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4765Y1 - 실링지의 분리 가능한 용기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실링지의 분리 가능한 용기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4765Y1
KR200264765Y1 KR2020010034997U KR20010034997U KR200264765Y1 KR 200264765 Y1 KR200264765 Y1 KR 200264765Y1 KR 2020010034997 U KR2020010034997 U KR 2020010034997U KR 20010034997 U KR20010034997 U KR 20010034997U KR 200264765 Y1 KR200264765 Y1 KR 2002647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jaw
protrusion
fixing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9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봉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옥봉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옥봉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옥봉화학
Priority to KR20200100349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476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47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4765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추장이나 된장과 같은 각종 장류를 저장하는 장류용기와, 다양한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식품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을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실링지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며, 뚜껑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부재의 돌출이 없어 포장 및 이동과정에서 파손 및 열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실링지의 분리 가능한 용기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조립 돌출턱(3)의 상측으로 테두리(7)보다 높게 돌출되어 실링 처리되는 실링 돌출턱(4)과,
상기 조립 돌출턱(3)의 상측에 형성되는 걸림 돌출부(8)와 테두리(7)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테두리(7)의 전방 중앙으로 고정턱(11)이 하측에 형성되는 고정홈(10)이 형성되고 뚜껑(5)에 고정돌기(13)가 형성된 고정부재(12)가 테두리(7)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조립시켜 테두리를 분리하지 않고서도 실링지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으며, 고정부재가 테두리에서 돌출되지 않아서 이동 및 사용 중에 뚜껑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실링지의 분리 가능한 용기 개폐구조{a}
본 고안은 고추장이나 된장과 같은 각종 장류를 저장하는 장류용기와, 다양한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식품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을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실링지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며, 뚜껑이 조립된 상태에서 고정부재의 돌출이 없어 포장 및 이동과정에서의 파손 및 열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실링지의 분리 가능한 용기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고추장이나 된장과 같은 각종 장류를 저장하는 장류용기와 다양한 식품을 저장하는 식품 저장용기는 용기 본체와 뚜껑이 분리되어 있다.
특히 장류용기는 용기 본체에 내용물을 저장한 후 내용물의 오염이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링지를 이용하여 실링 처리하게 된다.
실링 처리한 후에는 뚜껑을 닫아서 실링 처리된 부분이 사용자에 의하여 구입된 후 실링지를 분리하기 이전까지 실링이 보장되도록 밀폐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품을 구입한 후에는 내용물을 꺼내기 위해서는 뚜껑을 분리한 후 실링지를 제거해야만 하므로 실링지를 분리하기 위하여 많은 불편함이 뒤따랐다.
또한 개폐식 뚜껑을 용기 몸체에 조립하여 내용물의 사용 시에는 뚜껑만을 개폐시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테두리에서 개폐되는 뚜껑이 쉽게 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부재를 설치하여 원터치형으로 뚜껑을 개폐시키게 된다.
이때 뚜껑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테두리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서 용기의 생산과정 및 이동중이나 전시하여 판매하는 과정에서 돌출된 고정부재가 걸려 쉽게 파손되거나 개방되는 결점이 있으며, 소비자에 의하여 사용 중에도 돌출되어 있어서 외력으로 인하여 쉽게 개방되거나 파손되므로 사용할 수 없게 되거나 내용물의 냄새가 쉽게 외부로 배출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뚜껑과 일체형의 테두리를 용기 몸체에 조립시킨 상태에서 테두리를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실링지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뚜껑을 테두리와 조립시키는 경우에도 고정부재가 테두리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서 사용중이나 이동 및 생산중에 외력에 의해 뚜껑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뚜껑의 테두리가 용기 몸체에 안정되게 조립되며, 뚜껑이 테두리에 전체면에서 용이하게 조립되어 밀폐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조립 돌출턱의 상측으로 테두리보다 높게 돌출되어 실링 처리되는 실링 돌출턱과,
상기 조립 돌출턱의 상측에 형성되는 걸림 돌출부와 테두리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테두리의 전방 중앙으로 고정턱이 하측에 형성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뚜껑에 고정돌기가 형성된 고정부재가 테두리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외형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뚜껑을 연 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뚜껑을 고정시키는 연결상태의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뚜껑이 개폐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실링지를 개봉하기 위한 상태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2 : 용기 몸체
2' : 용기 적재턱 3 : 조립 돌출턱
4 : 실링 돌출턱 5 : 뚜껑
5' : 뚜껑 적재턱 6 : 돌출테
7 : 테두리 8 : 걸림 돌출부
9 : 조립턱 10 : 고정홈
11 : 고정턱 12 : 고정부재
13 : 고정돌기 14 : 돌기
15 : 연결부재 16 : 분리홈
본 고안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종방향과 횡방향의 폭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측부분에 용기 적재턱(2')이 형성되어 적층되는 용기몸체(2)를 구성한다.
용기몸체(2)의 용기 적재턱(2') 상측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실링지로 밀폐되는 실링 돌출턱(4)이 설치되고, 그 하측으로 외측방향에 조립 돌출턱(3)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조립 돌출턱(3)의 상측을 감싸면서 고정되는 걸림 돌출부(8)가 형성되고 하측으로 돌기(14)가 형성되어 조립 돌출턱(3)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조립 돌출턱(3)의 하측에는 테두리(7)가 돌출되며, 전방의 중앙으로 안으로 들어가게 고정홈(10)과 하측으로 고정턱(1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걸림 돌출부(8)와 테두리(7)의 꺾임부에는 조립턱(9)이 설치되어 있으며, 뚜껑(5)과 돌출테(6)의 꺾임부에는 뚜껑(5)이 적층되는 뚜껑 적재턱(5')이 설치되어 있다.
테두리(7)의 후방에는 살 빼기를 하여 뚜껑(5)이 개폐되는 연결부재(5)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으로 조립턱(9)에 사방이 결합되는 돌출테(6)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돌출테(6)의 전방 중앙에는 고정홈(10)에 위치하는 고정부재(12)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고정돌기(13)가 형성되어 고정턱(11)과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실링 돌출턱(4)은 걸림 돌출부(8)보다 돌출되어 있으며, 사면의 코너중전방 한쪽에 걸림 돌출부(8)에 반원형의 분리홈(16)을 형성하여 실링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1)를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용기 몸체(2)가 용기 적재턱(2')에 의하여 일정한 높이로 적층되어 자동으로 한 개씩 공급된다.
공급되는 용기 몸체(2)의 내부에는 저장하기 위한 내용물이 공급되어 내부를 채운다.
내용물이 채워진 용기 몸체(2)의 실링 돌출턱(4)에는 실링지가 덮여져서 진공상태로 밀폐되도록 실링처리 된다.
실링 처리된 용기 몸체(2)가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면 뚜껑 적재턱(5')에 의하여 적층되어 있는 뚜껑(5)이 한 개씩 자동으로 공급된다.
공급되는 뚜껑(5)은 용기 몸체(2)의 상측으로 공급되어 걸림 돌출부(8)가 조립 돌출턱(3)의 상측에 걸리면서 하측의 돌기(14)가 조립 돌출턱(3)의 하측에 걸려 뚜껑(5)이 고정된다.
이때 실링 돌출턱(4)에 실링 처리된 실링지는 걸림 돌출부(8)보다 실링 돌출턱(4)이 크게 돌출되어 있어서 걸리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용기 몸체(2)의 상측으로 뚜껑(5)이 조립되면 생산이 완료되는 것이며, 뚜껑(5)의 고정부재(12)는 고정홈(10)에서 고정된 상태로 공급된다.
용기(1)를 구입하게 되면 고정부재(12)를 전방으로 당겨 고정돌기(13)가 고정턱(11)에서 분리되도록 하여 뚜껑(5)을 열면 연결부재(15)를 축으로 하여 뚜껑(5)이 회전식으로 개봉된다.
뚜껑(5)이 개봉되면 실링 돌출턱(4)에 밀봉된 실링지를 제거해야 하므로, 걸림 돌출부(8)의 한곳에 설치된 분리홈(16)에 실링지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돌출된 부분이 돌출되어 있어서 분리홈(16)을 통하여 실링지를 간편하게 잡을 수 있는 것이다.
분리홈(16)을 통하여 실링지를 잡은 후에는 실링지를 상측으로 잡아당겨 실링 돌출턱(4)과 분리되도록 하여 제거하고,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내용물을 한번에 다 사용할 수 없으므로 저장하기 위해서는 뚜껑(5)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고정부재(12)의 고정돌기(13)가 고정턱(11)에 걸려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면 사면의 돌출테(6)가 조립턱(9)에 조립되어 고정되므로 전체면에서 밀폐되어 외부로 냄새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고정부재(12)가 고정홈(10)에 조립되면 고정돌기(13)가 고정턱(11)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상태에서 고정부재(12)가 테두리(7)의 전방이나 하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므로 용기 몸체(2)에 뚜껑(5)이 결합된 후 이동 중이나 사용중에 외부에 걸리지 않게 되어 고정부재(12)가 열리는 일이 없으므로 뚜껑(5)이 임의로 분리되어 개방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뚜껑과 일체형의 테두리를 용기 몸체에 조립시킨 상태에서 테두리를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실링 돌출턱에 의하여 실링지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분리홈에 의하여 실링지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뚜껑을 테두리와 조립시키는 경우에도 고정부재가 테두리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서 사용중이나 이동 및 생산중에 외력에 의한 뚜껑의 분리를 방지하므로 뚜껑이 임의로 분리되는 현상이나 파손 및 냄새가 배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뚜껑의 테두리가 용기 몸체에 안정되게 조립되며, 뚜껑이 테두리에 전체면에서 용이하게 조립되어 안정되게 밀폐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2)

  1. 조립 돌출턱(3)이 형성된 용기 몸체(2)의 상측으로 테두리(7)와 연결부재(15)를 통하여 연결되는 뚜껑(5)으로 이루어진 용기에 있어서,
    상기 조립 돌출턱(3)의 상측으로 테두리(7)보다 높게 돌출되어 실링 처리되는 실링 돌출턱(4)과,
    상기 조립 돌출턱(3)의 상측에 형성되는 걸림 돌출부(8)와 테두리(7)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테두리(7)의 전방 중앙으로 고정턱(11)이 하측에 형성되는 고정홈(10)이 형성되고 뚜껑(5)에 고정돌기(13)가 형성된 고정부재(12)가 테두리(7)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지의 분리 가능한 용기 개폐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걸림 돌출부(8)의 전방 코너부분에 실링지를 분리하기 위한 분리홈(16)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지의 분리 가능한 용기 개폐구조.
KR2020010034997U 2001-11-14 2001-11-14 실링지의 분리 가능한 용기 개폐구조 KR20026476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997U KR200264765Y1 (ko) 2001-11-14 2001-11-14 실링지의 분리 가능한 용기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997U KR200264765Y1 (ko) 2001-11-14 2001-11-14 실링지의 분리 가능한 용기 개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4765Y1 true KR200264765Y1 (ko) 2002-02-21

Family

ID=73070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997U KR200264765Y1 (ko) 2001-11-14 2001-11-14 실링지의 분리 가능한 용기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476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522B1 (ko) 2007-02-13 2008-06-02 동진기업 주식회사 장류 포장용기
KR101125090B1 (ko) * 2008-12-04 2012-03-21 삼광유리 주식회사 밀폐 용기 및 그 밀폐 용기 성형용 금형
KR101139365B1 (ko) * 2011-09-20 2012-04-26 (주)펀트 실링지 분리와 정량 공급용 장류 용기
KR101505393B1 (ko) 2014-05-01 2015-03-25 이경옥 식품 포장용기의 탈산소재 절단과 자동 실링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522B1 (ko) 2007-02-13 2008-06-02 동진기업 주식회사 장류 포장용기
KR101125090B1 (ko) * 2008-12-04 2012-03-21 삼광유리 주식회사 밀폐 용기 및 그 밀폐 용기 성형용 금형
KR101139365B1 (ko) * 2011-09-20 2012-04-26 (주)펀트 실링지 분리와 정량 공급용 장류 용기
KR101505393B1 (ko) 2014-05-01 2015-03-25 이경옥 식품 포장용기의 탈산소재 절단과 자동 실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18848A1 (en) Tamper-evident lid assembly
BRPI1106790A2 (pt) Tampa e método de abrir uma embalagem para gêneros alimentícios
US10421589B1 (en) Scoop dock and assembly methods
CA2095672A1 (en) Rigid container for interchangeable flexible packs
CN108137195A (zh) 具有两部分铰链的包装
KR200264765Y1 (ko) 실링지의 분리 가능한 용기 개폐구조
US5052575A (en) Holder for an aseptic package
KR200403040Y1 (ko) 식품보관용 잠금구조
KR200487487Y1 (ko) 쌀 퍼냄이 용이하면서 제습기능을 갖는 쌀통
KR200301602Y1 (ko) 용기 개폐구조
KR101215439B1 (ko) 분리형 잠금날개를 구비한 밀폐용기
KR20050088057A (ko) 실링지 파지안내 구조를 갖는 식품포장용기용 뚜껑체
KR200400578Y1 (ko) 식품용기
KR200451988Y1 (ko) 플라스틱재 음식용기
EP0099304A1 (fr) Procédé d'emballage de produits alimentaires et emballag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édé
EP0223623B1 (fr) Croisillon pour la formation de cases dans une caisse d'emballage
KR200385832Y1 (ko) 실링지를 이용한 식품보관용 밀폐구조
JP2002255258A (ja) 振出し容器
JP3069609U (ja) 食品収納用容器
KR20160123043A (ko) 포장박스
KR200380071Y1 (ko) 실링지를 이용한 식품보관용 밀폐구조
KR200291157Y1 (ko) 장류 용기
WO2006108704A2 (en) Multi -corner container
KR101845361B1 (ko) 트레이 용기 구조체
KR20140005944U (ko)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