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3369U - 재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재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3369U
KR20110003369U KR2020090012721U KR20090012721U KR20110003369U KR 20110003369 U KR20110003369 U KR 20110003369U KR 2020090012721 U KR2020090012721 U KR 2020090012721U KR 20090012721 U KR20090012721 U KR 20090012721U KR 20110003369 U KR20110003369 U KR 201100033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ilm member
edge
edge portion
seal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7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혜
유민수
Original Assignee
황현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현혜 filed Critical 황현혜
Priority to KR20200900127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3369U/ko
Publication of KR201100033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36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 B65D75/36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or blank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formed of relatively stiff flat sheet material, e.g. blister packages, the recess or recesses being preformed and forming on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B65D43/0216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inside a peripheral U-shaped channel in the mouth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용물이 담지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테두리보다 더 큰 테두리와 상면을 포함하는 테두리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테두리부의 상면에 열 융착되어 내용물을 보존하는 필름 부재 및 상기 필름 부재와 상기 테두리부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필름 부재를 테두리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부착시킬 수 있는 밀폐 수단을 포함하여, 음식물이 남더라도 개봉된 필름 부재를 이용하여 다시 밀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음식의 효율적 보관 및 재사용이 가능하고, 필름을 일부 개봉시키더라도 밀폐 수단에 의해 상기 필름 부재가 말리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포장 용기, 재사용, 밀폐 수단, 열 융착부, 필름 부재

Description

재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포장 용기{REUSABLE DIAPOSABLE PACKING CASE}
본 고안은 일회용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커버 역할을 하는 필름 부재와 내용물을 담지하는 용기 사이에 밀폐 수단을 부가함으로써 음식물이 남더라도 완전한 밀폐 상태에서 보관이 용이하도록 구현되는 재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부, 단무지, 야채 등 식재료나 테이크아웃(take-out)을 위해 완성된 음식 등 각종 식품을 밀봉 포장하는데 쓰이는 일회용 포장 용기는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제조되며 용기부 및 용기부의 상단 개방부를 덮는 필름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필름 부재는 소정의 밀봉 포장기에 의해 음식물 등을 상기 용기부에 담지시킨 후 냄새 또는 부패를 방지하고 운반 등을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서, 예를 들어 전열 융착기 등의 융착 수단에 의해 융착된다. 따라서, 상기 용기부의 상부는 몸체보다 큰 상면을 갖는 테두리부가 필수적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에 상기 필름 부재가 열에 의해 융착되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포장 용기의 필름부재를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테두리부의 모서리에 형성된 절취탭을 절취한 후, 절취된 탭을 잡고 벗기는 방식으로 필름 부재를 제거하였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필름 부재를 커버로 사용하는 포장 용기는 일회용으로써, 열융착된 필름 부재를 용기에서 떼어내면 다시 용기에 부착되지 않는다. 즉, 용기에 담지된 해당 음식물을 모두 소비하지 않으면 별도의 용기에 보관해야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고, 한번 사용한 용기는 커버가 없기 때문에 다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재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이 남더라도 별도의 용기에 보관하지 않고 필름 부재를 다시 커버로 사용하여 밀폐 보관시킬 수 있는 재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필름 부재를 사용하여 간편한 방식으로 용기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현되는 재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더욱더 다른 목적은 필름 부재를 개봉하였을 때, 말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음식물이 흐르거나 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구현된 재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일회용 포장 용기에 있어서, 내용물이 담지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테두리보다 더 큰 테두리와 상면을 포함하는 테두리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테두리부의 상면에 열 융착되어 내용물을 보존하는 필름 부재 및 상기 필름 부재와 상기 테두리부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필름 부재를 테두리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부착시킬 수 있는 밀폐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 용기는 음식물이 남더라도 개봉된 필름 부재를 이용하여 다시 밀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음식의 효율적 보관 및 재사용이 가능하고, 필름을 일부 개봉시키더라도 밀폐 수단에 의해 상기 필름 부재가 말리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 용기의 필름 부재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포장 용기(1)는 음식물 등을 담지하기 위한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상부에서 커버 역할을 하는 필름 부재(2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10)는 음식물이 담지되는 몸체부(11)와 상기 몸체부(11)의 테두리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면을 갖는 테두리부(1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테두리부(12)의 상면에 필름 부재(20)가 얹혀지고 열 융착기등에 의해 상기 용기(10)의 테두리부(12)와 융착됨으로써 진공 포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역시, 상기 테두리부(12)의 모서리에는 사 선으로 적어도 하나의 절취탭(121, 122)이 형성되며, 상기 절취탭(121, 122)을 절취하여 상기 필름 부재(20)를 함께 개봉시킴으로써 개봉이 용이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일회용 용기에 적용되는 필름 부재(20)가 한번 개봉된 후 다시 밀폐시킬 수 있는 밀폐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음식물 등이 남더라도 다시 필름 부재(20)를 상기 용기(10)에 부착시킴으로써 용기(10)가 밀폐된 상태에서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 용기의 구성 및 요부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포장 용기(1)는 일회용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필름 부재(20)를 다시 용기(10)에 부착하여 밀폐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음식물 등을 담지시킬 수 있는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상부에서 담지된 음식물을 밀폐시키기 위한 필름 부재(20)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용기(10)는 음식물 등을 담지하기 위한 일정 깊이를 갖는 몸체부(11)와, 상기 몸체부(11)의 상단에서 상기 몸체부보다 더 큰 테두리를 가지며, 상기 필름 부재(20)가 부착되기 위한 상면을 갖는 테두리부(12)를 갖는다.
역시, 상기 필름 부재(20)의 부착면(21)과 상기 용기(10)의 테두리부(12)의 상면에는 밀폐 수단(30)을 포함한다. 상기 밀폐 수단(30)으로는 상기 필름 부재(20)의 부착면(21)에서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텐션 부재(32)와, 상기 용기(10)의 테두리부(12)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텐션 돌기(32)가 억지끼움에 의해 삽입되는 슬릿(31)을 포함한다. 상기 슬릿(31)은 상기 테두리부(12)를 따라 형성되 는 폐루프 구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슬릿(31)은 용기(10)를 사출시 함께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밀폐 수단(30)으로는 공지의 지퍼락 구조를 사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용기(10)에 음식물 등을 담지시키고, 필름 부재(20)를 상기 용기(10)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열융착을 하게 되면 진공 포장이 된다. 이때, 상기 열 융착부(도 3의 A)는 상기 용기 테두리부(12)의 최 외곽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안쪽으로 밀폐 수단(30)을 배치시킨다. 이는 밀폐 수단(30)이 열 융착부(A)보다 외곽에 위치되면 사용자가 원치 않더라도 상기 밀폐 수단(30)이 임의로 분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필름 부재(20)가 용기(10)에 열 융착되면 기존 일회용 용기의 진공 포장 구조와 동일한 구조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열 융착부(A)는 완전히 개봉되지 않도록 일측 열 융착부가 다른 열 융착부보다 좀더 폭이 넓도록 융착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후, 사용자가 절취탭(133)을 절취시켜 상기 필름 부재(20)를 개봉하게 되면, 필름 부재(20)가 상기 테두리부(12)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필름 부재(20)의 부착면(21)에 돌출 형성된 텐션 돌기(32)가 상기 용기(10)의 테두리부(12)의 슬릿(31)에서 이탈되면서 개봉된다. 이때, 상기 필름 부재(20)는 돌출된 텐션 돌기(32)에 의해 말리는 현상없이 유연하게 개봉되는데, 이는 기존의 돌돌 말리면서 음식물이 튀거나 흐르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필름 부재(20)는 좀더 넓은 열 융착부에 의해 용기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을 것이다. 그 후, 필요에 의해 사용자가 남은 음식물 등을 용기에 보관하고 싶을 경우, 상기 필름 부재(20)를 다시 용기(10)의 테두리부(12) 상면에 부착시키며 약간의 가압력을 주고 테두리부의 상면을 따라 손가락으로 밀어주면, 상기 필름 부재(20)의 텐션 돌기(32)가 상기 용기(10)의 테부리부(12)의 상면에 형성된 슬릿(31)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며 밀폐 구조가 완성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형 포장 용기(2)의 구성도로써, 역시 용기부(40)와 테두리부(41)로 나뉘며 테두리부(41)를 따라 열 융착부(B)와 열 융착부 내측으로 테두리를 따라 상술한 밀폐 수단(30)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역시, 절취탭(411, 412)이 상기 테두리부(41)의 일측 및 대향되는 방향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필름 부재는 상기 용기에서 완전히 제거될 수도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도, 본 고안에 따른 필름 부재는 개봉되더라도 분실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측에 완전히 떨어지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도 4의 경우 처럼 필름 부재가 완전히 용기와 분리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양자의 경우 모두 상기 용기에서 개봉된 필름 부재는 본 고안에 따른 밀폐 수단에 의해 다시 용기에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도, 본 고안에 따른 필름 부재는 용기의 크기, 용기에 담지되는 내용물 등에 따라 다양한 두께로 적용될 수 있다.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포장 용기의 필름 부재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포장 용기의 구성 및 요부 단면도; 및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형 포장 용기의 구성도.

Claims (5)

  1. 일회용 포장 용기에 있어서,
    내용물이 담지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테두리보다 더 큰 테두리와 상면을 포함하는 테두리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용기;
    상기 용기의 테두리부의 상면에 열 융착되어 내용물을 보존하는 필름 부재; 및
    상기 필름 부재와 상기 테두리부 사이에 구성되어 용기에서 개봉된 상기 필름 부재를 상기 테두리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부착시킬 수 있는 밀폐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포장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수단은,
    상기 용기의 테두리부 상면에 폐루프 형태로 형성되는 슬릿; 및
    상기 슬릿과 대응되는 상기 필름 부재의 부착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슬릿에 억지끼움되는 텐션 돌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포장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합성 수지 재질의 용기를 사출시 함께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포장 용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수단은 상기 용기의 테두리부의 필름 부재를 부착시키기 위한 최초 열 융착부보다 내측에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포장 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열 융착부는 어느 한쪽 테두리를 나머지 테두리보다 상대적으로 폭이 넓게 융착시켜 상기 필름 부재가 개봉되더라도 상기 용기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포장 용기.
KR2020090012721U 2009-09-28 2009-09-28 재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포장 용기 KR201100033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721U KR20110003369U (ko) 2009-09-28 2009-09-28 재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포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721U KR20110003369U (ko) 2009-09-28 2009-09-28 재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포장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369U true KR20110003369U (ko) 2011-04-05

Family

ID=44208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721U KR20110003369U (ko) 2009-09-28 2009-09-28 재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포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336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475Y1 (ko) * 2013-03-14 2014-09-23 (주)잇츠스킨 반복 사용이 가능한 블리스터 패키지
KR20230009061A (ko) 2021-07-08 2023-01-17 (주)더그리트 회수 및 재사용이 가능한 다회용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475Y1 (ko) * 2013-03-14 2014-09-23 (주)잇츠스킨 반복 사용이 가능한 블리스터 패키지
KR20230009061A (ko) 2021-07-08 2023-01-17 (주)더그리트 회수 및 재사용이 가능한 다회용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48299A (en) Re-usable plastic containers
WO2015145875A1 (ja) 電子レンジ用容器及び電子レンジ用包装体
US20150183563A1 (en) Food container and method
JP3203611U (ja) 包装用容器
KR20110003369U (ko) 재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포장 용기
JP6500269B2 (ja) 電子レンジ用包装体
KR101712639B1 (ko) 1회 용기 밀폐구조
KR100740260B1 (ko) 스푼을 일체형으로 설치한 식품 보관용기
KR200469040Y1 (ko)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US20120043326A1 (en) Container and Closure Assembly
BRPI0922126B1 (pt) recipiente com tampa articulada
KR100834522B1 (ko) 장류 포장용기
KR200474475Y1 (ko) 반복 사용이 가능한 블리스터 패키지
KR20240007434A (ko) 포장캡
JP2001055241A (ja) 冷凍保存用容器
KR200479343Y1 (ko) 분할 개봉이 가능한 이중 용기
KR100599766B1 (ko) 밀봉 포장 파우치용 일회용 캡
KR20200044398A (ko) 재사용 가능한 포장용기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KR200382660Y1 (ko) 포장 용기 구조
JP6387516B2 (ja) 電子レンジ用包装体
KR200486989Y1 (ko) 포장시트
JP6942412B2 (ja) 蓋付きカップ容器
JP2005029258A (ja) 切り花容器
KR200251349Y1 (ko) 합성수지재 용기의 뚜껑 결합구조
KR200324151Y1 (ko) 실링지가 내측에 취부된 포장용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