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7434A - 포장캡 - Google Patents

포장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7434A
KR20240007434A KR1020220084313A KR20220084313A KR20240007434A KR 20240007434 A KR20240007434 A KR 20240007434A KR 1020220084313 A KR1020220084313 A KR 1020220084313A KR 20220084313 A KR20220084313 A KR 20220084313A KR 20240007434 A KR20240007434 A KR 20240007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container
packaging
wall
cov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4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지영
이세표
이윤호
임재민
최민규
방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워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워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워홈
Priority to KR1020220084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7434A/ko
Publication of KR20240007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74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 B65D25/46Hinged, foldable or pivoted nozzles or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2Devices for holding in closed position, e.g.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24Devices for retaining in open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포장캡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캡은 포장용기의 하부가 관통 삽입되고, 포장용기의 상부 플랜지가 안착되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에 연결되며, 베이스부에 대해 상대회전되어 베이스부에 결합 및 결합해제되는 덮개부; 및 덮개부에 마련되어 베이스부에 결합 및 결합해제되는 잠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장캡{PACKING CAP}
본 발명은 포장캡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용기를 밀폐시키며 반복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포장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담아 밀폐보관하기 위해 음식물 밀폐 보관용기와 지퍼백이 사용된다.
음식물 밀폐 보관용기는 용기본체와 두껑으로 이루워진다. 음식물 밀폐 보관용기는 내용물이 외부와 접촉하여 쉽게 산화되거나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용물 중 국물이 외부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음식물 밀폐 보관용기를 이루는 용기본체 및 뚜껑은 무독성 플라스틱 소재를 사출성형하여 제조한다. 용기본체는 높이와 면적만이 다를 뿐 그 형상은 주로 직육면체, 정육면체, 또는 원통형으로 제작되어 사용된다.
그리고 용기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은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재를 이용한 강압적인 결합방식이거나 별도로 패킹을 두어 밀폐효과를 극대화한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 두껑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재는 사출성형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무게가 가벼운 내열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PP), 결정화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C-PET), 폴리에틸렌(HDPE) 등의 소재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지퍼백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시트를 접은 후에 양단면을 접착시킨 비닐백과, 비닐백의의 개구부에 마련된 지퍼로 이루워진다. 지퍼백은 개봉 후에도 내용물을 타용기에 옮겨담지 않고도 비교적 장기간의 보존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지퍼백의 지퍼는 처음부터 외부로 드러난 형태도 있고, 사용자가 완제품의 절취선을 절취하게 되면 지퍼가 노출되는 형태도 있다. 이처럼 두 가지 타입 모두 지퍼백에 내용물을 넣거나 꺼낸 후에는 지퍼를 닫아 보관하게 된다.
한편, 두부 등은 직육면체 형상의 포장용기에 수용한 후, 포장용기의 상부 플랜지에 커버를 접착하여 판매되고 있다.
소비자가 포장용기에 포장된 두부의 일부를 사용한 후 포장용기에 그대로 보관하는 경우에 두부에 겉마름이 발생되고 쉽게 상할 수 있으며 두부의 냄새가 다른 음식물에 전이될 수 있다.
이에,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비자는 사용 후 남은 두부를 음식물 밀폐 보관용기에 보관할 수 있으나, 음식물 밀폐 보관용기는 가격이 다소 비싸며, 소비자가 두부를 별도의 음식물 밀폐 보관용기에 옮겨 담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남은 두부의 크기가 음식물 밀폐 보관용기의 크기보다 큰 경우에 음식물 밀폐 보관용기에 맞게 컷팅 후에 보관용기에 보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두부를 보관한 후에는 음식물 밀폐 보관용기를 세척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비자는 사용 후 남은 두부를 지퍼백에 보관할 수 있으나, 지퍼백에 보관하는 경우에 두부에 겉마름이 발생되고 두부가 쉽게 상할 수 있으며, 두부를 보관 후에는 지퍼백을 폐기함에 따른 합성수지재 폐기물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5911호(2014.07.09.공고) [문헌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06230호(2021.09.28.공고)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두부 등의 식품을 보관하는 기존의 포장용기를 폐기함이 없이 활용하고, 기존의 포장용기를 밀폐시키며 반복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포장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포장용기의 하부가 관통 삽입되고, 상기 포장용기의 상부 플랜지가 안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상대회전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 및 결합해제되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 및 결합해제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포장캡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포장용기의 하부가 관통되는 제1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의 내측벽에서 상기 제1 본체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포장용기의 상부 플랜지가 안착되는 제1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격벽은 상기 제1 본체의 내측벽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 본체의 내측벽에서 상기 제1 본체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격벽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포장용기의 상부 플랜지가 상기 제1 격벽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제2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격벽의 상면은 상기 제1 본체의 중심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2 격벽의 상기 제1 본체의 내측벽에서 돌출된 길이는 상기 제1 격벽의 상기 제1 본체의 내측벽에서 돌출된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본체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제2 본체; 및 상기 제2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본체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제1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 본체의 상부 내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걸림돌기에 걸림결합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제1 본체에 대해 상대 회전되어 상기 제1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걸림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가 상호 결합되고 상기 포장용기의 상부 개구부가 밀폐되며,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제1 본체에 대해 상대 회전되어 상기 제1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걸림해제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가 상호 결합해제되고 상기 포장용기의 상부 개구부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2 본체의 하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2 본체의 중심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 본체의 하면 테두리를 따라 연속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제1 본체에 대해 상대 회전되어 상호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포장용기의 상부 플랜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2 본체의 하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제1 본체에 대해 상대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포장용기의 상부 개구부를 밀봉하는 커버를 절개하는 절개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 본체의 상면에 내벽에서 외벽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제1 본체에 대해 상대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절개돌기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절개돌기에 의해 상기 포장용기의 상기 커버가 절개되는 경우에 상기 포장용기 내의 충진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2 본체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제1 본체에 대해 상대 회전되어 상호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가이드홈의 배출구측을 밀폐시키는 밀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2 본체의 외측벽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되, 상기 제1 본체의 외측벽에 마련된 제2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림결합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잠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제1 본체에 대해 상대회전되는 경우에 접혀지거나 펴지는 접철부; 및 상기 접철부의 양측에서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제1 본체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본체를 탄력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포장용기의 상부 플랜지를 베이스부에 안착한 후 덮개부를 베이스부에 대해 상대 회전시키고 덮개부를 베이스부에 결합하여 두부 등의 식품을 보관할 수 있어, 기존의 포장용기를 폐기함이 없이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존의 포장용기에 베이스부와 덮개부 및 접철부가 일체로 형성된 포장캡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세척 후 포장캡을 반복하여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베이스부와 덮개부에 각각 마련된 걸림턱 및 제1 걸림돌기와 덮개부에 마련된 가압돌기를 구비함으로써, 포장용기의 상부 개구부를 이중으로 밀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덮개부에 포장용기의 상부 개구부를 밀봉하는 커버를 절개하는 절개돌기를 마련함으로서, 커버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베이스부에 가이드홈을 마련함으로서, 포장용기 내의 충진수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음식물 밀폐 보관용기에 보관된 두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지퍼백에 보관된 두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캡을 이루는 베이스부와 덮개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캡을 이루는 베이스부와 덮개부가 결합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부와 덮개부가 결합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부가 베이스부에 대해 상대회전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캡의 베이스부에 포장용기를 안착시키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캡의 덮개부를 회전시켜 포장캡의 커버를 절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캡을 이용하여 포장캡의 커버를 절개한 후 포장용기 내의 충진수를 배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캡을 이용하여 포장용기의 상부 개구부를 밀폐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캡을 이루는 베이스부와 덮개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캡을 이루는 베이스부와 덮개부가 결합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부와 덮개부가 결합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A-A'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부가 베이스부에 대해 상대회전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포장캡(100)은 포장용기(D)의 하부가 관통 삽입되고 포장용기(D)의 상부 플랜지(F)가 안착되는 베이스부(110)와, 베이스부(110)에 일체로 연결되며 베이스부(110)에 대해 상대회전되어 베이스부(110)에 결합 및 결합해제되는 덮개부(130)와, 베이스부(110)와 덮개부(130)를 상호 결합 및 결합해제하는 잠금부(170)와, 베이스부(110)와 덮개부(130) 사이에 배치되고 베이스부(110)와 덮개부(130)에 일체로 형성되며 덮개부(130)가 베이스부(110)에 대해 상대 회전되는 경우에 접혀지는 접철부(150)를 포함한다.
포장용기(D)는 두부 등의 식품을 수용하고 밀봉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포장용기(D)는 직육면체, 정육면체, 원기둥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포장용기(D)의 상부는 수평된 플랜지(F)를 가진다. 포장용기(D)의 상부 플랜지(F)에는 포장용기(D)의 상부 개구부를 밀봉하는 커버(C)가 열융착, 접착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부착된다(도 9 참조).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10)는 포장용기(D)의 상부 플랜지(F)의 하면에 배치된다. 즉 포장용기(D)의 상부 플랜지(F)가 베이스부(110)에 안착된다.
도 3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는 제1 본체(111)와, 제1 본체(111)의 내측벽에서 제1 본체(111)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포장용기(D)의 상부 플랜지(F)가 안착되는 제1 격벽(113)을 포함한다.
제1 본체(111)는 포장용기(D)의 하부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홀(112)이 형성된다. 포장용기(D)의 하부는 관통홀(112)을 통해 삽입된다.
제1 본체(111)는 포장용기(D)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포장용기(D)가 정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것에 대응하여 제1 본체(111)가 정육면체의 포장용기(D) 형상에 대응되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본체(111)는 포장용기(D)의 형상에 대응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포장용기(D)의 하부가 제1 본체(111)에 형성된 관통홀(112)을 통해 삽입된 경우에, 포장용기(D)의 상부 플랜지(F)는 제1 격벽(113)에 안착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격벽(113)은 제1 본체(111)의 내측벽에서 제1 본체(111)의 중심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 본체(111)의 내측벽에서 제1 격벽(113)의 돌출길이는 포장용기(D)의 상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포장용기(D)의 상부 플랜지(F)의 길이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격벽(113)의 돌출길이는 포장용기(D)의 상부 플랜지(F)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제1 격벽(113)은 제1 본체(111)의 내측벽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되게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격벽(113)은 제1 본체(111)의 내측벽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포장용기(D)의 상부 플랜지(F)가 제1 격벽(113)에 안착되는 경우에 포장용기(D)를 식탁 등에 놓는 경우에 제1 본체(111)는 포장용기(D)의 하부로 미끄러져 하강될 수 있다.
즉, 제1 본체(111)와 포장용기(D)가 결합되지 않으므로 사용상의 불편함이 따른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부(110)를 포장용기(D)의 상부 플랜지(F)에 고정되게 한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10)는 제1 본체(111)의 내측벽에서 제1 본체(111)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1 격벽(113)의 상부에 위치되며 포장용기(D)의 상부 플랜지(F)가 제1 격벽(113)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제2 격벽(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격벽(114)은 제1 본체(111)의 내측벽에서 제1 본체(111)의 중심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본체(111)의 내측벽에서 제2 격벽(114)의 돌출길이는 포장용기(D)의 상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포장용기(D)의 상부 플랜지(F)의 길이 및 제1 격벽(113)의 길이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격벽(114)의 돌출길이는 제1 격벽(113)의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격벽(114)은 제1 격벽(113)보다 상부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포장용기(D)의 하부는 관통홀(112)을 통해 제1 본체(111)에 삽입되는 동안, 포장용기(D)의 상부 플랜지(F)는 제2 격벽(114)에 접촉되고 변형되어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제2 격벽(114)과 제1 격벽(113) 사이에 삽입된다.
제1 격벽(113)과 제2 격벽(114)의 높이방향 간격은 포장용기(D)의 상부 플랜지(F)가 제1 격벽(113)과 제2 격벽(114)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포장용기(D)의 상부 플랜지(F)의 두께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포장용기(D)의 하부가 관통홀(112)을 통해 제1 본체(111)에 삽입되는 동안, 포장용기(D)의 상부 플랜지(F)가 제2 격벽(114)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원활하게 하도록,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격벽(114)의 상면은 제1 본체(111)의 중심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2 격벽(114)은 제1 본체(111)의 내측벽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되게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격벽(114)은 제1 본체(111)의 내측벽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130)는 베이스부(110)에 대해 상대회전되어 베이스부(110)에 결합 및 결합해제된다. 베이스부(110)는 후술할 접철부(150)를 매개로 베이스부(110)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덮개부(130)가 베이스부(110)에 결합되는 경우에 포장용기(D)의 상부 개구부를 밀폐시키고 덮개부(130)가 베이스부(110)에서 결합해제되는 경우에 포장용기(D)의 상부 개구부가 개방된다.
덮개부(130)는 제1 본체(111)에 연결되고 제1 본체(111)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제2 본체(131)를 포함한다.
제2 본체(131)와 제1 본체(111)가 상호 결합되어 포장용기(D)의 상부 개구부를 밀폐하므로, 제2 본체(131)는 제1 본체(11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성으로 형성된다. 즉 제1 본체(111)가 정사각형 형상을 갖는 경우에 제2 본체(131)도 정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170)는 베이스부(110)와 덮개부(130)를 상호 결합 및 결합해제한다. 즉, 잠금부(170)에 의해 제1 본체(111)와 제2 본체(131)가 상호 결합되거나 결합해제된다.
도 3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잠금부(170)는 덮개부(130)의 전방에 마련되어 베이스부(110)의 전방에 결합 및 결합해제된다. 구체적으로 제2 본체(131)의 전방 외측벽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며 삽입홀(172)이 형성된 잠금부재(171)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본체(111)의 전방 외측벽에는 잠금부재(171)의 삽입홀(172)에 삽입되어 잠금부재(171)에 걸림결합되는 제2 걸림돌기(173)가 마련된다.
도 3은 제2 본체(131)를 제1 본체(111)에 대해 상대 회전시키고 제2 걸림돌기(173)를 잠금부재(171)의 삽입홀(172)에 삽입하여 걸림결합되게 함으로써, 제1 본체(111)와 제2 본체(131)가 상호 결합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반대로 도 4는 소비자가 제2 걸림돌기(173)를 하방으로 눌러 잠금부재(171)의 삽입홀(172)에서 제2 걸림돌기(173)를 걸림해제하고 제2 본체(131)를 제1 본체(111)에 대해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제1 본체(111)와 제2 본체(131)가 상호 결합해제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접철부(150)는 베이스부(110)와 덮개부(130) 사이에 배치되고 베이스부(110)와 덮개부(130)에 일체로 형성된다. 베이스부(110)와 덮개부(130)는 접철부(150)를 매개로 상호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철부(150)는 제1 본체(111)와 제2 본체(131)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본체(111)와 제2 본체(13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본체(131)가 제1 본체(111)에 대해 상대 회전되고 제2 걸림돌기(173)가 삽입홀(172)에 삽입되고 걸림결합되어 제1 본체(111)와 제2 본체(131)가 결합되는 경우에 접철부(150)는 접힌상태를 유지한다.
반대로 제2 걸림돌기(173)가 삽입홀(172)에서 삽입해제되고 걸림해제되어 제1 본체(111)와 제2 본체(131)가 결합해제되는 경우에 접철부(150)는 펴진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장캡(100)은 제1 본체(111)와 제2 본체(131)를 결합해제하는 경우에 제2 본체(131)가 최초 위치로 복귀하도록 제2 본체(131)를 탄력지지하는 지지부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재(160)는 접철부(150)의 양측에서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며 일측이 제1 본체(111)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2 본체(131)에 연결된다. 지지부재(160)는 제1 본체(111) 및 제2 본체(13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걸림돌기(173)를 잠금부재(171)의 삽입홀(172)에서 걸림해제하는 경우에 지지부재(160)가 제2 본체(131)를 탄력지지하므로 제2 본체(131)는 최초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 지지부재(160)에 의해 제2 본체(131)는 제1 본체(111)에 대해 상대 회전되어 포장용기(D)의 상부 개구부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이는 소비자가 포장용기(D)에 수용된 두부 등의 내용물을 포장용기(D)로부터 꺼내고자 하는 경우에 제2 본체(131)가 포장용기(D)의 상부 개구부를 개방하는 위치에 회전되고 유지되므로, 포장용기(D)에서 내용물을 꺼내기 용이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부(110)와 덮개부(130)가 잠금부(170)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경우에 포장용기(D)의 상부 개구부를 이중으로 밀폐하여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본체(111)와 제2 본체(131)에 각각 걸림턱(115)과 제1 걸림돌기(132)를 마련하고 또한 제2 본체(131)의 하면에 가압돌기(133)를 구비함으로써, 포장용기(D)의 상부 개구부를 이중으로 밀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130)는 제2 본체(131)의 하부에 마련되며 제2 본체(131)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제1 걸림돌기(132)를 더 포함하고, 베이스부(110)는 제1 본체(111)의 상부 내측벽에 형성되며 제1 걸림돌기(132)에 걸림결합되는 걸림턱(115)을 더 포함한다.
제2 본체(131)가 제1 본체(111)에 대해 상대 회전되어 제1 걸림돌기(132)가 걸림턱(115)에 걸림결합되는 경우에 제1 본체(111)와 제2 본체(131)가 상호 결합되고 포장용기(D)의 상부 개구부가 밀폐된다.
그리고 제2 본체(131)가 제1 본체(111)에 대해 상대 회전되어 제1 걸림돌기(132)가 걸림턱(115)에서 걸림해제되는 경우에 제1 본체(111)와 제2 본체(131)가 상호 결합해제되고 포장용기(D)의 상부 개구부가 개방된다.
제1 걸림돌기(132)와 걸림턱(115)이 상호 걸림결합되고 밀착되어 포장용기(D)의 상부 개구부를 밀폐하거나, 제1 걸림돌기(132)와 걸림턱(115)이 상호 걸림해제되어 포장용기(D)의 상부 개구부를 개방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잠금부(170)에 의해 베이스부(110)를 이루는 제1 본체(111)와 덮개부(130)를 이루는 제2 본체(131)가 상호 결합될 수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본체(111)에 마련된 걸림턱(115)과 제2 본체(131)에 마련된 제1 걸림돌기(132)의 걸림결합에 의해 제1 본체(111)와 제2 본체(131)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덮개부(130)는 제2 본체(131)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제2 본체(131)가 제1 본체(111)에 대해 상대 회전되고 잠금부(170)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경우에 포장용기(D)의 상부 플랜지(F)를 가압하는 가압돌기(133)를 더 포함한다.
가압돌기(133)는 제2 본체(131)의 하면 테두리를 따라 연속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가압돌기(133)는 제2 본체(131)의 중심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제2 본체(13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잠금부(170)를 구성하는 제2 걸림돌기(173)가 잠금부재(171)의 삽입홀(172)에 삽입되어 걸림결합되어 제1 본체(111)와 제2 본체(131)가 상호 결합되는 경우에, 가압돌기(133)가 포장용기(D)의 상부 플랜지(F)에 밀착되고 가압하여 포장용기(D)의 상부 플랜지(F)를 밀폐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돌기(133)로 포장용기(D)의 상부 플랜지(F)를 가압하는 경우에 포장용기(D)의 상부 플랜지(F)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밀폐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본체(111)의 내측벽에 높이방향으로 이격되게 제1 격벽(113)과 제2 격벽(114)을 마련한다.
즉, 포장용기(D)의 상부 플랜지(F)는 제1 격벽(113)과 제2 격벽(114)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가압돌기(133)에 의해 포장용기(D)의 상부 플랜지(F)가 가압되는 경우에도 포장용기(D)의 상부 플랜지(F)가 상방으로 절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캡(100)를 이용하여 두부 등의 식품을 포장용기(D)에 보관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캡의 베이스부에 포장용기를 안착시키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캡의 덮개부를 회전시켜 포장캡의 커버를 절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캡을 이용하여 포장캡의 커버를 절개한 후 포장용기 내의 충진수를 배출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캡을 이용하여 포장용기의 상부 개구부를 밀폐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두부 등의 식품을 보관하는 기존의 포장용기(D)를 폐기함이 없이 활용하며 포장용기(D)에 보관된 두부 등의 식품을 사용한 후 남은 식품을 보관하기 위해 포장캡(100)을 이용하여 포장용기(D)를 밀폐시킨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두부 등의 식품이 포장된 포장용기(D)의 하부를 관통홀(112)을 통해 제1 본체(111)에 삽입한다. 이때, 제2 본체(131)는 지지부재(160)에 의해 탄력지지되어 제1 본체(111)에 대해 상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한다.
포장용기(D)가 제1 본체(111)에 삽입되는 동안, 포장용기(D)의 상부 플랜지(F)는 제2 격벽(114)의 경사면에 접촉되고 하방으로 이동된 후 제1 격벽(113)과 제2 격벽(114)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된다(도 6 참조).
한편, 도 9에서는 포장용기(D)의 상부에 커버(C)가 부착된 상태에서 포장용기(D)가 제1 본체(111)에 삽입되도록 도시되었으나, 포장용기(D)의 커버(C)가 제거된 상태에서 포장용기(D)가 제1 본체(111)에 삽입될 수도 있다.
그리고, 포장용기(D)가 제1 본체(111)에 삽입되고, 포장용기(D)의 상부 플랜지(F)가 제1 격벽(113)과 제2 격벽(114)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된 후, 소비자가 포장용기(D) 내의 식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포장용기(D)의 커버(C)를 제거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장용기(D)의 커버(C)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덮개부(130)에 포장용기(D)의 상부 개구부를 밀봉하는 커버(C)를 절개하는 절개돌기(134)를 마련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130)는 제2 본체(131)의 하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제2 본체(131)가 제1 본체(111)에 대해 상대 회전되는 경우에 포장용기(D)의 상부 개구부를 밀봉하는 커버(C)를 절개하는 절개돌기(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4, 도 5 및 도 7 참조).
절개돌기(134)는 끝단이 뽀족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 본체(131)를 제1 본체(111)에 대해 상대 회전시켜 절개돌기(134)의 끝단이 포장용기(D)의 커버(C)를 가압 및 절개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본체(131)의 하면 모서리 일측에 절개돌기(134)가 마련되게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절개돌기(134)가 제2 본체(131)의 하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절개돌기(134)는 제2 본체(131)의 하면에 테두리를 따라 마련된 가압돌기(133)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0은 제2 본체(131)를 제1 본체(111)에 대해 상대회전시켜 절개돌기(134)를 이용하여 포장용기(D)의 커버(C)를 절개한 상태를 나타낸다. 절개돌기(134)를 이용하여 포장용기(D)의 커버(C)를 절개한 후 포장용기(D) 내의 충진수를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이스부(110)에 가이드홈(116)을 마련하여 포장용기(D) 내의 충진수가 용이하게 배출되게 안내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110)는 제1 본체(111)의 상면에 내벽에서 외벽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어 절개돌기(134)에 의해 포장용기(D)의 커버(C)가 절개되는 경우에 포장용기(D) 내의 충진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가이드홈(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홈(116)은 제2 본체(131)가 제1 본체(111)에 대해 상대 회전되는 경우에 절개돌기(134)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절개돌기(134)가 제2 본체(131)의 하면 모서리 일측에 마련되는 경우에 절개돌기(134)의 위치에 대응하여 가이드홈(116)은 제1 본체(111)의 하면 모서리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절개돌기(134)에 의해 포장용기(D)의 커버(C)가 절개된 절개영역에 인접하게 가이드홈(116)을 배치함으로써, 절개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충진수가 연속하여 가이드홈(116)을 따라 배출되게 하기 위함이다.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비자는 포장용기(D)의 커버(C)를 절개한 후, 포장용기(D)를 기울여 포장용기(D)의 커버(C)가 절개된 절개영역에서 배출되는 충진수를 가이드홈(116)을 따라 흘려보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는 포장용기(D) 내의 충진수를 배출한 후 포장용기(D)의 커버(C)를 포장용기(D)의 상부에서 분리한 후 포장용기(D) 내에 보관된 두부 등의 식품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절개돌기(134)를 이용하여 포장용기(D)의 커버(C)를 절개한 후 충진수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절개돌기(134)를 이용하여 포장용기(D)의 커버(C)를 절개하고 포장용기(D)의 커버(C)를 포장용기(D)의 상부에서 분리한 후 포장용기(D) 내의 충진수를 가이드홈(116)을 따라 외부로 배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소비자가 포장용기(D) 내에 보관된 두부 등을 사용한 후 포장용기(D)의 상부를 밀폐하고자 하는 경우에, 제2 본체(131)를 제1 본체(111)에 대해 상대 회전시키고 제2 걸림돌기(173)를 잠금부재(171)의 삽입홀(172)에 삽입하여 걸림결합시킨다.
이때,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본체(111)에 마련된 걸림턱(115)과 제2 본체(131)에 마련된 제1 걸림돌기(132)가 상호 밀착되고 걸림결합되어 포장용기(D)의 상부를 밀폐하고, 가압돌기(133)가 포장용기(D)의 상부 플랜지(F)를 가압 및 밀착하여 이중으로 포장용기(D)의 상부를 밀폐시킨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포장용기(D) 내의 충진수를 배출함에 있어서, 제1 본체(111)의 상면에 내벽에서 외벽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된 가이드홈(116)이 마련되므로, 포장용기(D)의 상부를 밀폐함에 있어서 가이드홈(116)의 배출구 측을 밀폐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홈(116)의 배출구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135)를 마련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130)는 제2 본체(13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제2 본체(131)가 제1 본체(111)에 대해 상대 회전되어 상호 결합되는 경우에 가이드홈(116)의 배출구측을 밀폐시키는 밀폐부재(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4, 도 5 및 도 7 참조).
도 3 및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밀폐부재(135)는 제2 본체(131)의 외측벽에서 하방으로 길게 형성되며 하부가 제1 본체(111)의 상면에 마련된 가이드홈(116)의 배출구측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본체(131)가 제1 본체(111)에 대해 상대 회전되어 상호 결합되는 경우에 밀폐부재(135)에 의해 가이드홈(116)의 배출구측이 밀폐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포장캡
110: 베이스부
111: 제1 본체
112: 관통홀
113: 제1 격벽
114: 제2 격벽
115: 걸림턱
116: 가이드홈
130: 덮개부
131: 제2 본체
132: 제1 걸림돌기
133: 가압돌기
134: 절개돌기
135: 밀폐부재
150: 접철부:
160: 지지부재
170: 잠금부
171: 잠금부재
172: 삽입홀
173: 제2 걸림돌기

Claims (11)

  1. 포장용기의 하부가 관통 삽입되고, 상기 포장용기의 상부 플랜지가 안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상대회전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 및 결합해제되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에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 및 결합해제되는 잠금부를 포함하는 포장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포장용기의 하부가 관통되는 제1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의 내측벽에서 상기 제1 본체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포장용기의 상부 플랜지가 안착되는 제1 격벽을 포함하는 포장캡.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은 상기 제1 본체의 내측벽을 따라 연속되게 형성되는 포장캡.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 본체의 내측벽에서 상기 제1 본체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격벽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포장용기의 상부 플랜지가 상기 제1 격벽과의 사이에 삽입되는 제2 격벽을 더 포함하는 포장캡.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벽의 상면은 상기 제1 본체의 중심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며,
    상기 제2 격벽의 상기 제1 본체의 내측벽에서 돌출된 길이는 상기 제1 격벽의 상기 제1 본체의 내측벽에서 돌출된 길이보다 짧은 포장캡.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1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본체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게 마련된 제2 본체; 및
    상기 제2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2 본체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제1 걸림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 본체의 상부 내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걸림돌기에 걸림결합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제1 본체에 대해 상대 회전되어 상기 제1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걸림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가 상호 결합되고 상기 포장용기의 상부 개구부가 밀폐되며,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제1 본체에 대해 상대 회전되어 상기 제1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턱에 걸림해제되는 경우에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가 상호 결합해제되고 상기 포장용기의 상부 개구부가 개방되는 포장캡.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2 본체의 하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2 본체의 중심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제2 본체의 하면 테두리를 따라 연속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제1 본체에 대해 상대 회전되어 상호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포장용기의 상부 플랜지를 가압하는 가압돌기를 더 포함하는 포장캡.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2 본체의 하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제1 본체에 대해 상대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포장용기의 상부 개구부를 밀봉하는 커버를 절개하는 절개돌기를 더 포함하는 포장캡.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제1 본체의 상면에 내벽에서 외벽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제1 본체에 대해 상대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절개돌기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절개돌기에 의해 상기 포장용기의 상기 커버가 절개되는 경우에 상기 포장용기 내의 충진수의 배출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는,
    상기 제2 본체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제1 본체에 대해 상대 회전되어 상호 결합되는 경우에 상기 가이드홈의 배출구측을 밀폐시키는 밀폐부재를 더 포함하는 포장캡.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2 본체의 외측벽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되, 상기 제1 본체의 외측벽에 마련된 제2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림결합되는 삽입홀이 형성된 잠금부재를 포함하는 포장캡.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본체와 상기 제2 본체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본체가 상기 제1 본체에 대해 상대회전되는 경우에 접혀지거나 펴지는 접철부; 및
    상기 접철부의 양측에서 각각 이격되게 배치되고, 일측이 상기 제1 본체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본체를 탄력지지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포장캡.
KR1020220084313A 2022-07-08 2022-07-08 포장캡 KR202400074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313A KR20240007434A (ko) 2022-07-08 2022-07-08 포장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4313A KR20240007434A (ko) 2022-07-08 2022-07-08 포장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7434A true KR20240007434A (ko) 2024-01-16

Family

ID=89719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4313A KR20240007434A (ko) 2022-07-08 2022-07-08 포장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743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911B1 (ko) 2014-01-14 2014-07-09 (주)연암 지퍼백
KR102306230B1 (ko) 2020-03-24 2021-09-28 박원빈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911B1 (ko) 2014-01-14 2014-07-09 (주)연암 지퍼백
KR102306230B1 (ko) 2020-03-24 2021-09-28 박원빈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19884B1 (en) Food packaging containing an inner bag
MX2012012141A (es) Sistema distribuidor de producto rellenable.
EP1379439B1 (en) Plastic container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WO2012141355A1 (ko) 재 밀봉이 가능한 블리스터 포장용기
KR101538051B1 (ko) 사면 입체 포장체 및 사면 입체 포장 방법
KR20240007434A (ko) 포장캡
KR20180002522U (ko) 휴대용 음료 보관 파우치
CN111448148B (zh) 用于容器的可膨胀二级包装
KR101743536B1 (ko) 폐기가 용이한 완충포장재용 에어셀 시트
KR101064206B1 (ko) 재 밀봉이 가능한 블리스터 포장용기
JP2000153884A (ja) 乾燥食品の包装体及び乾燥食品用容器
AU2022278863A1 (en) Storage container
KR100834522B1 (ko) 장류 포장용기
KR20110003369U (ko) 재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포장 용기
JP3155716B2 (ja) 袋包装された流動物の外套容器
KR200406737Y1 (ko) 포장용 에어캡 백
JP2933588B1 (ja) 袋包装された流動物の外套容器
WO2000076877A1 (en) Stackable packaging system
TW568867B (en) Plastic container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JP5370094B2 (ja) 詰め替え容器に用いられる枠材
KR102077551B1 (ko) 물품의 인출이 용이한 포장용 박스
JP2967867B2 (ja) 合成樹脂製折り畳み自在箱
JP4728543B2 (ja) 内容物充填済軟質容器体包装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599766B1 (ko) 밀봉 포장 파우치용 일회용 캡
JP3055332U (ja) みそ等の粘稠物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