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6989Y1 - 포장시트 - Google Patents

포장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6989Y1
KR200486989Y1 KR2020170001349U KR20170001349U KR200486989Y1 KR 200486989 Y1 KR200486989 Y1 KR 200486989Y1 KR 2020170001349 U KR2020170001349 U KR 2020170001349U KR 20170001349 U KR20170001349 U KR 20170001349U KR 200486989 Y1 KR200486989 Y1 KR 2004869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container
packaging
adhesive
shee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3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태영
이종훈
Original Assignee
고태영
이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태영, 이종훈 filed Critical 고태영
Priority to KR20201700013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69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69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69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4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areas coated with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22Details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시트는, 고체 또는 액체를 포함한 내용물을 수용하는 포장용기의 플랜지부에 안착되는 접착부, 상기 접착부 내측으로 위치하고,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비접착부 및 상기 개구부 주위에 부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덮는 봉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장시트 {PACKAGING SHEET}
본 고안은 포장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용기는 피수용체의 훼손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피수용체의 가치상승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포장용기는 소형 제품 내지는 음식(예를 들어, 과일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고 있으며, 피수용체에 대한 훼손율 저하 및 가치상승을 위해 다양한 포장기술 및 소재가 개발 및 적용되고 있다.
식품 등의 포장형태는, 당해 식품 등을 수납 내지 충전한 후, 포장용기 본체의 개방부 둘레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부와 필름 형상의 포장시트(비닐랩)를 히트 실링하여 밀봉 포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포장형태에서는 수납된 식품 등을 꺼낼 때 포장시트를 포장용기로부터 박리한다.
이와 같은 포장형태에서는, 개봉 전의 밀봉성과 개봉시의 개봉 용이성이 요구된다. 또한, 포장용기로부터 박리된 포장시트는 재사용이 불가하기 때문에, 배달 음식에 포장용기에 수용된 식품을 일부 섭취한 뒤에도 포장용기에 담아 재보관할 수 있는 포장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포장용기 내부에 수용된 식품을 일부 섭취한 뒤, 식품을 포장용기에 담아 보관할 수 있는 포장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시트는, 고체 또는 액체를 포함한 내용물을 수용하는 포장용기의 플랜지부에 안착되는 접착부, 상기 접착부 내측으로 위치하고,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비접착부 및 상기 개구부 주위에 부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덮는 봉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와 상기 비접착부 사이에서 상기 플랜지부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라인을 따라 돌출되는 제1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에는, 상기 포장시트를 관통하는 유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홀의 직경은, 상기 포장시트의 상면 및 하면에서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와 상기 비접착부 사이에서 상기 플랜지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포장용기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포장용기를 향하여 돌출된 제2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부에는 절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부는 지그재그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시트는, 포장용기 내부에 수용된 식품을 일부 섭취한 뒤, 식품을 포장용기에 담아 재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형포장시트가 연결된 자동포장기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시트를 포함하는 롤형포장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시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시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고안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형포장시트가 연결된 자동포장기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자동포장기계(300)의 일측에 롤형포장시트(100)가 연결되어 있다.
자동포장기계(300)는 포장용기(200)가 삽입되는 몸체부(310) 및 몸체부(310)에 연결되는 커버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310)에는 포장용기(200)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포장용기(200) 내부에 액체가 포함된 음식 등을 수용한 뒤, 포장용기(200)를 몸체부(310) 중앙에 안착 시킨다.
이후, 포장시트(10)를 포장용기(200) 상부에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몸체부(310)에 연결된 커버부(320)를 몸체부(310)를 향하여 덮는다. 커버부(320)는 포장시트(10)를 포장용기(200)에 열융착 시킬 수 있다.
롤형포장시트(100)는 자동포장기계(300)의 일측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롤형포장시트(100)에는 복수개의 포장시트(10)가 권취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롤형포장시트(100)가 회전하면 권취된 포장시트(10)는 풀릴 수 있다. 롤형포장시트(100)의 회전에 의해 풀려진 포장시트(10)는 자동포장기계(300) 몸체부(310)와 커버부(3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장시트(10)는 포장용기(200)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포장용기(200)에는 가장자리부에 플랜지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210)는 포장시트(10)와 열융착 될 수 있다.
포장시트(10)는 플랜지부(210) 상부에 위치하는 접착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11)는 커버부(320)로 인해 포장용기(200)의 플랜지부(210)에 열융착 될 수 있다. 접착부(11) 내측으로 비접착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비접착부(12)는 포장용기(200)에 수용된 고체 또는 액체를 포함한 내용물과 접촉될 수 있다. 비접착부(12) 중앙에는 개구부(1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포장시트(10)가 포장용기(200) 플랜지부(210)에서 열융착되어 포장용기(200)의 가장자리를 밀봉한 경우에도, 사용자는 비접착부(12)에 형성된 개구부(12a)를 통해 포장용기(200)에 수용된 음식물은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포장용기(200)에는 봉인부(14)가 부착될 수 있다. 봉인부(14)는 비접착부(12)의 개구부(12a) 주위로 부착되어 개구부(12a)를 밀폐할 수 있다. 파지부(14a)는 봉인부(14)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봉인부(14)는 파지부(14a)에 의해 비접착부(12)로부터 박리될 수 있고, 재 부착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포장용기(200)에 수용된 음식물을 봉인부(14)를 개봉하여 개구부(12a)로 인출하여 섭취한 뒤, 봉인부(14)를 다시 비접착부(12)에 재 부착 시킴으로써, 개구부(12a)를 밀폐시켜 음식물을 재보관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포장시트를 포함하는 롤형포장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포장시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복수개의 포장시트(10)는 서로 연결되어 권취될 수 있다. 즉, 권취된 복수개의 포장시트(10)는 롤형포장시트(100)를 형성한다.
포장시트(10)는 접착부(11) 및 비접착부(12)를 포함한다. 포장시트(10)는 접착부(11) 및 비접착부(12)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라인(17)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가이드라인(17)을 기준으로 접착부(11)와 비접착부(12)를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부(11)를 포장용기(200)의 플랜지부(210) 상부에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안착 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장용기(200)는 자동포장기계(300) 뒤에 위치하여 회전하게 된다. 포장시트(10)는 롤형포장시트(100)부터 풀리면서 포장용기(200)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포장시트(10)에 형성된 가이드라인(17)을 기준으로 포장시트(10)의 접착부(11)를 포장용기(200)의 플랜지부(210) 상부에 보다 쉽고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비접착부(12) 표면에는 패턴 및 로고가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포장시트(10)를 포장용기(200)에 가이드라인(17)을 기준으로 접착 시킬 수 있어, 비접착부(12)에 인쇄된 패턴 및 로고는 포장용기(200) 상부에 보다 일정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현장에서 사용자는 포장시트(10)가 접착된 포장용기(200)의 외관을 일정하게 제작할 수 있다.
절단부(13)는 복수개 포장시트(1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절단부(13)는 지그재그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어느 한 장의 포장시트(10)가 포장용기(200)에 열융착 되면, 절단부(13)를 기준으로 인접한 다른 포장시트와 분리될 수 있다.
접착제(11a)는 접착부(11)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착제(11a)는 접착부(11)와 포장용기(200)의 플랜지부(210) 사이에 위치하여 자동포장기계(300)의 커버부(320)에 의해 가열되어 접착부(11)와 플랜지부(210) 사이에서 열융착 될 수 있다.
포장시트(10)는 가이드라인(17)을 따라 돌출된 제1 가이드돌기(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돌기(18)는 포장시트(10)의 상면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각뿐 아니라, 촉감으로 접착부(11)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Ⅳ-Ⅳ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포장시트(10)는 가이드라인(17)을 따라 포장시트(10)의 하면 방향으로 돌출된 제2 가이드돌기(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돌기(20)는 포장용기(200)의 플랜지부(210) 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촉감을 통해 포장시트(10)의 접착부(11)가 플랜지부(210) 상부에 위치하는지 보다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접착부(11) 하면에는 접착제(11a)가 부착되어 있어, 접착부(11)를 플랜지부(210) 상부에 위치시킴으로써, 보다 안적적으로 포장용기(200)를 밀폐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제3 실시예에 따른 포장시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포장시트(10)의 접착부(11)에는 유입홀(3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유입홀(30)이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자동포장기계(300)의 커버부(320)로부터 열이 전달되면, 접착부(11) 하면의 접착제(11a)는 녹아 유입홀(30)로 흐르게 된다. 유입홀(30)을 통해 접착제(11a)는 접착부(11)를 관통하게 되고, 접착제(11a)의 온도가 낮아지면서 접착부(11)와 플랜지부(210) 사이는 더욱 밀착될 수 있다.
유입홀(30)은, 접착부(11) 상면의 직경이 접착부(11) 하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유입홀(30)의 직경을 달리 하여 유입홀(30)을 따라 흐르는 접착제(11a)를 유입홀 상면에 고이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착제(11a)는 접착부(11)의 상면에서 비교적 큰 면적으로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부(11)와 플랜지부(210) 사이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유입홀(30)의 배치간격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접착부(11)의 일부분에는 유입홀(30)을 조밀하게 배치하고, 다른 부분에는 유입홀(30)의 배치간격을 보다 크게 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조밀하지 않은 부분은 조밀한 부분에 비해 접착력이 약하므로, 사용자는 조밀하지 않은 부분으로 포장시트(10)를 포장용기(200)로부터 박리할 수 있다.
본 고안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300: 자동포장기계 310: 몸체부
320: 커버부 200: 포장용기
210: 플랜지부 100: 롤형포장시트
10: 포장시트 11: 접착부
11a: 접착제 12: 비접착부
12a: 개구부 13: 절단부
14: 봉인부 14a: 파지부
17: 가이드라인 18: 제1 가이드돌기
20: 제2 가이드돌기 30: 유입홀

Claims (8)

  1. 고체 또는 액체를 포함한 내용물을 수용하는 포장용기의 플랜지부에 안착되는 접착부;
    상기 접착부 내측으로 위치하고,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비접착부; 및
    상기 개구부 주위에 부착되어 상기 개구부를 덮는 봉인부를 포함하되,
    상기 접착부는,
    상기 접착부를 관통하는 유입홀이 형성되는 포장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와 상기 비접착부 사이에 상기 플랜지부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라인을 더 포함하는 포장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라인을 따라 돌출되는 제1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는 포장시트.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의 직경은,
    상기 포장시트의 상면 및 하면에서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포장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와 상기 비접착부 사이에서 상기 플랜지부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포장용기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포장용기를 향하여 돌출된 제2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는 포장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부에는 절단부가 형성된 포장시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지그재그로 형성된 포장시트.
KR2020170001349U 2017-03-23 2017-03-23 포장시트 KR2004869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349U KR200486989Y1 (ko) 2017-03-23 2017-03-23 포장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349U KR200486989Y1 (ko) 2017-03-23 2017-03-23 포장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6989Y1 true KR200486989Y1 (ko) 2018-07-23

Family

ID=63047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349U KR200486989Y1 (ko) 2017-03-23 2017-03-23 포장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6989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5268A (ko) * 2006-09-15 2008-03-20 전영찬 컵라면용기 뚜껑 및 컵라면 용기
JP2008133023A (ja) * 2006-11-29 2008-06-12 Meiko Shoji Kk 衛生材料密閉容器及び衛生材料密閉体の製造方法
JP2013003023A (ja) * 2011-06-17 2013-01-07 Sharp Corp リペア装置およびリペア方法、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13136406A (ja) * 2011-12-28 2013-07-11 Showa Denko Packaging Co Ltd 内容物付着防止蓋材のヒートシール方法
JP2016179832A (ja) * 2015-03-23 2016-10-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蓋付容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5268A (ko) * 2006-09-15 2008-03-20 전영찬 컵라면용기 뚜껑 및 컵라면 용기
JP2008133023A (ja) * 2006-11-29 2008-06-12 Meiko Shoji Kk 衛生材料密閉容器及び衛生材料密閉体の製造方法
JP2013003023A (ja) * 2011-06-17 2013-01-07 Sharp Corp リペア装置およびリペア方法、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13136406A (ja) * 2011-12-28 2013-07-11 Showa Denko Packaging Co Ltd 内容物付着防止蓋材のヒートシール方法
JP2016179832A (ja) * 2015-03-23 2016-10-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蓋付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6728B2 (ja) 蒸気抜き機能を有する包装袋とそれを用いた包装体
KR102110357B1 (ko) 발포 폴리머 층을 가지며 탭으로 된 조작 흔적이 남는 밀봉 부재
KR101411289B1 (ko) 내열성, 개봉성 그리고 밀봉성이 우수한 용기 봉합체
JP5787986B2 (ja) 独特の開放装置を備えたパッケージ及びパッケージを開放する方法
KR101455977B1 (ko) 내열성, 개봉성 그리고 밀봉성이 우수한 용기 봉합체
US20090045189A1 (en) Microwaveable package
US9365339B2 (en) Package with unique opening device and process for forming package
TW201722802A (zh) 具有粗濾特徵之硬質封裝
JP6044048B2 (ja) 再密封が可能なブリスター包装容器
KR200486989Y1 (ko) 포장시트
ITVA20090048A1 (it) Procedimento di fabbricazione di etichette-valvola adesive flessibili
JP2005280736A (ja) 包装袋
US9463916B2 (en) Zone heat-sealable packaging film and resulting pouch
JP5590489B2 (ja) 包装用密封袋
JP2009196641A (ja) 通蒸ラベル、及び熱処理用の包装体
JP2005511422A (ja) マイクロ波加熱可能な包装体
KR101648360B1 (ko) 용기 봉합체와 그의 제조방법
KR200396965Y1 (ko) 비닐포장 개봉용 테이프
KR200396626Y1 (ko) 개봉이 용이한 포장용 랩
TW202041438A (zh) 具有加熱自動排氣的食品包裝及其薄膜
JP2005067642A (ja) 加熱処理用包装体および食品の加熱処理方法
KR102336221B1 (ko) 개봉 용이성 패키지
JP2012046252A (ja) 逆止機能を有する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JPH01167073A (ja) 密封包装容器とその製造方法
ITVA20090029A1 (it) Valvola di rilascio gas-vapori da confezioni in sacchetti flessibili termosaldat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