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193B1 - 빙수 용기 - Google Patents

빙수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193B1
KR101606193B1 KR1020140080654A KR20140080654A KR101606193B1 KR 101606193 B1 KR101606193 B1 KR 101606193B1 KR 1020140080654 A KR1020140080654 A KR 1020140080654A KR 20140080654 A KR20140080654 A KR 20140080654A KR 101606193 B1 KR101606193 B1 KR 101606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transparent cup
container
ice water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0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010A (ko
Inventor
신영순
Original Assignee
신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순 filed Critical 신영순
Priority to KR1020140080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193B1/ko
Publication of KR20160002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65D85/7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for ice-c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4Trays or like shallow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에 구비되는 외부 투명컵 및 상기 외부 투명컵 상에 구비되는 내부 접시부를 포함하는 빙수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외부 투명컵은, 내부에 드라이아이스 및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컵 형상을 갖는 외부 용기부와, 상기 외부 용기부의 상단 외주연과 일체로 연장되어 방사상으로 펼쳐진 형상을 갖는 파지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접시부는, 내부에 빙수를 수용할 수 있는 컵 형상을 갖고서 상기 외부 용기부 안에 수용되는 빙수 용기부와, 상기 빙수 용기부의 상단 외주연과 일체로 연장되어 방사상으로 펼쳐진 형상을 갖고서 상기 파지 날개부 내에 수납되는 안착 날개부와, 상기 빙수 용기부와 안착 날개부의 외면에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복수개의 골부를 포함하여, 상기 외부 투명컵의 외부 용기부 내의 드라이아이스가 승화되면서 발생되는 증기안개가 내부 접시부의 빙수 용기부 및 안착 날개부의 외면에 복수개 형성된 골부를 통해 빠져나오면서 빙수 용기부 내의 빙수 주변에 쌓여 머무르게 함으로써, 빙수에 냉기를 더욱 더함과 동시에 차가움을 시각적으도 연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빙수 용기{CONTAINER HAVING ICE FLAKES WITH SYRUP}
본 발명은 빙수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라이아이스와 물이 채워진 외부 투명컵 상에 빙수가 담긴 내부 접시부를 적층함으로써, 내부 접시부의 냉기를 소정시간 동안 유지하면서도, 드라이아이스가 승화되면서 발생되는 증기안개가 내부 접시부의 빙수 주변에 쌓여 머무를 수 있도록 구성한 빙수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빙수(氷水)는 여름철에 가장 인기 있는 대표적인 빙과류 음식 중의 하나이다.
상기 빙수는 용기 내에 분쇄된 얼음과 우유를 넣고, 여기에 수박, 딸기 및 파인애플과 같은 과일류를 잘게 썰어 넣거나, 팥, 떡 및 젤리 등을 넣어서 시원하게 먹는 빙과류 음식이다.
이러한 빙수를 넣는 종래기술에 따른 빙수 용기가 실용신안등록 제20-0364945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즉, 상기 문헌 1에 따른 팥빙수 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표면에 스크류무늬를 형성하는 돌출부(10)와 만곡부(20)가 각각 형성된 작은 크기의 빙수 용기(1) 및 큰 크기의 빙수 용기(1-1)를 구비하며, 상기 작은 크기의 빙수 용기(1) 및 큰 크기의 빙수 용기(1-1) 사이의 공간(30)에 얼음을 넣어 빙수가 빨리 녹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364945호(명칭 : 팥빙수 용기, 출원인 : 주식회사 삼영시스템, 등록일 : 2004년 10월05일)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팥빙수 용기는, 외부표면에 돌출부와 만곡부로 이루어진 스크류무늬를 형성하여, 손으로 잡기 편하고, 미끄럼이 방지되며, 손가락에 닿는 용기외부의 표면적이 감소하여 차가움을 덜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외부의 큰 크기의 빙수 용기의 높이가 내부의 작은 크기의 빙수 용기에 비해 낮게 제작되어 있어서, 공간 내의 얼음에 의한 냉기가 빙수 주변에 쌓이지 않고 외부로 그냥 분산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팥빙수 용기는, 그 목적 달성을 위해 본원의 외부 투명컵에 대응되는 큰 크기의 빙수 용기에도 돌출부와 오목부로 이루어진 스크류무늬를 각각 형성하여야 하므로 빙수 용기의 제작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파지 날개부를 갖는 외부 투명컵에 물과 드라이아이스를 넣고 그 위에 빙수가 담긴 내부 접시부를 올려 놓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빙수의 냉기를 소정시간 동안 유지하면서도, 내부 접시부의 안착 날개부 보다 외부 투명컵의 파지 날개부를 높게 구성하여, 외부 투명컵 내의 드라이아이스가 승화되면서 발생되는 증기안개가 내부 접시부의 외면에 형성된 기다란 골부를 통해 빠져나오면서 내부 접시부 안의 빙수 주변에 쌓여 머무르게 함으로써, 빙수에 냉기를 더욱 더함과 동시에 차가움을 시각적으로도 연출할 수 있는 빙수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목적 및 다른 추가적인 목적들이, 첨부되는 청구항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들에게 명백히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빙수 용기는, 하부에 구비되는 외부 투명컵(100) 및 상기 외부 투명컵 상에 구비되는 내부 접시부(200)를 포함하는 빙수 용기로서, 상기 외부 투명컵(100)은, 내부에 드라이아이스(112) 및 물(114)을 수용할 수 있는 컵 형상의 외부 용기부(110)와, 상기 외부 용기부(110)의 상단 외주연과 일체로 연장되어 방사상으로 펼쳐진 형상을 갖는 파지 날개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접시부(200)는, 내부에 빙수(205)를 수용할 수 있는 컵 형상을 갖고서 상기 외부 용기부(110) 안에 수용되는 빙수 용기부(210)와, 상기 빙수 용기부(210)의 상단 외주연과 일체로 연장되어 방사상으로 펼쳐진 형상을 갖고서 상기 파지 날개부(120) 내에 수납되는 안착 날개부(220)와, 상기 빙수 용기부(210)와 안착 날개부(220)의 외면에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복수개의 골부(225)를 포함하여, 상기 외부 투명컵(100)의 외부 용기부(110) 내의 드라이아이스(112)가 승화되면서 발생되는 증기안개(235)가 내부 접시부(200)의 빙수 용기부(210) 및 안착 날개부(220)의 외면에 복수개 형성된 골부(225)를 통해 빠져나오면서 빙수 용기부(210) 내의 빙수(205) 상에 쌓이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사상으로 펼쳐진 상기 파지 날개부(120)의 말단 외주연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통해 파지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손잡이부(130)가 더 구비되어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 접시부(200)의 안착 날개부(220) 보다 외부 투명컵(100)의 파지 날개부(120)가 높이부(215)를 통해 상부로 더 길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골부(225)를 통해 외부 투명컵(100)으로부터 승화되면서 빠져나오는 증기안개(235)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빙수 용기에 따르면, 파지 날개부를 갖는 외부 투명컵에 물과 드라이아이스를 넣고 그 위에 빙수가 담긴 내부 접시부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빙수의 냉기를 소정시간 동안 유지하여 빙수가 쉽게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접시부의 안착 날개부 보다 외부 투명컵의 파지 날개부를 높게 구성하여, 외부 투명컵 내의 드라이아이스가 승화되면서 발생되는 증기안개가 내부 접시부의 외면에 형성된 기다란 골부를 통해 빠져나오면서 내부 접시부 안의 빙수 주변에 쌓여 머무르게 함으로써, 빙수에 냉기를 더욱 더함과 동시에 차가움을 시각적으로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투명컵의 상부에 구비된 파지 날개부의 말단에 일체로 수평 연장된 손잡이부를 간편하게 구성함으로써 빙수 용기의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빙수 용기의 사용 후에 외부 투명컵은 재사용할 수 있으며, 내부 접시부의 뒷처리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들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히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팥빙수 용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빙수 용기의 빙수 접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빙수 용기의 외부 투명컵과 빙수 접시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외부 투명컵과 빙수 접시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사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빙수 용기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면들 중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며,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후술하는 실시예 및 실시 형태들은 예시로서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여기에 주어진 상세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및 동등물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빙수 용기의 빙수 접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빙수 용기의 외부 투명컵과 빙수 접시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외부 투명컵과 빙수 접시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사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빙수 용기는, 하부에 구비되는 외부 투명컵(100) 및 상기 외부 투명컵 상에 구비되는 내부 접시부(2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외부 투명컵(100)은 내부의 드라이아이스를 통해 발생되는 차가운 증기안개를 상부로 승화시키는 수단으로서, 외부 용기부(110), 파지 날개부(120) 및 손잡이부(130)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 용기부(110)는 내부에 드라이아이스(112) 및 물(114)을 수용할 수 있는 "∪"자의 컵 형상으로서,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원지름이 점점더 줄어드는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드라이아이스(112)는 고체상태로 있다가 물(114)과 혼합되어 기체로 변화되면서 승화됨과 동시에 차가운 증기안개를 발생시켜 주변의 온도를 급격히 낮추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파지 날개부(120)는 상기 "∪"자 형상을 갖는 외부 용기부(110)의 상단 외주연과 일체로 연장되고, 예를 들어 나팔 꽃잎과 같이 방사상으로 펼쳐진 형상을 가지며, 후술하는 내부 접시부(200)의 안착 날개부(220)를 내부에 수용하여 지지한다.
이때, 파지 날개부(120)는 후술하는 내부 접시부(200)의 안착 날개부(220)의 말단보다 더 길게 연장된 높이부(125)를 갖는다.
상기 손잡이부(130)는 방사상으로 펼쳐진 상기 파지 날개부(120)의 말단 외주연으로부터 수평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을 통해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드라이아이스(112)와 물(114)로 채워진 외부 용기부(110)를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파지하면 화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상기 손잡이부(130)를 통해 사용자가 안전하게 외부 투명컵(100)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내부 접시부(200)는 상기 외부 투명컵(100) 상에 수납되어 내부에 담겨진 빙수(205)가 상기 외부 투명컵 내의 드라이아이스로부터 승화되는 증기안개의 냉기를 소정시간 동안 유지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빙수 용기부(210), 안착 날개부(220) 및 골부(225)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빙수 용기부(210)는 내부에 빙수(205)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투명컵(100)의 외부 용기부(110)와 유사하게 "∪"자의 컵 형상을 가지며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원지름이 점점더 줄어드는 형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빙수(205)는 상기 빙수 용기부(210) 내에 분쇄된 얼음과 우유를 넣고, 수박, 딸기, 파인애플과 같은 과일류를 잘게 썰어 넣거나, 팥, 떡 및 젤리 등을 넣어 차갑게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이다.
한편, 상기 안착 날개부(220)는 상기 외부 투명컵(100)의 파지 날개부(120)와 유사하게, 상기 "∪"자 형상을 갖는 빙수 용기부(210)의 상단 외주연과 일체로 연장되고, 예를 들어 나팔 꽃잎과 같이 방사상으로 펼쳐진 형상을 갖고서 상기 파지 날개부(120) 내에 안착된다.
즉, 상기 외부 투명컵(100)의 외부 용기부(110)는 내부 접시부(200)의 빙수 용기부(210)에 비해 높이 및 원지름이 길게 형성되어, 상기 빙수 용기부(210)가 상기 외부 용기부(110) 내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외부 투명컵(100)의 파지 날개부(120)는 내부 접시부(200)의 안착 날개부(220)에 비해 높이 및 원지름이 길게 형성되어, 상기 안착 날개부(220)가 상기 파지 날개부(120) 내에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접시부(200)가 외부 투명컵(100)에 수용 안착된 상태에서 내부에 담겨진 빙수(205)를 섞을 때, 상기 내부 접시부(200)가 외부 투명컵(100)으로부터 쉽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파지 날개부(120)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노치형상의 회전방지용돌출부(120a)가 방사방향으로 일정 간격 다수 형성되고, 상기 안착 날개부(220)에는 회전방지용돌출부를 수용가능하도록 방사방향으로 일정 간격 다수의 회전방지용수용홈(220a)이 더 형성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골부(225)는 상기 내부 접시부(200)를 구성하는 빙수 용기부(210)와 안착 날개부(220)의 외면에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길다란 홈이 복수개 형성된 것이다.
즉, 상기 외부 투명컵(100)의 외부 용기부(110) 내의 드라이아이스(112)가 승화되면서 발생되는 증기안개(235)가 내부 접시부(200)의 빙수 용기부(210) 및 안착 날개부(220)의 외면에 복수개 형성된 기다란 골부(225)를 통해 빠져나오면서 빙수 용기부(210) 안의 빙수(205) 주변에 쌓여 머무르게 하여, 빙수(205)에 냉기를 더욱 가미함과 동시에 차가움을 시각적으로도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부 접시부(200)의 안착 날개부(220) 보다 외부 투명컵(100)의 파지 날개부(120)가 연장된 높이부(125)를 통해 더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골부(225)를 통해 외부 투명컵(100)으로부터 승화되면서 빠져나오는 증기안개(235)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증기안개(235)는 공기보다 더 무겁기 때문에 상기 빙수 용기부(210) 쪽을 향하여 가라앉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투명컵(100)으로부터 드라이아이스에 의해 승화되는 증기안개(205)를 통해 내부 접시부(200) 내의 빙수(205)의 냉기를 소정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으므로 빙수(205)가 쉽게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증기안개(235)가 내부 접시부(200)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기다란 골부(225)를 통해 빠져나오면서 내부 접시부(200) 안의 빙수(200) 주변에 쌓여 머무르게 하여 빙수에 냉기를 더욱 더함과 동시에 차가움을 시각적으로도 연출할 수 있으며, 외부 투명컵(100)의 파지 날개부(120)의 말단에 일체로 수평 연장된 손잡이부(130)를 간편하게 구성함으로써 빙수 용기의 제작 비용을 종래기술에 비해 현저히 절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100 : 외부 투명컵 110 : 외부 용기부
112 : 드라이아이스 120 : 파지 날개부
130 : 손잡이부 200 : 내부 접시부
205 : 빙수 210 : 빙수 용기부
220 : 안착 날개부 225 : 골부
235 : 증기안개

Claims (3)

  1. 하부에 구비되는 외부 투명컵(100) 및 상기 외부 투명컵 상에 구비되는 내부 접시부(200)를 포함하는 빙수 용기로서,
    상기 외부 투명컵(100)은,
    내부에 드라이아이스(112) 및 물(114)을 수용할 수 있는 컵 형상의 외부 용기부(110)와,
    상기 외부 용기부(110)의 상단 외주연과 일체로 연장되어 방사상으로 펼쳐진 형상을 갖는 파지 날개부(120)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접시부(200)는,
    내부에 빙수(205)를 수용할 수 있는 컵 형상을 갖고서 상기 외부 용기부(110) 안에 수용되는 빙수 용기부(210)와,
    상기 빙수 용기부(210)의 상단 외주연과 일체로 연장되어 방사상으로 펼쳐진 형상을 갖고서 상기 파지 날개부(120) 내에 수납되는 안착 날개부(220)와,
    상기 빙수 용기부(210)와 안착 날개부(220)의 외면에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복수개의 골부(225)를 포함하여,
    상기 외부 투명컵(100)의 외부 용기부(110) 내에 투입된 드라이아이스(112)가 승화되면서 발생되는 증기안개(235)가 내부 접시부(200)의 빙수 용기부(210) 및 안착 날개부(220)의 외면에 복수개 형성된 골부(225)를 통해 빠져나오면서 빙수 용기부(210) 내의 빙수(205) 상에 쌓이도록 구성되되,
    상기 파지 날개부(120)의 말단 외주연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통해 파지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손잡이부(1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외부 투명컵(100)의 파지 날개부(120)는, 상기 내부 접시부(200)가 안착 수용시 골부(225)를 통해 외부 투명컵(100)으로부터 승화되면서 빠져나오는 증기안개(235)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착 날개부(220) 보다 상부로 더 길게 돌출되게 높이부(125)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내부 접시부(200)가 외부 투명컵(100)에 수용 안착된 상태에서 내부에 담겨진 빙수(205)를 섞을 때, 상기 내부 접시부(200)가 외부 투명컵(100)으로부터 쉽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파지 날개부(120)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노치형상의 회전방지용돌출부(120a)가 방사방향으로 일정 간격 다수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안착 날개부(220)에는 회전방지용돌출부를 수용가능하도록 방사방향으로 일정 간격 다수의 회전방지용수용홈(220a)이 더 형성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수 용기.
  2. 삭제
  3. 삭제
KR1020140080654A 2014-06-30 2014-06-30 빙수 용기 KR101606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654A KR101606193B1 (ko) 2014-06-30 2014-06-30 빙수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0654A KR101606193B1 (ko) 2014-06-30 2014-06-30 빙수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010A KR20160002010A (ko) 2016-01-07
KR101606193B1 true KR101606193B1 (ko) 2016-03-24

Family

ID=55168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0654A KR101606193B1 (ko) 2014-06-30 2014-06-30 빙수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1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351U (ko) 2022-08-17 2024-02-26 제이와이커스텀(주) 빙수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7174B1 (ko) * 2021-12-14 2024-03-14 김정희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2685A (ja) 2000-05-15 2001-11-20 Masanori Kakushin 断熱二重容器
KR200364945Y1 (ko) * 2004-07-23 2004-10-15 주식회사 삼영시스템 팥빙수 용기
JP2009029443A (ja) 2007-07-25 2009-02-12 Kirin Brewery Co Ltd 複合カッ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22685A (ja) 2000-05-15 2001-11-20 Masanori Kakushin 断熱二重容器
KR200364945Y1 (ko) * 2004-07-23 2004-10-15 주식회사 삼영시스템 팥빙수 용기
JP2009029443A (ja) 2007-07-25 2009-02-12 Kirin Brewery Co Ltd 複合カッ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351U (ko) 2022-08-17 2024-02-26 제이와이커스텀(주) 빙수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010A (ko)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6088B1 (ko) 성형 용기
US5345784A (en) Salad bowl having a refrigerant chamber
AU2010100178A4 (en) Temperature keeping container
US20110067432A1 (en) Temperature keeping container
US20080279992A1 (en) Holder for objects which melt, drip or leaves finger imprints
US8460729B2 (en) Flexible and floating egg cooking apparatus
US20110223292A1 (en) Frozen confection holder
KR101606193B1 (ko) 빙수 용기
US11957267B2 (en) Egg apparatus
US20150344178A1 (en) Container system
DK2429309T3 (en) And method for producing a milkshake
US4639376A (en) Ice cream handle
US10531678B2 (en) Packaging system for delivering consistent serving sizes of hard ice cream
US7628033B1 (en) Removable cooler accessory to prevent soaking
US20200172321A1 (en) Removable Lining System For Coolers
EP1985951A1 (en) Beverage cool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60023795A1 (en) Combination Drink Bottle and Frozen Comestible Maker
US20160332798A1 (en) Container Assembly
US9289005B1 (en) Frozen treat mold system
US9877613B1 (en) Food storage device for children
JP2006204690A (ja) 生鮮食品用保冷台
JP6916556B1 (ja) 冷却ほ乳瓶及びそれに使用する製氷容器
US20240083669A1 (en) Cooling container and cooling method, in particular for ice cream
TWM497155U (zh) 冰淇淋容器
US20130022725A1 (en) Detachable frozen pop mol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