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483B1 - 용기 실링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실링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19483B1 KR102419483B1 KR1020220038671A KR20220038671A KR102419483B1 KR 102419483 B1 KR102419483 B1 KR 102419483B1 KR 1020220038671 A KR1020220038671 A KR 1020220038671A KR 20220038671 A KR20220038671 A KR 20220038671A KR 102419483 B1 KR102419483 B1 KR 1024194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cut
- unit
- hole
- coup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162—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feeding web material to securing means
- B65B7/164—Securing by heat-sea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65B51/14—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 B65B51/148—Hand-operated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9/00—Arrangements to enable machines to handle articles of different sizes, to produce packages of different sizes, to vary the contents of packages, to handle different types of packaging material, or to give acces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005—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removing material by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Closures (AREA)
Abstract
밀폐된 용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용기 실링장치를 개시한다.
용기 실링장치는 용기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수용홀이 형성된 몸체부, 용기의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수용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몸체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일측에 관통홀을 가지는 안착부, 일단이 안착부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몸체부의 상면에 연결되며 상하방향으로 신장 수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몸체부의 상면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관통홀에 삽입되는 절단부, 안착부에 안착된 용기를 가압할 수 있도록 몸체부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부, 가압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전기적 신호에 의해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는 가열부 및 몸체부의 타측에 설치되고 안착부에 안착된 용기의 상부에 필름을 인출하기 위한 필름부를 포함한다. 절단부는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용기의 테두리에 통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안착부의 상측으로 돌출 가능하다.
용기 실링장치는 용기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수용홀이 형성된 몸체부, 용기의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수용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몸체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일측에 관통홀을 가지는 안착부, 일단이 안착부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몸체부의 상면에 연결되며 상하방향으로 신장 수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몸체부의 상면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관통홀에 삽입되는 절단부, 안착부에 안착된 용기를 가압할 수 있도록 몸체부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부, 가압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전기적 신호에 의해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는 가열부 및 몸체부의 타측에 설치되고 안착부에 안착된 용기의 상부에 필름을 인출하기 위한 필름부를 포함한다. 절단부는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용기의 테두리에 통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안착부의 상측으로 돌출 가능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기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상부를 커버하여 용기를 포장할 수 있는 용기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배달문화가 발달함에 따라 소비자가 직접 식당 등을 방문하지 않고도 다양한 음식을 원하는 장소로 배달시켜 섭취하는 경우가 점차적으로 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와 같이 배달되는 음식물은 대부분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 음식물 용기에 담겨지고, 개구된 상단을 필름으로 밀봉하여 기밀 및 보온을 유지한 상태로 배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어 개구부를 형성하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의 개구부 주변 둘레 즉, 테두리부의 상면에 부착되어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필름으로 구성된다. 이때, 용기 본체와 필름은 열에 의해 용융되는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되고, 용기 본체의 상면 둘레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테두리부가 외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에 국물 등의 음식물이 담긴 상태에서, 음식물이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통해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필름으로 덮어서 밀폐시키게 되는데, 이때 용기 본체의 테두리부 둘레에 필름을 열 융착시켜서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용기 본체는 그 내부에 음식물을 밀봉시킴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에서 발생된 증기로 인해 그 내부가 팽창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테부리부에 융착된 필름이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내부의 음식이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용기 본체에 수용된 음식물을 가열할 때,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열기 및 증기(예컨데, 수증기)에 의해, 그 내부가 팽창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사용자가 음식물을 가열시키기 전, 포장지를 뜯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만일 포장지를 뜯지 않을 경우, 전열기기(예컨데, 전자레인지)의 내부에서 용기 본체가 폭발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밀폐된 용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용기 실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용기를 실링하기 전에 용기에 증기 배출경로를 형성할 수 있는 용기 실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용기 실링장치는 용기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수용홀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용기의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일측에 관통홀을 가지는 안착부; 일단이 상기 안착부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연결되며, 상하방향으로 신장 수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절단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용기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전기적 신호에 의해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는 가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용기의 상부에 필름을 인출하기 위한 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의 테두리에 통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의 상측으로 돌출 가능하다.
상기 절단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절단부 몸체; 상기 절단부 몸체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는 블레이드; 상기 절단부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를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시키기 위한 발열선; 상기 절단부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절단부 몸체와 상기 용기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기; 및 상기 절단부 몸체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접촉 감지기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부의 일측을 향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절단된 상기 용기의 절단 파편을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푸셔;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는, 일측이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가열부가 결합되는 가압부 몸체; 상기 가압부 몸체의 타측에 결합되는 손잡이; 및 상기 가압부 몸체에 접촉 가능하고, 회전되는 상기 가압부 몸체의 하부면에 접촉하며 제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로커;를 포함하고, 상기 로커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절수단; 상기 조절수단의 하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왼나사나 오른나사 방식으로 결합되며, 하단이 상기 몸체부에 지지되는 제1 높이조절 축; 상기 조절수단의 상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오른나사나 왼나사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가압부 몸체의 하면에 접촉 가능한 제2 높이조절 축; 및 상기 조절수단을 자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 구동력을 생성하기 위한 구동모터; 상기 제2 높이조절 축에 결합되고, 상기 가압부 몸체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하중 측정센서; 상기 하중 측정센서에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모터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절단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절단부 몸체; 상기 절단부 몸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십자 배열을 이루도록 상기 절단부 몸체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1 블레이드; 상기 절단부 몸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십자 배열을 이루도록 상기 절단부 몸체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1 블레이드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40° 이상 내지 50° 이하의 각도로 틀어져 배치되는 제2 블레이드;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 전압 발생기; 상기 절단부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블레이드를 가열하기 위한 제1 열선과, 상기 제1 열선을 외측에서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블레이드를 가열하기 위한 제2 열선를 구비하여 직류 전원에 따라 발열하는 발열선; 상기 제1 열선 및 제2 열선을 통해 교차되어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소정 패턴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발열선의 단선 및 단락을 감지하는 발열선 감지기;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전압 발생기는, 상기 교류 전원을 상기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변환모듈과, 상기 직류 전원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압을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압 조절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선 감지기는, 상기 제1 열선과 상기 제2 열선 사이에 접속된 제 1 다이오드와, 상기 제1 열선 및 상기 제2 열선 사이에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역방향으로 접속된 제2 다이오드와, 상기 제1 열선 및 상기 제2 열선 사이에 접속된 포토 커플러를 포함하며, 상기 포토 커플러는, 상기 제1 다이오드와 순방향으로 접속된 포토 다이오드와,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출력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된 용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용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증기에 의해, 필름이 용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로 인해 필름이 용기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므로, 내부의 음식물이 용기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밀폐된 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할 때, 용기에 부착된 필름을 분리시키지 않고도 음식물을 가열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실링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실링장치의 측면도.
도 3은 용기 실링장치를 이용하여 용기에 증기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용기 실링장치를 이용하여 필름으로 용기를 내부를 밀봉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절단부의 변형예를 통해 용기에 증기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실링장치의 측면도.
도 3은 용기 실링장치를 이용하여 용기에 증기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용기 실링장치를 이용하여 필름으로 용기를 내부를 밀봉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절단부의 변형예를 통해 용기에 증기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실링장치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의 내부공간을 밀봉하면서, 동시에 용기 내부공간에 발생된 증기를 용기의 외부로 유출(혹은 배출)시킬 수 있는 증기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용기 실링장치이다. 여기서, 증기 배출경로는 절단부에 의해 용기에 형성되는 통로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통로는 관통된 홀로 마련되거나, 슬릿 형상의 틈새로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실링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실링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용기 실링장치를 이용하여 용기에 증기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용기 실링장치를 이용하여 필름으로 용기를 내부를 밀봉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실링장치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실링장치(100)는 용기(B)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수용홀(114a)이 형성된 몸체부(110), 용기(10)의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수용홀(114a)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몸체부(110)의 상측에 배치되며 일측에 관통홀(121)을 가지는 안착부(120), 일단이 안착부(120)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몸체부(110)의 상면에 연결되며 상하방향으로 신장 수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130), 몸체부(110)의 상면에 결합되고 관통홀(121)에 삽입되는 절단부(140) 및 안착부(120)에 안착된 용기를 가압할 수 있도록 몸체부(110)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부(150), 가압부(150)에 설치되고 전기적 신호에 의해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는 가열부(160) 및 몸체부(110)에 설치되고 안착부(120)에 안착된 용기(10)의 상부에 필름을 인출하기 위한 필름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기 실링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에 앞서, 용기 실링장치에 의해 실링되는 용기(10)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용기(10)는 측면 상단 가장자리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테두리(11)가 형성되고, 그 중심부는 내측으로 함몰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10)는 내부에 대상물(에컨데, 음식물)을 담을 공간을 갖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용기(10)는 고온의 열에 의해 용해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1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용기(1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몸체부(110)는 테이블 등의 바닥 면에 안착되는 바닥플레이트(111)와, 바닥플레이트(111)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되는 전방플레이트(112) 및 후방플레이트(11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부(110)는 전방플레이트(112) 및 후방플레이트(113)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술한 용기(10)가 내부에 삽입되는 수용홀(114a)을 가지는 안착플레이트(1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방플레이트(112)와 후방플레이트(113)가 이격되는 방향을 하기에서는 길이방향이라 한다. 여기서,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전방플레이트(112)가 위치하는 부분을 일측이라하고, 후방플레이트(113)가 위치하는 부분을 타측이라 한다. 또한, 하기에서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일측 부분을 전방측이라고 하고, 타측 부분을 후방측이라고 한다.
또한, 전방플레이트(112) 및 후방플레이트(113)가 연장되는 방향(혹은 배치되는 방향)을 하기에서는 상하방향이라 한다.
여기서, 전방플레이트(112)와 후방플레이트(113) 사이의 공간이자 바닥플레이트(111)와 안착플레이트(114) 사이의 공간이 상술한 수용홀(114a)과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공간에 수용홀(114a)에 삽입된 용기(1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안착부(120)는 용기(10)의 테두리(11)를 지지할 수 있도록 수용홀(114a)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몸체부(110)의 상측에 배치되며, 후술되는 지지부(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착부(120)는 원형의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120)는 일측(전방측)에 관통홀(121)을 가질 수 있다. 관통홀(121)은 안착부(120)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관통홀(121)에는 후술되는 절단부(14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관통홀(121)의 직경은 후술되는 절단부 몸체(141) 및 블레이드(142)의 직경에 2배 이상 내지 3배 이하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하기에서 절단부(140)의 구조를 설명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지부(130)는 상하방향으로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며, 안착부(12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30)는 그 하부가 몸체부(110)의 안착플레이트(114)에 결합되고, 그 상부가 지지부(13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130)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타단부(후방측)에서 안착부(120)를 지지하고, 교차방향을 기준으로 그 양측부에서 지지부(130)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교차방향은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직교하고, 상하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즉, 지지부(130)는 서로 이격된 세 지점에서 안착부(120)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안착부(120)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지지부(130)에 의해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잇다. 예를 들어, 지지부(130)는 신장 수축 가능한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절단부(140)는 몸체부(110)의 상면에 결합되고, 관통홀(121)에 삽입되며 적어도 일부가 관통홀(121)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절단부(140)는 안착부(120)의 상부에 지지된 용기(10)의 테두리(11)에 통공(H)을 형성할 수 있도록, 관통홀(121)의 상부로 돌출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통공(H)은 상술한 증기 배출경로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절단부(140)는 절단부 몸체(141), 블레이드(142), 발열선(143), 접촉 감지기(미도시) 및 푸셔(144)를 포함할 수 있다.
절단부 몸체(141)는 몸체부(1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절단부 몸체(141)는 안착부(120)의 관통홀(12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절단부 몸체(141)는 몸체부(110)의 상면 중 일측(전방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절단부 몸체(141)는 후술되는 가압부(150)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는 안착부(120)의 이동에 대응하여, 관통홀(121)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부 몸체(14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절단부 몸체(141)는 상하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원의 둘레방향(이하, 원주방향이라 함)을 따라 면적을 갖고 상하방향을 따라 높이를 갖는 원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절단부 몸체(141)는 그 직경의 크기가 상술한 관통홀(121)의 직경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절단부 몸체(141)는 그 직경의 크기가 관통홀(121)의 직경의 크기의 1/3 이상 내지 1/2 이하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142)는 안착부(120)에 안착되어 하강 이동하는 용기(10)의 테두리(11)에 그 단면이 원형인 통공(H)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블레이드(142)는 용기(10)에 증기 배출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절단부 몸체(141)의 상부에 결합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하방향으로 높이를 갖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블레이드(142)는 그 상단부가 물체를 절삭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블레이드(142)가 하강 이동하는 용기(10)의 테두리(11)의 일부를 절삭하여 예컨데, 원기둥 형상의 통공(H)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42)는 그 직경의 크기가 관통홀(121)의 직경의 크기보다 작고, 절단부 몸체(141)의 직경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블레이드(142)는 그 직경의 크기가 관통홀(121)의 직경의 크기의 1/3 이상 내지 1/2 이하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142)가 용기(10)의 테두리(11)에 통공(H)을 형성함에 있어서, 용기(10)의 절삭된 파편(S)이 블레이드(142)의 내부이자 절단부 몸체(141)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블레이드(142)의 직경이 관통홀(121)의 직경의 크기의 1/3 이상 내지 1/2 이하의 크기로 형성됨에 따라, 블레이드(142)의 외주면과 관통홀(121)을 형성하는 안착부(120)의 내주면 사이의 틈새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후술되는 푸셔(144)가 블레이드(142)의 내부이자 절단부 몸체(141)의 상면에 위치한 용기(10)의 절삭 파편을 상술한 틈새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하기에서 푸셔(144)를 설명하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블레이드(142)는 후술되는 발열선(143)에 의해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며, 용기(10)를 절삭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블레이드(142)는 고온의 열기가 전도되어도 용해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블레이드(142)는 열전도도(혹은, 열전도율)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142)는 열전도율이 62㎉/℃ 이상 내지 80㎉/℃ 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블레이드(142)가 후술되는 발열선(143)에 의해 열을 전달받을 경우, 용해되지 않고 고온으로 가열되어 용기(10)를 절삭시킬 수 있다.
발열선(143)은 절단부 몸체(141)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가열되며, 가열시 열을 블레이드(142)에 전달하여 블레이드(142)를 가열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열선(143)은 몸체부(110)에 설치된 전원공급기(미도시)에 의해 전원을 인가받아 가열될 수 있다.
접촉 감지기는 절단부 몸체(141)와 용기(10)의 접촉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촉 감지기는 접촉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144)는 블레이드(142)의 내부이자 절단부 몸체(141)의 상부에 안착된 용기(10)의 절삭된 파편(S)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푸셔(144)는 접촉 감지기에 전자기적으로 연결되고, 절단부 몸체(141)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셔(144)는 접촉 감지기로부터 감지 결과를 전달받아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모터(미도시), 동력모터에 연결되며 절단부 몸체(141)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미도시) 및 회전축에 결합되며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타격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푸셔(144)는 동력모터가 접촉 감지기로부터 절단부 몸체(141)와 용기(10)가 접촉하였다는 신호를 전달받으면, 기 설정된 시간 후에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고, 회전축이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타격판을 회전시켜 절단부 몸체(141)의 상부에 안착된 용기(10)의 절삭된 파편(S)을 블레이드(142)의 외주면과 관통홀(121)을 형성하는 안착부(120)의 내주면 사이의 틈새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절삭된 용기(10)의 파편(S)이 자동으로 블레이드(142)에서 제거될 수 있고, 용기(10)의 밀봉 공정을 연속해서 진행할 수 있다.
도 5는 절단부의 변형예를 통해 용기에 증기 배출경로를 형성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하기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절단부(140)의 변형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변형에에 따른 절단부(140)는 용기(10)의 테두리(11)에 선택적으로 증기 배출경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용기(10)의 테두리(11)에 슬릿 형상의 통공(H')을 형성할 수 있다.
절단부(140)는 절단부 몸체(141), 제1 블레이드(142a), 제2 블레이드(142b), 구동 전압 발생기(미도시), 발열선(143) 및 발열선 감지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절단부 몸체(141)는 몸체부(11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절단부 몸체(141)는 안착부(120)의 관통홀(121)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절단부 몸체(141)는 몸체부(110)의 상면 중 일측(전방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절단부 몸체(141)는 후술되는 가압부(150)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는 안착부(120)의 이동에 대응하여, 관통홀(121)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단부 몸체(14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원주방향으로 면적을 갖는 원기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142a)는 절단부 몸체(141)의 상면에 설치되며, 그 단면이 십자 배열을 이루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142a)는 그 상단부가 물체를 절삭 가능하게(즉, 상측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142b)는 절단부 몸체(141)의 상면에 설치되고, 제1 블레이드(142a)와 중심축(즉, 상하방향)이 일치되며, 그 단면이 십자 배열을 이루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142b)는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제1 블레이드(142a)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40°이상 내지 50° 이하의 각도로 틀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열십자 모양을 가진 제1 블레이드(142a) 및 제2 블레이드(142b)가 용기(10)의 테두리(11)에 복수의 슬릿 형상의 통공(H')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용기(10)의 내부에 증기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 슬릿 형상의 통공이 형성되는 테두리 부분이 서로 접촉하며 용기(10)의 내부와 외부를 차폐시킬 수 있다. 반면, 용기(10)의 내부에 증기가 발생될 경우, 슬릿 형상의 통공(H')이 형성되는 테두리 부분이 증기에 의해 하측으로 밀리며 증기가 배출될 수 있는 경로를 형성하고, 상술한 경로로 용기(10) 내부의 증기를 용기(1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블레이드(142a) 및 제2 블레이드(142b)는 후술되는 발열선(143)에 의해 열을 전달받아 가열되며, 용기(10)를 절삭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1 블레이드(142a) 및 제2 블레이드(142b)는 고온의 열기가 전도되어도 용해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블레이드(142a) 및 제2 블레이드(142b)는 열전도도(혹은, 열전도율)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블레이드(142a) 및 제2 블레이드(142b)는 열전도율이 62㎉/℃ 이상 내지 80㎉/℃ 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블레이드(142a) 및 제2 블레이드(142b)가 후술되는 발열선(143)에 의해 열을 전달받을 경우, 용해되지 않고, 고온으로 가열되어 용기(10)를 절삭시킬 수 있다.
구동 전압 발생기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발열선(143)에 인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직류 전압을 생성한다. 구동 전압 발생기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변환모듈과, 변환모듈로부터 변환된 직류 전원을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압으로 조절하는 전압 조절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발열선(143)은 절단부 몸체(141)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발열선(143)은 제1 블레이드(142a)를 가열하기 위한 제1 열선(143a)과, 제1 열선(143a)을 외측에서 감싸도록 배치되고 제2 블레이드(142b)를 가열하기 위한 제2 열선(143b)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제1 열선(143a)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과 제2 열선(143b)에 의해 형성된 자기장 서로 반대 방향이 되므로 자기장이 상쇄되어 무자계 상태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발열선 감지기는 제1 열선(143a) 및 제2 열선(143b)을 통해 교차되어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소정 패턴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발열선의 단선 및 단락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발열선 감지기는, 제1 열선(143a)과 제2 열선(143b) 사이에 접속된 제1 다이오드(미도시)와, 제1 열선(143a) 및 제2 열선(143b) 사이에 제1 다이오드(미도시)와 역방향으로 접속된 제2 다이오드(미도시)와, 제1 열선(143a) 및 제2 열선(143b) 사이에 접속된 포토 커플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포토 커플러는 제1 다이오드와 순방향으로 접속된 포토 다이오드(미도시)와, 포토 다이오드의 출력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트랜지스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발열선 감지기를 통해, 제1 열선(143a) 및 제2 열선(143b)을 통해 제1 블레이드(142a) 및 제2 블레이드(142b)로 열이 전달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가압부(150)는 안착부(120)에 안착된 용기(10)를 가압할 수 있다. 즉, 가압부(150)는 용기(10)의 일측(전방측)을 가압하며, 용기(10)와 안착부(120)를 하강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용기(10)의 테두리(11)가 하강하며, 절단부(140)에 의해 절삭될 수 있다. 또한, 가압부(150)는 후술되는 가열부(160)를 용기(10)에 밀착시켜, 후술되는 필름부(170)에서 인출된 필름(F)을 용기(10)의 테두리(11) 단부(E)에 융착시킬 수 있다. 가압부(150)는 가압부 몸체(151), 손잡이(152) 및 로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 몸체(151)는 몸체부(110)의 타측(후방측)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가압부 몸체(151)에는 하부에 후술되는 가열부(160)가 설치될 수 있다. 가압부 몸체(151)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그 일측(전방측)이 안착부(120)의 안착된 용기(10)의 일측을 하방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용기(10) 및 안착부(120)가 하측으로 이동하며 절단부(140)에 의해 절삭될 수 있다.
손잡이(152)는 가압부 몸체(151)의 일측(전방측)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152)를 파지하여 하측으로 힘을 가해줄 수 있다. 이에, 가압부 몸체(15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로커(미도시)는 가압부 몸체(151)에 접촉 가능하고, 로커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즉, 로커는 하측에서 회전되는 가압부 몸체(151)의 하부면에 접촉하며 제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로커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절수단과, 조절수단의 하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왼나사나 오른나사 방식으로 결합되며 하단이 몸체부(110)에 지지되는 제1 높이조절 축과, 조절수단의 상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오른나사나 왼나사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단이 가압부 몸체(151)의 하면에 접촉 가능한 제2 높이조절 축과, 조절수단을 자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 및 제2 높이조절 축에 결합되고, 가압부 몸체(151)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측정할 수 있는 하중 측정센서 및 하중 측정센서에 측정 결과에 따라,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모터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로커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가압부 몸체(151)에 제2 높이조절 축 및 하중 측정센서가 접촉되고, 하중 측정센서가 측정한 측정값이 기 설정된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구동모터 제어기는 가압부 몸체(151)가 기 설정된 각도를 초과하여 회전하였다고 확인할 수 있다.
이후, 구동모터 제어기는 구동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구동모터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켜 조절수단을 회전(즉, 자전)시킬 수 있고, 조절수단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1 높이조절 축과 제2 높이조절 축이 서로 멀어지도록 회전 이동(즉, 서로 신장되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며, 가압부 몸체(151)를 시계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 몸체(151)가 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하며 안착부(120)에 안착된 용기(10)를 가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에 절단부(140)가 관통홀(121)의 상부로 돌출되며 용기(10) 상에 위치한 필름(F)을 절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열부(160)는 가압부 몸체(151)의 하부에 설치되며, 전기적 신호에 의해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가열부(160)는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며, 필름(F)을 용기(10)의 테두리(11) 단부(E)에 융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용기(10)의 테두리(11) 단부(E)는 용기(10)에 형성되는 통공(즉, 증기 배출경로)보다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일 수 있다. 이에, 가열부(160)가 필름(F)을 용기(10)에 융착시켜 용기(10)를 밀봉시킬 수 있다.
필름부(170)는 몸체부(110)의 타단(후방측)에 위치하며, 필름(F)이 감겨있을 수 있다. 필름부(170)는 자유 구동되며, 필름(F)이 풀어지거나 혹은 감길 수 있다. 또한, 필름부(170)는 절단기(171)를 구비할 수 있다. 절단기(171)는 용기(10)에 필름(F)이 융착된 후, 필름(F)의 타측을 절단시킬 수 있다.
필름부(170)는 가압부(150)가 용기(10)를 가압하기 전 필름(F)을 인출하며, 인출된 필름(F)은 용기(10)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이후, 인출된 필름(F)은 가압부(150) 가열부(160)에 의해 용기(10)의 테두리(11) 단부(E)에 융착될 수 있다. 한편, 절단부(140)는 용기(10)에 필름(F)이 융착되기 전, 용기(10)에 통공(즉, 증기 배출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용기(10) 내부의 음식물로부터 발생된 증기가 용기(10)의 통공으로 배출되며, 용기(10)에 융착된 필름(F)이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이처럼, 밀폐된 용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에, 용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증기에 의해, 필름이 용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로 인해 필름이 용기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므로, 내부의 음식물이 용기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밀폐된 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가열할 때, 용기에 부착된 필름을 분리시키지 않고도 음식물을 가열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용기 실링장치 110: 몸체부
120: 안착부 130: 지지부
140: 절단부 150: 가압부
160: 가열부 170: 필름부
120: 안착부 130: 지지부
140: 절단부 150: 가압부
160: 가열부 170: 필름부
Claims (3)
- 용기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수용홀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용기의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배치되며, 일측에 관통홀을 가지는 안착부;
일단이 상기 안착부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연결되며, 상하방향으로 신장 수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절단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용기를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전기적 신호에 의해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는 가열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용기의 상부에 필름을 인출하기 위한 필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의 테두리에 통공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의 상측으로 돌출 가능하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설치되는 절단부 몸체;
상기 절단부 몸체의 둘레를 따라 상측으로 돌출되는 블레이드;
상기 절단부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를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시키기 위한 발열선;
상기 절단부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절단부 몸체와 상기 용기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기; 및
상기 절단부 몸체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접촉 감지기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상기 몸체부의 일측을 향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절단된 상기 용기의 절단 파편을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푸셔;를 포함하는 용기 실링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일측이 상기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에 상기 가열부가 결합되는 가압부 몸체;
상기 가압부 몸체의 타측에 결합되는 손잡이; 및
상기 가압부 몸체에 접촉 가능하고, 회전되는 상기 가압부 몸체의 하부면에 접촉하며 제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 신장 수축 가능하게 형성되는 로커;를 포함하고,
상기 로커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절수단;
상기 조절수단의 하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왼나사나 오른나사 방식으로 결합되며, 하단이 상기 몸체부에 지지되는 제1 높이조절 축;
상기 조절수단의 상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오른나사나 왼나사 방식으로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가압부 몸체의 하면에 접촉 가능한 제2 높이조절 축; 및
상기 조절수단을 자전시킬 수 있도록, 회전 구동력을 생성하기 위한 구동모터;
상기 제2 높이조절 축에 결합되고, 상기 가압부 몸체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하중 측정센서;
상기 하중 측정센서에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모터 제어기;를 포함하는 용기 실링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8671A KR102419483B1 (ko) | 2022-03-29 | 2022-03-29 | 용기 실링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8671A KR102419483B1 (ko) | 2022-03-29 | 2022-03-29 | 용기 실링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19483B1 true KR102419483B1 (ko) | 2022-07-11 |
Family
ID=82396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8671A KR102419483B1 (ko) | 2022-03-29 | 2022-03-29 | 용기 실링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1948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2706B1 (ko) * | 2011-08-23 | 2012-03-12 | 일흥자동기계(주) | 자동 컵 실링머신 |
KR20130027753A (ko) | 2011-09-08 | 2013-03-18 | 오상자이엘 주식회사 | 낱개 식품포장용 실링장치 |
KR101250433B1 (ko) * | 2011-12-13 | 2013-04-08 | 주식회사 엔터라인 | 반자동 포장용기 밀봉장치 |
KR101629367B1 (ko) * | 2015-11-23 | 2016-06-10 | 조수현 |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 |
-
2022
- 2022-03-29 KR KR1020220038671A patent/KR10241948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2706B1 (ko) * | 2011-08-23 | 2012-03-12 | 일흥자동기계(주) | 자동 컵 실링머신 |
KR20130027753A (ko) | 2011-09-08 | 2013-03-18 | 오상자이엘 주식회사 | 낱개 식품포장용 실링장치 |
KR101250433B1 (ko) * | 2011-12-13 | 2013-04-08 | 주식회사 엔터라인 | 반자동 포장용기 밀봉장치 |
KR101629367B1 (ko) * | 2015-11-23 | 2016-06-10 | 조수현 |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208593T3 (es) | Maquina de cocina con un recipiente de agitacion. | |
KR102419483B1 (ko) | 용기 실링장치 | |
US3849971A (en) | A tool for sealing a container, such as a cup, bottle, jar or the like | |
EP1444135A4 (en) | METHOD FOR THE INDUCTION SEALING OF A PLASTIC PART IN A COMPOSITE CONTAINER | |
KR101629367B1 (ko) | 휴대 용기용 포장장치 | |
KR20190001513U (ko) | 발열기능을 갖는 배달용 가방 | |
US4276734A (en) | Rotary filling and capping apparatus | |
US6775472B2 (en) | Radiant energy device for shrinking a thin film | |
EP4003705A1 (en) | Production of collapsible pouches having a fitment | |
WO2018011715A1 (en) | Hermetic sealing device for packages containing food products. | |
CN210520837U (zh) | 食物加工杯及食物加工机 | |
ES2672073T3 (es) | Dispositivo para el sellado de embalajes | |
CN114174047B (zh) | 可热密封膜材料的脉冲热密封 | |
FI70185C (fi) |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bildande av en foerpackning i en vakuumkammare | |
KR20070012890A (ko) | 제어 센서를 구비한 죽 제조기 | |
US20070164012A1 (en) | Container manufacturing device | |
KR102135940B1 (ko) | 휴대용 젖병 가열장치 | |
US11865793B2 (en) | Production of collapsible pouches | |
WO2017211801A1 (en) | A food heating device | |
US20180000275A1 (en) | Cordless liquid heating apparatus | |
GB2267700A (en) | Hot food vending machine | |
CN210761572U (zh) | 一种薄膜输送装置 | |
RU2103206C1 (ru) |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упаковочный аппарат | |
CN205525155U (zh) | 一种太阳能预加热式真空包装机 | |
JP2024122636A (ja) | カップ状容器の自動蓋部開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