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196U -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196U
KR20170004196U KR2020160003091U KR20160003091U KR20170004196U KR 20170004196 U KR20170004196 U KR 20170004196U KR 2020160003091 U KR2020160003091 U KR 2020160003091U KR 20160003091 U KR20160003091 U KR 20160003091U KR 20170004196 U KR20170004196 U KR 201700041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food
finger support
container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0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윤
Original Assignee
이종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윤 filed Critical 이종윤
Priority to KR20201600030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196U/ko
Publication of KR201700041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19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82Integral handles
    • B65D25/2897Integral handles formed in the wall(s), e.g. roughenings, cavities or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82Integral handles
    • B65D25/2888Integral handles provided near to or at the upper edge or ri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03Articles enclosed in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the whole being wrap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외측 둘레로 돌출되어 내부에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음식보관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의 측면부 상단에서 측면부의 외측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부의 측면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경계에서 상기 측면부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손가락 지지부가 구비되어 테두리의 폭을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가 확실하게 잡을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확보할 수 있어 사용자가 잡고 이동하기 용이하여 사용 시 편의성을 크게 형상시키며 이동 중 낙하사고를 방지하여 이동 중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Disposable Food Packing Container}
본 고안은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잡고 이동하는 데 편의성을 향상시킨 음식물 포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음식용기는 마트나 시장 등에서 판매되는 음식물을 담는 용도로 사용되거나, 야외에서 뜨거운 물을 용기 내에 붓고 바로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 즉석음식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 들어 야외에서의 조리의 편의성에 의해 용기 내에 뜨거운 물을 붓고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즉석음식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즉석음식은 3분 이내에 조리할 수 있는 즉석라면과 오뎅 등에서 짜장면, 짬봉, 떡볶이 등으로 점차 다양화되고 있다.
종래 일회용 음식용기는 합성수지 또는 종이재질로 주로 제조되고 있고, 용기를 담는 용기부와 용기부의 상단에 외측둘레로 테두리가 돌출된 형상을 가진다.
종래 일회용 용기는 사용자가 잡고 이동할 때 주로 테두리를 잡고 이동하게 되는 데 테두리의 크기를 크게 형성할 수록 사용자가 잡고 이동하기엔 용이하나 테두리의 크기를 크게 하는 경우 수납이나 보관성이 저하되고, 제조원가가 상승되어 실제로는 용기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테두리부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제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 일회용 음식용기는 합성수지 또는 코팅된 종이로 제조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고 이동 시 미끄러져 놓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즉석음식에 사용되는 일회용 음식용기의 경우 뜨거운 물을 용기 내에 붓고 음식을 조리하기 때문에 용기를 잡고 이동하는 중에 손에 화상을 입거나 이동 중에 용기를 놓치게 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위험이 있었다.
국내실용신안등록 제20-0193560호 '일회용 음식물 용기'(2000.08.16 공고)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잡고 이동하기 편리하고, 이동 중 용기의 낙하 사고를 방지하는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는,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외측 둘레로 돌출되어 내부에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음식보관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의 측면부 상단에서 측면부의 외측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부의 측면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경계에서 상기 측면부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내부로 삽입되어 하면을 지지할 수 있는 손가락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손가락 지지부는 상면을 상기 테두리부와 공유하여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일체로 상기 측면부의 안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손가락 지지부는 평면 상에서 반원형 또는 원호형상을 가지고 돌출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측면부는 상기 바닥면부가 다각형상을 가져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손가락 지지부는 복수의 측면부 중 서로 마주보는 측면부의 중앙부분에 각각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바닥면부가 직사각형상이고, 상기 측면부는 2개의 장변과 2개의 단변에 해당되는 4개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 지지부는 상기 측면부 중 서로 마주보는 단변에 해당되는 한쌍의 측면부의 중앙부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측면부는 상기 바닥면부에서 상부로 벌어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손가락 지지부는 상기 측면부의 상단에서 안쪽으로 돌출된 상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하향된 측면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손가락 지지부의 내부에서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미끄럼 방지용 돌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는 상기 손가락 지지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전, 후 이동되어 상기 테두리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테두리부의 하부면으로 삽입되는 이동패널부, 상기 이동패널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이동 패널부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걸림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바닥면부에는 상기 음식보관공간 내로 담겨지는 음식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바닥 보강용 돌출부 및 보강용 홈부가 일체로 다수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음식보관공간 내로 담겨지는 음식의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보강용 리브와 측면 보강용 돌출부가 일체로 돌출되며, 상기 측면부는 내측 둘레로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경계높이를 표시하는 경계높이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은 테두리의 폭을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가 확실하게 잡을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확보할 수 있어 사용자가 잡고 이동하기 용이하여 사용 시 편의성을 크게 형상시키며 이동 중 낙하사고를 방지하여 이동 중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즉석음식에 사용되어 뜨거운 물에 의해 이동이 어려운 일회용 음식용기의 이동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낙하 사고에 따른 사용자의 화상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의 일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는 내부에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음식보관공간이 형성된 용기부(10)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부(10)는 바닥면부(11)와 상기 바닥면부(11)의 외측 둘레로 돌출되어 내부에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음식보관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부(12)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는 종이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통상의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를 제조하는 어떠한 재질로도 변형실시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바닥면부(11)에는 상기 음식보관공간 내로 담겨지는 음식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바닥 보강용 돌출부(11a) 및 보강용 홈부(11b)가 일체로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12)에는 상기 음식보관공간 내로 담겨지는 음식의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보강용 리브(12a)와 측면 보강용 돌출부(12b)가 일체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부(12)는 내측 둘레로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경계높이를 표시하는 경계높이 표시부(12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계높이 표시부(12c)는 상기 음식보관공간 내로 조리를 위한 적정량의 물을 넣을 수 있도록 하는 표시부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음식보관공간 내에 해당 음식물을 넣었을 때 상기 용기부(10)의 상면에 커버용 비닐랩을 씌울 수 있는 적정 높이를 표시한 것일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예로 변형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용기부(10)는 사각형상의 바닥면부(11)를 가지고, 사각형의 각 변에 돌출되어 서로 연결되는 4개의 측면부(12)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용기부(10)가 원형의 바닥면부와 원형의 바닥면부를 둘러싸는 원통형 측면부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외에도 내부에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음식보관공간이 형성되는 공지의 어떠한 형상으로도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측면부(12)의 상단에는 상기 측면부(12)의 외측둘레를 따라 테두리부(2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부(20)는 상기 용기부(10)의 외측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용기부(10)의 상단에서 상기 용기부(10)와 일체로 가로방향으로 돌출되어 즉, 지면과 나란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테두리부(20)는 상기 용기부(10)의 상면을 덮는 뚜껑 또는 커버를 부착하거나 장착할 수 있는 장착면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 역할을 한다.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은 상기 용기부(10)의 측면부(12)과 상기 테두리부(20)의 경계에서 상기 측면부(12)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내부로 삽입되어 하면을 지지할 수 있는 손가락 지지부(30)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용기부(10)의 측면부(12)과 상기 테두리부(20)의 경계는 평면 상에서 상기 테두리의 안쪽 모서리와 상기 측면부(12)의 내측면을 구분하는 경계선이며, 상기 측면부(12)의 내측면 상단과 일치되는 경계선으로 설명될 수 있다.
상기 손가락 지지부(30)는 평면 상에서 상기 테두리의 안쪽 즉, 상기 측면부(12)의 안쪽으로 돌출되며 상기 측면부(12)의 상단부에서 상기 테두리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측면부(12)의 안쪽으로 돌출된다.
상기 손가락 지지부(30)는 상면을 상기 테두리부(20)와 공유하여 상기 테두리부(20)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일체로 상기 측면부(12)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실질적으로 상기 테두리부(20)의 폭 즉,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길이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손가락 지지부(30)는 평면 상에서 반원형 또는 원호형상을 가지고 돌출되어 원호형상을 가지는 손가락 끝단이 위치되는 곳임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손가락의 끝단이 안정적으로 위치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때 자투리 공간없이 효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부(12)의 안쪽으로 상기 손가락 지지부(30)의 돌출되는 높이(h)는 상기 테두리부(12)의 폭(w) 대비 40 ~ 60%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상기 테두리부(12)의 폭(w)이 1cm인 경우 상기 손가락 지지부(30)의 돌출되는 높이(h)는 4mm ~ 6mm로 형성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테두리부(12)의 폭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손가락 지지부(30)를 돌출시켜 사용자가 안전하게 잡을 수 있는 길이를 확보함과 동시에 상기 용기부(10) 내 음식보관공간을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비율인 것이다.
또한, 상기 손가락 지지부(30)는 상기 측면부(12)에서 서로 마주보는 복수의 쌍으로 구비되어 사용 편의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상기 손가락 지지부(30)는 서로 마주보는 모든 측면부(12) 즉, 일 예로 4개의 측면부(12)를 가지는 4각형상의 용기부(10)에서 4개의 측면부(12) 중앙부분에 각각 상기 손가락 지지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가락 지지부(30)는 상기 측면부(12)에서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어 사용자가 양손을 사용하여 양손으로 각각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닥면부(11)가 직사각형상인 경우 상기 측면부(12)는 2개의 장변과 2개의 단변에 해당되는 4개의 측면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손가락 지지부(30)는 상기 측면부(12) 중 서로 마주보는 단변에 해당되는 한쌍의 측면부(12)의 중앙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즉, 상기 측면부(12)는 상기 바닥면부(11)가 다각형상을 가져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손가락 지지부(30)는 복수의 측면부(12) 중 서로 마주보는 측면부(12)의 중앙부분에 각각 서로 마주보게 배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양손으로 동일한 위치에서 측면부(12)의 중앙부분을 잡을 수 있어 이동 시 안정감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기 측면부(12)는 상기 바닥면부(11)에서 상부로 벌어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손가락 지지부(30)는 상기 측면부(12)의 상단에서 안쪽으로 돌출된 상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하향된 측면을 구비하여 상기 음식보관공간 내에서 음식물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고, 상기 음식보관공간을 최대한 넓게 효율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로써 상기 손가락 지지부(30)의 내부에서 상기 테두리부(20)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미끄럼 방지용 돌기부(4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끄럼 방지용 돌기부(40)는 상기 손가락 지지부(30)의 내부에서 상기 테두리부(20)의 외측 단부 측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배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하여 상기 손가락 지지부(30)의 상면 또는 하부면 및 상기 테두리부(20)의 상면 또는 하부면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도 4에서는 상기 미끄럼 방지용 돌기부(40)가 상기 테두리부(20)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테두리부(20)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테두리부(20)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로써,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는 상기 손가락 지지부(30)의 내부에 배치되며 전, 후 이동되어 상기 테두리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테두리부(20)의 하부면으로 삽입되는 이동패널부(50), 상기 이동패널부(5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부(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부(52)는 상기 테두리부(20)의 하부면에서 상기 손가락 지지부(30)의 양 측에 각각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상기 이동패널부(50)는 전방 측 즉, 선단부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테두리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패널부(50)는 미 사용시 상기 테두리부(20)의 하부면으로 삽입된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테두리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보관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패널부(50)는 사용 시에만 상기 테두리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미 사용시에는 상기 테두리부(20)의 하부 측에 위치하고 상기 테두리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의 수납이나 보관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상기 이동패널부(50)는 상기 테두리부(2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용기부(10) 내에 뜨거운 즉석음식이 담긴 상태에서 이동되어야 할 때 인출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패널부(50)는 라면, 떡볶이, 자장면, 짬뽕, 오뎅 등과 같이 내부에 뜨거운 물을 부어 조리되는 즉석음식을 담긴 상태에서 인출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최대한 상기 용기부(10)와 이격되게 위치시킴으로써 손가락에 열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상기 용기부(10) 내에 뜨거운 음식이 담겨져 있는 경우에도 상기 이동패널부(50)를 상기 테두리부(20)의 외측으로 인출하여 사용함으로써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동패널부(50)의 하면에는 걸림 돌출부(5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 돌출부(51)는 상기 이동패널부(50)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잡을 때 손가락이 걸림으로써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림 돌출부(51)는 상기 이동패널부(50)의 상면에도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이동패널부(50)의 하부면과 상기 상부면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걸림 돌출부(51)는 이격되게 다수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더 잘 걸려져 미끄러짐을 더 효율적으로 방지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이동패널부(50)는 후단부 측의 양측에 각각 스토퍼돌기(미도시), 상기 가이드레일부(52)의 선단부에는 상기 스토퍼돌기가 걸리는 스토퍼 걸림부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패널부(50)가 상기 가이드레일부(52)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러한 스토퍼 구조는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에서 이동체의 이탈을 방지하는 공지의 다양한 구조로 변형실시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고안은 테두리의 폭을 최소화하면서도 사용자가 확실하게 잡을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확보할 수 있어 사용자가 잡고 이동하기 용이하여 사용 시 편의성을 크게 형상시키며 이동 중 낙하사고를 방지하여 이동 중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본 고안은 즉석음식에 사용되어 뜨거운 물에 의해 이동이 어려운 일회용 음식용기의 이동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낙하 사고에 따른 사용자의 화상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용기부 11 : 바닥면부
11a : 바닥 보강용 돌출부 11b : 보강용 홈부
12 : 측면부 12a : 보강용 리브
12b : 측면 보강용 돌출부 12c : 경계높이 표시부
20 : 테두리부 30 : 손가락 지지부
40 : 미끄럼 방지용 돌기부 50 : 이동패널부
51 : 걸림 돌출부 60 : 가이드레일부

Claims (10)

  1. 바닥면부와 상기 바닥면부의 외측 둘레로 돌출되어 내부에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음식보관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의 측면부 상단에서 측면부의 외측둘레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용기부의 측면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경계에서 상기 측면부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이 내부로 삽입되어 하면을 지지할 수 있는 손가락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지지부는 상면을 상기 테두리부와 공유하여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 상에 일체로 상기 측면부의 안쪽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지지부는 평면 상에서 반원형 또는 원호형상을 가지고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상기 바닥면부가 다각형상을 가져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손가락 지지부는 복수의 측면부 중 서로 마주보는 측면부의 중앙부분에 각각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부가 직사각형상이고, 상기 측면부는 2개의 장변과 2개의 단변에 해당되는 4개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가락 지지부는 상기 측면부 중 서로 마주보는 단변에 해당되는 한쌍의 측면부의 중앙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상기 바닥면부에서 상부로 벌어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손가락 지지부는 상기 측면부의 상단에서 안쪽으로 돌출된 상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하향된 측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지지부의 내부에서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미끄럼 방지용 돌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지지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전, 후 이동되어 상기 테두리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테두리부의 하부면으로 삽입되는 이동패널부, 상기 이동패널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동 패널부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걸림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부에는 상기 음식보관공간 내로 담겨지는 음식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바닥 보강용 돌출부 및 보강용 홈부가 일체로 다수 형성되고,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음식보관공간 내로 담겨지는 음식의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보강용 리브와 측면 보강용 돌출부가 일체로 돌출되며,
    상기 측면부는 내측 둘레로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경계높이를 표시하는 경계높이 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KR2020160003091U 2016-06-07 2016-06-07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KR2017000419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091U KR20170004196U (ko) 2016-06-07 2016-06-07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091U KR20170004196U (ko) 2016-06-07 2016-06-07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196U true KR20170004196U (ko) 2017-12-15

Family

ID=61259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091U KR20170004196U (ko) 2016-06-07 2016-06-07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196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081A (ko) * 2021-12-14 2023-06-21 김정희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
EP4335771A1 (en) * 2022-09-09 2024-03-13 Faerch A/S Tray for packaging fresh food, particularly food capable of releasing liqui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560Y1 (ko) 2000-03-30 2000-08-16 홍성일 일회용 음식물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560Y1 (ko) 2000-03-30 2000-08-16 홍성일 일회용 음식물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081A (ko) * 2021-12-14 2023-06-21 김정희 종이재질의 음식물 용기
EP4335771A1 (en) * 2022-09-09 2024-03-13 Faerch A/S Tray for packaging fresh food, particularly food capable of releasing liqui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432B1 (ko) 플라스틱 보틀용의 핸들
US8146737B2 (en) Beverage cup carrier
JP4953986B2 (ja) 包装用容器、蓋、蓋付き包装用容器、および食品包装体
US20170334611A1 (en) Dish with lid
US20160007737A1 (en) Bakery tray assembly
US20090095754A1 (en) Stackable cover for container
CA2895880A1 (en) Cookware including lid having handle with utensil rest
KR20170004196U (ko)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US10377559B1 (en) Holder for a squeeze pouch
US8413840B2 (en) Handle for cookware
JP3131628U (ja) 食品包装用容器
JP5897314B2 (ja) 化粧料容器
JP5912284B2 (ja) 指掛け部を備えた包装用容器
KR102473849B1 (ko) 일체형 성찬식 컵
KR200486146Y1 (ko) 이중용기
KR101181510B1 (ko) 조리용기 뚜껑
JP2008308200A (ja) プラスチック製コンテナーの蓋
KR200341650Y1 (ko) 조리 용기
KR200485378Y1 (ko) 음식물 저장용기
KR20150004092U (ko) 조리용 용기 뚜껑
KR200469583Y1 (ko) 저장용기
KR200485099Y1 (ko) 식판 용기
JP3229669U (ja) ペットボトル容器
KR20190080231A (ko) 맞물림 방법으로 탈부착 하는 용기 및 홀더
JP3174777U (ja) 一つの円形飲料容器に用いる景品等の収納用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