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8904B1 -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 Google Patents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8904B1
KR102478904B1 KR1020200023561A KR20200023561A KR102478904B1 KR 102478904 B1 KR102478904 B1 KR 102478904B1 KR 1020200023561 A KR1020200023561 A KR 1020200023561A KR 20200023561 A KR20200023561 A KR 20200023561A KR 102478904 B1 KR102478904 B1 KR 102478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container
sealing device
rotational
heating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6991A (ko
Inventor
황준석
Original Assignee
황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준석 filed Critical 황준석
Publication of KR20210096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8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8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65B61/1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using heated wires or c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162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feeding web material to securing means
    • B65B7/164Securing by heat-sea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용기의 둘레에 균일한 열 접촉을 가능토록 하여 식품용기의 열변형 없이 식품용기에 필름을 균일하게 실링할 수 있는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 하 방향으로 이격된 제1 기준회전축과 제2 기준회전축이 형성되고 포장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대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가 안착대에 안착된 포장용기의 상부를 향해 접근하여 포장용기의 상부로 공급되는 필름을 포장용기의 상단에 융착시키는 융착부; 상기 몸체부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제1 기준회전축에 장착되고 타측은 자유단 형태로서 상기 융착부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되 회동 동작에 따라 상기 융착부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회동부; 및 일측은 상기 제2 기준회전축에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융착부의 상단에 장착되며 제1 회동부의 회동 동작시 융착부의 하면을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제2 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장용기용 실링장치{sealing unit for packing vessel}
본 발명은 포장용기용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동부를 이용하여 가열판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식품용기의 둘레 전체를 동시에 열접촉하여 식품용기의 열변형 없이 필름을 균일하게 실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포장용기의 상면 테두리 형상으로 필름을 절단할 수 있는 포장용기용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용기 포장기는 포장하고자 하는 식품 또는 음식물이 수용된 식품용기에 열가소성 소재의 커버필름을 덮은 후 열을 가해 융착시켜 식품용기를 밀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식품용기 포장기의 구조는 본 출원의 출원인을 통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24991호(명칭: 식품용기 포장기, 이하 선행문헌)에 개시된 바 있다. 이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선행문헌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식품용기(300)가 삽입 안착되는 안착홈을 갖는 베이스몸체(100)와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베이스몸체(100)에 힌지방식으로 개폐 가능한 상부몸체(200)와 상기 상부몸체(200))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안착홈(101)에 안착된 식품용기(300)의 상면에 겹쳐지는 커버필름과 식품용기의 상측 테두리에 형성된 융착부를 열융착으로 상호 접착시키는 히터와; 상기 히터의 바깥 테두리를 따라 상기 상부몸체(200)의 하면에 구비되어 열융착시 상기 커버필름의 유동방지를 위해 커버필름을 일시적으로 상기 베이스몸체(100)의 상면에 가압 지지하는 고정패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선행문헌은 베이스몸체(100)에 안착된 식품용기를 향해 상부몸체(200)가 회동 접근하여 식품용기의 상면에 필름을 융착시키는 방법으로 식품용기를 실링하게 된다. 이 경우, 상부몸체(200)의 힌지축이 베이스몸체(100)의 일측으로 치우쳐져 있기 때문에 상부몸체(200)가 베이스몸체(100)에 안착된 식품용기를 향해 회동 접근하게 되면 히터에 의해 힌지축에 가까운 식품용기의 일측 부분부터 가열되고 결과적으로 식품용기의 융착부에 균일한 열을 제공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먼저 열을 제공받은 식품용기의 일측은 과도한 열에 의해 열변형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식품용기의 일측이 과도한 열을 받는 것을 고려해 상부몸체(200)로 충분한 시간 동안 식품용기를 가압하지 않을 경우 식품용기의 타측은 충분한 열을 제공받지 못하여 식품용기의 정확한 실링이 이루어지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포장용기용 실링장치는 사각형태의 포장용기 또는 원형의 포장용기만을 실링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되어 다양한 포장용기의 실링에 제한이 있었다.
예를들어, 배달이 많은 중국음식에서 자장면과 짬뽕을 동시에 담아 배달할 수 있도록 제작된 짬짜면 포장용기나 생선을 포장하기 위해 생선의 형태와 유사하게 제작된 포장용기 등은 실링할 수 없었다.
즉, 일측에는 자장면이 담기고 타측에는 짬뽕이 담겨 서로 섞이면 안되는 짬짜면 용기나 밥과 반판이 구획된 용기 안에 담겨 포장되는 도시락 용기는 구획된 부분에도 실링이 이루어져야 하지만 대부분의 실링장치가 용기의 테두리만 실링이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뿐만 아니라, 식품을 포장하여 판매하는 업체에서는 시중에 출시되어 있는 포장용기 외에 자신의 업체에서만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된 포장용기를 가지고 식품을 포장하여 판매하기를 원하고 있다.
예를들어, 손질된 생선을 판매하는 업체 등에서는 생선의 종류 및 형태에 맞는 포장용기에 생선을 포장하기를 원하지만 기존에 출시되어 있는 사각 형태의 포장용기에 생선을 담아 실링하여 판매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즉, 어떠한 물건을 실링하여 포장할 필요가 있는 경우 특별하게 디자인된 포장용기에 포장할 물건을 담은 후 실링 포장하기를 원하지만 기존의 실링장치로는 단순 사각형, 원형의 포장용기의 실링만 가능할 뿐 그 외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진 포장용기는 실링할 수 없었다.
이에, 원형 또는 사각형이 아닌 디자인된 포장용기를 실링할 수 있는 포장용기용 실링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아울러, 대부분 실링을 위한 필름이 포장용기의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실링후에 포장용기 둘레의 외측으로 필름이 너풀너풀하게 늘어져 있는 상태가 되어 깔끔하게 포장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용기의 테두리 부분과 일체되게 필름을 절단해줄 수 있는 포장용기용 실링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24991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회동부를 이용하여 가열판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식품용기의 둘레 전체를 동시에 열접촉하여 식품용기의 열변형 없이 필름을 균일하게 실링할 수 있는 실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원형이나 사각형의 단순한 형상의 포장용기가 아닌 포장되는 물품에 맞게 디자인되어 제작된 포장용기의 실링이 가능한 실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포장용기의 상부 테두리의 형태와 일치되게 포장용기 주변의 필름을 절단할 수 있는 실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 하 방향으로 이격된 제1 기준회전축과 제2 기준회전축이 형성되고 포장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대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안착대에 안착된 포장용기의 상부를 향해 접근하여 포장용기의 상부로 공급되는 필름을 포장용기의 상단에 융착시키는 융착부; 상기 몸체부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제1 기준회전축에 장착되고 타측은 자유단 형태로서 상기 융착부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되 회동 동작에 따라 상기 융착부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회동부; 및 일측은 상기 제2 기준회전축에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융착부의 상단에 장착되며 제1 회동부의 회동 동작시 융착부의 하면을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제2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융착부는, 가열부재; 및 상기 가열부재의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회동부와 제2 회동부에 동시에 장착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회동부재는, 좌, 우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브라켓; 상기 한 쌍의 브라켓과 상기 제1 회동부를 상호 관통하여 장착되는 제1 유지회전축; 및 상기 한 쌍의 브라켓과 상기 제2 회동부를 상호 관통하여 장착되되 상기 제1 유지회전축에서 상부로 이격 배치되는 제2 유지회전축;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의 안착대 및 상기 융착부의 가열부재는 하나의 용기를 실링할 수 있는 형태로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각기 다른 형태의 포장용기의 실링이 가능하도록 한 쌍의 상기 몸체부와 상기 융착부의 가열부재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실링장치별로 다르게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융착부는, 상기 가열부재의 후방에 설치되며 포장용기에 융착된 필름을 절단하는 커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포장용기가 안착되도록 상면에 상, 하방향으로 관통된 공간으로 구현되는 안착홈;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포장용기의 둘레부분이 얹혀지고 가열판과 접촉하는 안착대; 상기 안착대의 둘레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까지 형성되되, 포장용기의 상부 둘레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보조 커팅홈; 상기 보조 커팅홈의 외주 둘레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까지 형성되는 지지대;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재는 하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배치되고 포장용기의 상부에서 필름을 가열하는 가열판;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가열판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에 안착되는 지지판; 및 상기 가열판과 상기 지지판 사이에 형성되는 보조커터;가 설치되되, 상기 가열판 및 상기 지지판은 각각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실링 시 제1회동부를 회동시겨 가열부재를 하강시키면 상기 지지판 및 상기 가열판은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안착대 및 지지대에 안착되고 상기 보조커터는 상기 보조커팅홈으로 삽입되어 포장용기의 외측 둘레의 형상응로 필름을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커터는 톱니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종래의 제품은 포장용기의 일측부터 가열판이 접촉하여 포장용기 둘레의 일부가 열변형되거나 포장용기 둘레 전체의 실링 정도가 상이한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은 제1 회동부의 회동 동작시 가열판을 항상 수평인 상태로 승,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여 가열판이 필름 및 포장용기의 둘례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포장용기의 둘레 전체와 동시에 접촉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포장용기의 일부분에 과도한 열이 가해져서 포장용기가 열변형을 일으키거나 또는 필름이 포장용기에 정확하게 실링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음식물 누설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제1 회동부의 회동 동작에 의해 필름이 융착되면 융착과 동시에 필름의 절단을 수행하기 때문에 필름을 커팅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수행하거나, 부가적인 장치의 조작이 필요 없이 융착과 커팅을 원스텝으로 구현함으로써 포장용기의 신속한 실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공압부를 통해 제1 회동부가 과도한 각도로 회동되거나 급작스러운 회동 동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제1 회동부의 안전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짬짜면 포장용기, 생선 포장용기 등 다양하게 디자인된 포장용기를 실링하기 위해 짬짜면 포장용기 실링장치, 생선 포장용기 실링장치, 또 다른 형상의 포장용기를 실링하기 위한 실링장치를 각각 제작하여 다양한 형태의 포장용기를 실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가열판의 둘레에 보조커터가 설치됨으로써, 육면체의 포장용기를 포장할 경우 사각틀 형상의 보조커터가 사용되고 원통형의 포장용기를 포장할 경우 링 형상의 보조커버가 사용되되, 포장용기의 상부 둘레 형상과 일치되는 형태의 보조커버가 구비되어 어떠한 형상의 포장용기가 적용되더라도 포장용기에 그 외형테두리에 맞게 필름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포장용기 실링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링장치를 개략적으로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링장치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장치의 요부인 융착부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장치의 요부인 제2 회동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장치의 요부인 융착부의 내부 구성을 보이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장치가 상대적으로 큰 포장용기를 실링할 수 있도록 가열부재와 몸체부의 형태를 다르게한 실시예의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장치의 공압부를 대신하는 회동제한 스프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장치의 가열부재 및 몸체부의 다른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장치의 가열부재 내부에 마련된 보조커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장치의 가열부재의 단면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장치가 다양한 형태의 포장용기를 실링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 내지 도 19는 제1회동부의 회동제한을 위한 구성요소로 공압부가 아닌 회동제한스프링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공압부가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장치에서 가열부재 및 몸체부의 형상 및 구조에 따라 실링장치를 일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로 구분하였으나, 형태가 다르더라도 각 구성요소의 명칭 및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하였음을 유의해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링장치를 개략적으로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실링장치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장치의 요부인 융착부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장치의 요부인 제2 회동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장치의 요부인 융착부의 내부 구성을 보이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장치의 일 실시예는 크게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 방향으로 이격된 제1 기준회전축(110)과 제2 기준회전축(120)이 형성되고 포장용기가 안착되는 안착홈(130-1)이 형성된 안착부재(130)가 구비되는 몸체부(100), 상기 안착부재에 안착된 포장용기의 상부를 향해 접근하여 포장용기의 상부로 공급되는 필름을 포장용기의 상단에 융착시키는 융착부(200), 상기 몸체부(100)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일측이 상기 제1 기준회전축(110)에 장착되고 타측은 자유단 형태로서 상기 융착부(200)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되 회동 동작에 따라 상기 융착부(200)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회동부(300) 및 일측은 상기 제2 기준회전축(120)에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융착부(200)의 상단에 장착되며 제1 회동부(300)의 회동 동작시 융착부(200)의 하면을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제2 회동부(4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먼저, 몸체부(100)는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장치의 하부를 구성하되 내부로 필름롤(150)이 장착되고 필름롤(150)에서 권출되는 필름은 안착부재에 안착된 식품용기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공급된다.
몸체부(100)의 일측에는 제1 기준회전축(110)과 제2 기준회전축(120)이 각각 배치되되, 상기 제1 기준회전축(110)과 제2 기준회전축(120)은 한 쌍의 축고정부재(1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안착부재(130)는 몸체부(100)의 상면에 상, 하 방향으로 관통된 공간으로 구현되는 안착홈(130-1)이 형성되되 식품용기의 둘레부분이 얹혀질 수 있도록 단턱진 형태를 취한다. 그리고 몸체부(100)에는 안착부재(13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후술되는 융착부(200)의 커터부재(230)가 삽입되는 커터수용홈(16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준회전축(110)과 제2 기준회전축(120)은 서로 평행하도록 배치되며 제1 기준회전축(110)에는 제1 회동부(300)의 일측이, 제2 기준회전축(120)에는 제2 회동부(400)의 일측이 각각 접속한다.
다음으로, 제1 회동부(300)는 제1 기준회전축(110)을 축으로 몸체부(100)의 상부에서 회동하여 융착부(200)를 승, 하강시키는 작용을 담당한다. 제1 회동부(300)의 타측에는 제1 회동부(300)의 회동 동작을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는 손잡이(310)가 형성되며 일측에는 몸체부(100)의 제1 기준회전축(110)에 접속하는 제1 접속구(320)가 형성된다. 아울러, 손잡이(310)와 제1 접속구(320) 사이에는 융착부(200)가 장착되는 제2 접속구(330)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장치는 몸체부(100)에서 제1 회동부(300)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몸체부(100)와 제1 회동부(300) 사이에 설치되는 공압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압부(500)는 공지의 완충용 가스 쇼바를 채용하였으며, 완충용 가스 쇼바 외에도 몸체부(100)와 제1 회동부(300)의 회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몸체부(100)의 상면에는 상기 공압부(500)의 일단을 회전 지지하는 제1 고정베어링(170)이 설치되고 상기 제1 회동부(300)의 측면에는 상기 공압부(500)의 타단을 회전 지지하는 제2 고정베어링(34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공압부(500)는 제1 고정베어링(170)과 제2 고정베어링(340) 사이에서 제1 회동부(300)의 회동 동작에 따라 신장과 압축을 반복하되, 제1 회동부(300)가 과도한 각도로 회동되거나 급작스러운 회동 동작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1 회동부(300)를 제한하여 실링장치의 안전성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제1회동부(300)의 회동을 위해 공압부(500)를 대신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제한 스프링(600)이 마련될 수 있다.
회동제한 스프링(600)은 실링장치의 일측, 즉 손잡이의 반대방향에서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제1회동부(300)를 연결함으로써 제1회동부(300)가 회동될 때 탄성으로 상기 제1회동부(300)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실링 후 제1 회동부(300)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제1회동부(300)와 몸체부(100) 사이, 즉 제1 기준회전축(110)에는 토션스프링(610)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회동제한 스프링(600)은 실링 시 신장되어 제1 회동부(300)의 회동을 제한하게 되고, 토션스프링은 실링이 완료된 후 제1회동부(30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회동제한 스프링(600) 및 토션스프링은 공압부(500)와 마찬가지로 제1 회동부(300)의 회동 동작에 따라 신장과 압축을 반복하되, 제1 회동부(300)가 과도한 각도로 회동되거나 급작스러운 회동 동작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1 회동부(300)를 제한하여 실링장치의 안전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렇게, 공압부(500) 대신 회동제한 스프링(300)으로 제1회동부(300)의 회동을 제한하는 경우 제1, 2 고정베어링(170, 340)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융착부(200)는 제1 회동부(300)의 회동 동작에 의해 안내되어 안착부재(130)에 안착된 포장용기에 필름을 가열하여 융착시키고 필름을 절단하기 위한 작용을 담당한다. 이때, 융착부(200)는 하면이 포장용기의 상면과 평행한 상태로 안내되기 때문에 포장용기의 상면에 균일한 접촉 면적을 형성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융착부(200)는 크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부재(210) 및 상기 가열부재(210)의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회동부(300)와 제2 회동부(400)에 동시에 장착되는 회동부재(2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회동부재(220)는 좌, 우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브라켓(221), 상기 한 쌍의 브라켓(221)과 상기 제1 회동부(300)를 상호 관통하여 장착되는 제1 유지회전축(222) 및 상기 한 쌍의 브라켓(221)과 상기 제2 회동부(400)를 상호 관통하여 장착되되 상기 제1 유지회전축(222)에서 상부로 이격 배치되는 제2 유지회전축(223)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 4에 도시된 A 방향으로 제1 회동부(300)를 회동시킬 경우 제1 유지회전축(222)과 제1 회동부(300)의 제2 접속구(330)가 동축 상에 배치된 상태라면 융착부(200)의 하면이 자연스럽게 평행을 유지한 상태로 승,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융착부(200)에 소정의 외력만 가해지더라도 융착부(200)가 제1 유지회전축(222)을 축으로 하여 불특정한 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고자, 몸체부(100)와 융착부(200) 사이에는 제2 회동부(400)가 설치되며, 제2 회동부(400)는 일측이 제2 기준회전축(120)에, 타측이 제2 유지회전축(223)에 각각 접속한다.
즉, 제1 회동부(300)가 A 방향으로 회동할 때 제2 회동부(400) 또한 제2 기준회전축(120)을 축으로 하여 회동하되, 회동부재(220)의 제1 유지회전축(222)은 제1 회동부(300)에, 제2 유지회전축(223)은 제2 회동부(400)에 각각 결착되어 있으므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융착부(200)가 제1 유지회전축(222)을 축으로 하여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회동부(300)의 회동 동작시 융착부(200)의 하면이 수평을 유지하면서도 외력에 의한 융착부(200)의 요동을 방지함으로써 포장용기를 향해 균일한 열전달이 가능하다. 제2 회동부(4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시, 가열부재(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의 케이싱(211), 상기 케이싱(211)의 하부에 배치되고 포장용기의 상부에서 필름을 가열하는 가열판(212) 및 상기 케이싱(211)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되 상기 가열판(212)의 상부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2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열부재(210)는 가열판(212)에서 방출되는 열기를 차단시켜주는 열차단커버(21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열차단커버(214)는 케이싱(211)의 외측으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213)는 케이싱(211)의 내부에 형성된 로드(R)에 장착되되 케이싱(211)과 가열판(212) 사이에서 가열판(212)을 탄성 지지한다.
즉, 탄성부재(213)는 필름을 포장용기에 융착시킬 때 포장용기에 접촉하여 상승하는 가열판(212)을 케이싱(211)의 내부로 안내하되 A 방향으로 제1 회동부(300)를 회동할 경우 탄성복원력에 의해 가열판(212)을 원위치로 리턴시킨다.
가열판(212)은 평평한 판상의 부재로서 안착부재(130)에 안착된 포장용기의 상단과 필름에 직접적으로 접촉된다. 또한, 내부로 히터(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으며 제1 회동부(300)의 회동 동작시 항상 평행한 상태로 안내된다.
이러한, 상기 가열부재(210)는 하나의 포장용기를 실링 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100)와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몸체부(100)의 안착부재(130) 및 상기 융착부(200)의 가열부재(210)는 하나의 포장용기를 실링할 수 있는 형태로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각기 다른 형태의 포장용기의 실링이 가능하도록 한 쌍의 상기 몸체부(100)의 안착부재(130) 및 상기 융착부(200)의 가열부재(210)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각각의 실링장치에 적용되는 것이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실링장치의 가열부재(210)에 마련된 가열판(212) 및 몸체부(100)의 안착부재(130)는 포장용기의 다양한 크기에 적용되도록 상대적으로 크거나 작게 제작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단순히 원형 또는 사각의 형태로 이루어지지 않고 디자인된 용기의 형상에 맞게 제작되어 장착될 수 있으며, 예를들어 짬짜면 포장용기 생선모양으로 이루어진 포장용기 또는 그외 다른 형상의 포장용기의 실링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가열부재와 안착부재가 실링장치에 교체되어 설치되는 것이 아니고, 하나의 실링장치에 하나의 형상의 가열부재와 안착부재가 장착되는 것이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융착부(200)가 몸체부(100)에서 벌어졌을 경우 가열판(212)으로 제공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융착부(200)의 가열판(212)이 몸체부(100)에 밀착되었을 경우에만 가열부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단속부가 더 설치될 수 있고, 포장용기에 필름의 융착이 완료되면 신호음을 발생시키는 알람수단이 더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융착부(200)는 상기 가열부재(210)의 후방에 설치되며 포장용기에 융착된 필름을 절단하는 커터부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터부재(230)는 필름의 융착이 완료된 포장용기를 안착부재(130)에서 제거하기 위해 필름롤(150)에서 권출되는 필름의 경로를 절단한다.
이때, 커터부재(230)는 가열판(212)과 동일선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1 회동부(300)의 회동 동작에 의해 필름이 융착되면 융착과 동시에 필름의 절단을 수행한다.
덧붙여, 가열판(212)의 하면에는 보조커터(23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보조커터(230')는 상술한 커터부재(230)와 동일한 작용을 수행하되 포장용기의 상단 형상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육면체의 포장용기를 포장할 경우 사각틀 형상의 보조커터(230')가 사용되고 원통형의 포장용기를 포장할 경우 링 형상의 보조커터(230')가 상황에 맞게 사용되어 어떠한 형상의 포장용기가 적용되더라도 포장용기에 융착되는 필름의 스크랩을 깔끔하게 절단해낼 수 있다.
즉, 일실시예에서 보조커터(230')는 가열판의 하면에 형성되되 포장용기의 형상과 일치되게 형성되어 보조커터(230')가 포장용기의 상면 둘레의 외측에서 벗어나는 부분에 형성되어 가열판이 실링을 위해 하강하였을 때 포장용기 주변을 커팅하는 것이다.
따라서, 필름을 커팅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수행하거나, 부가적인 장치의 조작이 필요 없이 융착과 커팅을 원스텝으로 구현함으로써 포장용기의 신속한 실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회동부(400)는 몸체부(100)와 융착부(200) 사이에 장착되기 위하여 일측에는 제2 기준회전축(120)에 접속되는 제3 접속구(410)와 타측에는 제2 유지회전축(223)에 접속하는 제4 접속구(42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회동부(300)가 제1 기준회전축(110)을 축으로 하여 회동할 때 제2 회동부(400)는 제2 기준회전축(120)을 축으로 하여 회동하되, 제2 회동부(400)의 타측이 융착부(200)의 회동부재(220)를 회전 지지하고 있으므로 회동부재(220)의 하면이 수평을 유지한 채 요동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실링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본 작용에서는 실링장치를 이용해 포장용기에 필름을 실링하는 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먼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동부(300)를 A 방향으로 회동시켜 몸체부(100)의 안착부재(130)를 개방하고 포장용기(2점쇄선으로 도시)를 안착부재(130)에 안착시킨다.
다음으로, 제1 회동부(300)의 손잡이(310)를 파지하여 도 9에 도시된 B 방향으로 제1 회동부(300)를 회동시키면 이와 연동하여 융착부(200)가 하강하게 된다. 이때, 융착부(200)는 회동부재(220)의 제1 유지회전축(222)이 제1 회동부(300)의 제2 접속구(330)에, 제2 유지회전축(223)이 제2 회동부(400)의 제4 접속구(420)에 각각 접속되어 있으므로 가열판(212)이 수평을 유지한 채로 제1 회동부(300)의 회동 동작에 따라 하강하게 된다.
수평을 유지하면서 하강한 가열판(212)은 안착부재(130)에 안착된 포장용기의 상부로 공급된 필름(F)에 조기에 접촉되는 부분 없이 균일하게 접촉하여 필름을 융착시킨다.
이때, 필름의 융착과 동시에 커터부재(230)에 의해 필름의 경로가 절단되므로 융착이 완료되면 융착부(200)가 상승하도록 제1 회동부(300)를 회동시켜 안착부재(130)에 안착된 포장용기를 제거하여 포장용기의 실링 공정을 마무리한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장치는 수직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는 제1, 2 기준회전축과 제1, 2 유지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회동부(300)와 제2 회동부(400)의 제1, 2접속구 및 제3, 4접속구가 가 제1 회동부(300) 회동 동작에도 수직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열판(212)을 항상 수평인 상태로 승,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여 가열판(212)과 접촉하는 필름과 포장용기를 향해 균일한 면적으로 열전달이 가능토록 하였다.
그 결과, 포장용기의 일부분에 과도한 열이 가해져서 포장용기가 열변형을 일으키거나 또는 필름이 포장용기에 정확하게 실링되지 못하여 발생하는 음식물 누설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회동부(300)의 회동 동작에 의해 필름이 융착되면 융착과 동시에 필름의 절단을 수행하기 때문에 필름을 커팅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수행하거나, 부가적인 장치의 조작이 필요 없이 융착과 커팅을 원스텝으로 구현함으로써 포장용기의 신속한 실링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공압부(500)를 통해 제1 회동부(300)가 과도한 각도로 회동되거나 급작스러운 회동 동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실링장치의 안전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12 내지 도 19에 도시된 본원발명의 포장용기의 실링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살펴보면, 상술한 실시예와 모든 구성이 동일하며, 제1회동부 및 제2회동부의 회동원리도 동일한 것이다.
다만, 몸체부(100)에서 포장용기가 안착되는 상면, 즉 안착부재(130)의 형상과 융착부(200)의 가열부재(210)의 형상이 다른 것이다.
즉,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의 안착부재(130)는 상기 포장용기가 안착되도록 상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공간으로 구현되는 안착홈(130-1)과, 상기 안착홈(130-1)에 안착된 포장용기의 둘레부분이 얹혀지고 가열판과 접촉하는 안착대(130-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대(130-2)의 둘레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까지 형성되되, 포장용기의 상부 둘레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보조 커팅홈(180)과, 상기 보조 커팅홈(180)의 외주 둘레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까지 형성되는 지지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안착대(130-2)와 지지대(190)은 상기 몸체부(100)의 상면에서 상부로 일정간격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부재(210)는 판 형상의 케이싱(211)과, 상기 케이싱(211)의 하부에 배치되고 포장용기의 상부에서 필름을 가열하는 가열판(212)과, 상기 가열판(212)의 외측에 상기 케이싱(211)에 연결되어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190)와 일치되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190)에 안착되는 지지판(215)이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가열판(212)과 상기 지지판(190) 사이에는 포장용기의 상부면 외측 둘레의 형상과 일치되는 보조커터(230')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211), 가열판(212), 지지판(215) 및 보조커터(230')를 내부에 포함하며 가열판(212)에서 발생된 열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의 차단부재(214)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열판(212) 및 상기 지지판(215)은 각각 탄성부재(2113)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보조커터(230')가 가열판(212)의 외측에 설치되어 가열판에서 발생되는 열을 차단하는 역할도 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보조커터(230')는 하부 둘레는 원활한 필름 커팅을 위해 톱니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포장용기용 실링장치는 실링 시 제1회동부(300)를 회동시겨 가열부재(210)를 하강시키면 상기 지지판(215) 및 상기 가열판(212)은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안착대(130-2) 및 지지대(190)에 안착되고 가열판은 포장용기의 상부에 안착되어 필름을 실링하는 것이다.
이때, 커터부재(230)가 포장용기에 융착된 필름을 절단하고, 상기 보조커터(230')는 상기 보조커팅홈(180)으로 삽입되어 포장용기의 외측 둘레의 형상으로 필름을 커팅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보조커터(230')가 가열판의 하부가 아닌 가열판의 외측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며 제1 회동부의 회동 시 보조 커팅홈으로 삽입되어 용기의 외측둘레의 형태로 필름을 커팅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지는 포장용기 실링장치도 상술한 일실시예의 실링장치와 마찬가지로 가열부재의 가열판(212), 보조커터(230'), 지지판(215) 및 안착부재(130)의 안착대(130-2), 보조커팅홈(180), 지지대(190)가 포장용기의 다양한 크기에 적용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단순히 원형 또는 사각의 형태로 이루어지지 않고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자인된 용기의 형상에 맞게 제작되어 장착될 수 있으며, 예를들어 짬짜면 포장용기 생선모양으로 이루어진 포장용기 또는 그외 다른 형상의 포장용기의 실링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되어 각각의 실링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가열부재와 안착부재가 하나의 실링장치에 교체되어 설치되는 것이 아니고, 하나의 실링장치에 하나의 형상의 가열부재와 안착부재가 설치되는 것이며, 각각의 실링장치에 서로 다른 형상의 가열부재와 안착부재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몸체부 200: 융착부
300: 제1 회동부 400: 제2 회동부
500: 공압부 110: 제1 기준회전축
120: 제2 기준회전축 130: 안착부재
140: 축고정부재 150: 필름롤
160: 커터수용홈 170: 제1 고정베어링
210: 가열부재 220: 회동부재
230: 커터부재 310: 손잡이
320: 제1 접속구 330: 제2 접속구
340: 제2 고정베어링 410: 제2 접속구
420: 제4 접속구

Claims (6)

  1. 상, 하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제1 기준회전축과 제2 기준회전축이 형성되고 포장용기가 안착되는 안착부재가 구비되는 몸체부;
    상기 안착부재에 안착된 포장용기의 상부를 향해 접근하여 포장용기의 상부로 공급되는 필름을 포장용기의 상단에 융착시키는 가열부재와, 상기 가열부재의 상부에 위치되며 상, 하 수직방향으로 이격된 제1 유지회전축 및 제2 유지회전축이 마련된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융착부;
    상기 몸체부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접속구와, 상기 제1 접속구와 타측의 손잡이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접속구를 포함하며 회동 시 융착부를 상, 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회동부; 및
    일측은 상기 제2 기준회전축에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융착부의 상단에 장착되며 제1 회동부의 회동 동작시 융착부의 하면을 수평으로 유지시키는 제2 회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동부는 몸체부와 융착부 사이에 장착되기 위하여 일측에는 제2 기준회전축에 접속되는 제3 접속구와 타측에는 제2 유지회전축에 접속하는 제4 접속구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회동부는 제1 접속구에 의해 제1 기준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회동부는 제3 접속구에 의해 제2 기준회전축에 연결되어, 제1 회동부가 제1 기준회전축을 축으로 하여 회동할 때 제2 회동부도 제2 기준회전축을 축으로 하여 회동하되,
    상기 제2 접속구에 의해 제1 유지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접속구에 의해 제2 유지회전축에 연결되어 회동 시 제1 회동부의 제2 접속구와 제2 회동부의 제4 접속구가 수직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융착부의 하면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가열부재에는 상기 안착부재에 안착되는 포장용기의 상면 외측 둘레와 동일한 형상의 보조커터;가 포함되되,
    각각의 실링장치에 서로 다른 형상의 보조커터가 구비되어, 실링 시 포장용기의 상면에 융착된 필름을 포장용기의 형상으로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안착부재는
    상기 포장용기가 안착되도록 상면에 상, 하방향으로 관통된 공간으로 구현되는 안착홈;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포장용기의 둘레부분이 얹혀지고 가열판과 접촉하는 안착대;
    상기 안착대의 둘레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까지 형성되되, 포장용기의 상부 둘레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으로 이루어지는 보조 커팅홈;
    상기 보조 커팅홈의 외주 둘레에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까지 형성되는 지지대;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재는
    판 형상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하부에 배치되고 포장용기의 상부에서 필름을 가열하는 가열판;
    상기 가열판의 외측에서 상기 케이싱과 연결되어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에 안착되는 지지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열판과 상기 지지판 사이에는 보조커터가 설치되되,
    상기 가열판 및 상기 지지판은 각각 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실링 시 제1회동부를 회동시겨 가열부재를 하강시키면 상기 지지판 및 상기 가열판은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안착대 및 지지대에 안착되고 상기 보조커터는 상기 보조커팅홈으로 삽입되어 포장용기의 외측 둘레의 형상으로 필름을 커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커터는 톱니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부는,
    상기 가열부재의 후방에 설치되며 포장용기에 융착된 필름을 절단하는 커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안착부재 및 상기 융착부의 가열부재는 하나의 용기를 실링할 수 있는 형태로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각기 다른 형태의 포장용기의 실링이 가능하도록 한 쌍의 상기 몸체부와 상기 가열부재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각각의 실링장치에 서로 다르게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KR1020200023561A 2020-01-29 2020-02-26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KR102478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650 2020-01-29
KR20200010650 2020-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991A KR20210096991A (ko) 2021-08-06
KR102478904B1 true KR102478904B1 (ko) 2022-12-21

Family

ID=77315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561A KR102478904B1 (ko) 2020-01-29 2020-02-26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890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8019A (ja) * 2001-10-19 2003-05-08 Fumihiro Ogama 容器のシール装置
KR200344641Y1 (ko) * 2003-12-12 2004-03-12 이상수 정압형 수동식 포장기
KR101629367B1 (ko) * 2015-11-23 2016-06-10 조수현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1256B1 (ko) 2016-08-31 2018-06-27 주식회사 우진아이디 식품용기 포장기
KR20180127669A (ko) * 2017-05-22 2018-11-30 김태영 용기 밀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8019A (ja) * 2001-10-19 2003-05-08 Fumihiro Ogama 容器のシール装置
KR200344641Y1 (ko) * 2003-12-12 2004-03-12 이상수 정압형 수동식 포장기
KR101629367B1 (ko) * 2015-11-23 2016-06-10 조수현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991A (ko) 2021-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637B1 (ko) 스킨 포장 장치
KR101629367B1 (ko)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
PT1747995E (pt) Processo e dispositivo para a embalagem de objectos estanque ao gás, com um material de folha que se adapta aos objectos com um ajuste apertado
KR101851006B1 (ko) 용기 자동배출 구조를 갖는 휴대용기 밀폐 포장장치
FR2816924A1 (fr) Emballage pour produits steriles
JP2015528344A5 (ko)
JP2014159303A5 (ko)
KR102478904B1 (ko)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KR101529158B1 (ko) 식품용기 포장장치
KR20130137456A (ko) 식품용기포장기
KR102213099B1 (ko)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JPS581015B2 (ja) 熱収縮性プラスチック材料から成るフイルムにより種々の物品を包装するための包装装置
KR101871256B1 (ko) 식품용기 포장기
US3488472A (en) Device for sealing food containers and the like
KR20170129415A (ko) 진공포장기 및 이를 이용한 진공포장 및 용기포장 시스템
KR20220158900A (ko) 다양한 종류의 식품용기의 실링이 가능한 식품용기용 실링장치
EP0557804A1 (fr) Emballage
KR101677450B1 (ko) 비닐필름 고정형 식품용기 포장장치
KR20150043808A (ko) 절단기능을 갖는 식품용기 포장장치
JP3213428U (ja) 紙容器
KR101933051B1 (ko) 가변형 용기 살균기
JP6036505B2 (ja) 物品輸送用梱包箱
WO1992017102A1 (fr) Appareil de cuisson avec recipient
KR102075511B1 (ko) 해면체를 이용한 포장상자
JP2009040465A (ja) 容器ヒートシー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