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9040Y1 -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9040Y1 KR200469040Y1 KR2020130003952U KR20130003952U KR200469040Y1 KR 200469040 Y1 KR200469040 Y1 KR 200469040Y1 KR 2020130003952 U KR2020130003952 U KR 2020130003952U KR 20130003952 U KR20130003952 U KR 20130003952U KR 200469040 Y1 KR200469040 Y1 KR 20046904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packaging container
- side wall
- film
- edge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필름 뚜껑을 용이하게 벗길 수 있고, 용기 자체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용기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음식물을 수용하는 바닥면(31)과, 상기 바닥면(31)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측벽(32)과, 상기 측벽(32)의 상단에 구비되는 4각 형상의 테두리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일회용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33)의 네 모서리에는, 상기 테두리부(33)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그 폭이 포장용기의 내측을 향하여 증가된 평탄부(34)가 형성되고, 상기 네 모서리 부위에서 필름이 융착되는 씰링부(36)는, 상기 평탄부(34)의 내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측벽(32)에는 용기의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보강부(35)가 수직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음식물을 수용하는 바닥면(31)과, 상기 바닥면(31)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측벽(32)과, 상기 측벽(32)의 상단에 구비되는 4각 형상의 테두리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일회용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33)의 네 모서리에는, 상기 테두리부(33)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그 폭이 포장용기의 내측을 향하여 증가된 평탄부(34)가 형성되고, 상기 네 모서리 부위에서 필름이 융착되는 씰링부(36)는, 상기 평탄부(34)의 내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측벽(32)에는 용기의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보강부(35)가 수직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네 모서리에 평탄부를 형성하고 필름을 융착시키는 씰링부를 상기 평탄부의 내측에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필름 뚜껑을 용이하게 벗길 수 있고, 용기의 측벽 및 바닥면에 보강부를 형성하여 용기의 두께를 증대시킴이 없이 용기의 전체적인 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운반중 음식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백화점이나 시장 등에서 음식물을 판매하는 경우에는, 일회성 포장용기에 음식을 담은 후 필름형태의 랩으로 감싸서 판매하고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방식은 완전한 밀봉이 어려워 수분이 있는 음식물의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따라 일회용 음식물을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포장하는 식품 포장용 씰링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수동식 식품 포장용 씰링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수동식 식품 포장용 씰링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포장용기(2)가 삽입되고 상기 포장용기(2)의 테두리부(2a)가 안착되는 거치프레임(12)이 구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커버(20)로 구성된다. 상기 커버(20)의 하부에는 내측에 히팅부(도시 생략)를 구비한 융착프레임(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거치프레임(12) 및 융착프레임(22)의 폭은 포장용기(2)의 테두리부(2a)의 폭과 대응되게 형성된다.
이하, 위와 같이 구성된 수동식 식품 포장용 씰링장치(1)에서의 씰링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포장용기(2)의 내부에 음식물을 넣고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포장용기(2)를 삽입하면, 상기 포장용기(2)의 테두리부(2a)가 거치프레임(12)에 안착된다.
이어서, 상기 본체(10)의 거치프레임(12)에 안착된 포장용기(2)의 상단에 필름(3)을 올려 놓고, 히팅부를 가열하면 상기 융착프레임(22)이 고온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커버(20)를 본체(10)를 향해 아래로 눌러주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프레임(12)에 안착된 포장용기(2)의 테두리부(2a)와 필름(3)이 서로 융착된다.
이에 따라, 포장용기(2)에 담긴 음식물을 완전히 밀봉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수동식 식품 포장용 씰링장치 외에, 포장용기의 이송, 필름의 인출과 절단 및 열 가압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자동식 식품 포장용 씰링장치도 개발되어 있다.
도 3은 이러한 자동식 식품 포장용 씰링장치에 사용되는 포장용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포장용기는, 바닥면(4)과, 측벽(5)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서리(6)에 용기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포장용기는, 씰링장치에 형성된 돌기부(도시 생략)가 상기 가이드 부재(7) 끼워진 상태에서 가압이 이루어지므로, 열 가압시 용기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포장용기는, 도 3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부재(7)의 형성에 의해 씰링부(8)를 테두리를 따라 형성하여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즉, 필름이 열 융착되는 씰링부가 폭이 좁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므로, 필름을 벗겨내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필름을 테두리의 외부로 길게 연장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필름의 연장부를 재단하여야 하므로 작업공수가 추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필름이 테두리부의 외부로 연장될 경우 외관이 지저분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일회용 포장용기는 용기의 강도가 약하여 운반 중 내용물이 변형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필름 뚜껑을 용이하게 벗겨낼 수 있는 일회용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용기의 두께를 증대시키기 않고서도 용기의 전체적인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일회용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용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고 작업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일회용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수동식 식품 포장 씰링장치 및 자동식 식품 포장 씰링장치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일회용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음식물을 수용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측벽과, 상기 측벽의 상단에 구비되는 4각 형상의 테두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일회용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의 네 모서리에는 상기 테두리부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그 폭이 포장용기의 내측을 향하여 증가된 평탄부가 형성되고, 상기 네 모서리 부위에서 필름이 융착되는 씰링부는 상기 평탄부의 내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측벽에는 용기의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보강부가 수직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보강부는 상기 측벽으로부터 바닥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부는, 그 단면이 직사각형, 사다리꼴, 반원형,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면에 형성되는 보강부의 단부는, 그 폭이 수평방향으로 확장된 확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용기의 네 모서리 중 어느 한 부분을 선택하여 사용자가 필름 뚜껑을 용이하게 벗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의 두께를 증대시키기 않고서도 용기의 전체적인 강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운반 중 음식물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필름의 크기를 용기에 맞게 부착할 수 있으므로 용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 있고, 필름의 연장에 따른 재단이 필요 없으므로 작업공수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동식 식품 포장 씰링장치 및 자동식 식품 포장 씰링장치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식 식품 포장용 씰링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의해 제조되는 포장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식 식품 포장용 씰링장치에 사용되는 포장용기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포장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포장용기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포장용기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의해 제조되는 포장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식 식품 포장용 씰링장치에 사용되는 포장용기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포장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포장용기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포장용기의 측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4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포장용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을 수용하는 바닥면(31)과, 상기 바닥면(31)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측벽(32)과, 상기 측벽(32)의 상단에 구비되는 4각 형상의 테두리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바닥면(31)에는 일정 높이로 상부를 향하여 돌출된 볼록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테두리부(33)의 네 모서리에는, 상기 테두리부(33)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그 폭이 포장용기의 내측을 향하여 증가된 평탄부(3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네 모서리 부위에서 필름이 융착되는 씰링부(36)는, 상기 평탄부(34)의 내측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즉, 네 모서리 부분에서 포장용기의 뚜껑을 형성하는 필름(4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부(34)의 내측만 씰링이 되고, 평탄부(34)의 외측은 오픈이 되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필름(40)의 외관을 포장용기의 외관과 동일하게 하여 씰링하더라도, 사용자가 개방된 필름(40)의 단부를 잡고 뚜껑을 용이하게 벗겨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일회용 식품 포장용기에 의하면, 필름이 포장용기의 테두리부를 따라 씰링이 되므로 필름을 벗겨내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필름을 용이하게 벗겨내기 위해 필름의 단부를 용기보다 크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외관이 미려하지 않고, 필름의 일부를 용기보다 더 크게 재단하기 위해 작업공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 의하면, 용기의 네 모서리 중 어느 한 곳의 필름의 단부를 잡고 필름(40)을 용이하게 벗겨낼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측벽(32)에는 용기의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보강부(35)가 수직방향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벽(32)에 형성되는 보강부(35)는 상기 측벽(32)으로부터 바닥면(31)까지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부(35)는, 그 단면이 직사각형, 사다리꼴, 반원형, 타원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상기 바닥면(31)에 형성되는 보강부(35)의 단부는, 그 폭이 수평방향으로 확장된 확장부(35a)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바닥면(31)의 강도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용기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포장용기의 전체적인 강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에 따라 포장용기의 운반 중에 내용물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용기 내에 음식물을 넣은 후 이를 수동식 또는 자동식 식품 포장 씰링장치에 장착한다. 수동식 씰링장치인 경우에는 필름(40)을 인출하여 포장용기의 표면에 덮어 씌운다.
이어서 융착 프레임을 가열한 후 커버(20)를 내려 필름(40)의 상부를 가압하면 필름의 씰링이 완료된다.
한편, 자동식 씰링장치의 경우에는 상기한 필름의 인출 및 가압작용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용기의 네 모서리 부위에 평탄부(34)를 형성하고 이 평탄부의 안쪽에 필름 씰링부(36)를 형성하므로, 네 모서리부에서는 필름(40)의 단부가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네 모서리부의 어느 한 부분의 필름을 잡고 필름 뚜껑을 용이하게 벗겨낼 수 있다.
또한, 필름이 포장용기의 외곽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포장용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마감할 수가 있고, 필름의 연장에 따른 재단작업이 불필요하므로 작업 공수를 절감할 수가 있다.
또한 포장용기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포장용기의 전체적인 강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가 있으므로, 운반시 내용물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수동식 식품 포장용 씰링장치 2: 포장용기
2a: 테두리부 3: 필름
4: 바닥면 5: 측벽
6: 모서리 7: 가이드 부재
8: 씰링부 10: 본체
20: 커버 22: 융착 프레임
30: 포장용기 31: 바닥면
31a: 볼록부 32: 측벽
33: 테두리부 34: 평탄부
35: 보강부 35a: 확장부
36: 씰링부 40: 필름
2a: 테두리부 3: 필름
4: 바닥면 5: 측벽
6: 모서리 7: 가이드 부재
8: 씰링부 10: 본체
20: 커버 22: 융착 프레임
30: 포장용기 31: 바닥면
31a: 볼록부 32: 측벽
33: 테두리부 34: 평탄부
35: 보강부 35a: 확장부
36: 씰링부 40: 필름
Claims (4)
- 음식물을 수용하는 바닥면(31)과, 상기 바닥면(31)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측벽(32)과, 상기 측벽(32)의 상단에 구비되는 4각 형상의 테두리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일회용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33)의 네 모서리에는, 상기 테두리부(33)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그 폭이 포장용기의 내측을 향하여 증가된 평탄부(34)가 형성되고,
상기 네 모서리 부위에서 필름이 융착되는 씰링부(36)는, 상기 평탄부(34)의 내측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측벽(32)에는 용기의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보강부(35)가 수직방향으로 다수 형성되고,
용기의 네 모서리의 수직벽(38)에도 용기의 안쪽을 향하여 돌출되는 보강부(35)가 형성되며,
상기 측벽(32)에 형성되는 보강부(35)는 상기 측벽(32)으로부터 바닥면(31)까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35)는, 그 단면이 직사각형, 사다리꼴, 반원형,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바닥면(31)에 형성되는 보강부(35)의 단부는, 그 폭이 수평방향으로 확장된 확장부(35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3952U KR200469040Y1 (ko) | 2013-05-21 | 2013-05-21 |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3952U KR200469040Y1 (ko) | 2013-05-21 | 2013-05-21 |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9040Y1 true KR200469040Y1 (ko) | 2013-09-12 |
Family
ID=51396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3952U KR200469040Y1 (ko) | 2013-05-21 | 2013-05-21 |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9040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2465B1 (ko) * | 2019-07-23 | 2019-10-15 | 김형훈 | 식품포장기의 포장용기 밀봉방법 |
KR200492398Y1 (ko) | 2020-01-29 | 2020-10-05 | 이유석 | 개별 소포장 용기 |
KR20230090081A (ko) * | 2021-12-14 | 2023-06-21 | 김정희 |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84933B2 (ja) * | 1998-07-03 | 2001-07-09 | 守 加茂 | 合成樹脂シート製容器 |
US8158174B2 (en) * | 2002-09-27 | 2012-04-17 |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 Container for food products |
KR20130024240A (ko) * | 2011-08-31 | 2013-03-08 | (주)동국프라텍 | 우수한 강도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 식품용 트레이 |
KR20130002699U (ko) * | 2011-10-26 | 2013-05-06 | (주)풀무원홀딩스 |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 |
-
2013
- 2013-05-21 KR KR2020130003952U patent/KR200469040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184933B2 (ja) * | 1998-07-03 | 2001-07-09 | 守 加茂 | 合成樹脂シート製容器 |
US8158174B2 (en) * | 2002-09-27 | 2012-04-17 |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 Container for food products |
KR20130024240A (ko) * | 2011-08-31 | 2013-03-08 | (주)동국프라텍 | 우수한 강도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진 식품용 트레이 |
KR20130002699U (ko) * | 2011-10-26 | 2013-05-06 | (주)풀무원홀딩스 | 절임식재료 포장패키지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32465B1 (ko) * | 2019-07-23 | 2019-10-15 | 김형훈 | 식품포장기의 포장용기 밀봉방법 |
KR200492398Y1 (ko) | 2020-01-29 | 2020-10-05 | 이유석 | 개별 소포장 용기 |
KR20230090081A (ko) * | 2021-12-14 | 2023-06-21 | 김정희 |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 |
KR102647174B1 (ko) | 2021-12-14 | 2024-03-14 | 김정희 |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445050A (en) | Package for foodstuffs | |
JP6943982B2 (ja) | 蒸気排出部が具備された調理用容器 | |
KR200469040Y1 (ko) |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 |
SE539291C2 (en) | Method of producing and filling a packaging container. | |
JP2010189065A (ja) | 特に固形状またはペースト状の製品用の容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容器とそれを受け入れる入れ物とからなる包装 | |
JP3203611U (ja) | 包装用容器 | |
JP2006315687A (ja) | 食品収納容器の製造方法 | |
JP6500269B2 (ja) | 電子レンジ用包装体 | |
ES2268292T3 (es) | Envase estanco para productos alimentarios. | |
KR200488351Y1 (ko) | 다기능 포장상자 | |
KR20120005606U (ko) | 미트패드가 부착된 트레이형 포장용기 | |
JP5050291B1 (ja) | 納豆容器 | |
KR200471718Y1 (ko) | 식품 포장 용기 | |
KR20110003369U (ko) | 재사용이 가능한 일회용 포장 용기 | |
KR200479343Y1 (ko) | 분할 개봉이 가능한 이중 용기 | |
JPH11310276A (ja) | 液体用包装容器 | |
KR200479506Y1 (ko) | 높이 조절 용기 | |
KR20160016063A (ko) | 일회용 다기 세트 | |
JP6168859B2 (ja) | スパウト | |
KR20170126419A (ko) | 봉지 라면 | |
KR200470000Y1 (ko) | 탄성력을 가지는 테두리부가 형성된 일회성 식품포장용기 | |
JPH0133343B2 (ko) | ||
TWM526995U (zh) | 改良式塑膠包裝容器 | |
KR20180000948U (ko) | 원터치 김장매트 | |
KR20140002680U (ko) | 음식물 포장용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