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0070Y1 - 식품보관용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식품보관용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0070Y1
KR200380070Y1 KR20-2004-0037066U KR20040037066U KR200380070Y1 KR 200380070 Y1 KR200380070 Y1 KR 200380070Y1 KR 20040037066 U KR20040037066 U KR 20040037066U KR 200380070 Y1 KR200380070 Y1 KR 2003800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storage container
food
opening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70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봉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옥봉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옥봉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옥봉화학
Priority to KR20-2004-00370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00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00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00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65D43/164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and connected by interfitting hinge elements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and the lid formed respectively
    • B65D43/165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and connected by interfitting hinge elements integrally with the container and the lid formed respectively these elements being assembled by a separate pin-lik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7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 B65D21/022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the bottom presenting projecting peripheral elements receiving or surrounding the closure or peripheral elements projecting therefrom

Abstract

본 고안은 고추장이나 된장과 같은 각종 장류를 저장하는 장류 저장용기와 다양한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밀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용기와 뚜껑을 후방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조립할 때 일정한 각도가 개방되면 탄성돌기의 탄성력으로 자동 개방되며 개방된 이후에는 닫혀지지 않도록 하는 식품보관용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테두리(11)의 일측면 양측으로 형성되는 회전 안내홈(15)과 그 일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16)를 갖고 중앙에 뚜껑(20)을 자동 개폐시키는 탄성돌기(14)가 형성된 보관용기(10)와;
상기 회전 안내홈(15)에 결합되는 회전축(22)이 형성되며 그 일측으로 가이드 돌기(16)에 결합되는 회전 안내부(24)를 갖는 뚜껑(2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식품보관용 개폐구조{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food storage vessel}
본 고안은 고추장이나 된장과 같은 각종 장류를 저장하는 장류 저장용기와 다양한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밀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관용기와 뚜껑을 후방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조립할 때 일정한 각도가 개방되면 탄성돌기의 탄성력으로 자동 개방되며 개방된 이후에는 닫혀지지 않도록 하는 식품보관용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이 상하지 않게 보관하고 또한 식품의 특유한 냄새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밀폐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밀폐용기는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있으나, 대체로 상측면이 개방된 보관용기(10)와 보관용기의 상측면을 덮는 뚜껑(20), 그리고 뚜껑과 보관용기의 후방으로 회전을 안내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단순히 설치된 뚜껑을 보관용기에 결합시키는 구조만으로는 뚜껑을 보관용기로부터 분리하기가 어렵고 기밀성을 보장하기 어려운 결점이 있다.
이에, 뚜겅을 보관용기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기밀성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뚜껑의 외측으로 밀폐 손잡이(23)를 설치하여 걸림턱(14)과 결합되는 과정을 통하여 밀폐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구성이 본 출원인에 의하여 실용신안등록 제264765호(2002. 2. 21. 공고)와 같이 공지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용기몸체의 상측으로 테두리가 형성되어 뚜껑과 후방의 힌지를 통하여 개폐가능하도록 형성하고 전방에서는 고정부재의 고정돌기가 고정턱에 걸려 고정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밀폐방법은 보관용기의 내부에 공급된 식품 특유의 냄새가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해야만 하나 내용물이 액체이거나 액체와 고체의 중간 정도의 성상을 갖는 경우에는 보관용기의 보관 또는 운반중에 출렁거림이 발생하거나 기울어짐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뚜껑의 내부에 묻어 먹지 못하는 내용물이 발생되거나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상실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뚜껑을 힌지에 의하여 회전식으로 개폐시키는 경우에는 뚜껑을 완전하게 개방시켜야만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을 꺼내는 것이 편리하였으나 뚜껑이 90°이내로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안쪽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에 의하여 사용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관용기 또는 뚜껑에 형성되는 탄성돌기를 통하여 뚜껑이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열리면 자동으로 열려 안으로 닫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보관용기와 뚜껑에 원형의 적층돌기와 적층 유지홈을 형성하여 적층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테두리의 일측면 양측으로 형성되는 회전 안내홈과 그 일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를 갖고 중앙에 뚜껑을 자동 개폐시키는 탄성돌기가 형성된 보관용기와;
상기 회전 안내홈에 결합되는 회전축이 형성되며 그 일측으로 가이드 돌기에 결합되는 회전 안내부를 갖는 뚜껑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측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경사형태를 갖는 보관용기(10)의 바닥면은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도록 내부가 안으로 들어간 형태를 형성한다.
보관용기(10)의 상측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외측면을 따라서 실링 테두리(11)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보관용기(10)의 내부에는 식품이 공급되어 저장되는 것이며, 식품 특유의 냄새가 있으므로 진공상태에서 테두리(11)를 따라서 실링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보관용기(10)의 사면 코너부분에는 적층턱(12)을 형성하여 보관용기(10)를 적층시켜 자동으로 공급할 때 적층턱(12)에 의하여 일정한 높이로 적층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보관용기(10)의 저면 사방에는 원형의 적층돌기(13)를 돌출시켜 내부에 식품을 저장시킨 후 뚜껑(20)과 적층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보관용기(10)의 넓은면 일측에는 탄성돌기(14)를 형성하여 뚜껑(20)이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열리면 자동으로 열려 닫혀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돌기(14)의 일측에는 가이드 돌기(16)가 형성되며, 그 가이드 돌기(16)의 양측에는 회전 안내홈(15)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보관용기(10)와 결합되는 뚜껑(20)의 상측면 사방에는 적층돌기(13)가 결합되는 적층 유지홈(21)이 형성되며 전방의 내부에는 걸림턱(25)이 형성되어 뚜껑(20)을 테두리(11)에 결합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뚜껑(20)의 넓은면 일측에는 회전 안내부(24)를 양측에 형성하고, 이 회전 안내부(24)에는 회전축(22)을 형성하여 회전 안내홈(15)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회전축(22)과 회전 안내홈(15)은 뚜껑(20)과 보관용기(10)에 형성되는 것으로 그 설치위치를 서로 반대방향이 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보관용기(10)와 뚜껑(20)을 독립되게 사출성형하는 것이며, 보관용기(10)와 뚜껑(20)을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보관용기(10)와 뚜껑(20)은 독립되게 적층된 상태에서 공급되는 것으로, 보관용기(10)가 자동으로 공급되면 그 내부에 저장할 식품을 공급하여 채운 후 필요한 경우 테두리(11)에 실링지를 공급하여 식품 특유의 냄새가 외부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실링처리 한다.
보관용기(10)에 식품이 저장되어 공급되는 과정에서 보관용기(10)의 상측에서 뚜겅(20)이 공급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뚜껑(20)의 회전축(22)이 회전 안내홈(15)과 일치되도록 하여 회전축(22)과 회전 안내홈(15)을 결합시킨다.
그러면 회전 안내홈(15)에 회전축(22)이 결합되고, 회전축(22)의 일측으로 형성된 회전 안내부(24)가 가이드 돌기(16)의 상측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이 이루어지면 뚜껑(20)을 닫아 전방의 걸림턱(25)이 테두리(11)의 하측면에 걸려 뚜껑(20)이 보관용기(10)와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식품이 저장된 보관용기(10)에 뚜껑(20)이 결합되어 생산되면 도 13 과 같이 적층시키는 것으로,
보관용기(10)를 뚜겅(20)에 결합시키면 보관용기(10)의 하측으로 형성된 적층돌기(13)가 적층 유지홈(21)에 결합되면서 홈과 돌기 형태가 일치되어 적층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여 원하는 높이로 안정되게 적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보관용기(10)의 내부에 식품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저장된 식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뚜껑(20)의 전방을 잡고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걸림턱(25)이 테두리(11)와 분리되면서 상측으로 회전 이동되는 것이다.
뚜껑(20)이 상측으로 회전 이동될 때 회전축(22)은 회전 안내홈(15)에 결합되어 회전 이동을 안내하는 것이며, 회전 안내부(24)는 가이드 돌기(16)의 내부에 안착되어 회전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뚜겅(20)이 열리고 실링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실링지를 제거하고 식품을 꺼낼 수 있는 것이나, 종래에는 뚜껑(20)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열려있는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고 닫히려는 현상에 의하여 저장된 식품을 꺼내는 과정이 매우 어려웠다.
그러나 본 고안은 뚜껑(20)을 회전 이동시켜 개방하는 경우, 약20∼50°정도 이상의 각도로 뚜껑(20)을 개방시키면 탄성돌기(14)가 뚜껑(2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뚜껑(20)이 개방된 이후에는 탄성돌기(14)가 뚜껑(20)을 지지하고 있어서 닫혀지지 않도록 하므로 사용자는 저장된 식품을 안정되게 꺼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뚜껑(20)을 닫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으로 뚜껑(20)을 누르면 탄성돌기(14)가 함께 눌리면서 걸림턱(25)이 테두리(11)에 걸려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탄성돌기(14)의 탄성력을 유지하고 정확하게 힘이 전달되도록 하기 위해서 뚜껑(20)의 중앙부분에 돌출혹(23)을 형성하여 탄성돌기(14)와 연계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을 추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보관용기와 뚜껑에 적층돌기와 적층 유지홈을 형성하여 보관용기에 식품을 저장한 후 적층시키는 경우에는 적층돌기와 적층 유지홈이 결합되면서 적층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높이로 보관용기를 안정되게 적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뚜껑에 형성된 회전축을 보관용기의 회전 안내홈과 결합하여 뚜껑을 개폐시킬 때 탄성돌기를 형성하여 뚜껑이 일정한 각도 이상으로 개방되는 경우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것이며, 개방된 이후에는 닫혀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제공하여 저장된 내용물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보관용기에 대한 평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뚜껑 대한 평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다른 위치 측면 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요부 분리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9 는 본 고안의 회전 안내홈과 회전축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10 은 본 고안의 가이드 돌기와 회전 안내부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11 은 본 고안의 걸림턱이 테두리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 는 본 고안의 뚜껑이 열리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3 은 본 고안의 보관용기와 뚜껑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관용기 11 : 테두리
12 : 적층턱 13 : 적층돌기
14 : 탄성돌기 15 : 회전 안내홈
16 : 가이드 돌기 20 : 뚜껑
21 : 적층 유지홈 22 : 회전축
23 : 돌출혹 24 : 회전 안내부

Claims (3)

  1. 식품을 저장하는 보관용기(10)의 상측으로 뚜껑(20)이 설치되며 걸림턱(25)이 테두리(11)와 결합되어 밀폐시키도록 하는 구조에 있어서,
    테두리(11)의 일측면 양측으로 형성되는 회전 안내홈(15)과 그 일측으로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16)를 갖고 중앙에 뚜껑(20)을 자동 개폐시키는 탄성돌기(14)가 형성된 보관용기(10)와;
    상기 회전 안내홈(15)에 결합되는 회전축(22)이 형성되며 그 일측으로 가이드 돌기(16)에 결합되는 회전 안내부(24)를 갖는 뚜껑(20)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보관용 개폐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보관용기(10)와 뚜껑(20)의 사면으로 적층돌기(13)와 적층 유지홈(21)이 형성되어 적층 가능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보관용 개폐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뚜껑(20)에는 탄성돌기(14)와 만나는 돌출혹(23)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보관용 개폐구조.
KR20-2004-0037066U 2004-12-28 2004-12-28 식품보관용 개폐구조 KR2003800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066U KR200380070Y1 (ko) 2004-12-28 2004-12-28 식품보관용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7066U KR200380070Y1 (ko) 2004-12-28 2004-12-28 식품보관용 개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0070Y1 true KR200380070Y1 (ko) 2005-03-28

Family

ID=43681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7066U KR200380070Y1 (ko) 2004-12-28 2004-12-28 식품보관용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00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698B1 (ko) 2007-09-17 2008-02-01 주식회사 디엠디 적층이 용이한 캔 용기 보조덮개
EP3838787A4 (en) * 2018-08-16 2022-09-28 King's Flair Marketing Limited STORAGE CONTAINER WITH LI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698B1 (ko) 2007-09-17 2008-02-01 주식회사 디엠디 적층이 용이한 캔 용기 보조덮개
EP3838787A4 (en) * 2018-08-16 2022-09-28 King's Flair Marketing Limited STORAGE CONTAINER WITH LI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0754B2 (en) Container/hinged lid assembly
US8517212B2 (en) Overcap for a container
KR20060015011A (ko) 재밀폐 가능한 음식물 저장용기
US20080000795A1 (en) Stackable containers
BRPI1106790B1 (pt) Tampa de abrir uma embalagem para gêneros alimentícios
CN108502347B (zh) 食品罐
JP3451051B2 (ja) 食品保存容器
US5052575A (en) Holder for an aseptic package
KR101417382B1 (ko) 용기
KR200403040Y1 (ko) 식품보관용 잠금구조
USD517318S1 (en) Storage container for packaged collectible items
KR200380070Y1 (ko) 식품보관용 개폐구조
KR200404820Y1 (ko) 한개의 잠금수단으로 밀폐가 가능한 양념통
TWI705925B (zh) 可密封蓋及包含其之容器
US20050061815A1 (en) Food container with pop-open lid
KR200385832Y1 (ko) 실링지를 이용한 식품보관용 밀폐구조
KR200451988Y1 (ko) 플라스틱재 음식용기
KR200385831Y1 (ko) 실링지를 이용한 식품보관용 밀폐구조
KR20060119361A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200380071Y1 (ko) 실링지를 이용한 식품보관용 밀폐구조
KR200336409Y1 (ko) 밀폐보장이 가능한 용기 밀폐구조
KR200264765Y1 (ko) 실링지의 분리 가능한 용기 개폐구조
KR100601400B1 (ko) 상하 개폐용기
KR101859941B1 (ko) 밀폐용기
JP3547409B2 (ja) 弁当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