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560Y1 - 일회용 음식물 용기 - Google Patents

일회용 음식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560Y1
KR200193560Y1 KR2020000009055U KR20000009055U KR200193560Y1 KR 200193560 Y1 KR200193560 Y1 KR 200193560Y1 KR 2020000009055 U KR2020000009055 U KR 2020000009055U KR 20000009055 U KR20000009055 U KR 20000009055U KR 200193560 Y1 KR200193560 Y1 KR 2001935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main body
storage chamber
sealing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0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일
Original Assignee
홍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일 filed Critical 홍성일
Priority to KR20200000090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5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5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5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1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in hot water, e.g. boil p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68Means for reclosing the cover after its first opening
    • B65D77/2072Mechanical means
    • B65D77/2076Mechanical means provided by the cover itself
    • B65D77/2084Mechanical means provided by the cover itself the cover being maintained reclosed by a part folded over the container ri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68Means for reclosing the cover after its first opening
    • B65D77/2096Adhes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을 익히는 과정에서 본체와 뚜껑을 밀봉시킬 수 있는 일회용 음식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플랜지부가 형성된 트인 개방부를 가지며, 건조된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용실을 구비한 본체와; 수용실의 개방부를 덮어 수용실을 밀폐시키는 뚜껑과; 음식물을 익히는 과정에서 수용실을 밀봉할 수 있도록 뚜껑과 본체를 밀봉시키는 밀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밀봉수단은 뚜껑의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되어 본체의 플랜지부를 감쌀 수 있도록 된 복수의 밀봉날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건조 음식물을 익히는 과정에서 밀봉수단을 통하여 본체와 뚜껑을 밀착시켜 기밀을 유지시킴으로써 수용실을 밀봉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수용실이 밀봉됨에 따라 책과 같은 무거운 물건을 뚜껑에 올려놓아야 하는 수고로움을 덜어주며, 수용실이 밀봉됨에 따라 음식물이 빠른 시간내에 취식하기에 알맞은 상태로 익혀지는 등 조리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일회용 음식물 용기{Bowl for instant food}
본 고안은 일회용 음식물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익히는 과정에서 본체와 뚜껑을 밀봉시킬 수 있는 일회용 음식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음식물 용기는 상부가 트인 개방부를 갖는 본체와, 본체의 개방부를 덮는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본체는 주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뚜껑은 주로 종이로 이루어진다. 뚜껑은 보통 열융착에 의해 본체의 상면에 부착되며, 일측에는 본체로부터 개방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체의 내부에는 건조된 음식물 예를 들어, 건조라면과 포장된 분말양념(일명, '스프') 등이 수용되어 있다.
한편, 일회용 라면을 일례로하여 용기내의 음식물을 취식하고자 할 경우를 살펴보면, 먼저 본체의 개방부로부터 뚜껑을 개방하고, 포장된 분말양념을 본체의 내부로부터 꺼낸 다음, 이를 개방하여 본체의 내부에 첨가한다. 그리고 본체의 내부에 소정량의 온수를 보충한 후, 다시 뚜껑을 이용하여 본체의 개방부를 밀봉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소정 시간이 지나면, 본체 내부의 건조라면은 온수에 의해 서서히 익혀지면서 부풀어 올라 먹을 수 있는 알맞은 상태로 조리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취식자는 본체의 개방부로부터 뚜껑을 개방하여 알맞게 조리된 라면을 취식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회용 음식물 용기는 건조 음식물을 익히는 과정에서 뚜껑의 상면에 책 등과 같은 무거운 물품을 올려 놓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즉, 건조 음식물을 익히려면, 본체의 내부에 소정량의 온수를 보충한 다음, 다시 뚜껑을 이용하여 본체의 개방부를 밀봉해야 한다. 그러나, 본체로부터 한 번 뜯어진 종이재질의 뚜껑은 다시 본체에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본체의 개방부를 밀봉하기 위하여 뚜껑의 손잡이로 본체의 상단을 감싸 본체 개방부를 임시로 덮은 다음, 그 상면에 책 등과 같은 무건운 물건을 올려 놓아야 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건조 음식물을 익히는 과정에서 본체와 뚜껑을 밀착시켜 본체의 개방부를 밀봉시키기 위한 일회용 음식물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음식물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음식물 용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음식물 용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및 사용상태도,
도 5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음식물 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2: 수용실
14: 개방부 16: 플랜지부
20: 뚜껑 22: 손잡이
24: 밀봉날개 25: 점착제(粘着劑)
26: 수용성 접착제층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플랜지부가 형성된 트인 개방부를 가지며, 건조된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용실을 구비한 본체와; 상기 수용실의 개방부를 덮어 상기 수용실을 밀폐시키는 뚜껑과; 음식물을 익히는 과정에서 상기 수용실을 밀봉할 수 있도록 상기 뚜껑과 본체를 밀봉시키는 밀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봉수단은 상기 뚜껑의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플랜지부를 감쌀 수 있도록 된 복수의 밀봉날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음식물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음식물 용기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음식물 용기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일회용 음식물 용기는 본체(10)를 구비한다. 이 본체(10)는 트인 개방부(14)를 갖는 수용실(12)을 구비하며, 트인 개방부(14)의 가장자리에는 플랜지부(16)가 형성된다. 수용실(12)에는 건조된 음식물, 에를 들면, 건조라면 및 분말양념 등이 수용된다. 본체(10)는 내부 수용물의 보온유지를 위해 또는 일회사용 후, 폐기하기 쉽도록 보통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에칠렌(PE)이나 고밀도 스치로폴등으로 제작된다. 한편, 본체(10)는 원통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에는 아래로 갈수록 점차 그 직경이 작아지는 대략 원통형 본체(10)가 일례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일회용 음식물 용기는 수용실(12)의 트인 개방부(14)를 덮는 뚜껑(20)을 구비한다. 이 뚜껑(20)은 종이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손잡이(2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뚜껑(20)의 내측은 외부의 수분이 수용실(12)로 침투할 수 없도록, 그리고 조리 과정중 수용실(12)로부터 발생되는 수증기에 의해 상기 뚜껑(20)이 파손되지 않도록 비닐 코팅된다. 이러한 뚜껑(20)은 열융착에 의해 본체(10)의 플랜지부(16)에 부착된다.
한편, 뚜껑(20)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복수의 밀봉날개(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밀봉날개(24)는 수용실(12)에 온수를 붓고 건조 음식물을 익히는 과정에서 본체(10)의 플랜지부(16)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본체(10)의 상단과 뚜껑(20)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밀봉날개(24)는 손잡이(22)의 양쪽에 서로 대칭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1에서는 밀봉날개(24)를 손잡이(22)의 양쪽으로 2개 형성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뚜껑(20)의 크기에 따라 4개, 6개 등 그 개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용기내의 음식물을 취식하고자 할 경우, 먼저 본체(10)의 개방부(14)로부터 뚜껑(20)을 개방하고, 포장된 분말양념을 개방하여 본체(10)의 수용실(14)에 첨가한다. 그리고 본체(20)의 수용실(12)에 소정량의 온수를 보충한 후, 다시 뚜껑(20)을 이용하여 수용실(12)의 개방부(14)를 밀봉한다. 이때, 손잡이(22)와 밀봉날개(24)를 이용하여 본체(10)의 플랜지부(16)를 감싸도록 함으로써 본체(10)의 상단과 뚜껑(20)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용실(12)이 밀봉되므로 수용실(12)의 건조 음식물은 온수에 의해 빠르게 익혀지면서 부풀어 올라 먹을 수 있는 알맞은 상태로 조리되며, 취식자는 본체(10)의 개방부(14)로부터 뚜껑(20)을 개방하여 조리된 음식물을 취식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과 도 4에는 상기한 실시예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의 변형예는 밀봉날개(24)의 밑면에 점착제(粘着劑:25)가 도포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 점착제(25)는 항상 끈끈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포장 상태에서는 뚜껑(20)의 밑면에 접혀져 접착되는 상기 밀봉날개(24)에 의해 그 점착력이 상실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음식물 조리시에는 본체(10)의 플랜지부(16)의 밑면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변형예의 구성에 의해 뚜껑(20)과 본체(10)는 기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수용실(12)은 밀봉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5와 도 6에서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의 일회용 음식물 용기는 상술한 바와는 달리 밀봉날개(24)를 형성하는 대신 수용성 접착제(26)를 이용하여 본체(10)와 뚜껑(20)을 밀착시키도록 한 구성을 갖는다. 즉, 다른 실시예의 일회용 음식물 용기는 뚜껑(20)의 밑면에 본체(10)의 플랜지(16)의 상면과 접하는 수용성 접착제층(26)이 형성된다. 이 수용성 접착제층(26)은 뚜껑(20)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되며, 항상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뚜껑(20)은 수용성 접착제층(26)의 외측 가장자리와 본체(10)의 플랜지(16)가 서로 열융착되는 것에 의해 본체(10)에 부착된다.
이러한 수용성 접착제층(18)은 포장 상태에서는 건조한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음식물을 익히고자 수용실(12)에 온수를 보충하면, 상기 온수의 수분에 의해 용해되어 본체(10)와 뚜껑(20)을 다시 접착시키도록 구성된다. 결국, 뚜껑(20)과 본체(10)는 서로 기밀된 상태가 유지되어 수용실(12)을 밀봉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건조 음식물을 익히는 과정에서 밀봉수단을 통하여 본체(10)와 뚜껑(20)을 밀착시켜 기밀을 유지시킴으로써 수용실(12)을 밀봉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수용실(12)이 밀봉되면, 책과 같은 무거운 물건을 뚜껑에 올려놓아야하는 수고로움을 덜어준다. 특히, 수용실(12)이 밀봉됨에 따라 음식물이 빠른 시간내에 취식하기에 알맞은 상태로 익혀지는 등 조리 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은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일회용 음식물 용기는 건조 음식물을 익히는 과정에서 밀봉수단을 통하여 본체와 뚜껑을 밀착시켜 기밀을 유지시킴으로써 수용실을 밀봉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수용실이 밀봉됨에 따라 책과 같은 무거운 물건을 뚜껑에 올려놓아야 하는 수고로움을 덜어준다. 특히, 수용실이 밀봉됨에 따라 음식물이 빠른 시간내에 취식하기에 알맞은 상태로 익혀지는 등 조리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플랜지부가 형성된 트인 개방부를 가지며, 건조된 음식물을 수용하는 수용실을 구비한 본체와;
    상기 수용실의 개방부를 덮어 상기 수용실을 밀폐시키는 뚜껑과;
    음식물을 익히는 과정에서 상기 수용실을 밀봉할 수 있도록 상기 뚜껑과 본체를 밀봉시키는 밀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음식물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수단은 상기 뚜껑의 가장자리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플랜지부를 감쌀 수 있도록 된 복수의 밀봉날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음식물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날개의 밑면에는 점착제가 도포되며, 상기 점착제는 포장 상태에서는 뚜껑의 밑면에 접혀져 접착되는 상기 밀봉날개에 의해 그 점착력을 유지하고, 음식물 조리시에는 상기 본체의 플랜지부에 점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음식물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수단은 상기 수용실의 온수에서 증발되는 수분에 의해 용해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뚜껑을 접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뚜껑의 밑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수용성 접착제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음식물 용기.
KR2020000009055U 2000-03-30 2000-03-30 일회용 음식물 용기 KR2001935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055U KR200193560Y1 (ko) 2000-03-30 2000-03-30 일회용 음식물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055U KR200193560Y1 (ko) 2000-03-30 2000-03-30 일회용 음식물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3560Y1 true KR200193560Y1 (ko) 2000-08-16

Family

ID=19649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055U KR200193560Y1 (ko) 2000-03-30 2000-03-30 일회용 음식물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5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196U (ko) 2016-06-07 2017-12-15 이종윤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196U (ko) 2016-06-07 2017-12-15 이종윤 일회용 음식물 포장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27261A (en) Packaging and reconstituting food products
JP2004520901A (ja) 電子レンジ用の調理トレイとスリーブとのアセンブリ
KR20070100093A (ko) 레토르트 식품용 용기
BE624855A (fr) Emballage pour aliments déshydratés
WO2013146592A1 (ja) 容器入り即席食品、容器入り即席食品の調理方法、及び即席食品用容器
JPH10129742A (ja) 蓋付き容器
KR200193560Y1 (ko) 일회용 음식물 용기
JPWO2003082704A1 (ja) 食品調理容器
CN111032529A (zh) 食品包装
JP3807793B2 (ja) 電子レンジ用食品包装体
JPH10278975A (ja) 冷凍食品収納容器
JP2857172B2 (ja) 個包装体の製造方法
KR101420975B1 (ko) 봉투형 종이 호일의 제조방법
GB2194515A (en) Composite containers
JPS63131926A (ja) 電子レンジを用いた蒸気加温方法
JP6688682B2 (ja) 食品包装容器
JPH08258875A (ja) 即席食品容器
KR200210273Y1 (ko) 재밀폐 가능한 컵라면 종이뚜껑
KR200485266Y1 (ko) 이중박리구조캡을 포함한 식품용기
JP2000238860A (ja) 調理済食品用の包装容器
JP3023405B2 (ja) 水蒸気加熱装置付き食品
JPH11115970A (ja) 食品包装体
US3302817A (en) Container for liquid combinable products
KR102571767B1 (ko) 계란 포장 케이스
KR100535746B1 (ko) 격실간 개봉 기능이 포함된 다중 격실을 가진 식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