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670Y1 - 포장용 음식물 용기 - Google Patents

포장용 음식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670Y1
KR200489670Y1 KR2020190001884U KR20190001884U KR200489670Y1 KR 200489670 Y1 KR200489670 Y1 KR 200489670Y1 KR 2020190001884 U KR2020190001884 U KR 2020190001884U KR 20190001884 U KR20190001884 U KR 20190001884U KR 200489670 Y1 KR200489670 Y1 KR 2004896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portions
pair
supporting
long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8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호
Original Assignee
임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경호 filed Critical 임경호
Priority to KR2020190001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6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6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6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전후좌우 측에 일정 높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부들로 구성되어 상단 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음식물 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측면부들은, 한 쌍의 장변 측면부와, 한 쌍의 단변 측면부 및 상기 한 쌍의 장변 측면부와 한 쌍의 단변 측면부를 연결하는 모서리부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장변 측면부 상단과, 상기 한 쌍의 단변 측면부 상단 및 상기 모서리부들의 상단에는 둘레에 걸쳐 외측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게 테두리부가 형성되되,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과 상기 장변 측면부의 경계 부위 및 상기 테두리부의상면과 상기 단변 측면부의 경계 부위에는 각각 상기 개구부를 향한 내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제1 지지 경사부 및 제2 지지 경사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포장용 음식물 용기{Packing container for food and drink}
본 발명은 포장용 음식물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포장장치로서 포장용 음식물 용기의 개구된 상단을 필름으로 밀봉시킬 때, 포장장치의 가압력에 의해 용기의 상단 테두리부가 변형되는 것을 예방하여 보다 기밀성 있게 필름이 밀봉되도록 하는 포장용 음식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물이 있는 음식물 등을 포장할 때 주로 사용되는 포장용 음식물 용기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 것이 적용되는데, 이러한 포장용 음식물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어 개구부를 형성하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개구부 주변 둘레 즉, 테두리부의 상면에 부착되어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필름으로 구성된다.
이 때, 용기 본체와 필름은 열에 의해 용융되는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고, 용기 본체의 상면 둘레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테두리부가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에 국물 등의 음식물이 담긴 상태에서, 음식물이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통해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필름으로 덮어서 밀폐시키게 되는데, 이 때 용기 본체의 테두리부 둘레에 필름을 열 융착시켜서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음식물 용기의 개구부에 필름을 열 융착에 의해 접합시켜서, 개구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포장장치로서, 한국특허등록 제10-1629367호(휴대 용기용 포장장치)와, 한국특허등록 제10-1851006호(용기 자동배출 구조를 갖는 휴대용기 밀폐 포장장치) 등이 있다.
상기한 등록특허들은 음식물 용기의 개구부 주변의 테두리부 둘레에 필름을 열 융착에 의해 접합시킴에 따라 밀폐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그 작업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한 것으로서, 이의 경우 용기 본체의 개구부 주변 테두리부에 대하여 필름을 가압하여 열 융착시킴에 따라 가압력에 의해 용기 본체의 테두리부가 변형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즉, 포장용 음식물 용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 재질이 성형되어 제작된 것이므로, 충분한 강성을 갖고 있지 못하므로, 설정 이상 크기의 가압력이 작용하는 경우 변형 또는 파손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포장용 음식물 용기의 개구부 둘레의 테두리부에 필름을 열 융착시키기 위하여 포장장치로서 가압시키게 될 때, 설정 이상 크기의 가압력이 작용하게 되는 경우, 용기 본체의 테두리부가 변형 또는 파손됨에 따라 필름이 제대로 열 융착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용기 본체의 테두리부 변형 또는 파손에 의해 필름이 제대로 열 융착되지 못하는 경우, 개구부에 대한 필름의 기밀성이 유지되지 못함에 따라 음식 내용물이 새는 등,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1629367호(2016.06.03.) 한국특허등록 제10-1851006호(2018.04.16.) 한국특허등록 제10-1770424호(2017.08.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포장장치로서 포장용 음식물 용기의 개구된 상단을 필름으로 밀봉시킬 때, 포장장치의 가압력에 의해 용기의 상단 테두리부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예방하여 보다 기밀성 있게 필름이 밀봉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포장용 음식물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설정 크기 이상의 가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그 강성이 우수하여 가압력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용기 본체의 테두리부 전 면적에 걸쳐 필름이 고르게 열 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음식물 등이 새는 우려를 불식시킴에 따라 제품의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포장용 음식물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포장장치로서 용기 본체의 테두리부를 가압할 때, 가압력에 의해 테두리부 상면이 수평 면을 이룬 상태에서 필름과 열 융착이 이루어지고, 열 융착에 의한 용기 본체의 테두리부에 대한 필름의 열 융착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용기 본체의 테두리부 상면이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를 유지하도록 함에 따라 필름이 주름 등의 발생 없이 팽팽하게 밀봉 포장되도록 하는 포장용 음식물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포장용 용기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전후좌우 측에 일정 높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부들로 구성되어 상단 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측면부들은, 한 쌍의 장변 측면부와, 한 쌍의 단변 측면부 및 상기 한 쌍의 장변 측면부와 한 쌍의 단변 측면부를 연결하는 모서리부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장변 측면부 상단과, 상기 한 쌍의 단변 측면부 상단 및 상기 모서리부들의 상단에는 둘레에 걸쳐 외측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게 테두리부가 형성되되,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과 상기 장변 측면부의 경계 부위 및 상기 테두리부의상면과 상기 단변 측면부의 경계 부위에는 각각 상기 개구부를 향한 내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제1 지지 경사부 및 제2 지지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지지 경사부와 상기 바닥부, 상기 제2 지지 경사부와 상기 바닥부 사이의 내면에는 각각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지지 리브 및 복수의 제2 지지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과 상기 모서리부의 경계 부위에는 상기 개구부를 향한 내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제3 지지 경사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지지 경사부와 상기 바닥부 사이의 내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3 지지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지지 경사부 및 제2 지지 경사부는 수평 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3 지지 경사부의 경사 각도보다 큰 각도로 경사질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은 상기 개구부로부터 외측 방향을 향할수록 일정 각도만큼 하향 경사지게 경사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포장용 용기에 의하면, 포장장치로서 포장용 음식물 용기의 개구된 상단을 필름으로 밀봉시킬 때, 포장장치의 가압력에 의해 용기의 상단 테두리부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이 예방되어, 보다 기밀성 있게 필름이 밀봉됨으로써, 제품의 신뢰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포장용 용기에 의하면, 설정 크기 이상의 가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그 강성이 우수하여 가압력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이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용기 본체의 테두리부 전 면적에 걸쳐 필름이 고르게 열 융착이 이루어지게 되어, 음식물 등이 새는 우려가 불식됨에 따라 제품의 신뢰도가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포장용 용기에 의하면, 포장장치로서 용기 본체의 테두리부를 가압할 때, 가압력에 의해 테두리부 상면이 수평 면을 이룬 상태에서 필름과 열 융착이 이루어지고, 열 융착에 의한 용기 본체의 테두리부에 대한 필름의 열 융착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용기 본체의 테두리부 상면이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필름이 주름 등의 발생 없이 팽팽하게 밀봉 포장되는 유용한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포장용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포장용 용기의 상단 개구부 주변 테두리부에 필름을 포장장치로서 밀봉 포장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포장용 용기의 상단 개구부 주변 테두리부에 필름이 열 융착되어 밀봉된 상태의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횡 단면도 및 종 단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포장용 용기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포장용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포장용 용기(100)는, 바닥부(120)와, 이 바닥부(120)의 전후좌우 측에 일정 높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부들로 구성되는 용기 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측면부들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대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장변 측면부(130)와, 이 장변 측면부(130)들과 교차되는 위치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한 쌍의 장변 측면부(130)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된 한 쌍의 단변 측면부(140)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한 쌍의 장변 측면부(130)와 한 쌍의 단변 측면부(140)가 연결되는 모서리부(150)들은 평면 상에서 바라볼 때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110)의 상부 면은 개구된 개구부(112)를 형성하게 되며, 이 개구부(112)의 주변 둘레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테두리부(160)가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장변 측면부(130) 상단과, 한 쌍의 단변 측면부(140) 상단 및 모서리부(150)들의 상단에는 둘레에 걸쳐 외측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게 테두리부(16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테두리부(160)의 상면은 개구부(112)로부터 외측 방향을 향할수록 일정 각도만큼 하향 경사지게 경사 면(162)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테두리부(160)의 상면을 이루는 경사 면(162)과 장변 측면부(130)의 경계 부위에는 개구부(112)를 향한 내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하향 경사지게 제1 지지 경사부(13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장변 측면부(130)의 제1 지지 경사부(134)와 바닥부(120) 사이의 내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지지 리브(13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테두리부(160)의 상면을 이루는 경사 면(162)과 단변 측면부(140)의 경계 부위에도 개구부(112)를 향한 내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하향 경사지게 제2 지지 경사부(14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단변 측면부(140)의 제2 지지 경사부(144)와 바닥부(120) 사이의 내면에도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2 지지 리브(14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테두리부(160)의 상면을 이루는 경사 면(162)과 모서리부(150)의 경계 부위에도 개구부(112)를 향한 내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하향 경사지게 제3 지지 경사부(15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모서리부(150)의 제3 지지 경사부(154)와 바닥부(120) 사이의 내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3 지지 리브(15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장변 측면부(130)의 제1 지지 경사부(134)는 수평을 기준으로 그 경사 각도가 테두리부(160)의 경사 면(162)이 이루는 경사 각도보다 크고, 제2 지지 경사부(144)의 경사 각도는 제1 지지 경사부(134)의 경사 각도와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서리부(150)의 제3 지지 경사부(154)는 수평을 기준으로 그 경사 각도가 테두리부(160)의 경사 면(162)이 이루는 경사 각도보다는 크되, 제1 지지 경사부(134) 및 제2 지지 경사부(144)의 경사 각도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이유에 대해서도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장변 측면부(130)와 단변 측면부(140) 및 모서리부(150)는 테두리부(160)로부터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바닥부(120)를 향해서 일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변 측면부(130)와 단변 측면부(140) 및 모서리부(150) 각 내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 지지 리브(132)와 제2 지지 리브(142) 및 제3 지지 리브(152) 또한 단차지게 형성되어 가압에 따른 하중에 대한 강성을 더욱 크게 확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음식물 포장용 용기(100)를 포장장치(200)를 이용하여 그 개구부(112) 상단 즉, 테두리부(160) 상면에 필름(310)을 열 융착하여 접합시킴에 따라 밀봉 포장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포장용 용기(100)의 상단 개구부(112) 주변 테두리부(160)에 필름(310)을 포장장치(200)로서 밀봉 포장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포장용 용기(100)의 상단 개구부(112) 주변 테두리부(160)에 필름(310)이 열 융착되어 밀봉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횡 단면도 및 종 단면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음식물 포장용 용기(100)의 상단 개구부(112)를 필름(310)으로 밀봉하는 포장장치(200)는, 상부에 안착 홀이 형성된 본체(202)와, 이 본체(202)의 일측과 힌지(204)로 결합되어 회전됨에 따라 본체(202)의 안착 홀 상부를 덮게 되는 가압부재(210)와, 이 가압부재(210)에 설치되어 전기적 신호에 의해 설정 온도로 가열이 이루어지는 히팅부재(21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포장장치(200)의 본체(202) 후측에는 필름 롤(300)이 안착되고, 이 필름 롤(300)로부터 필름(310)이 풀려져 나오면서, 본체(202)의 상단 안착 홀에 안착된 음식물 포장용 용기(100)의 상단 개구부(112) 주변 둘레의 테두리부(160) 상면과 열 융착에 의해 접합되어 밀봉 포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포장용 용기(100)의 용기 본체(110)를 포장장치(200)의 본체(202) 상부에 형성된 안착 홀에 안착시키게 되면, 용기 본체(110)의 테두리부(160)는 포장장치(200)의 본체(202) 상단 안착 홀 주변에 안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필름 롤(300)로부터 풀려져 나오는 필름(310)을 용기 본체(110)의 개구부(112)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힌지(204)를 기점으로 가압부재(210)를 회전시켜서 히팅부재(212)로서 필름(310) 및 용기 본체(110) 상단 개구부(112) 주변 둘레의 테두리부(160)를 가압시키게 되면, 히팅부재(212)의 열에 의한 융착으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10)의 테두리부(160) 상면에 필름(310)이 열 융착에 의해 접합되어 밀봉 포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가압부재(210)가 힌지(204)를 기점으로 회전하면서 히팅부재(212)가 필름(310)을 용기 본체(110)의 테두리부(160) 상면과 열 융착시키게 위하여 설정 압력으로 눌러 가압시키게 되는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포장용 용기(100)의 테두리부(160) 상면에는 하중이 가해지게 된다.
이 때, 용기 본체(110)의 테두리부(160) 상면에 가해지는 하중은, 전후좌우 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장변 측면부(130) 및 한 쌍의 단변 측면부(140)로 집중적으로 가해지게 된다.
그런데, 테두리부(160) 상면과 한 쌍의 장변 측면부(130) 사이에 제1 지지 경사부(134)가 형성되고, 제1 지지 경사부(134)와 바닥부(120) 사이에는 제1 지지 리브(132)가 형성되며, 테두리부(160) 상면과 한 쌍의 단변 측면부(140) 사이에도 제2 지지 경사부(144)가 형성되고, 제2 지지 경사부(144)와 바닥부(120) 사이에는 제2 지지 리브(142)가 형성되어 있는바, 장변 측면부(130) 및 단변 측면부(140)는 상기 제1 지지 경사부(134)와 제1 지지 리브(132) 및 제2 지지 경사부(144)와 제2 지지 리브(142)에 의해 강성이 보강됨으로써,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에 견딜 수 있게 됨에 따라 테두리부(160) 상면의 변형 및 파손이 예방될 수 있다.
또한, 보조적으로 각 모서리부(150)에도 제3 지지 경사부(154) 및 제3 지지 리브(152)가 형성되어 있는바, 모서리부(150) 또한 가해지는 하중에 견딜 수 있게 됨에 따라 모서리부(150) 상부 측 테두리부(160) 상면의 변형 및 파손도 예방될 수 있다.
여기서, 포장장치(200)의 가압부재(210)의 가압 시, 용기 본체(110)의 장변 측면부(130) 및 단변 측면부(140)는 모서리부(15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큰 하중을 받게 되는바, 장변 측면부(130) 및 단변 측면부(140)에 형성되는 제1 경사 지지부 및 제2 경사 지지부는 모서리부(150)에 형성되는 제3 경사 지지부에 비하여 경사각도가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포장장치(200)의 가압부재(210)의 가압에 의해 용기 본체(110)의 장변 측면부(130)와 단변 측면부(140) 및 각 모서리부(150)에 하중이 가해질 때, 테두리부(160) 상면은 가압력에 의해 수평 면을 이루게 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테두리부(160) 상면은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경사 면(162)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서, 포장장치(200)의 가압부재(210)에 의한 가압에 의해 수평 면을 이루게 되면서 필름(310)을 사이에 두고 가압부재(210)의 히팅부재(212)와 접촉하여 열 융착에 의해 접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필름(310)이 용기 본체(110)의 테두리부(160) 상면과 열 융착에 의해 접합이 이루어진 후, 가압부재(210)를 원 위치로 회전시켜서 필름(310)이 밀봉 포장된 음식물 포장용 용기(100)를 포장장치(200)로부터 빼내게 되면, 용기 본체(110)의 테두리부(160)는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그 상면이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 면(162)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용기 본체(110)의 테두리부(160) 상면은, 필름(310)이 열 융착되는 상태에서는 수평 면을 이루다가, 열 융착에 의한 접합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어 외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 면(162)을 이루게 됨에 따라, 필름(310)은 용기 본체(110)의 테두리부(160) 외측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확장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주름의 발생 없이 팽팽한 상태로 밀봉 포장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음식물 포장용 용기 110 : 용기 본체
112 : 개구부 120 : 바닥부
130 : 장변 측면부 132 : 제1 지지 리브
134 : 제1 지지 경사부 140 : 단변 측면부
142 : 제2 지지 리브 144 : 제2 지지 경사부
150 : 모서리부 152 : 제3 지지 리브
154 : 제3 지지 경사부 160 : 테두리부
162 : 경사 면 200 : 포장장치
202 : 본체 204 : 힌지
210 : 가압부재 212 : 히팅부재
300 : 필름 롤 310 : 필름

Claims (6)

  1.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전후좌우 측에 일정 높이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측면부들로 구성되어 상단 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측면부들은,
    한 쌍의 장변 측면부와, 한 쌍의 단변 측면부 및 상기 한 쌍의 장변 측면부와 한 쌍의 단변 측면부를 연결하는 모서리부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한 쌍의 장변 측면부 상단과, 상기 한 쌍의 단변 측면부 상단 및 상기 모서리부들의 상단에는 둘레에 걸쳐 외측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게 테두리부가 형성되되,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과 상기 장변 측면부의 경계 부위 및 상기 테두리부의상면과 상기 단변 측면부의 경계 부위에는 각각 상기 개구부를 향한 내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제1 지지 경사부 및 제2 지지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은 상기 개구부로부터 외측 방향을 향할수록 일정 각도만큼 하향 경사지게 경사 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용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경사부와 상기 바닥부, 상기 제2 지지 경사부와 상기 바닥부 사이의 내면에는 각각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제1 지지 리브 및 복수의 제2 지지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용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과 상기 모서리부의 경계 부위에는 상기 개구부를 향한 내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제3 지지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용 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지지 경사부와 상기 바닥부 사이의 내면에는 내측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제3 지지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용 용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경사부 및 제2 지지 경사부는 수평 면을 기준으로 상기 제3 지지 경사부의 경사 각도보다 큰 각도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포장용 용기.
  6. 삭제
KR2020190001884U 2019-05-08 2019-05-08 포장용 음식물 용기 KR2004896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884U KR200489670Y1 (ko) 2019-05-08 2019-05-08 포장용 음식물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884U KR200489670Y1 (ko) 2019-05-08 2019-05-08 포장용 음식물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670Y1 true KR200489670Y1 (ko) 2019-07-19

Family

ID=67439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884U KR200489670Y1 (ko) 2019-05-08 2019-05-08 포장용 음식물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6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081A (ko) * 2021-12-14 2023-06-21 김정희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75828B2 (ja) * 2011-10-19 2016-03-02 株式会社エフピコ 包装用容器
KR101629367B1 (ko) 2015-11-23 2016-06-10 조수현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
KR101770424B1 (ko) 2015-07-28 2017-08-22 조수현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
KR101851006B1 (ko) 2016-05-18 2018-05-31 조수현 용기 자동배출 구조를 갖는 휴대용기 밀폐 포장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75828B2 (ja) * 2011-10-19 2016-03-02 株式会社エフピコ 包装用容器
KR101770424B1 (ko) 2015-07-28 2017-08-22 조수현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
KR101629367B1 (ko) 2015-11-23 2016-06-10 조수현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
KR101851006B1 (ko) 2016-05-18 2018-05-31 조수현 용기 자동배출 구조를 갖는 휴대용기 밀폐 포장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081A (ko) * 2021-12-14 2023-06-21 김정희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
KR102647174B1 (ko) 2021-12-14 2024-03-14 김정희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0133A (en) Clamped-wave lid seal structure
US8608895B2 (en) Easy-open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anufacturing device thereof
US8418886B2 (en) Liquid spouting nozzle, packaging bag using the nozzle, box for packaging bag and packaging structure
US3406891A (en) Container, particularly for liquids, with a deep drawn metal foil cover
MX2007015098A (es) Un recipiente sellable, y metodo para sellar un recipiente.
US20030056475A1 (en) Container packaging method
KR200489670Y1 (ko) 포장용 음식물 용기
JP4394729B2 (ja) 液体注出ノズルを有する包装袋
US5164208A (en) Apparatus for the formation of a clamped wave lid seal structure
SK279187B6 (sk) Otváracie zariadenie obalovej nádoby a spôsob jeho
US5160391A (en) Method for the formation of a clamped wave seal structure
JP2001240083A (ja) スパウト付き容器におけるスパウト装着方法及びスパウト
FR2691952A1 (fr) Emballage composite étanche.
JP2005514284A (ja) 容器
US20020179607A1 (en) Packaging container, packaging body including the same, and packaging method
JPH04215976A (ja) 剥離しうる蓋シール
US6547093B1 (en) Plastic container for food products
JP3079185B2 (ja) 包装袋の封緘方法
JP2009018814A (ja) 物品収容袋
US4129467A (en) Method for making packing containers
JPH05213358A (ja) 包装容器
EP0461691B1 (en) Tray with cover provided with guarantee closure
US20190202612A1 (en) Container Closure with Vacuum-Indicating Pull Tab
JP2000309348A (ja) 包装袋
JP2024063424A (ja) 口栓および口栓付きパウチ並びに口栓付きパウ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