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9367B1 -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9367B1
KR101629367B1 KR1020150163703A KR20150163703A KR101629367B1 KR 101629367 B1 KR101629367 B1 KR 101629367B1 KR 1020150163703 A KR1020150163703 A KR 1020150163703A KR 20150163703 A KR20150163703 A KR 20150163703A KR 101629367 B1 KR101629367 B1 KR 101629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ember
portable container
pressing
cutt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수현
Original Assignee
조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수현 filed Critical 조수현
Priority to KR1020150163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9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9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9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162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feeding web material to securing means
    • B65B7/164Securing by heat-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착홀부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홀부를 커버하도록 펼쳐지는 커버부재가 수납되는 본체; 상기 안착홀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휴대 용기의 테두리가 거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본체의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재를 휴대 용기의 테두리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재를 가열하여 휴대 용기 테두리에 융착시키는 가열패널; 상기 가압부가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휴대 용기의 테두리에 융착시킬 때에 상기 커버부재의 1회 포장용 길이로 절단하는 제1절단부; 및 상기 가압부가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휴대 용기의 테두리에 융착시킬 때에 상기 휴대 용기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휴대 용기의 테두리를 따라 절단하는 제2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 {PACKER FOR PORTABLE BOWL}
본 발명은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밥공기나 국그릇 등과 같이 개구부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휴대 용기의 개구부에 커버부재를 용이하게 융착시킬 수 있는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물이 있는 음식물 등을 포장할 때 주로 사용되는 밀폐포장용기는 합성수지로 구성되며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개구부에 부착되어 개구부를 밀폐하는 밀폐시트로 구성된다.
용기본체와 밀폐시트는 열에 의해 용융되는 열가소성수지로 구성되고, 용기본체의 상면 둘레부에는 테두리부가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밀폐시트를 용기본체의 개구부를 덮도록 테두리부의 상면에 올려놓은 후, 밀폐포장장치를 이용하여 밀폐시트를 테두리부의 상면에 가열 융착시켜 밀폐시킬 수 있다.
밀폐포장용기의 밀폐시트를 용기본체의 상면에 융착시켜 용기본체를 밀폐하는 밀폐포장장치는, 용기가 고정되는 하부바디와, 하부바디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하부면에 가열수단이 구비된 상부바디로 구성된다.
하부바디에는 용기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며, 삽입부의 둘레면 상부에는 밀폐용기의 둘레부를 지지하는 탄성재질의 돌출부재가 링형태로 구비된다.
상부바디는 일측에 구비된 스프링에 의해 상측으로 들어 올려져 열리도록 지지되며, 전방에는 손잡이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잡이를 눌러 닫을 수 있다.
가열부재는 상부바디의 하부면에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 가열판과, 가열판의 상면에 밀착고정된 히터로 구성되어, 히터로 가열판을 가열하도록 구성되고, 히터는 가열판의 상면 전체에 걸쳐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가열판 전체가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전원스위치를 조작하여 히터를 on-off 시킬 수 있다.
삽입부에 용기본체를 끼워 넣으면 용기본체의 테두리부가 돌출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용기본체의 상면에 밀폐시트를 덮은 후, 상부바디의 손잡이를 눌러 상부바디를 하측으로 회동시켜 닫으면, 가열판이 밀폐시트의 상면 전체를 눌러 용기본체의 테두리부 상면에 밀착되도록 가열하므로, 밀폐시트가 용기본체의 테두리부에 열융착되어 용기본체를 밀폐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9434호(2012년 10월 08일 공개, 발명의 명칭 : 밀폐포장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포장장치는, 밀폐시트를 원형으로 절단하는 별도의 절단장치가 구비되비 않기 때문에 휴대 용기 테두리에 밀폐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밥공기나 국그릇 등과 같이 개구부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휴대 용기의 개구부에 커버부재를 용이하게 융착시킬 수 있는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안착홀부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홀부를 커버하도록 펼쳐지는 커버부재가 수납되는 본체; 상기 안착홀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휴대 용기의 테두리가 거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본체의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재를 휴대 용기의 테두리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재를 가열하여 휴대 용기 테두리에 융착시키는 가열패널; 상기 가압부가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휴대 용기의 테두리에 융착시킬 때에 상기 커버부재의 1회 포장용 길이로 절단하는 제1절단부; 및 상기 가압부가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휴대 용기의 테두리에 융착시킬 때에 상기 휴대 용기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휴대 용기의 테두리를 따라 절단하는 제2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절단부는, 상기 가압부에 구비되는 제1기둥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블록; 상기 지지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커버부재를 절단하는 제1절단날; 상기 제1절단날에 의해 절단되는 상기 커버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블록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고정패널; 상기 제1기둥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패널을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제1절단날이 삽입되는 제1절단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절단부는, 상기 가열패널의 테두리에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가압블록; 상기 가압블록과 상기 가열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휴대 용기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커버부재를 절단하는 제2절단날; 상기 제2절단날을 지지하도록 상기 가압부에 설치되는 설치블록; 및 상기 설치블록에 상기 가압블록을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열패널은, 상기 가압부에 설치되는 제2기둥부재에 의해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열패널과 상기 가압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제2기둥부재에는 제2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계수는, 상기 탄성지지부의 탄성계수와 비교하여 작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는, 휴대 용기가 안착되는 지지부재에 원형의 안착홀부가 형성되고, 안착홀부에 대향되는 가압부에 원형의 가열패널이 구비되며, 하나의 휴대 용기에 융착되는 크기로 커버부재를 절단하는 제1절단부 및 휴대 용기의 테두리를 따라 커버부재를 절단하는 제2절단부가 구비되므로 휴대 용기의 개구부에 원형의 커버부재를 용이하게 융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는, 제1절단부 및 제2절단부에 의해 커버부재가 하나의 휴대 용기에 사용되는 크기로 절단됨과 동시에 휴대 용기의 테두리에 융착되고 휴대 용기 외측으로 연장되는 커버부재를 절단하므로 휴대 용기의 개구부에 커버부재를 융착시킨 후에 휴대 용기 외측으로 연장되는 커버부재를 별도로 절단하는 공정이 생략되어 휴대 용기 포장공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가 도시된 사사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의 지지부재 및 제2절단날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의 지지부재 및 제2절단날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가 도시된 사사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는, 안착홀부(18)가 구비되고 안착홀부(18)를 커버하도록 펼쳐지는 커버부재(12)가 수납되는 본체(10)와, 안착홀부(18)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휴대 용기(100)의 테두리부(102)가 거치되는 지지부재(50)와, 본체(10)의 힌지부(1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커버부재(12)를 휴대 용기(100)의 테두리부(102)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30)와, 가압부(30)에 설치되고 커버부재(12)를 가열하여 휴대 용기(100) 테두리부(102)에 융착시키는 가열패널(34)과, 가압부(30)가 커버부재(12)를 휴대 용기(100)의 테두리(102)에 융착시킬 때에 커버부재(12)의 1회 포장용 길이로 절단하는 제1절단부(36)와, 가압부(30)가 커버부재(12)를 휴대 용기(100)의 테두리(102)에 융착시킬 때에 휴대 용기(100) 외측으로 연장되는 커버부재(12)를 휴대 용기(100)의 테두리(102)를 따라 절단하는 제2절단부(70)를 포함한다.
음식점에서 음식을 포장하여 배달하거나 포장된 음식을 구매하는 경우에 다양한 모양의 휴대 용기에 음식을 포장하는데, 국물이 있는 음식은 휴대 용기에 수납하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취식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를 사용하여 휴대 용기에 음식물을 수납하고 밀폐되도록 포장한다.
해장국, 갈비탕 등과 같이 국물이 있는 음식을 포장할 때에는 본체(10)의 안착홀부(18)에 지지부재(50)를 설치한 후에 지지부재(50)에 휴대 용기(100)를 거치시키고, 휴대 용기(100)에 음식을 수납한다.
이후에, 롤 모양으로 권취부(10a)에 설치되는 커버부재(12)의 단부를 당겨 휴대 용기(100)의 개구부를 덮은 후에 가압부(30)에 구비되는 손잡이부(32)를 휴대 용기(100) 측으로 회전시키면서 커버부재(12)를 휴대 용기(100)의 개구부에 접착시켜 휴대 용기(100)를 밀폐시킨다.
본체(10)는 지면에 직립될 수 있는 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롤 모양으로 권취되는 합성수지재질의 커버부재(12)가 공간부에 권취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길게 권취부(10a)가 설치된다.
본체(10)의 상면에는 사각 모양의 안착홀부(18)가 형성되어 사각패널 모양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재(50)가 안착될 수 있고, 휴대 용기(100)의 테두리부(102)를 지지부재(50)의 거치홀부(52)에 거치하며 안착시킬 수 있게 되고, 본체(10)의 상단 배면 측에는 힌지부(14)가 설치되어 본체(10)의 상면을 덮도록 가압부(30)의 후단부가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가압부(30)의 전단부에는 손잡이부(3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사용자가 손잡이부(32)를 잡고 가압부(30)를 안착홀부(18) 측으로 회전시킬 때에 손잡이부(32)가 회전되면서 사용자의 손목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가압부(30)의 저면에는 전기에너지가 공급되어 가열되는 가열패널(34)이 설치되고, 가열패널(34)은 거치홀부(52)를 커버하도록 원형 패널 모양으로 형성된다.
가열패널(34)의 내부에는 열선으로 이루어지는 히터가 설치되며, 가압부의 상면에는 히터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스위치가 설치되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안착홀부(18)의 테두리에는 지지부재(50)가 안착되는 단차부(18a)가 형성되므로 휴대 용기(10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지지부재(50)를 선택하여 단차부(18a)에 거치시킨 후에 지지부재(50)에 형성되는 거치홀부(52)에 휴대 용기(100)의 테두리부(102)를 거치하여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는, 단차부(18a)에 다양한 크기의 거치홀부(52)를 구비하는 지지부재(50)를 안착시킬 수 있으므로 휴대 용기(100)의 크기가 변경되면 휴대 용기(100)의 테두리부(102)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재(50)를 선택하여 단차부(18a)에 안착시킨 후에 휴대 용기(100)를 지지부재(50)의 거치홀부(52)에 안착시켜 포장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힌지부(14)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편(14a)과, 회전편(14a)의 일단을 본체(10) 및 가압부(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14b)과, 회전편(14a)의 타단과 본체(10)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실린더(14c)를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가압부(30)를 하측으로 당기면 회전축(14b)을 중심으로 가압부(30) 및 회전편(14a)이 회전되고, 회전편(14a)의 타단과 본체(10)의 하면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실린더(14c)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면서 가압부(30)가 하강하는 속도를 줄이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가압부(30)가 필요 이상의 속도로 하강하면서 본체(10) 또는 지지부재(50)의 돌출부(52)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여 포장장치의 오작동 또는 파손을 방지하고, 휴대 용기(100)의 변형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절단부(36)는, 가압부(30)에 구비되는 제1기둥부재(36f)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블록(36e)과, 지지블록(36e)에 설치되고 가압부(30)와 지지부재(50) 사이에 개재되는 커버부재(12)를 절단하는 제1절단날(36a)과, 제1절단날(36a)에 의해 절단되는 커버부재(12)를 지지하도록 지지블록(36e)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고정패널(36c)과, 제1기둥부재(36f)에 설치되고 고정패널(36c)을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36g)와, 본체(10)에 구비되고 제1절단날(36a)이 삽입되는 제1절단홈부(36b)를 포함한다.
가압부(30)의 저면 중 힌지부(14)와 인접하는 내측부에는 복수 개의 제1기둥부재(36f)가 설치되고, 복수 개의 제1기둥부재(36f)를 연결하는 지지블록(36e)이 설치되고, 제1기둥부재(36f)에는 지지블록(36e)을 감싸며 지지블록(36e)의 전단부 및 후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고정패널(36c)이 설치되고, 고정패널(36c)은 제1기둥부재(36f)에 설치되는 제1탄성부재(36g)에 의해 유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고정패널(36c)은 단면 형상이 'ㄷ' 모양으로 형성되어 개구부 내측에 지지블록(36e)이 배치되어 고정패널(36c)이 지지블록(36e)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고정패널(36c0의 양단부는 지지블록(36e) 외측으로 더 길게 연장되어 지지블록(36e)에 설치되는 제1절단날(36a)이 고정패널(36c) 내측에 배치되도록 한다.
제1절단날(36a) 및 고정패널(36c)의 양단부에 대향되는 본체 상면에는 제1절단날(36a)이 삽입되는 제1절단홈부(36b)와, 제1절단홈부(36b)와 간격을 유지하며 전방 및 후방에 한 쌍의 고정홈부(36d)가 형성된다.
따라서 가압부(30)를 힌지부(14)를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고정패널(36c)의 양단부가 한 쌍의 고정홈부(36d)에 삽입되면서 커버부재(12)를 고정시키고, 가압부(30)의 회전이 더 진행되면 제1탄성부재(36g)가 압축되면서 고정패널(36c)이 제1기둥부재(36f)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제1절단날(36a)이 고정패널(36c)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1절단홈부(36b)에 삽입되면서 커버부재(12)를 절단하게 된다.
절단작업이 종료된 후에 사용자가 가압부(30)를 상측으로 회전시켜 올리면 고정홈부(36d)에서 고정패널(36c)이 분리되면서 커버부재(12)의 구속이 해제되는데, 이때, 제1절단날(36a)에 의해 커버부재(12)가 절단되므로 본체(10) 상면에 안착되었던 1회 포장용 길이의 커버부재(12)가 절단되어 본체(10) 상면에 남게 된다.
이때, 본체(10) 상면에 남은 커버부재(12)는 제2절단부(70)에 의해 중앙부에 원형의 홀부가 형성되고, 커버부재(12)로부터 원형으로 절단되는 커버부재(12)는 휴대 용기(100)의 테두리부(102)에 가열패널(34)에 의해 융착되어 휴대 용기(100)의 개구부를 밀폐시키게 된다.
제2절단부(70)는, 가열패널(34)의 테두리에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가압블록(72)과, 가압블록(72)과 가열패널(34) 사이에 배치되고 휴대 용기(100) 외측으로 연장되는 커버부재(12)를 절단하는 제2절단날(74)과, 제2절단날(74)을 지지하도록 가압부(30)에 설치되는 설치블록(78)과, 설치블록(78)에 가압블록(72)을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탄성지지부(76)를 포함한다.
가열패널(30)은 휴대 용기(100)의 테두리부(102)를 가압하여 커버부재(12)를 융착시킬 수 있도록 원형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가열패널(34)의 중앙부는 상측으로 오목하게 이루어져 가열패널(34)의 테두리가 하측으로 돌출되는 단면 형상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가압부(30)를 하측으로 회전시켜 휴대 용기(100)와 가열패널(34)이 접촉될 때에는 가열패널(34)의 테두리가 휴대 용기(100)의 테두리부(102)에 밀착되면서 열에너지를 제공하여 커버부재(12)가 휴대 용기(100)의 테두리부(102)에 융착되도록 한다.
가압블록(72)은 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가열패널(34)의 테두리 외측에 배치되도록 가압부(30)에 설치되고, 가압블록(72)과 가열패널(34) 사이의 간격에 링 모양의 제2절단날(74)이 배치된다.
따라서 가압부(30)를 본체(10) 상면으로 회전시켜 하강시키면 지지부재(50)의 거치홀부(52)에 형성되는 제1돌출부(54)에 가압블록(72)이 안착되고, 거치홀부(52)에 형성되는 제2돌출부(56)에 가열패널(34)의 테두리가 안착되며, 제1돌출부(54)와 제2돌출부(56) 사이에 형성되는 제2절단홈부(58)에 제2절단날(74)이 삽입되면서 커버부재(120의 중앙부에 원형을 홀부를 성형하게 된다.
제2절단날(74)은 가압부(30)에 설치되는 링 모양의 설치블록(78)의 내측벽에 고정되고, 설치블록(78)의 상면 외측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가압블록(72)을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탄성지지부(76)가 설치된다.
탄성지지부(76)는, 가압블록(72)을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설치블록(78)의 단차에 설치되는 기둥부재와, 설치블록(78)의 단차와 가압블록(72) 사이에 개재되도록 기둥부재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가압블록(72)은 가열패널(34)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가압부(30)를 본체(10) 상면 측으로 회전시켜 가압블록(72)이 제1돌출부(54)에 안착된 후 가압되면 탄성지지부(76)가 압축되면서 가압블록(72)이 제1돌출부(54)에 밀착되면서 본체(10) 상면에 안착되는 커버부재(12)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후에, 가압부(30)의 하강이 지속되면 탄성지지부(76)가 더 압축되면서 가압블록(72) 외측으로 제2절단날(74)이 돌출되고, 제2절단날(74)이 제2절단홈부(58)에 삽입되면서 커버부재(12)의 중앙부에 원형의 홀부를 성형하게 된다.
이때, 가열패널(34)은 휴대 용기(100)의 테두리부(102)에 밀착되면서 열에너지를 제공하므로 제2절단날(74)에 의해 원형으로 절단되는 커버부재(12)의 테두리가 휴대 용기(100)의 개구부에 융착된다.
가열패널(34)은, 가압부(30)에 설치되는 제2기둥부재(34a)에 의해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가열패널(34)과 가압부(30) 사이에 개재되도록 제2기둥부재(34a)에는 제2탄성부재(34b)가 설치되므로 가압블록(72)이 제1돌출부(54)에 밀착되면서 커버부재(12)를 고정시킨 후에 제2절단날(74)이 커버부재(12)를 절단함과 동시에 가열패널(34)이 제2돌출부(56)에 밀착되면서 커버부재(12)를 휴대 용기(100)의 테두리부(102)에 융착시키게 된다.
제2탄성부재(34b)의 탄성계수는, 탄성지지부(76)를 이루는 탄성부재의 탄성계수와 비교하여 작게 이루어지므로 가압블록(72)이 제1돌출부(54)에 밀착되어 탄성지지부(76)가 압축될 때에 제2탄성부재(34b)는 보다 쉽게 압축되면서 가열패널(34)이 필요 이상으로 제2돌출부(56)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커버부재(12)가 변형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50a 및 50b는, 지지부재의 저면을 이루며 거치홀부(52)가 형성되는 금속패널(50a)과, 금속패널(50a)의 상면에 실리콘성형되어 거치홀부(52)에 제1돌출부(54), 제2돌출부(56) 및 제2절단홈부(58)를 형성하는 합성수지패널(50b)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휴대 용기(100)에 음식물을 수납하여 커버부재(12)를 접착시킬 때에는 단차부(18a)에 지지부재(50)를 안착시키고, 지지부재(50)로부터 돌출되는 제2돌출부(56)에 휴대 용기(100)의 테두리부(102)가 안착되도록 거치홀부(52)에 휴대 용기(100)를 안착시킨다.
이후에, 작업자가 손잡이부(32)를 잡고 가압부(30)를 하측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축(14b)을 중심으로 가압부(30) 및 회전편(14a)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편(14a)의 타단에 연결되는 로드가 완충실린더(14c) 내부로 삽입되면서 회전편(14a) 및 가압부(30)의 회전속도가 필요 이상으로 빨라지는 것을 방지하며 가열패널(34)이 휴대 용기(100) 테두리부(102)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가열패널(34)이 커버부재(12)를 휴대 용기(100)의 테두리부(102)에 가압하면서 열을 제공하면 커버부재(12)가 가열되면서 휴대 용기(100)의 테두리부(102)에 융착되어 휴대 용기(100)가 커버부재(12)에 의해 밀폐되면서 휴대 용기(100)에 수납된 음식물이 휴대 용기(100) 외부로 유실되지 않도록 포장이 완료된다.
이때, 고정패널(36c)의 양단부는 한 쌍의 고정홈부(36d)에 삽입되면서 커버부재(12)를 고정시키고, 가압부(30)의 회전이 지속되면 제1탄성부재(36g)가 압축되면서 고정패널(36c)이 제1기둥부재(36f)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승하게 되므로 제1절단날(36a)이 고정패널(36c)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제1절단홈부(36b)에 삽입되어 커버부재(12)를 1회 포장에 사용되는 길이로 절단하게 된다.
커버부재(12)가 1회 포장에 사용되는 길이로 절단된 후에 가압부(30)의 하강이 지속되면 가압블록(72)이 커버부재(12)를 제1돌출부(54)에 가압시키면서 고정시키고, 제2절단날(74)이 제2절단홈부(58)에 삽입되면서 커버부재(12)를 원형으로 절단함과 동시에 가열패널(34)이 제2돌출부(56)에 밀착되면서 열에너지를 제공하여 원형으로 절단되는 커버부재(12)가 휴대 용기(100)의 테두리부(102)에 융착된다.
따라서 밥공기, 국그릇 등과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휴대 용기(100)에 음식물을 수납하고 커버부재(12)에 의해 개구부를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의 지지부재 및 제2절단날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의 지지부재 및 제2절단날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의 지지부재(50)는, 육각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제1돌출부(54)가 구비되므로 개구부가 육각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휴대 용기(100)에 커버부재를 융착시킬 수 있게 되고, 커버부재가 융착될 때에 육각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제2절단날(74)에 의해 커버부재의 테두리가 절단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의 지지부재(50)는, 팔각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제1돌출부(54)가 구비되므로 개구부가 팔각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휴대 용기(100)에 커버부재를 융착시킬 수 있게 되고, 커버부재가 융착될 때에 팔각 모양으로 이루어지는 제2절단날(74)에 의해 커버부재의 테두리가 절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돌출부(54)의 형상이 육각 또는 팔각과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제2돌출부(56)를 원형, 육각, 팔각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제1돌출부(54), 제2돌출부(56) 및 제2절단날(74)의 형상이 원형, 육각, 팔각 외에 다양하게 변경되는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로써, 밥공기나 국그릇 등과 같이 개구부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휴대 용기의 개구부에 커버부재를 용이하게 융착시킬 수 있는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포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0a : 권취부
12 : 커버부재 14 : 힌지부
14a : 회전편 14b : 회전축
14c : 완충실린더 18 : 안착홀부
18a : 단차부 30 : 가압부
32 : 손잡이부 34 : 가열패널
34a : 제2기둥부재 34b : 제2탄성부재
36 : 제1절단부 36a : 제1절단날
36b : 제1절단홈부 36c : 고정패널
36d : 고정홈부 36e : 지지블록
36f : 제1기둥부재 36g : 제1탄성부재
50 : 지지부재 50a : 금속패널
50b : 합성수지패널 52 : 거치홀부
54 : 제1돌출부 56 : 제2돌출부
58 : 제2절단홈부 70 : 제2절단부
72 : 가압블록 74 : 제2절단날
76 : 탄성지지부 78 : 지지블록
100 : 휴대 용기 102 : 테두리부

Claims (5)

  1. 안착홀부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홀부를 커버하도록 펼쳐지는 커버부재가 수납되는 본체;
    상기 안착홀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휴대 용기의 테두리가 거치되는 지지부재;
    상기 본체의 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재를 휴대 용기의 테두리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재를 가열하여 휴대 용기 테두리에 융착시키는 가열패널;
    상기 가압부가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휴대 용기의 테두리에 융착시킬 때에 상기 커버부재의 1회 포장용 길이로 절단하는 제1절단부; 및
    상기 가압부가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휴대 용기의 테두리에 융착시킬 때에 상기 휴대 용기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휴대 용기의 테두리를 따라 절단하는 제2절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절단부는,
    상기 가열패널의 테두리에 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가압블록;
    상기 가압블록과 상기 가열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휴대 용기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커버부재를 절단하는 제2절단날;
    상기 제2절단날을 지지하도록 상기 가압부에 설치되는 설치블록; 및
    상기 설치블록에 상기 가압블록을 유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패널은, 상기 가압부에 설치되는 제2기둥부재에 의해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열패널과 상기 가압부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제2기둥부재에는 제2탄성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가압블록을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설치블록의 단차에 설치되는 기둥부재; 및
    상기 설치블록의 단차와 상기 가압블록 사이에 개재되도록 상기 기둥부재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저면을 이루며 거치홀부가 형성되는 금속패널;
    상기 금속패널의 상면에 실리콘성형되어 상기 거치홀부에 제1돌출부, 제2돌출부 및 제2절단홈부를 형성하는 합성수지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단부는,
    상기 가압부에 구비되는 제1기둥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블록;
    상기 지지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와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커버부재를 절단하는 제1절단날;
    상기 제1절단날에 의해 절단되는 상기 커버부재를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블록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고정패널;
    상기 제1기둥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패널을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제1절단날이 삽입되는 제1절단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탄성부재의 탄성계수는, 상기 탄성지지부의 탄성계수와 비교하여 작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
KR1020150163703A 2015-11-23 2015-11-23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 KR101629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703A KR101629367B1 (ko) 2015-11-23 2015-11-23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703A KR101629367B1 (ko) 2015-11-23 2015-11-23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9367B1 true KR101629367B1 (ko) 2016-06-10

Family

ID=56190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703A KR101629367B1 (ko) 2015-11-23 2015-11-23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936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670Y1 (ko) 2019-05-08 2019-07-19 임경호 포장용 음식물 용기
KR102101846B1 (ko) 2018-12-12 2020-04-17 조수현 휴대형 음식물 용기의 포장장치
KR20210096991A (ko) * 2020-01-29 2021-08-06 황준석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KR102419483B1 (ko) * 2022-03-29 2022-07-11 주식회사 디자인푸드 용기 실링장치
KR102434132B1 (ko) * 2021-04-22 2022-08-18 박정숙 용기필름실링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6199A (ja) * 2003-03-18 2004-10-07 Fuji Impulse Kk 容器用ヒートシール装置のフィルムシート切断機構
JP2008273527A (ja) * 2007-04-25 2008-11-13 Toko Kikai:Kk ヒートシール装置、包装体のヒートシール方法及び包装体
KR101424231B1 (ko) * 2013-05-08 2014-08-14 (주)탐스텍 용기 포장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6199A (ja) * 2003-03-18 2004-10-07 Fuji Impulse Kk 容器用ヒートシール装置のフィルムシート切断機構
JP2008273527A (ja) * 2007-04-25 2008-11-13 Toko Kikai:Kk ヒートシール装置、包装体のヒートシール方法及び包装体
KR101424231B1 (ko) * 2013-05-08 2014-08-14 (주)탐스텍 용기 포장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846B1 (ko) 2018-12-12 2020-04-17 조수현 휴대형 음식물 용기의 포장장치
KR200489670Y1 (ko) 2019-05-08 2019-07-19 임경호 포장용 음식물 용기
KR20210096991A (ko) * 2020-01-29 2021-08-06 황준석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KR102478904B1 (ko) * 2020-01-29 2022-12-21 황준석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KR102434132B1 (ko) * 2021-04-22 2022-08-18 박정숙 용기필름실링기
KR102419483B1 (ko) * 2022-03-29 2022-07-11 주식회사 디자인푸드 용기 실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9367B1 (ko)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
AU2006203052B2 (en) Method for the gas-tight packaging of object using a film material fitting tightly on the objects and a device for the gastight packaging of objects
KR101906649B1 (ko) 예비조리된 식품을 위한 자체 가열식 용기
KR101770424B1 (ko)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
KR101596773B1 (ko) 스킨포장 및 맵포장 겸용형 연속포장장치
KR101851006B1 (ko) 용기 자동배출 구조를 갖는 휴대용기 밀폐 포장장치
KR101529159B1 (ko) 다양한 크기의 식품용기를 포장할 수 있는 식품용기 포장장치
RU2611156C2 (ru) Способ укупоривания металлической банки отслаиваемой крышко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ализации такого способа
KR101871256B1 (ko) 식품용기 포장기
US3488472A (en) Device for sealing food containers and the like
KR20170129415A (ko) 진공포장기 및 이를 이용한 진공포장 및 용기포장 시스템
KR101528561B1 (ko) 용기 포장 박스
US2641094A (en) Meat patty forming and sealing machine
KR102213099B1 (ko)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KR101277284B1 (ko) 안착홈 가변형 식품용기 실링 포장기
KR20160003879U (ko)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
KR101677450B1 (ko) 비닐필름 고정형 식품용기 포장장치
JP5663177B2 (ja) 蓋で閉じられる容器本体を包むカバー付き食品包装品とその製造方法
JP5368949B2 (ja) 詰め替え容器、内容物を収容した詰め替え容器包装体
KR102478904B1 (ko)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KR102405586B1 (ko) 도시락 용기의 포장장치
KR101977696B1 (ko) 덮개실링시트지가 융착되는 배달용 식품포장용기
KR20130104316A (ko) 비닐커버 전개형 식품용기 실링 포장기
KR102032465B1 (ko) 식품포장기의 포장용기 밀봉방법
KR20050017577A (ko) 용기 포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