 리브 25 : 밀봉부
25a : 립부 25b : 립부
25c : 상면부 25d : 돌출부
27 : 볼록부 28 : 홈부

Claims (10)

  1. 상측 테두리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플랜지부 내측과 외측 부분에 밀착되는 밀봉부가 형성되어 용기를 밀봉하는 뚜껑이 포함된 밀폐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플랜지부는 내측 부분이 평면부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평면부의 하측에 단턱부가 형성되고, 외측 부분에 오목한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뚜껑의 밀봉부는 내측 부분에 상기 플랜지부의 평면부와 단턱부에 접촉되도록 립부가 각각 형성되고, 외측 부분에 상기 플랜지부의 홈부에 밀착되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용기는 상기 용기의 평면부와 뚜껑의 립부, 상기 용기의 단턱부와 뚜껑의 립부, 상기 용기의 홈부와 뚜껑의 돌출부가 각각 밀착되어 3중 밀봉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3. 상측 테두리에 플랜지부가 형성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플랜지부 내측과 외측 부분에 밀착되는 밀봉부가 형성되어 용기를 밀봉하는 뚜껑이 포함된 밀폐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플랜지부는 내측 부분에 단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의 밀봉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내측 부분 또는 외측 부분에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립부 또는 돌출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단턱부에 접촉되도록 립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홈부와 뚜껑의 돌출부는 ‘V'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호 밀착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일측에서 대략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는 탭부가 형성되고,
    상기 탭부에는 상기 탭부의 길이 방향과 이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속된 리브가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탭부의 리브는 ‘ㄷ' 자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그 둘레면을 형성하는 부분 중 일부가 내측 또는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보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용기의 바닥부분으로부터 외곽선이 캡(cap) 모양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평면 형상이 대략 다각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용기의 모서리 부분을 제외한 각 면부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상기 보강부와 상기 보강부 외의 부분 중 적어도 어느 일부분의 표면이 엠보싱(embossing)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KR20-2005-0006080U 2005-03-07 2005-03-07 밀폐 용기 KR2003854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080U KR200385400Y1 (ko) 2005-03-07 2005-03-07 밀폐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080U KR200385400Y1 (ko) 2005-03-07 2005-03-07 밀폐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400Y1 true KR200385400Y1 (ko) 2005-05-27

Family

ID=43686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080U KR200385400Y1 (ko) 2005-03-07 2005-03-07 밀폐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4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5275A1 (ko) * 2019-08-05 2021-02-11 씨제이제일제당(주) 이너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5275A1 (ko) * 2019-08-05 2021-02-11 씨제이제일제당(주) 이너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47709A1 (en) Container with one-step closing
KR20080019011A (ko) 벤팅 용기
KR20080036556A (ko) 벤팅 용기
JP2019127316A (ja) 包装用容器
KR200385400Y1 (ko) 밀폐 용기
KR100673997B1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100673992B1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101786163B1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KR101404822B1 (ko) 무패킹 밀폐용기
WO2007148853A1 (en) Easy opening airtight container
KR200433746Y1 (ko) 원터치식 밀폐 용기
KR20180050021A (ko) 밀폐 용기
JP3635336B2 (ja) 包装用容器
KR101845361B1 (ko) 트레이 용기 구조체
JP2002362598A (ja) 包装用容器の蓋体
KR200364895Y1 (ko) 야채샐러드 용기
JP2009255967A (ja) 食品用容器
JP2019127326A (ja) 包装用容器
KR200478597Y1 (ko) 식품 보관용 용기
KR20030064084A (ko) 용기 뚜껑 밀폐용 클립
KR200380070Y1 (ko) 식품보관용 개폐구조
KR200279687Y1 (ko) 식품용기의 밀폐구조
KR200270693Y1 (ko) 김치냉장고용 김치저장용기
JPH08196323A (ja) 弁当箱
JPH0744612Y2 (ja) ヒンジ蓋つ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