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602Y1 - 용기 개폐구조 - Google Patents

용기 개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602Y1
KR200301602Y1 KR20-2002-0031917U KR20020031917U KR200301602Y1 KR 200301602 Y1 KR200301602 Y1 KR 200301602Y1 KR 20020031917 U KR20020031917 U KR 20020031917U KR 200301602 Y1 KR200301602 Y1 KR 2003016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lid
jaw
container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9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봉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옥봉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옥봉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옥봉화학
Priority to KR20-2002-00319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6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6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6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2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the lid and the hinge being made of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10Details of hinged closures
    • B65D2251/1016Means for locking the closure in closed position
    • B65D2251/105The closure having a part fitting over the rim of the container or spout and retained by snapping over integral beads or proj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추장이나 된장과 같은 각종 장류를 저장하는 장류용기와, 다양한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식품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이 이중으로 조립되도록 하여 포장 및 이동과정에서의 파손 및 열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조립 돌출턱(3)이 형성된 용기 몸체(2)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테두리(7)의 상측으로 걸림 돌출부(8)가 돌출되어 돌기(14)의 사이에 결합되고 테두리(7)와 연결부재(15)를 통하여 연결되는 뚜껑(5)으로 이루어진 용기에 있어서,
상기 돌기(14)와 걸림 돌출부(8)의 사이에 결합되는 조립 돌출턱(3)의 중앙 전체면에 돌출띠(16)가 돌출되고, 상기 걸림 돌출부(8)의 중앙 하측으로 돌출띠(16)가 결합되는 띠홈(17)이 형성되어 테두리(7)를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용기 개폐구조{a}
본 고안은 고추장이나 된장과 같은 각종 장류를 저장하는 장류용기와, 다양한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식품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뚜껑이 이중으로 조립되도록 하여 포장 및 이동과정에서의 파손 및 열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개폐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고추장이나 된장과 같은 각종 장류를 저장하는 장류용기와 다양한 식품을 저장하는 식품 저장용기는 용기 본체와 뚜껑이 분리되어 있다.
특히 장류용기는 용기 본체에 내용물을 저장한 후 내용물의 오염이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링지를 이용하여 실링 처리하게 된다.
실링 처리한 후에는 뚜껑을 닫아서 실링 처리된 부분이 사용자에 의하여 구입된 후 실링지를 분리하기 이전까지 실링이 보장되도록 밀폐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품을 구입한 후에는 내용물을 꺼내기 위해서는 뚜껑을 분리한 후 실링지를 제거해야만 하므로 실링지를 분리하기 위하여 많은 불편함이 뒤따랐다.
또한 개폐식 뚜껑을 용기 몸체에 조립하여 내용물의 사용시에는 뚜껑만을 개폐시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테두리에서 개폐되는 뚜껑이 쉽게 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부재를 설치하여 원터치형으로 뚜껑을 개폐시키게 된다.
이때 뚜껑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테두리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서 용기의 생산과정 및 이동중이나 전시하여 판매하는 과정에서 돌출된 고정부재가 걸려쉽게 파손되거나 개방되는 결점이 있으며, 소비자에 의하여 사용중에도 돌출되어 있어서 외력으로 인하여 쉽게 개방되거나 파손되므로 사용할 수 없게 되거나 내용물의 냄새가 쉽게 외부로 배출되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64765호(2002. 2. 4. 등록)는 조립 돌출턱의 상측으로 테두리 보다 높게 돌출되어 실링 처리되는 실링 돌출턱과, 상기 조립 돌출턱의 상측에 형성되는 걸림돌출부와 테두리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테두리의 전방 중앙으로 고정턱이 하측에 형성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뚜껑에 고정돌기가 형성된 고정부재가 테두리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조립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실링지의 분리 가능한 용기 개폐구조는 조립 돌출턱의 상측으로 걸림 돌출부가 위치하고 조립 돌출턱의 하측에서 돌기를 이용하여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게 되므로 전체면에서 안정되고 균일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없었다.
또한 용기몸체에서 테두리의 결합상태가 견고하지 못하므로 테두리를 상측으로 들어 올리면 쉽게 분리되는 결점이 있으므로 완벽한 밀폐 및 결합능력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립 돌출턱과 걸림 돌출부가 만나는 지점에 띠 형태로 돌출부와 홈을 형성하여 이들이 전체면에서 조립되도록 하여 테두리가 용기 몸체에 안정되고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조립 돌출턱의 중앙 전체면에 돌출띠를 형성하고 그 상측에 위치하는 테두리의 걸림 돌출부에 돌출띠가 조립되는 띠홈을 형성하여 조립 돌출턱에서 결합됨과 동시에 테두리의 돌기와 걸림 돌출부의 사이에서 조립 돌출턱이 조립되는 이중조립구조를 통하여 안정되고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외형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뚜껑이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뚜껑을 고정시키는 연결상태의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뚜껑이 개폐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2 : 용기 몸체
2' : 용기 적재턱 3 : 조립 돌출턱
4 : 실링 돌출턱 5 : 뚜껑
6 : 돌출테 7 : 테두리
8 : 걸림 돌출부 9 : 조립턱
10 : 걸림돌기 11 : 분리홈
12 : 고정부재 13 : 고정홈
14 : 돌기 15 : 연결부재
16 : 돌출띠 17 : 띠홈
본 고안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종방향과 횡방향의 폭이 넓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측부분에 용기 적재턱(2')이 형성되어 적층되는 용기몸체(2)를 구성한다.
용기몸체(2)의 용기 적재턱(2') 상측에는 수직방향으로 돌출되어 실링지로 밀폐되는 실링 돌출턱(4)이 설치되고, 그 하측으로 외측방향에 조립 돌출턱(3)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조립 돌출턱(3)의 상측을 감싸면서 고정되는 걸림 돌출부(8)가 형성되고 하측으로 돌기(14)가 형성되어 조립 돌출턱(3)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조립 돌출턱(3)의 중앙부분에는 상측으로 전체면에 돌출띠(16)가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 돌출부(8)에는 돌출띠(16)가 조립되어 상호 고정되는 띠홈(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립 돌출턱(3)의 하측에는 테두리(7)가 돌출되며, 전방의 중앙으로 걸림돌기(10)가 돌출되어 있으며, 그 하측으로 분리홈(1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걸림 돌출부(8)와 테두리(7)의 꺾임부에는 하측으로 한번더 꺾여서 조립턱(9)이 설치되어 있으며, 뚜껑(5)과 돌출테(6)의 꺾임부에는 뚜껑(5)이 적층되는 적재턱(5')이 설치되어 있다.
테두리(7)의 후방에는 살빼기를 하여 뚜껑(5)이 용이하게 개폐되는 통상적인 연결부재(5)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측으로 조립턱(9)에 사방이 결합되는 돌출테(6)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돌출테(6)의 전방 중앙에는 걸림돌기(10)에 결합되는 고정홈(13)이 형성된 고정부재(12)가 설치되어 있어서 고정부재(12)의 고정홈(13)과 걸림돌기(10)가 결합되면 뚜껑(5)이 테두리(7)의 상측에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실링 돌출턱(4)은 걸림 돌출부(8)보다 돌출되어 있으며, 사면의 코너중 전방 한쪽에 걸림 돌출부(8)에 반원형의 분리홈을 형성하여 실링지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1)를 구성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용기 몸체(2)가 용기 적재턱(2')에 의하여 일정한 높이로 적층되어 자동으로 한 개씩 공급된다.
공급되는 용기 몸체(2)의 내부에는 저장하기 위한 내용물이 공급되어 내부를 채운다.
내용물이 채워진 용기 몸체(2)의 실링 돌출턱(4)에는 실링지가 덮여져서 진공상태로 밀폐되도록 실링처리 된다.
실링 처리된 용기 몸체(2)가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면 뚜껑 적재턱(5')에 의하여 적층되어 있는 뚜껑(5)이 한 개씩 자동으로 공급된다.
공급되는 뚜껑(5)은 용기 몸체(2)의 상측으로 공급되어 걸림 돌출부(8)가 조립 돌출턱(3)의 상측에 걸리면서 하측의 돌기(14)가 조립 돌출턱(3)의 하측에 걸려 뚜껑(5)이 고정된다.
이때 조립 돌출턱(3)의 돌출띠(16)는 걸림 돌출부(8)의 띠홈(17)과 결합되므로 돌기(14)에 의하여 걸림 돌출부(8)와 조립 돌출턱(3)이 걸리는 과정과 동시에 결합되어서 테두리(7)가 용기 몸체(2)에 이중으로 고정 결합되는 작용을 통하여 안정되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실링 돌출턱(4)에 실링 처리된 실링지는 걸림 돌출부(8)보다 실링 돌출턱(4)이 크게 돌출되어 있어서 걸리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용기 몸체(2)의 상측으로 뚜껑(5)이 조립되면 생산이 완료되는 것이며, 뚜껑(5)의 고정부재(12)에 형성된 고정홈(13)이 걸림돌기(10)와 결합되면서 뚜껑(5)이 테두리(7)와 일체형이 되면서 용기 몸체(2)에 고정된 상태로 공급된다.
용기(1)를 구입하게 되면 분리홈(11)에 손가락을 넣고 하측이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된 고정부재(12)를 전방으로 당겨 걸림돌기(10)가 고정홈(13)에서 분리되도록 하여 뚜껑(5)을 열면 연결부재(15)를 축으로 하여 뚜껑(5)이 회전식으로 개봉된다.
뚜껑(5)이 개봉되면 실링 돌출턱(4)에 밀봉된 실링지를 제거해야 하므로, 걸림 돌출부(8)의 한곳에 설치된 분리홈에 실링지를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돌출된 부분이 돌출되어 있어서 분리홈을 통하여 실링지를 간편하게 잡을 수 있는 것이다.
분리홈을 통하여 실링지를 잡은 후에는 실링지를 상측으로 잡아당겨 실링 돌출턱(4)과 분리되도록 하여 제거하고,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내용물을 한번에 다 사용할 수 없으므로 저장하기 위해서는 뚜껑(5)을 하측으로 이동시켜 고정부재(12)의 고정홈(13)이 걸림돌기(10)에 걸려 고정되도록 한다.
그러면 사면의 돌출테(6)가 조립턱(9)에 조립되어 고정되므로 전체면에서 밀폐되어 외부로 냄새가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뚜껑과 일체형의 테두리를 용기 몸체에 조립시킨 상태에서 테두리를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실링 돌출턱에 의하여 실링지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분리홈에 의하여 실링지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조립 돌출턱의 돌출띠와 걸림 돌출부의 띠홈이 결합되는 동시에 조립 돌출턱이 걸림돌출부와 돌기의 사이에 조립되므로 뚜껑의 테두리가 용기 몸체에 안정되게 조립되며, 뚜껑이 테두리에 전체면에서 용이하게 조립되어 견고하게 밀폐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1)

  1. 조립 돌출턱(3)이 형성된 용기 몸체(2)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테두리(7)의 상측으로 걸림 돌출부(8)가 돌출되어 돌기(14)의 사이에 결합되고 테두리(7)와 연결부재(15)를 통하여 연결되는 뚜껑(5)으로 이루어진 용기에 있어서,
    상기 돌기(14)와 걸림 돌출부(8)의 사이에 결합되는 조립 돌출턱(3)의 중앙 전체면에 돌출띠(16)가 돌출되고, 상기 걸림 돌출부(8)의 중앙 하측으로 돌출띠(16)가 결합되는 띠홈(17)이 형성되어 테두리(7)를 고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개폐구조.
KR20-2002-0031917U 2002-10-25 2002-10-25 용기 개폐구조 KR2003016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917U KR200301602Y1 (ko) 2002-10-25 2002-10-25 용기 개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917U KR200301602Y1 (ko) 2002-10-25 2002-10-25 용기 개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602Y1 true KR200301602Y1 (ko) 2003-01-24

Family

ID=49399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917U KR200301602Y1 (ko) 2002-10-25 2002-10-25 용기 개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60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946B1 (ko) 2005-08-12 2006-08-28 주식회사 이생 실링지 파지안내 구조를 갖는 식품포장용기용 뚜껑체
WO2012064132A3 (ko) * 2010-11-10 2012-09-20 Rho Hee Kwon 용기용 실링부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946B1 (ko) 2005-08-12 2006-08-28 주식회사 이생 실링지 파지안내 구조를 갖는 식품포장용기용 뚜껑체
WO2012064132A3 (ko) * 2010-11-10 2012-09-20 Rho Hee Kwon 용기용 실링부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85486T3 (es) Tapa para tabaquera.
US8517212B2 (en) Overcap for a container
KR20060015011A (ko) 재밀폐 가능한 음식물 저장용기
BRPI1106790A2 (pt) Tampa e método de abrir uma embalagem para gêneros alimentícios
EP0393734B1 (en) Airtight lid with flip top feature
EP1479613A1 (en) Cardboard container for solid, granular or past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484072Y1 (ko) 접이식 종이컵
KR200301602Y1 (ko) 용기 개폐구조
KR200264765Y1 (ko) 실링지의 분리 가능한 용기 개폐구조
KR200403040Y1 (ko) 식품보관용 잠금구조
CN218908233U (zh) 一种硅胶翻折密封袋
KR100615946B1 (ko) 실링지 파지안내 구조를 갖는 식품포장용기용 뚜껑체
KR200454719Y1 (ko) 식품 용기
KR100556608B1 (ko) 용량가변 밀폐용기
US20070181574A1 (en) Packaging for butter or similar products
JP2000203559A (ja) 押し出し箱
KR200400578Y1 (ko) 식품용기
KR200385832Y1 (ko) 실링지를 이용한 식품보관용 밀폐구조
EP0223623B1 (fr) Croisillon pour la formation de cases dans une caisse d'emballage
KR200380071Y1 (ko) 실링지를 이용한 식품보관용 밀폐구조
WO2006108704A2 (en) Multi -corner container
JP3069609U (ja) 食品収納用容器
KR200385831Y1 (ko) 실링지를 이용한 식품보관용 밀폐구조
KR200380070Y1 (ko) 식품보관용 개폐구조
KR200381986Y1 (ko) 캔용기의 마개 및 그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