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4522B1 - 장류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장류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4522B1
KR100834522B1 KR1020070014936A KR20070014936A KR100834522B1 KR 100834522 B1 KR100834522 B1 KR 100834522B1 KR 1020070014936 A KR1020070014936 A KR 1020070014936A KR 20070014936 A KR20070014936 A KR 20070014936A KR 100834522 B1 KR100834522 B1 KR 1008345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ontainer
locking
lower lid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석환
Original Assignee
동진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진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진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4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45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5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5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2Grip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444Contact between the container and the lid
    • B65D2543/00592Snapping means
    • B65D2543/00712Snapping means on the lid
    • B65D2543/00722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류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용물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공되는 실링지를 분리 및 제거한 후, 재차 뚜껑을 닫아 사용할 경우에도 밀폐성 확보할 수 있는 장류 포장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개방된 상부의 외측으로 걸림턱을 형성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걸림턱과 다단으로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개방된 내측의 둘레면에 제1 및 제2 걸림돌기를 형성한 하부뚜껑 및 상기 하부뚜껑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일측이 하부뚜껑과 힌지 연결되고, 가압 시 상기 용기 본체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내측에 밀폐턱을 형성한 상부뚜껑을 포함하는 장류 포장용기가 개시된다.
장, 포장용기, 제1 및 제2 걸림돌기, 밀폐턱, 스톱퍼

Description

장류 포장용기{PACKING CASE FOR KOREAN TRADITIONAL SAU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류 포장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을 결합한 상태의 Ⅰ-Ⅰ선 확대단면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류 포장용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류 포장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부뚜껑을 저면에서 바라본 요부단면도,
도 6은 도 5의 Ⅱ-Ⅱ선 요부 확대단면도,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류 포장용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용기 본체 110: 걸림턱
120: 밀폐돌기 130: 개방부
200: 실링지 300: 하부뚜껑
310: 제1 걸림돌기 320: 제2 걸림돌기
330: 힌지부 340: 록킹홈
350: 중공홀 400: 상부뚜껑
410: 밀폐턱 420: 밀폐홈
430: 손잡이 440: 록킹돌기
500: 스톱퍼 510: 절취선
520: 유동방지턱
본 발명은 장류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를 개봉한 후 재차 뚜껑을 닫아 사용할 경우에도 내용물이 밀폐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확보 및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류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추장이나 된장 등과 같은 장류의 포장용기는 유통과정에서 내용물이 흘러나오거나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의 상단 테두리를 실링지로 밀봉처리하고, 그 상부에 뚜껑을 씌워는 구조로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소비자는 뚜껑을 열고 용기에서 실링지를 분리하거나 제거한 후 스푼 등의 도구로 내용물을 적당량 떠내어 취식하게 되며, 남은 내용물은 뚜껑을 닫아서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장류 포장용기는 개봉 시 실링지를 한번 뜯어내거나 제거하게 되면 그 기밀성이 현격히 떨어지는 데다, 원래의 밀봉상태대로 복원될 수 없는 구조적 특성 때문에 남은 내용물을 보관 시 단순히 뚜껑을 닫는 것만으로는 유통과정에서와 같은 기밀한 상태를 유지하는데 근본적으로 한계가 있게 마련이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를 개봉한 후, 재사용 시에도 내용물을 기밀하게 밀폐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류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의 최초 개봉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장류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는 개방된 상부의 외측으로 걸림턱을 형성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걸림턱과 다단으로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개방된 내측의 둘레면에 제1 및 제2 걸림돌기를 형성한 하부뚜껑 및 상기 하부뚜껑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일측이 하부뚜껑과 힌지 연결되고, 가압 시 상기 용기 본체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내측에 밀폐턱을 형성한 상부뚜껑을 포함하는 장류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는 개방된 상부의 외측으로 걸림턱을 형성한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의 걸림턱과 다단으로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개방 된 내측의 둘레면에 제1 및 제2 걸림돌기를 형성한 하부뚜껑과, 상기 하부뚜껑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일측이 하부뚜껑과 힌지 연결되고, 가압 시 상기 용기 본체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내측에 밀폐턱을 형성한 상부뚜껑 및 상기 하부뚜껑의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형성하되, 상기 용기 본체의 상부와 상기 상부뚜껑의 밀폐턱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톱퍼를 포함하는 장류 포장용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류 포장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결합한 상태의 Ⅰ-Ⅰ선 확대단면도로써,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류 포장용기는 용기 본체(100), 실링지(200), 하부뚜껑(300) 및 상부뚜껑(400)으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먼저, 용기 본체(100)는 고추장, 된장, 쌈장, 청국장 등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 형성되어 있고, 그 개방된 상부 외측으로 걸림턱(110)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용기 본체(100)의 상단부 내측 둘레면에는 밀폐돌기(12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밀폐돌기(120)는 상기 상부뚜껑(400)에 형성된 밀폐홈(420)과 상호 밀착결합되면서 용기 본체(100)를 더욱 기밀하게 밀폐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실링지(200)는 용기 본체(100)의 개방부(130)를 커버하는 것으로, 통상의 에틸렌비닐알코올(EVOH)이나 알루미늄 호일 등의 재질로 하여, 그 표면에는 보호층을 형성하며, 이면에는 열융착성의 수지층을 코팅하여 제공된다.
이러한 실링지(200)는 그 테두리 부분이 용기 본체(100)의 상단에 부착되어 용기 본체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거나 빛이 투과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내용물을 보호하게 된다.
하부뚜껑(300)은 용기 본체(100)의 상부 테두리에 결합되는 것으로, 용기 본체(100)에 담긴 내용물을 떠낼 수 있도록 내측이 중공으로 되어 있고, 그 내측의 둘레면을 따라서는 용기 본체(100)에 형성된 걸림턱(110)과 다단으로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걸림돌기(310,32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걸림돌기(310,320)는 하부뚜껑(300)을 가압하여 누를 시 걸림턱(110)을 따라 수월하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걸림턱(110)이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수평면의 단부에 하방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갖는 쐐기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1 및 제2 걸림돌기(310,320)는 걸림턱(110)과 가압에 의한 결합이 보다 용이하고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부뚜껑(300)의 둘레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로 분할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하부뚜껑(300)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뚜껑(400)에 형성되는 손잡이(430)의 록킹돌기(440)와 상호 대응결합하는 록킹홈(340)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뚜껑(400)은 하부뚜껑(300)과 힌지부(330)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힌지부(330)를 중심축으로 하는 회전에 의해 하부뚜껑(300)의 중공홀(350)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으로는 상기 실링지(200)를 제거하고 가압할 경우 용기 본체(100)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용기 본체(100)의 개방부(130)를 기밀하게 밀폐시키는 밀폐턱(4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밀폐턱(410)의 외측 둘레면에는 용기 본체(100)에 형성된 밀폐돌기(120)와 상호 밀착결합되면서 밀폐턱(410)과 용기 본체(100)와의 틈새를 완벽하게 차단하여 용기 본체(100)의 내부를 더욱 기밀하게 밀폐시키는 밀폐홈(42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내용 및 도면에서는 용기 본체(100)에 밀폐돌기(120)를 형성하고, 밀폐턱(410)의 대응면에 밀폐홈(420)을 형성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는 용기 본체(100)에 밀폐홈을 형성하고, 밀폐턱(410)에 밀폐돌기를 형성하여 상호 대응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부뚜껑(400)의 힌지부(330)가 형성된 반대 측면에는 상부뚜껑(400)의 개폐 시 그 파지를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43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손잡이(430)의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뚜껑(300)에 형성된 록킹홈(340)과 상호 대응결합되는 록킹돌기(440)를 형성하여 상부뚜껑(400)의 닫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장류 포장용기의 작동상태를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기 본체(100)에 고추장이나 된장 등과 같은 내용물을 담은 다음, 용기 본체(100)의 상단부 테두리에 실링지(200)를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접합하여 용기 본체(100)가 밀봉되도록 한 후, 그 상부에 상/하부뚜껑(300,400)을 씌워서 결합하는데, 이때 용기 본체(100)의 걸림턱(110)이 하부뚜껑(300)의 제1 걸림돌기(310)와 제2 걸림돌기(320) 사이에 위치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렇게 포장된 상태로 유통 및 판매되는 장류를 소비자가 구입하여 개봉 및 취식하고자 할 때에는 상부뚜껑(4000)의 손잡이(430)를 외향으로 잡아당겨서 록킹돌기(440)와 록킹홈(340)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면서 힌지부(330)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향으로 회전시키면 용기 본체(100)의 상단부에 부착된 실링지(200)가 노출되므로, 그 실링지(200)의 임의의 부분을 잡고 용기 본체(100)에서 뜯어내거나 분리시킨 다음 내용물을 원하는 양만큼 퍼내면 된다.
그리고 남은 내용물은 다시 보관할 경우에는 상부뚜껑(400)을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킨 후, 상/하부뚜껑(300,400)을 함께 가압하여 누르면 용기 본체(100)의 걸림턱(110)을 제1 걸림돌기(310)와 제2 걸림돌기(320) 사이에 두고 위치되어 있던 하부뚜껑(300)이 상부뚜껑(400)과 함께 하강하게 된다. 이때, 걸림턱(110)은 제2 걸림돌기(320)의 상부에 걸림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동시에 상부뚜껑(400)의 밀폐턱(410)은 용기 본체(100)의 내부로 견고하게 밀착 삽입되면서 용기를 기밀하게 밀폐시키게 된다.
따라서 용기의 개봉을 위해 실링지(200)를 제거한 후, 재차 뚜껑만을 닫아 사용할 경우에도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나오거나 냄새가 누출되는 것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생물의 유입 등으로 인해 내용물이 변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용기를 재개봉 및 내용물을 재취식하고자 할 때에는 상부뚜껑(400)의 손잡이(430)를 외향으로 잡아당겨서 록킹돌기(440)와 록킹홈(340)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면서 힌지부(330)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향으로 회전시키면 용기 본체(100)가 개방되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류 포장용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하부뚜껑을 저면에서 바라본 요부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Ⅱ-Ⅱ선 요부 확대단면도로써,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류 포장용기는 용기 본체(100), 실링지(200), 하부뚜껑(300), 상부뚜껑(400) 및 스톱퍼(500)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류 포장용기의 기술적 요지는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부와 상부뚜껑(400)의 밀폐턱(410)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톱퍼(500)를 하부뚜껑(30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스톱퍼(500)는 상기 용기 본체(100)의 걸림턱(110)이 상기 하부뚜껑(300)의 제1 걸림돌기(310)와 제2 걸림돌기(320) 사이에 견고하게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스톱퍼(500)는 상기 상부뚜껑(400)에 형성된 손잡이(430) 부분을 커버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소비자가 용기의 최초 개봉상태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손잡이(430)가 제품의 유통과정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부뚜껑(300)에 일체로 연결된 스톱퍼(500)의 양단부에는 절취선(510)을 형성함으로써, 용기의 개봉 시 스톱퍼(500)를 하부뚜껑(300)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스톱퍼(500) 내측의 상기 하부뚜껑(300)의 제1 걸림돌기(310)와 동일한 위치상에는 제1 걸림돌기(310)와 동일한 형태의 걸림돌기(530)를 형성하고, 제2 걸림돌기(320)와 동일한 위치상에는 유동방지턱(520)을 형성함으로써, 상/하부뚜껑(300,400)이 이동 및 보관과정에서 다른 용기의 적재하중이나 부주의한 취급 등으로 인해 용기 본체(100) 쪽으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동방지턱(520)은 용기 본체(100)에서 외향으로 돌출된 걸림턱(110)의 길이와 상응하게 스톱퍼(500)의 내측에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용기 본 체(100)의 걸림턱(110)이 하부뚜껑(300)의 제1 걸림돌기(310)와 제2 걸림돌기(320) 사이에 유동없이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장류 포장용기의 작동상태를 도 7a 및 7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용기 본체(100)에 고추장이나 된장 등과 같은 내용물을 담은 다음, 용기 본체(100)의 상단부 테두리에 실링지(200)를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접합하여 용기 본체(100)가 밀봉되도록 한 후, 그 상부에 상/하부뚜껑(300,400)을 씌워서 결합하는데, 이때 용기 본체의 걸림턱(110)이 하부뚜껑의 제1 걸림돌기(310)와 제2 걸림돌기(320) 사이와 스톱퍼의 걸림돌기(530) 및 유동방지턱(520) 사이에 위치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렇게 포장된 상태로 유통 및 판매되는 장류를 소비자가 구입하여 개봉 및 취식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스톱퍼(500)의 양단을 외향으로 잡아당겨서 하부뚜껑에서 완전히 분리하거나 스톱퍼의 유동방지턱(520)이 용기 본체의 걸림턱(110)과 서로 이탈되도록 한다. 이후 상부뚜껑의 손잡이(430)를 외향으로 잡아당겨서 록킹돌기(440)와 록킹홈(340)의 잠금상태를 해제시키면서 힌지부(330)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향으로 회전시키면 용기 본체(100)의 상단부에 부착된 실링지(200)가 노출되므로, 그 실링지(200)의 임의의 부분을 잡고 용기 본체(100)에서 뜯어내거나 분리시킨 다음 내용물을 원하는 양만큼 퍼내면 된다.
그리고 남은 내용물은 다시 보관할 경우에는 상부뚜껑(400)을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킨 후, 상/하부뚜껑(300,400)을 함께 가압하여 누르면 용기 본체의 걸림 턱(110)을 제1 걸림돌기(310)와 제2 걸림돌기(320) 사이에 두고 위치되어 있던 하부뚜껑(300)이 상부뚜껑(400)과 함께 하강하게 된다. 이때, 걸림턱(110)은 제2 걸림돌기(320)의 상부에 걸림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부뚜껑의 밀폐턱(410)은 용기 본체의 내부로 견고하게 밀착 삽입되면서 용기를 기밀하게 밀폐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용기를 개봉한 후에도 내용물이 기밀하게 밀폐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므로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나오거나 냄새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내용물이 변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용기 본체의 걸림턱과 결합되는 하부뚜껑에 제1 및 제2 걸림돌기를 이중으로 형성하고, 상부뚜껑의 내측에 그 하강 시 용기 본체의 개방부와 밀착되는 밀폐턱을 형성함으로써, 용기를 개봉한 후 남은 내용물을 저장 및 보관할 경우, 상/하부뚜껑을 함께 가압하면 제2 걸림돌기가 걸림턱의 상부에 걸림 결합됨과 동시에 밀폐턱이 용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그 개방부 를 기밀하게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품의 유통 시 내용물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해 용기 본체의 상단에 부착되는 실링지를 제거한 후에도 용기를 다시 밀봉시킬 수 있으므로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내용물이 외부로 흘러나오거나 미생물 및 이물질의 유입 등으로 인해 내용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뚜껑의 일측에 용기 본체의 상부와 상부뚜껑의 밀폐턱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톱퍼를 분리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제품의 유통 및 판매과정에서 상/하부뚜껑이 외력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하강되면서 제품의 포장상태를 훼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뿐만 아니라, 스톱퍼가 손잡이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므로 소비자가 스톱퍼를 통해 최초로 개봉하는 제품인지 이미 개봉된 제품인지를 확연히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품의 유통과정에서 불필요하게 뚜껑을 개방하여 내용물이 기밀하게 밀봉된 상태를 해제시키거나 용기의 내부에 이물이나 독극물 등을 투입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0)

  1. 개방된 상부의 외측으로 걸림턱(110)이 형성된 용기 본체(100)와;
    상기 용기 본체의 걸림턱(110)과 다단으로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개방된 내측의 둘레면에 제1 및 제2 걸림돌기(310/320)가 형성된 하부뚜껑(300); 및
    상기 하부뚜껑(300)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일측이 하부뚜껑(300)과 힌지 연결되고, 가압 시 상기 용기 본체(100)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내측에 밀폐턱(410)이 형성된 상부뚜껑(400);
    을 포함하는 장류 포장용기.
  2. 개방된 상부의 외측으로 걸림턱(110)이 형성된 용기 본체(100)와;
    상기 용기 본체의 걸림턱(110)과 다단으로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개방된 내측의 둘레면에 제1 및 제2 걸림돌기(310/320)가 형성된 하부뚜껑(300)과;
    상기 하부뚜껑(300)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일측이 하부뚜껑(300)과 힌지 연결되고, 가압 시 상기 용기 본체(100)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내측에 밀폐턱(410)이 형성된 상부뚜껑(400); 및
    상기 하부뚜껑(300)의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형성하되,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부와 상기 상부뚜껑의 밀폐턱(410)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톱퍼(500);
    를 포함하는 장류 포장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단부 내측 둘레면에는 밀폐돌기(12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뚜껑에 형성된 밀폐턱(410)의 외측 둘레면에는 상기 밀폐돌기(120)와 상호 밀착결합되면서 상기 용기 본체(100)를 밀폐시키는 밀폐홈(420)이 형성된 장류 포장용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단에는 내용물을 밀봉시키기 위한 실링지(200)가 더 구비된 장류 포장용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뚜껑(400)은 그 일측에 개폐가 용이하도록 손잡이(430)가 형성된 장류 포장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430)에는 록킹돌기(440)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뚜껑(300)에는 상기 록킹돌기(440)와 상호 대응결합되는 록킹홈(340)이 형성된 장류 포장용기.
  7. 개방된 상부의 외측으로 걸림턱(110)이 형성된 용기 본체(100)와, 상기 용기 본체의 걸림턱(110)과 다단으로 걸림 결합될 수 있도록 개방된 내측의 둘레면에 제1 및 제2 걸림돌기(310/320)가 형성된 하부뚜껑(300)과, 상기 하부뚜껑(300)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일측이 하부뚜껑(300)과 힌지 연결되고, 가압 시 상기 용기 본체(100)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내측에 밀폐턱(410)이 형성되고, 개폐가 용이하도록 일측에 손잡이(430)가 형성된 상부뚜껑(400) 및 상기 하부뚜껑(300)의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형성하되,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부와 상기 상부뚜껑의 밀폐턱(410)이 서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톱퍼(500)를 포함하는 장류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500)는 상기 손잡이(430)를 커버하면서 양단부가 상기 하부뚜껑(300)에 일체로 형성된 장류 포장용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500)는 외력에 의해 상기 하부뚜껑(300)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절취선(510)이 형성된 장류 포장용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500)의 내측에는 상기 상부 및 하부뚜껑(400/300)이 용기 본체(100) 쪽으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턱(520)이 형성된 장류 포장용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500)는 상기 용기 본체의 걸림턱(110)이 상기 제1 걸림돌기와 제2 걸림돌기(310/320) 사이에 걸림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장류 포장용기.
KR1020070014936A 2007-02-13 2007-02-13 장류 포장용기 KR1008345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936A KR100834522B1 (ko) 2007-02-13 2007-02-13 장류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936A KR100834522B1 (ko) 2007-02-13 2007-02-13 장류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4522B1 true KR100834522B1 (ko) 2008-06-02

Family

ID=39769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936A KR100834522B1 (ko) 2007-02-13 2007-02-13 장류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45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3862A (zh) * 2019-03-11 2019-05-03 深圳市尚普瑞科技有限公司 包装盒
KR20230112852A (ko) * 2022-01-21 2023-07-28 (주)아이디알앤디 실링지가 제거된 상태에서도 밀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이중 밀폐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765Y1 (ko) 2001-11-14 2002-02-21 주식회사 옥봉화학 실링지의 분리 가능한 용기 개폐구조
US20040118848A1 (en) 2001-09-12 2004-06-24 Marshall Neil R Tamper-evident lid assembly
KR200374917Y1 (ko) 2004-11-02 2005-02-07 김광철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18848A1 (en) 2001-09-12 2004-06-24 Marshall Neil R Tamper-evident lid assembly
KR200264765Y1 (ko) 2001-11-14 2002-02-21 주식회사 옥봉화학 실링지의 분리 가능한 용기 개폐구조
KR200374917Y1 (ko) 2004-11-02 2005-02-07 김광철 봉인팁을 가지는 식품 용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03862A (zh) * 2019-03-11 2019-05-03 深圳市尚普瑞科技有限公司 包装盒
CN109703862B (zh) * 2019-03-11 2023-12-19 深圳市尚普瑞科技有限公司 包装盒
KR20230112852A (ko) * 2022-01-21 2023-07-28 (주)아이디알앤디 실링지가 제거된 상태에서도 밀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이중 밀폐용기
KR102633735B1 (ko) 2022-01-21 2024-02-19 (주)아이디알앤디 실링지가 제거된 상태에서도 밀폐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이중 밀폐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329069B2 (en) A packaging with lid sealable to container and a method of sealing the packaging
JP2006052012A (ja) 再密閉可能な食物貯蔵容器
US10106299B2 (en) Food container and method
MX2011000916A (es) Tapon resellable para contenedor de bebida plegable.
JP6100505B2 (ja) 電子レンジ用食品容器
JP5379055B2 (ja) 詰替え容器用スパウト及びこれを備えた詰替え容器
KR100834522B1 (ko) 장류 포장용기
CA2627093A1 (fr) Boite metallique pour boissons comportant un couvercle de protection
KR20140055330A (ko) 용기
KR200403040Y1 (ko) 식품보관용 잠금구조
EP1129957A1 (fr) Récipient à couvercle intégré articulé
US20100206943A1 (en) Container for food, especially tostadas
KR200386518Y1 (ko) 감염성 폐기물 밀폐 용기
US11524819B2 (en) Leak-proof press-fit sealed container
KR20110003369U (ko) 재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포장 용기
FR2759676A1 (fr) Emballage isotherme
KR200448784Y1 (ko) 장류 포장용기
FR2899878A1 (fr) Conteneur, type emballage, destine au transport de materiaux a risque.
KR200385832Y1 (ko) 실링지를 이용한 식품보관용 밀폐구조
KR20240007434A (ko) 포장캡
KR200489988Y1 (ko) 식품용기용 뚜껑
BE1007962A6 (fr) Dispositif de fermeture pour recipients, notamment pour boites poudreuses.
KR100833784B1 (ko) 식품포장용기
KR200382660Y1 (ko) 포장 용기 구조
EP1597155A2 (fr) Capsules interiorisees de secur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