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7669A - 용기 밀봉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밀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7669A
KR20180127669A KR1020170062665A KR20170062665A KR20180127669A KR 20180127669 A KR20180127669 A KR 20180127669A KR 1020170062665 A KR1020170062665 A KR 1020170062665A KR 20170062665 A KR20170062665 A KR 20170062665A KR 20180127669 A KR20180127669 A KR 20180127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ver member
link
support
c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영
Original Assignee
김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영 filed Critical 김태영
Priority to KR1020170062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7669A/ko
Publication of KR20180127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6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162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feeding web material to securing means
    • B65B7/164Securing by heat-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12Feeding webs from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 B65B61/06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evering webs, or for separating joined packages by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1)가 삽입되는 삽입홈(11)이 상면에 형성된 용기받침대(10); 이 용기받침대(10)의 후방에 구비되며, 용기(1)의 상면을 커버하는 포장필름(22)이 권취된 포장롤(21)이 거치되는 포장롤거치부(20); 상기 용기받침대(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용기받침대(10)의 삽입홈(11)을 개폐하는 커버부재(30);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상기 커버부재(30)의 측면 및 용기받침대(10)의 후단부에 회전축(40a,40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링크(40)와, 이 제1링크(40)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상기 커버부재(30)의 측면 및 용기받침대(10)의 후단부에 회전축(41a,41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하단 회전축(41a)이 제1링크(40)의 하단 회전축(40a)보다 하측에 위치된 제2링크(41)를 포함하는 작동링크(40,41); 상기 커버부재(30)의 저면에 구비되며, 용기받침대(10)의 삽입홈(11)에 삽입된 용기(1)의 개구된 상면을 커버하는 포장필름(22)을 가열하여 용기(1)의 테두리에 접착시키는 히터(50); 및 상기 커버부재(30)의 저면 후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1)에 접착된 포장필름(21)의 일측을 커팅하는 커터(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장치이다.

Description

용기 밀봉장치{Sealing apparatus for a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 밀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의 개방된 상면을 필름으로 밀봉하는 용기 밀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이나 대형마트 등에서는 소비자에게 음식물을 포장하기 위하여 일회용 식품용기에 음식물을 담은 다음 이 식품용기를 식품용기 밀봉장치에 넣고 포장한 뒤 소비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용기 밀봉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종래 밀봉장치는 중앙부에 용기(1)가 놓여지는 용기투입구(3)가 형성된 하부몸체(2)와, 이 하부몸체(2)의 후단에 좌우로 형성된 힌지축(5)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상부회동판(4)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부몸체(2)의 후방에는 롤 형태로 권취된 포장용 필름(6)이 장착되고, 이 필름(6)은 하부몸체(2)와 상부회동판(4) 사이로 통과되어 용기투입구(3)로 인출된다. 또한 상부회동판(4)에는 용기(1)의 상면에 놓여진 필름(6)을 밀봉하기 위한 히터판(7)이 구비되고, 상부회동판(4)의 힌지축(5)과 근접된 부위에 필름(6)을 커팅하기 위한 커터날(8)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용기투입구(3)에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1)를 놓고 용기(1)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도록 필름(6)을 전방으로 잡아당긴 후 상부회동판(4)을 닫으면 필름(6)이 용기(1)의 상부 테두리에 접착되며, 동시에 커터날(8)이 필름(6)을 커팅하게 된다.
그런데 도 1과 같이 힌지축(5)과 근접된 상부회동판(4)에 커터날(8)이 구비되고 상부회동판(4)이 하부몸체(2)와 예각을 이루는 상태로 회동되므로, 상기와 같이 용기(1)를 밀봉한 후 다음 용기(1)를 투입하고 커팅된 필름(6)을 용기(1)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전방으로 잡아당기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필름(6)을 잡을 때 손이 커터날(8)에 근접되어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부회동판(4)이 힌지축(5)을 중심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부회동판(4)의 히터판(7)의 일측이 용기(1)의 일측의 필름(6)을 먼저 누르기 때문에 용기(1)의 타측이 용기투입구(3)에서 들려지게 되고, 이 과정에서 용기(1)에 담겨진 음식물이 한 쪽으로 쏠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필름(6)이 용기(1)의 테두리 전체에 동시에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필름(6)이 완전히 펴진 상태로 용기(1)의 테두리에 정확하게 부착되지 못하고 일부가 접혀지거나 구겨지게 되어 공기층이 형성되어 진공효과가 떨어지고 외관이 깔끔하지 못하여 소비자에게 외면받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245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를 밀봉하는 필름을 용기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인출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상해를 입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성이 향상되고, 필름이 펴진 상태로 용기에 정확하게 부착되므로 외관이 깔끔하며 용기에 수용된 음식물이 한 쪽으로 쏠리지 않아서 소비자에게 외면받지 않고, 아울러 용기의 사이즈마다 다른 필름의 유동이 방지되어 사용편의성이 향상되고 외관이 더욱 깔끔하게 밀봉할 수 있도록 된 용기 밀봉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면이 개구된 용기(1)가 삽입되는 삽입홈(11)이 상면에 형성된 용기받침대(10); 상기 용기받침대(10)의 후방에 구비되며, 용기받침대(10)의 삽입홈(11)에 삽입된 용기(1)의 개구된 상면을 커버하는 포장필름(22)이 권취된 포장롤(21)이 거치되는 포장롤거치부(20); 상기 용기받침대(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용기받침대(10)의 삽입홈(11)을 개폐하는 커버부재(30);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상기 커버부재(30)의 측면 및 용기받침대(10)의 후단부에 회전축(40a,40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링크(40)와, 이 제1링크(40)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상기 커버부재(30)의 측면 및 용기받침대(10)의 후단부에 회전축(41a,41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하단 회전축(41a)이 제1링크(40)의 하단 회전축(40a)보다 하측에 위치된 제2링크(41)를 포함하는 작동링크(40,41); 상기 커버부재(30)의 저면에 구비되며, 용기받침대(10)의 삽입홈(11)에 삽입된 용기(1)의 개구된 상면을 커버하는 포장필름(22)을 가열하여 용기(1)의 테두리에 접착시키는 히터(50); 및 상기 커버부재(30)의 저면 후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1)에 접착된 포장필름(21)의 일측을 커팅하는 커터(60);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링크(40,41)의 제1 및 제2링크(40,41)가 세워지면 커버부재(30)의 저면 전체가 용기받침대(10)의 상면에서 이격되고 제1 및 제2링크(40,41)가 눕혀져서 상하로 배치되면 커버부재(30)의 저면 전체가 용기받침대(10)의 상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포장롤거치부(20)에는 포장롤(21)이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롤러(23,24)가 구비되고, 이 지지롤러(23,24)의 양 단부 외주면에는 서로 다른 폭(w1,w2)을 갖는 포장롤(21)이 폭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되 직경차이로 인해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턱(25,26)이 지지롤러(23,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용기받침대(10)의 후단부 양측에는 상기 작동링크(40,41)의 하단이 결합되는 한 쌍의 설치판(14)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설치판(14)을 연결하는 축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용기받침대(10)의 상면 후단부에는 상기 커터(60)가 삽입되는 커터수용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축부재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용기받침대(10)의 커터수용홈(12)의 둘레부에 위치된 포장필름(22)을 탄성가압하여 상기 커터(60)에 의해 커팅된 포장필름(22)의 단부가 용기받침대(10)의 상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가압부재(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받침대(10)의 상면을 커버하며 저면에 히터(50) 및 커터(60)가 구비된 커버부재(30)가 제1 및 제2링크(40,41)를 포함하는 작동링크(40,41)에 의해 용기받침대(10)에서 회동되어 커버부재(30)의 저면 전체가 용기받침대(10)의 상면에서 이격되므로, 사용자가 커터(60)에 의해 커팅될 포장롤(21)의 필름(22) 단부를 손으로 잡고 인출할 때 커터(60)가 사용자의 손에 근접되지 않기 때문에 상해를 입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커버부재(30)가 상기와 같은 작동링크(40,41)에 의해 작동되어 커버부재(30)의 저면 전체가 용기받침대(10)의 상면에 위치된 용기(1)의 상면에 거의 동시에 접촉되므로, 용기(1)의 일부가 들어 올려짐에 따라 필름(22)이 용기(1)의 상면에 접혀지거나 구겨진 상태로 접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필름(22)이 용기(1)의 상면에 펴진 상태로 접착되어 외관이 깔끔하고 공기층이 감소되어 진공포장효과가 향상된다.
그리고 상기 포장롤(21)을 지지하는 지지롤러(23,24)에 서로 다른 포장롤(21)의 폭(w1,w2)에 맞게 복수개의 걸림턱(25,26)이 형성되어, 폭(w1,w2)이 다른 포장롤(21)을 사용하더라도 포장롤(21)이 회전되면서 좌우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필름(22)이 용기(1)의 정위치에 접착된다. 이에 따라, 필름(22)이 용기(1)에 접혀지거나 구겨지는 등 포장불량상태가 방지되어 상기와 같은 효과가 더욱 증대된다. 한편, 커터(60)에 의해 커팅된 포장롤(21)의 필름(22)의 단부가 탄성가압부재(70)에 의해 용기받침대(10)의 상면에 위치고정되므로, 다음 용기(1)를 포장하기 위해 필름(22)을 전방으로 인출하기가 용이하여 작업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 용기 밀봉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밀봉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커버부재가 열린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커버부재가 닫힌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포장롤의 거치를 보인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밀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밀봉장치는 상면에 용기(1)가 삽입되는 삽입홈(11)이 형성된 용기받침대(10)와, 이 용기받침대(10)의 후방에 포장필름(22)이 권취된 포장롤(21)이 거치되는 포장롤거치부(20)와, 상기 용기받침대(10)의 삽입홈(11)을 개폐하는 커버부재(30)와, 이 커버부재(30)가 용기받침대(10)의 삽입홈(11)을 개폐하도록 작동시키는 작동링크(40,41)와, 상기 커버부재(30)의 저면에 구비된 히터(50) 및 커터(60)와, 이 커터(60)에 의해 커팅된 포장필름(22)을 탄성가압하는 탄성가압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용기(1)는 음식물 등의 내용물이 투입되도록 상면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받침대(10)는 상면에 용기(1)가 삽입되는 삽입홈(11)과, 이 삽입홈(11)의 후방에 상기 커터(60)가 수용되는 커터수용홈(12)이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용기받침대(10)는 복수개의 지지다리(13) 및 설치판(14)에 의해 베이스판(15)에서 소정높이 이격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다. 이때, 용기받침대(10)의 삽입홈(11)은 다양한 두께로 이루어진 용기(1)들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2와 같이 설치판(14)은 용기받침대(10)의 후단 양 단부에서 후방 및 상방으로 연장되며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포장롤거치부(20)는 용기받침대(10)의 후방에 구비되며 용기(1)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는 포장필름(22)이 권취된 포장롤(21)이 거치된다. 이 포장롤거치부(20)에는 포장롤(21)이 회전가능하도록 그 하단을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롤러(23,24)가 구비되며, 이 지지롤러(23,24)는 전후로 이격되고 양 단부가 용기받침대(10)의 한 쌍의 설치판(14)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도 5와 같이 지지롤러(23,24)의 양 단부에는 폭(w1,w2)이 다른 포장롤(21)이 좌우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개의 걸림턱(25,26)이 형성된다. 이 걸림턱(25,26)은 지지롤러(23,24)의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될 때 직경차이로 인해 형성되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지지롤러(23,24)의 단부에 걸림턱(25,26)이 형성된 캡이 끼워진 형태를 예시하였다.
상기 커버부재(30)는 용기받침대(10)의 삽입홈(11)을 개폐하되 상기 히터(50)가 상기 포장롤(21)의 포장필름(22)을 가압하도록 해준다. 이 커버부재(30)는 상기 작동링크(40,41)에 의해 용기받침대(10)에 결합된다. 그리고 커버부재(30)의 측면에는 상기 히터(50)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다수의 방열공(31)이 형성된다. 한편, 커버부재(30)는 완충실린더(80)에 의해 용기받침대(10)의 상면에 충돌되는 것이 방지되며, 완충실린더(80)는 하단이 용기받침대(10)에 설치되고 상단의 로드가 커버부재(30) 또는 상기 작동링크(40,41)에 결합된다.
상기 작동링크(40,41)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커버부재(30)의 측면 및 용기받침대(10)의 후단인 설치판(14)에 회전축(40a,40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제1링크(40)와, 이 제1링크(40)보다 전방에 위치되며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커버부재(30)의 측면 및 용기받침대(10)의 후단인 설치판(14)에 회전축(41a,41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제2링크(41)를 포함한다. 이때, 제2링크(41)의 하단 회전축(41a)이 제1링크(40)의 하단 회전축(40a)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도 4와 같이 제1 및 제2링크(40,41)가 눕혀지게 회동되면 커버부재(30)의 저면이 용기받침대(10)의 상면에 접촉되고 제1 및 제2링크(40,41)는 상하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도 3과 같이 제1 및 제2링크(40,41)가 세워지게 회동되면 커버부재(30)의 저면 전체가 용기받침대(10)의 상면에서 이격된다.
한편, 제2링크(41)는 눕혀지면 커버부재(30)의 측면 하단부를 커버하므로, 제2링크(41)에는 히터(5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배출하는 다수의 보조방열공(42)이 형성된다. 이 보조방열공(42)은 제1링크(40)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1링크(40) 또는 제2링크(41)의 상단에서 커버부재(30) 상측으로 각각 연장되고 그 선단이 연결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43)를 형성하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손잡이(43)가 제2링크(41)에서 연장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그리고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링크(41)의 하단의 회전축(41a)은 용기받침대(10)의 한 쌍의 설치판(14)을 연결하도록 바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 바아 형상의 회전축(41a)이 상기 탄성가압부재(70)가 설치되는 축부재를 형성한다. 경우에 따라, 이 축부재는 제2링크(41)의 하단의 회전축(41a)과 달리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50)는 커버부재(30)의 저면에 구비되어 용기받침대(10)의 삽입홈(11)에 삽입된 용기(1)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포장필름(22)에 열을 가하여 포장필름(22)을 용기(1)의 상단 테두리에 접착시킨다. 이러한 히터(50)는 주지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30)의 저면에 스프링 등의 완충수단에 의해 완충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커터(60)는 커버부재(30)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와 같이 용기(1)에 접착된 포장필름(22)의 일측을 커팅한다. 이 커터(60)는 커버부재(30)의 후단부에 위치되어 커버부재(30)가 용기받침대(10)의 상면에 접촉될 때 커터수용홈(12)에 수용된다.
상기 탄성가압부재(70)는 일단이 용기받침대(10)의 축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용기받침대(10)의 커터수용홈(12)의 후방에 위치되되 용기받침대(10)의 상면에 접촉되어 포장필름(22)을 눌러준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축부재가 제2링크(41)의 하단 회전축(41a)이므로 탄성가압부재(70)가 상기 회전축(41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탄성가압부재(7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일단이 용기받침대(10)의 축부재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용기받침대(10)의 커터수용홈(12)의 둘레부에 접촉되어 필름(22)을 눌러준다. 이에 따라, 필름(22)이 커터(60)에 의해 커팅될 때 포장롤(21)에 구비된 필름(22)의 단부가 포장롤(21)로 말려들어가거나 용기받침대(10)의 상면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다음 용기(1)를 밀봉시키기 위해 필름(22)을 용기(1) 상면을 커버하도록 전방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밀봉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과 같이 커버부재(30)를 용기받침대(10)의 상면에서 이격되도록 들어 올리고 용기(1)를 용기받침대(10)의 삽입홈(11)에 삽입한다. 그리고 탄성가압부재(70)에 의해 용기받침대(10)의 상면에 위치된 필름(22)의 단부를 잡고 용기(1)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도록 전방으로 잡아당긴다. 이때, 도 3과 같이 커버부재(30)가 한 쌍의 작동링크(40,41)에 의해 회동되므로 커버부재(30)의 저면 전체가 용기받침대(10)의 상면에서 이격되기 때문에, 커버부재(30)의 저면에 구비된 커터(60)가 필름(22)에서도 상당히 이격되어 사용자가 필름(22)을 인출시킬 때 커터(60)에 의해 상해를 입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커버부재(30)가 용기받침대(1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커버부재(30)를 회동시키면, 필름(22)이 히터(50)에 의해 용기(1)의 상면 테두리에 접착된다. 이때, 용기(1)의 후방에 위치된 필름(22)이 커터(60)에 의해 커팅되며, 포장롤(21)에 구비된 필름(22)의 단부는 탄성가압부재(70)에 의해 용기받침대(10)의 상면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커버부재(30)를 다시 들어 올리고 필름(22)으로 밀봉된 용기(1)를 인출한다. 그리고 다음 용기(1)를 용기받침대(10)의 삽입홈(11)에 삽입하고 커팅된 필름(22)의 단부를 잡고 용기(1)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전방으로 잡아당기며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 : 용기 10 : 용기받침대
11 : 삽입홈 12 : 커터수용홈
14 : 설치판 20 : 포장롤거치부
21 : 포장롤 22 : 포장필름
30 : 커버부재 31 : 방열공
40 : 제1링크 41 : 제2링크
50 : 히터 60 : 커터
70 : 탄성가압부재

Claims (3)

  1. 상면이 개구된 용기(1)가 삽입되는 삽입홈(11)이 상면에 형성된 용기받침대(10);
    상기 용기받침대(10)의 후방에 구비되며, 용기받침대(10)의 삽입홈(11)에 삽입된 용기(1)의 개구된 상면을 커버하는 포장필름(22)이 권취된 포장롤(21)이 거치되는 포장롤거치부(20);
    상기 용기받침대(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용기받침대(10)의 삽입홈(11)을 개폐하는 커버부재(30);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상기 커버부재(30)의 측면 및 용기받침대(10)의 후단부에 회전축(40a,40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제1링크(40)와, 이 제1링크(40)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상단 및 하단이 각각 상기 커버부재(30)의 측면 및 용기받침대(10)의 후단부에 회전축(41a,41b)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하단 회전축(41a)이 제1링크(40)의 하단 회전축(40a)보다 하측에 위치된 제2링크(41)를 포함하는 작동링크(40,41);
    상기 커버부재(30)의 저면에 구비되며, 용기받침대(10)의 삽입홈(11)에 삽입된 용기(1)의 개구된 상면을 커버하는 포장필름(22)을 가열하여 용기(1)의 테두리에 접착시키는 히터(50); 및
    상기 커버부재(30)의 저면 후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용기(1)에 접착된 포장필름(21)의 일측을 커팅하는 커터(60);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링크(40,41)의 제1 및 제2링크(40,41)가 세워지면 커버부재(30)의 저면 전체가 용기받침대(10)의 상면에서 이격되고 제1 및 제2링크(40,41)가 눕혀져서 상하로 배치되면 커버부재(30)의 저면 전체가 용기받침대(10)의 상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롤거치부(20)에는 포장롤(21)이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복수개의 지지롤러(23,24)가 구비되고, 이 지지롤러(23,24)의 양 단부 외주면에는 서로 다른 폭(w1,w2)을 갖는 포장롤(21)이 폭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되 직경차이로 인해 형성된 복수개의 걸림턱(25,26)이 지지롤러(23,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받침대(10)의 후단부 양측에는 상기 작동링크(40,41)의 하단이 결합되는 한 쌍의 설치판(14)이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설치판(14)을 연결하는 축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용기받침대(10)의 상면 후단부에는 상기 커터(60)가 삽입되는 커터수용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축부재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용기받침대(10)의 커터수용홈(12)의 둘레부에 위치된 포장필름(22)을 탄성가압하여 상기 커터(60)에 의해 커팅된 포장필름(22)의 단부가 용기받침대(10)의 상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탄성가압부재(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밀봉장치.
KR1020170062665A 2017-05-22 2017-05-22 용기 밀봉장치 KR201801276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665A KR20180127669A (ko) 2017-05-22 2017-05-22 용기 밀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665A KR20180127669A (ko) 2017-05-22 2017-05-22 용기 밀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669A true KR20180127669A (ko) 2018-11-30

Family

ID=64560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665A KR20180127669A (ko) 2017-05-22 2017-05-22 용기 밀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766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54658A (zh) * 2019-07-23 2020-01-07 张琦 一种食品包装中自洁式真空包装机
KR20200009292A (ko) * 2018-07-18 2020-01-30 황준석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KR20210096991A (ko) * 2020-01-29 2021-08-06 황준석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292A (ko) * 2018-07-18 2020-01-30 황준석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CN110654658A (zh) * 2019-07-23 2020-01-07 张琦 一种食品包装中自洁式真空包装机
KR20210096991A (ko) * 2020-01-29 2021-08-06 황준석 포장용기용 실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7669A (ko) 용기 밀봉장치
US5893822A (en) System for vacuum evacuation and sealing of plastic bags
EP3728048B1 (fr) Machine et procédé pour l'emballage par au moins un materiau d'emballage de sterilisation
US4345412A (en) Cup lidding apparatus and leakproof cup
US20070155607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evacuation and heat sealing
KR101871256B1 (ko) 식품용기 포장기
US7992364B2 (en) Vertical bagging machine
JP2001270501A (ja) ワンタッチ式食品容器蓋の包装機
US20090297666A1 (en) Lolipop and device for the manufacturing thereof
US4229244A (en) Manual bag sealer with lift bar
CN210882889U (zh) 一种食品包装机用封口装置
KR101529155B1 (ko) 식품용기 및 비닐봉투 진공포장장치
KR102101846B1 (ko) 휴대형 음식물 용기의 포장장치
KR20150043808A (ko) 절단기능을 갖는 식품용기 포장장치
JP5471007B2 (ja) シール包装装置、及びシール包装方法並びにその包装体
JP5545546B2 (ja) ヒートシールユニット
KR101424231B1 (ko) 용기 포장기
JP2022532989A (ja) 可撓性容器およびその中に付属品を設置するためのプロセス
KR100421195B1 (ko) 엠보싱 형성 수단이 장착된 진공포장기
FR2635502A1 (fr) Procede et machine de fabrication de sachets ou paquets d'emballage en film mince
JP3993146B2 (ja) 握飯包装装置
JPS6348499Y2 (ko)
JPS5836656Y2 (ja) 簡易包装器
JP3547315B2 (ja) 加熱シール式包装機
JPH014440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