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174B1 -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 - Google Patents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174B1
KR102647174B1 KR1020210179017A KR20210179017A KR102647174B1 KR 102647174 B1 KR102647174 B1 KR 102647174B1 KR 1020210179017 A KR1020210179017 A KR 1020210179017A KR 20210179017 A KR20210179017 A KR 20210179017A KR 102647174 B1 KR102647174 B1 KR 102647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protrusions
present
regular intervals
streaml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9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0081A (ko
Inventor
김정희
Original Assignee
김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희 filed Critical 김정희
Priority to KR1020210179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7174B1/ko
Publication of KR20230090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0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28Other 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1/44Corrug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essentially conical or frusto-co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면적을 갖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외측 둘레 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외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단부로부터 대략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부의 중앙 부위에는 상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저면에는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여 오목홈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Container of paper material}
본 발명은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중량을 갖는 음식물이 담긴 상태에서도 충분한 강성을 발휘하여 변형을 최소화함에 따라 안정적으로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음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음식물 용기는 주로 합성수지 재질, 유리 재질, 스테인리스 재질, 자기 재질 등으로 제작된 것이 적용되는데, 이러한 포장용 음식물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어 개구부를 형성하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개방된 개구부를 개폐시키는 리드(뚜껑)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합성수지 재질, 유리 재질, 스테인리스 재질, 자기 재질 등으로 제작된 음식물 용기는 각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와 같이 재사용이 가능한 경우에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음식물 용기의 재사용이 용이하지 못한 경우에는 일회용 음식물 용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예를 들어, 최근에는 캠핑, 낚시, 등산 등과 같이 야외에서 활동하는 여가생활이 많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는데, 야외에서는 재사용 용기의 사용에 많은 제약이 따름에 따라 간단히 한 번 사용하고 폐기하게 되는 일회용 음식물 용기의 수요가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또한, 결혼식장이나 장례식장 등과 같이 다수의 인원에게 음식을 제공하게 되는 경우에도 여러 가지 편의성을 위해 일회용 음식물 용기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또한, 최근에는 배달음식에 대한 수요가 점차적으로 늘고 있는데, 음식 배달을 위한 용기 또한 회수에 따른 번거로움 등에 의해 일회용 음식물 용기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종래에 제공되는 일회용 음식물 용기의 경우, 주로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 것이 적용되는데, 이러한 합성수지재 일회용 음식물 용기는, 바닥부와 이 바닥부의 둘레로부터 일정 높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벽부로 구성되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측벽부 둘레에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테두리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 주로 제공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일회용 음식물 용기는, 제조비용이 저렴하여 단가가 낮고, 생산성이 우수하며, 중량이 가벼움에도 소정의 강성을 갖는 등의 장점을 갖는 반면, 폐기에 따른 매립 시 장기간 분해되지 않아 환경오염의 주된 원인을 제공하고, 특히 소각 시에는 수많은 대기 오염물질을 배출하게 되는 등, 지구 온난화의 주된 원인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일회용 음식물 용기 외에 매립 시 단기간에 분해되어 토질 등의 오염을 예방하고, 특히 소각 시에도 별다른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아 보다 친환경적인 종이재질의 일회용 음식물 용기가 많이 쓰이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종이재질의 일회용 음식물 용기의 경우는, 비교적 중량이 가벼운 음식물의 수용 용도로는 크게 문제가 없으나, 그 재질특성에 의해 강성이 충분하지 않아 국물 등과 같이 소정 이상의 중량을 갖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게 됨으로써, 그 사용범위에 제약을 받게 되는바, 범용적으로 사용되지 못하여 결국 합성수지 재질의 일회용 용기를 대체하는 데에는 한계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실용공개 제20-2010-0010916호(2010.11.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정 이상의 중량을 갖는 음식물이 담긴 상태에서도 충분한 강성을 발휘하여 변형을 최소화함에 따라 안정적으로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국물 등과 같이 소정크기 이상의 중량을 갖는 음식물이 담긴 상태에서 충분한 강성을 발휘하여 변형이 크게 이루어지지 않음에 따라 음식물을 쏟는 등의 우려 없이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충분한 강성 확보에 의해 그 사용범위를 확대함에 따라 합성수지 재질의 일회용 음식물 용기를 대체하도록 함으로써,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는, 일정 면적을 갖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외측 둘레 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외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단부로부터 대략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부의 중앙 부위에는 상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저면에는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여 오목홈이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부는, 내측 방향으로 라운드진 형태로 돌출되는 제1 유선부와, 외측 방향으로 라운드진 형태로 돌출되는 제2 유선부가 교차로 연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유선부의 내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종 방향의 제1 돌기부가 형성되고, 제2 유선부의 내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종 방향의 제1 요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측면부의 상단 끝단으로부터 1차 절곡되어 일정 간격만큼 수평부를 이루고, 상기 수평부의 단부로부터 2차 절곡되어 일정 길이만큼 수직부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평부와 수직부의 외측 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제2 돌기부 및 제2 요홈부가 교차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에 의하면, 소정 이상의 중량을 갖는 음식물이 담긴 상태에서도 충분한 강성이 발휘되어 변형이 최소화됨에 따라 안정적으로 음식물이 수용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에 의하면, 국물 등과 같이 소정크기 이상의 중량을 갖는 음식물이 담긴 상태에서 충분한 강성이 발휘되어 하중에 따른 변형이 크게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음식물이 쏟아지는 등의 우려 없이 안정적으로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에 의하면, 충분한 강성 확보에 의해 그 사용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합성수지 재질의 일회용 음식물 용기를 대체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합성수지 재질의 일회용 음식물 용기의 폐기(매립, 소각 등)에 따라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의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 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100)는, 일정 면적을 갖는 바닥부(110)와, 이 바닥부(110)의 외측 둘레 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외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부(120) 및 이 측면부(120)의 단부로부터 대략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테두리부(1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바닥부(110)의 중앙 부위에는 상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112)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바닥부(110)의 저면에는 오목홈(114)이 형성되어 바닥부(110)의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다.
측면부(120)는, 내측 방향으로 라운드진 형태로 돌출되는 제1 유선부(122)와, 외측 방향으로 라운드진 형태로 돌출되는 제2 유선부(124)가 교차로 연속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측면부(120)는 상면에서 바라볼 때, 물결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면부(120)가 내외측을 따라 마치 물결 형상과 같이 제1 유선부(122)와 제2 유선부(124)가 지그재그 형태로 교차되면서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국물 등의 음식물이 담긴 상태에서 음식물의 하중에 견디는 강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즉, 제2 유선부(124)들 사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유선부(122)들이 지지대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음식물의 하중에 견디는 강성이 향상될 수 있는바, 음식물이 담긴 상태에서 쉽게 변형이 발생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음식물이 담긴 상태에서 형상 유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테두리부(140)는 측면부(120)의 상단 끝단으로부터 1차 절곡되어 일정 간격만큼 수평부(142)를 이루고, 이 수평부(142)의 단부로부터 2차 절곡되어 일정 길이만큼 수직부(144)를 이루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테두리부(140)가 측면부(120)의 단부로부터 대략 ㄱ자 형태로 2단 절곡되어 형성됨에 따라 테두리부(140)의 강성 또한 증대됨은 물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게 된다.
예를 들어, 테두리부(140)가 수평부(142)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사용자가 수평부(142)를 잡고 용기(100)를 들어올리게 되면, 음식물의 중량에 따른 하중에 의해 수평부(142)가 수직방향으로 꺽이면서 용기(100)를 놓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테두리부(140)가 2단 절곡되어 수평부(142)와 수직부(144)로 이루어지게 되는 경우에는 수직부(144)를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됨에 따라 음식물의 하중에 의한 꺽임 현상이 억제되어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더 크게 되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테두리부(140)를 이루는 수평부(142)와, 측면부(120)를 이루는 제1 유선부(122) 및 제2 유선부(124)의 경계 부위에는 일정 각도를 이루는 경사부(130)가 형성되어 하중에 대한 지지력이 더욱 확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실시 예>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100)의 사시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선 제1 실시 예에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100)는, 측면부(120)를 이루는 제1 유선부(122)의 내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종 방향의 제1 돌기부(122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면부(120)를 이루는 제2 유선부(124)의 내면에도 일정 간격을 두고 종 방향의 제1 요홈부(124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측면부(120)에서 용기(100)의 내면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유선부(122)의 내면에는 종 방향에 걸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제1 돌기부(122a)가 형성됨에 따라 용기(100) 내부에 중량의 음식물이 담긴 상태에서 제1 유선부(122)가 지지대 기능을 수행할 때, 제1 돌기부(122a)가 보조적으로 지지대 기능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제1 유선부(122)의 강성이 더욱 확보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측면부(120)에서 용기(100)의 외측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2 유선부(124)의 내면에도 종 방향에 걸쳐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제1 요홈부(124a)가 형성됨에 따라 용기(100) 내부에 중량의 음식물이 담긴 상태에서 제2 유선부(124)에 가해지는 하중이 제1 요홈부(124a)에 의해 분산됨으로써, 제2 유선부(124)의 강성도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와 같이 제1 유선부(122)에 제1 돌기부(122a)들이 형성되고, 제2 유선부(124)에는 제1 요홈부(124a)들이 형성됨에 따라 측면부(120) 전체의 강성이 더욱 증대됨에 따라 음식물 용기(100)에 소정크기 이상의 중량을 갖는 음식물이 담긴 상태에서 충분한 강성이 발휘되어 하중에 따른 변형이 크게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음식물이 쏟아지는 등의 우려 없이 안정적으로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제3 실시 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100)의 사시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선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에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100)는, 테두리부(140)를 이루는 수평부(142)와 수직부(144)의 외측 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제2 돌기부(122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돌기부(122b)는 측면부(120)의 제1 유선부(122)에 형성되는 제1 돌기부(122a)와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테두리부(140)를 이루는 수평부(142)와 수직부(144)의 외측 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제2 요홈부(124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요홈부(124b)는 측면부(120)의 제2 유선부(124)에 형성되는 제1 요홈부(124a)와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테두리부(140)에서 제1 유선부(122)와 대응되는 위치의 일부에는 제2 돌기부(122b)가 형성되고, 제2 유선부(124)와 대응되는 위치의 다른 일부에는 제2 요홈부(124b)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테두리부(140)에는 제2 돌기부(122b)와 제2 요홈부(124b)가 지그재그 형태로 교차되게 형성됨에 따라 테두리부(140)의 강성이 더욱 확보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와 같이 테두리부(140)의 일부에 제2 돌기부(122b)들이 형성되고, 테두리부(140)의 다른 일부에는 제2 요홈부(124b)들이 형성됨에 따라 테두리부(140) 전체의 강성이 더욱 증대됨에 따라 음식물 용기(100)에 소정크기 이상의 중량을 갖는 음식물이 담긴 상태에서 충분한 강성이 발휘되어 사용자가 테두리부(140)를 잡고 들어올리게 될 때, 하중에 따른 변형이 크게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음식물이 쏟아지는 등의 우려 없이 안정적으로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제 4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100)의 사시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선 제1 실시 예 내지 제3 실시 예에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그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100)는, 바닥부(110)에서 볼록부(112)와 측면부(120) 사이의 공간에는 볼록부(112)를 감싸는 형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호 형상의 제3 돌기부(110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돌기부(110a)는 볼록부(112)와 인접한 위치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볼록부(112)를 감싸는 형태로 1열의 제3 돌기부(110a)로 형성되고, 이 1열의 제3 돌기부(110a)들 사이의 공간을 감싸는 형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2열의 제3 돌기부(110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볼록부(112)에도 일정 간격을 두고 점 형태의 제4 돌기부(11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닥부(110)에 2열에 걸쳐 제3 돌기부(110a)가 형성되고, 바닥부(110)의 중앙 부위에 볼록하게 돌출된 볼록부(112)에도 제4 돌기부(112a)가 형성됨에 따라 바닥부(110) 전체의 강성이 더욱 증대됨에 따라 음식물 용기(100)에 소정크기 이상의 중량을 갖는 음식물이 담긴 상태에서 충분한 강성이 발휘되어 바닥부(110)의 처짐이 예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100)에 의하면, 소정 이상의 중량을 갖는 음식물이 담긴 상태에서도 종이재질의 재질특성에 따른 취약점을 극복하도록 충분한 강성이 발휘되어 변형이 최소화됨에 따라 안정적으로 음식물이 수용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100)에 의하면, 국물 등과 같이 소정크기 이상의 중량을 갖는 음식물이 담긴 상태에서 충분한 강성이 발휘되어 하중에 따른 변형이 크게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음식물이 쏟아지는 등의 우려 없이 안정적으로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100)에 의하면, 충분한 강성 확보에 의해 그 사용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합성수지 재질의 일회용 음식물 용기(100)를 대체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합성수지 재질의 일회용 음식물 용기(100)의 폐기(매립, 소각 등)에 따라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음식물 용기 110 : 바닥부
110a : 제3 돌기부 112 : 볼록부
112a : 제4 돌기부 120 : 측면부
122 : 제1 유선부 122a : 제1 돌기부
122b : 제2 돌기부 124 : 제2 유선부
124a : 제1 요홈부 124b : 제2 요홈부
140 : 테두리부 142 : 수평부
144 : 수직부

Claims (5)

  1. 일정 면적을 갖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외측 둘레 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외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의 단부로부터 대략 ㄱ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바닥부의 중앙 부위에는 상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의 저면에는 상기 볼록부에 대응하여 오목홈이 형성된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내측 방향으로 라운드진 형태로 돌출되되, 내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종 방향의 제1 돌기부가 형성되는 제1 유선부와, 외측 방향으로 라운드진 형태로 돌출되되, 내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종 방향의 제1 요홈부가 형성되는 제2 유선부가 교차로 연속되어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측면부의 상단 끝단으로부터 1차 절곡되어 일정 간격만큼 수평부를 이루고, 상기 수평부의 단부로부터 2차 절곡되어 일정 길이만큼 수직부를 이루되, 상기 테두리부의 수평부 및 수직부의 외측 면에는 상기 제1 유선부에 형성되는 제1 돌기부와 연장되는 제2 돌기부와 상기 제2 유선부에 형성되는 제1 요홈부와 연장되는 제2 요홈부가 교차되게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는,
    상기 볼록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볼록부를 감싸는 형태로 1열의 제3 돌기부와, 상기 1열의 제3 돌기부들 사이의 공간을 감싸는 형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2열의 제3 돌기부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볼록부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점 형태의 제4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79017A 2021-12-14 2021-12-14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 KR102647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017A KR102647174B1 (ko) 2021-12-14 2021-12-14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9017A KR102647174B1 (ko) 2021-12-14 2021-12-14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081A KR20230090081A (ko) 2023-06-21
KR102647174B1 true KR102647174B1 (ko) 2024-03-14

Family

ID=86989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9017A KR102647174B1 (ko) 2021-12-14 2021-12-14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7174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7117A (ja) 2000-10-27 2002-06-25 Georgia-Pacific Corp 堅くて強い深皿の使い捨て容器およびそれの製造方法
JP2004142798A (ja) 2002-10-25 2004-05-20 Mitsubishi Alum Co Ltd 紙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513108A (ja) 2002-10-08 2006-04-20 グラフィック パッケージング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射出成形材料により封入されるかまたは射出成形材料から成形されるリムまたは他の特徴部を有する容器
JP2011031913A (ja) 2009-07-30 2011-02-17 Risu Pack Co Ltd 減容可能な樹脂成型品
JP2011116437A (ja) 2009-12-07 2011-06-16 Mitsubishi Alum Co Ltd 食品収容用小形容器
JP2011143940A (ja) 2010-01-14 2011-07-28 Risu Pack Co Ltd 減容可能な樹脂成型品
JP2011230776A (ja) 2010-04-23 2011-11-17 Kobayashi Pharmaceutical Co Ltd 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69040Y1 (ko) 2013-05-21 2013-09-12 (주)경인팩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JP2015006925A (ja) * 2007-11-01 2015-01-15 ディクシー コンスーマー プロダクツ エルエルシー アーチ形の底板と急唆な周縁の切り替え部とを有する圧板紙食器
KR200489670Y1 (ko) 2019-05-08 2019-07-19 임경호 포장용 음식물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3905Y1 (ko) * 1995-10-20 1999-03-30 황창언 단무지 포장용기
KR20100010916U (ko) 2009-04-28 2010-11-05 원 앤 원(주) 종이용기
KR20130001231U (ko) * 2011-08-16 2013-02-26 조봉환 1회 한 모금용 가글 용기
KR20140012551A (ko) * 2012-07-22 2014-02-03 박계현 쉽게 열 수 있는 꽃 모양 젤리용기
KR101606193B1 (ko) * 2014-06-30 2016-03-24 신영순 빙수 용기
KR20170004196U (ko) * 2016-06-07 2017-12-15 이종윤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KR20210087135A (ko) * 2020-01-02 2021-07-12 (주)대광푸드 뚝배기형 실링 트레이
KR20230001158U (ko) * 2021-11-30 2023-06-07 차인준 음식물 포장 용기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7117A (ja) 2000-10-27 2002-06-25 Georgia-Pacific Corp 堅くて強い深皿の使い捨て容器およびそれの製造方法
JP2006513108A (ja) 2002-10-08 2006-04-20 グラフィック パッケージング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射出成形材料により封入されるかまたは射出成形材料から成形されるリムまたは他の特徴部を有する容器
JP2004142798A (ja) 2002-10-25 2004-05-20 Mitsubishi Alum Co Ltd 紙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006925A (ja) * 2007-11-01 2015-01-15 ディクシー コンスーマー プロダクツ エルエルシー アーチ形の底板と急唆な周縁の切り替え部とを有する圧板紙食器
JP2011031913A (ja) 2009-07-30 2011-02-17 Risu Pack Co Ltd 減容可能な樹脂成型品
JP2011116437A (ja) 2009-12-07 2011-06-16 Mitsubishi Alum Co Ltd 食品収容用小形容器
JP2011143940A (ja) 2010-01-14 2011-07-28 Risu Pack Co Ltd 減容可能な樹脂成型品
JP2011230776A (ja) 2010-04-23 2011-11-17 Kobayashi Pharmaceutical Co Ltd 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69040Y1 (ko) 2013-05-21 2013-09-12 (주)경인팩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KR200489670Y1 (ko) 2019-05-08 2019-07-19 임경호 포장용 음식물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0081A (ko) 202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88118B2 (ja) ボトル用嵌め合わせ可能展示枠体
MXPA02005558A (es) Recipiente de almacenamiento.
US3680735A (en) Lug for liquid container
US7556230B2 (en) Holder for beverage containers
US9174760B2 (en) Bottle crate
US20070095833A1 (en) Plug for beverage container lid
US7273147B2 (en) Wine glass
CA2829956C (en) Stackable low depth tray
JP2004524239A (ja) 積重ね可能な浅型トレー
US3111240A (en) Plastic container and closure means therefor
KR102647174B1 (ko)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
US4912875A (en) Flower pot and saucer
US20040134918A1 (en) Multi-piece vessel
ES2221668T3 (es) Caja expositora apilable.
US6446546B1 (en) Marinading and storage container
KR200383322Y1 (ko) 금속제 용기
KR200297712Y1 (ko) 고강성 박판용기
JP6598181B1 (ja) 包装用容器
JP3216465U (ja) 収納容器
JP2003144289A (ja) ピッチャー
JP2018030629A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及び充填体
KR200250072Y1 (ko) 김치 보관용 통
JP2016064123A (ja) 化粧料容器
US20180199739A1 (en) Single-use wine glass
US20110005129A1 (en) Group of flowerpo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